맨위로가기

1986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조별 리그 상위 2개국과 각 조 3위 국가 중 상위 4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16강전은 6월 15일부터 18일까지, 8강전은 6월 21일과 22일에, 준결승전은 6월 25일에 치러졌다. 3위 결정전에서는 프랑스가 벨기에를 4-2로 꺾고 3위를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진출국

6개 조의 상위 2개국과 성적이 가장 좋은 조 3위 4개국이 결선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1위2위3위
(상위 4개국 진출)
A조아르헨티나/Argentinaes이탈리아/Italiait불가리아/Balgariyabg
B조멕시코/Méxicoes파라과이/Paraguayes벨기에/Belgique프랑스어
C조소련/Soviet Unionru프랑스/France프랑스어-
D조브라질/Brasilpt스페인/Españaes-
E조덴마크/Danmarkda서독우루과이/Uruguayes
F조모로코/Moroccoar잉글랜드/England영어폴란드/Polskapl



조별 리그 결과에 따라 16강전 대진표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각 조 3위 국가들 중 가장 성적이 좋은 4개 국가의 조합에 따라, A조, B조, C조, D조의 1위 국가들은 각각 E조, A조, B조, F조 3위 국가와 맞붙게 되었다.

16강전진출국
조별 리그 순위
최종 확정국
1경기A조 1위 – C조/D조/E조 3위아르헨티나/Argentinaes – 우루과이/Uruguayes
2경기B조 2위 – F조 2위파라과이/Paraguayes – 잉글랜드/England영어
3경기E조 1위 – D조 2위덴마크/Danmarkda – 스페인/Españaes
4경기C조 1위 – A조/B조/F조 3위소련/Soviet Unionru – 벨기에/Belgique프랑스어
5경기D조 1위 – B조/E조/F조 3위브라질/Brasilpt – 폴란드/Polskapl
6경기A조 2위 – C조 2위이탈리아/Italiait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7경기F조 1위 – E조 2위모로코/Moroccoar서독
8경기B조 1위 – A조/C조/D조 3위멕시코/Méxicoes – 불가리아/Balgariyabg


2. 1. 조별 리그

2. 2. 16강전 대진표 및 결과

3. 대진표

16강전은 1986년 FIFA 월드컵의 결선 토너먼트 첫 단계로, 6월 15일부터 6월 18일까지 진행되었다.



8강전은 1986년 6월 21일과 22일에 진행되었다.

준결승전은 1986년 6월 25일에 진행되었다.

3위 결정전은 1986년 6월 28일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렸다. 프랑스벨기에를 연장전 끝에 4-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86년 6월 29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열렸다. 아르헨티나서독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1. 16강전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은 6월 15일부터 6월 18일까지 진행되었다.

6월 15일, 멕시코아스테카에서 열린 불가리아와의 경기에서 네그레테와 세르빈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노우 캄프에서는 소련벨기에가 맞붙어 연장전 끝에 벨기에가 4-3으로 승리했다. 벨기에의 시포, 쾰레만스, 드몰, 클레선이 득점했고, 소련의 벨라노프는 해트트릭을 기록했지만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6월 16일, 과달라하라의 할리스코에서는 브라질폴란드를 4-0으로 완파했다. 소크라치스의 페널티킥 골, 조시마르와 에지뉴의 골, 그리고 카레카의 페널티킥 골이 이어졌다. 같은 날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는 아르헨티나우루과이를 1-0으로 꺾었다. 파스쿠지가 결승골을 넣었다.

6월 17일, 멕시코 시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는 프랑스이탈리아를 2-0으로 이겼다. 플라티니스토피라가 득점했다. 같은 날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사의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는 서독모로코를 1-0으로 꺾었다. 마테우스가 경기 막판 결승골을 기록했다.

6월 18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는 잉글랜드파라과이를 3-0으로 완파했다. 리네커가 두 골, 비어슬리가 한 골을 넣었다. 같은 날 케레타로의 코레히도라에서는 스페인덴마크를 5-1로 대파했다. 부트라게뇨가 4골을 넣었고, 고이코에체아가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추가했다. 덴마크는 J. 올센이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했다.

3. 2. 8강전

1986년 FIFA 월드컵 8강전은 6월 21일과 22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6월 21일, 과달라하라의 할리스코에서 열린 브라질프랑스의 경기는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프랑스가 4-3으로 승리했다. 브라질의 카레카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프랑스의 플라티니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는 브라질의 소크라치스와 줄리우 세자르가 실축한 반면, 프랑스는 페르난데스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성공시키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사의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서독멕시코의 경기는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서독이 4-1로 승리했다. 멕시코는 키라르테와 세르빈이 승부차기를 실축하며 탈락했다.

6월 22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잉글랜드의 경기는 마라도나의 '신의 손' 득점과 5명을 제치고 넣은 골에 힘입어 아르헨티나가 2-1로 승리했다. 리네커가 한 골을 만회했지만, 잉글랜드는 8강에서 탈락했다.

같은 날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린 스페인벨기에의 경기는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벨기에가 5-4로 승리했다. 벨기에의 쾰레만스가 선제골을 넣었고, 스페인의 세뇨르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는 스페인의 엘로이가 실축하면서 벨기에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3. 3. 준결승전

1986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은 1986년 6월 25일에 두 경기로 진행되었다. 서독은 안드레아스 브레메와 루디 푈러의 골로 프랑스를 2-0으로 꺾었다. 디에고 마라도나가 2골을 기록한 아르헨티나벨기에를 2-0으로 이겼다.

3. 4. 3위 결정전

1986년 6월 28일 12시,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린 3위 결정전에서 벨기에프랑스에 2-4로 패했다. 이 경기는 양 팀 모두 유럽 국가였기에, 경기 결과에 관계없이 유럽 국가가 2대회 연속으로 월드컵 3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쾰레만스가 전반 11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페레리파팽이 각각 27분과 43분에 골을 넣어 프랑스가 전반전을 2-1로 앞선 채 마쳤다. 후반 28분, 클레선이 동점골을 넣었으나, 연장전에서 장기니아모로스가 각각 104분과 111분(페널티킥)에 골을 넣어 프랑스가 최종적으로 4-2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잉글랜드의 조지 코트니였으며, 21,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3. 5. 결승전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86년 6월 29일 12:00에 멕시코 멕시코시티아스테카에서 열렸으며,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겼다. 브론과 발다노가 아르헨티나의 골을, 루메니게와 푈러가 서독의 골을 기록했다. 경기 후반 84분, 부루차가가 아르헨티나의 결승골을 넣어 승리했다. 경기는 브라질의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심판이 주관했고, 114,6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4. 경기 상세 정보

4. 1. 16강전 경기 정보

4. 1. 1. 멕시코 vs 불가리아

1986년 6월 15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멕시코불가리아를 2-0으로 꺾었다. 114,580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네그레테와 세르빈이 각각 득점하였다. 주심은 브라질의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가 맡았다.
멕시코

  • '''선발:''' 라리오스 (GK), 아마도르, 키라르테, 크루스, 세르빈, 에스파냐, 카를로스 무뇨스, 보이 (주장) (데 로스 코보스와 79분 교체), 아기레, 네그레테, 산체스
  • '''교체:''' 에레디아,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데 로스 코보스, 프란시스코 크루스, 에르모시요
  • '''감독:''' 보라 밀루티노비치

불가리아

  • '''선발:''' 미하일로프 (GK), 아라보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주장), 페타르 페트로프, 게토프 (시라코프와 59분 교체), 요르다노프, 파셰프 (이스크레노프와 70분 교체), 고스포디노프, 사다코프, 즈드라프코프, 코스타디노프
  • '''교체:''' 발로프, 시라코프, 마르코프, 드라골로프, 이스크레노프
  • '''감독:''' 이반 부초프

4. 1. 2. 소련 vs 벨기에

1986년 6월 15일 16:00 (UTC-6), 레온의 노우 캄프에서 소련벨기에의 16강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벨라노프는 해트트릭을 기록했지만, 시포, 쾰레만스, 드몰, 클레선이 득점을 기록한 벨기에가 연장전 끝에 4-3으로 승리했다. 에리크 프레드리크손 (스웨덴) 주심이 이 경기를 담당했다.

소련width="10%" |벨기에



{| class="wikitable"

|+ 선수 명단

|-

! width="50%" | 소련

! width="50%" | 벨기에

|-

|

1리나트 다사예프
2볼로디미르 베즈소노우
5아나톨리 데미야넨코 (주장)
10올레흐 쿠즈네초프
21바실리 라츠
12안드리 발
7이반 야렘추크
8파벨 야코벤코
9알렉산드르 자바로프
20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19이고리 벨라노프
교체 선수:
16빅토르 차노프
3알렉산드르 치바제
14세르게이 로디오노프
11올레흐 블로힌
17바딤 옙투셴코
감독: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

1장-마리 파프
2에릭 헤러츠
5미셸 랑캥
13조르주 그륀
22파트리크 페르포르트
21스테판 드몰
6프랑키 베르코테랑
8엔초 시포
11얀 쾰레만스 (주장)
18다니엘 베이트
16니코 클레선
교체 선수:
12자키 뮈나롱
14레이 클레이스터르스
15레오 판 데르 엘스트
19위고 브로스
3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감독:
기 티



|}

4. 1. 3. 브라질 vs 폴란드

1986년 6월 16일, 과달라하라의 할리스코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브라질폴란드를 4-0으로 대파했다.

브라질은 소크라치스의 페널티킥 선제골을 시작으로 조시마르, 에지뉴, 카레카가 연속골을 터뜨리며 완승을 거두었다. 카레카는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였다. 반면 폴란드는 브워지미에시 스몰라레크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가 경고를 받는 등 거친 플레이를 펼쳤지만 브라질의 공격력을 막아내지 못했다.

이 경기에서 브라질의 에지뉴와 카레카 폴란드의 브워지미에시 스몰라레크,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다리우시 지에카노프스키가 경고를 받았다.

이 경기는 독일의 폴커 로트 심판이 주관하였으며, 45,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4. 1. 4. 아르헨티나 vs 우루과이

1986년 6월 16일,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아르헨티나우루과이를 1-0으로 꺾었다. 이 경기에서 파스쿠지가 42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루이지 아뇰린 (이탈리아)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으며, 26,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아르헨티나는 파란색 상의와 검은색 하의, 흰색 양말을 착용했고, 우루과이는 흰색 상하의와 양말을 착용했다.
아르헨티나 선수 명단:
우루과이 선수 명단:

  • GK: 페르난도 알베스
  • DF: 넬손 구티에레스, 에두아르도 마리오 아세베도 (경고 58분, 61분 교체), 다리오 페레이라, 엘리세오 리베로
  • MF: 미겔 보시오, 호르헤 바리오스 (주장), 세르히오 산틴 (경고 68분), 엔초 프란체스콜리 (경고 35분)
  • FW: 윌마르 카브레라 (46분 교체), 베난시오 라모스
  • 교체: 호르헤 다 실바 (경고 85분, 46분 투입), 루벤 파스 (61분 투입)
  • 감독: 오마르 보라스


이 경기는 남미의 강호 간의 대결로, 아르헨티나가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디에고 마라도나는 이 경기에서 득점하지 못했지만,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4. 1. 5. 이탈리아 vs 프랑스

1986년 6월 17일 12시, 멕시코 시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프랑스이탈리아를 2-0으로 꺾었다. 플라티니는 전반 15분에 선제골을, 스토피라는 후반 12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70,000명의 관중이 이 경기를 지켜보았으며, 주심은 아르헨티나의 카를로스 에스포시토였다.

이탈리아는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이 이끌었으며, 조반니 갈리가 골문을 지켰다. 주세페 베르고미, 안토니오 카브리니, 가에타노 시레아(주장),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가 수비를 맡았다. 주세페 바레시, 살바토레 바니, 페르난도 데 나폴리, 브루노 콘티가 미드필더로 나섰고, 주세페 갈데리시와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공격을 이끌었다. 교체 선수로는 안토니오 디 젠나로(46분 교체 투입), 잔루카 비알리(58분 교체 투입)가 투입되었다. 페르난도 데 나폴리는 전반 16분에, 안토니오 디 젠나로는 후반 22분에 경고를 받았다.

프랑스는 앙리 미셸 감독이 이끌었으며, 조엘 바츠가 골문을 지켰다. 마뉘엘 아모로스, 윌리앙 아야슈, 막심 보시, 파트리크 바티스통이 수비를 맡았다. 루이스 페르난데스, 알랭 지레스, 장 티가나, 미셸 플라티니(주장)가 미드필더로 나섰고, 도미니크 로슈토와 야니크 스토피라가 공격을 이끌었다. 교체 선수로는 티에리 튀소(73분 교체 투입), 장마르크 페레리(85분 교체 투입)가 투입되었다. 윌리앙 아야슈는 전반 40분에 경고를 받았다.

이 경기는 이탈리아-프랑스 축구 경쟁의 일환으로도 볼 수 있다.

4. 1. 6. 모로코 vs 서독

1986년 6월 17일 16:00,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사의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서독마테우스의 골로 모로코를 1-0으로 이겼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19,800명이었고, 주심은 유고슬라비아의 조란 페트로비치였다.

{| width="100%"

|valign="top" width="50%"|

width="25"|width="25"|
GK1바두 자키 (주장)
DF2라비드 칼리파
DF3압델마지드 람리스
DF5누레딘 부야햐위
DF14라흐센 우아다니
MF6압델마지드 돌미
MF7무스타파 엘 하다오위
MF8아지즈 부데르발라
MF10모하메드 티모우미
FW9압델크림 메리
FW17압데라자크 카이리
교체 선수:
GK12살라딘 흠미에드
MF16아제딘 아마날라흐
MF19파델 질랄
MF21압델아지즈 술레이마니
FW11무스타파 메리
감독:
조제 파리아



|valign="top"|

|valign="top" width="50%"|



|}

당시 서독은 프란츠 베켄바워라는 걸출한 스타 선수 출신 감독이 이끌고 있었지만, 경기력은 신통치 않았다. 모로코는 비교적 약체로 평가받았으나, 조제 파리아 감독의 지휘 아래 선전하며 16강에 진출했다. 결국 마테우스의 한 골로 서독이 승리했지만, 모로코는 기대 이상의 경기력을 보여주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4. 1. 7. 잉글랜드 vs 파라과이

1986년 6월 18일 12시,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잉글랜드와 파라과이의 경기가 열렸다. 98,728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자말 알 샤리프 (시리아)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잉글랜드는 리네커의 2골 (31분, 73분)과 비어슬리의 골 (56분)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잉글랜드는 주장 피터 실턴 골키퍼를 필두로, 게리 스티븐스, 케니 샌섬, 앨빈 마틴 (37분 경고), 테리 버처가 수비를 맡았다. 피터 리드 (58분 교체), 글렌 호들, 트레버 스티븐, 스티브 하지 (67분 경고)가 미드필더로, 피터 비어슬리 (80분 교체), 게리 리네커가 공격수로 출전했다. 교체 선수로는 게리 스티븐스 (58분 투입), 마크 헤이틀리 (80분 투입)가 있었다. 보비 롭슨 감독이 잉글랜드를 지휘했다.

파라과이는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골키퍼, 후안 토랄레스 (64분 교체), 세사르 사발라, 블라디미로 스체티나, 주장 로헬리오 델가도가 수비를 맡았다. 호르헤 아마도 누네스 (60분 경고), 아돌피노 카녜테, 훌리오 세사르 로메로가 미드필더로, 부에나벤투라 페레이라, 알프레도 멘도사, 로베르토 카바냐스가 공격수로 출전했다. 교체 선수로는 호르헤 과스치 (64분 투입)가 있었다. 카예타노 레 감독이 파라과이를 지휘했다.

4. 1. 8. 덴마크 vs 스페인

198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덴마크스페인이 맞붙었다. 경기는 1986년 6월 18일 16:00에 케레타로의 코레히도라에서 열렸으며, 38,500명의 관중이 운집했다. 주심은 네덜란드의 얀 케이저르였다.

덴마크는 J. 올센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33분), 스페인부트라게뇨가 4골(43분, 56분, 80분, 88분-페널티킥)을 몰아치며 역전했다. 고이코에체아도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추가하며(68분) 스페인이 5-1 대승을 거두었다.
덴마크 선수 명단:
스페인 선수 명단:

이 경기에서 부트라게뇨는 4골을 기록하며 맹활약, 스페인의 8강 진출을 이끌었다. 반면 덴마크는 유로 1984 4강, 1986년 FIFA 월드컵 조별리그 3전 전승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16강에서 탈락했다.

4. 2. 8강전 경기 정보

4. 2. 1. 브라질 vs 프랑스

1986년 6월 21일 12시, 멕시코 과달라하라의 에스타디오 할리스코에서 브라질과 프랑스의 8강전 경기가 열렸다. 65,000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루마니아의 이오안 이그나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다.

브라질은 전반 17분 카레카의 선제골로 앞서나갔다. 프랑스는 전반 40분 미셸 플라티니가 동점골을 넣어 1-1 균형을 맞췄다. 연장전까지 득점 없이 경기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브라질은 소크라치스와 줄리우 세자르가 실축한 반면, 프랑스는 미셸 플라티니가 실축했지만, 스토피라, 아모로스, 베욘, 페르난데스가 성공시키며 4-3으로 프랑스가 승리했다.

카를루스 (GK)1
조시마르 (RB)13
에지뉴 (CB, 주장)4
줄리우 세자르 (CB)14
브랑쿠 (LB)17
엘주 (DM)19
알레망 (DM)15
소크라치스 (AM)18
주니오르 (AM)6
뮐레르 (SS)7
카레카 (CF)9
교체 선수:
레앙 (GK)22
오스카르 (CB)3
카사그랑지 (CF)8
지쿠 (AM)10
실라스 (AM)20
감독:텔레 산타나



조엘 바츠 (GK)1
마뉘엘 아모로스 (DF)2
막심 보시 (DF)6
파트리크 바티스통 (DF)4
티에리 튀소 (MF)8
루이스 페르난데스 (MF)9
알랭 지레스 (MF)12
장 티가나 (MF)14
미셸 플라티니 (MF, 주장)10
도미니크 로슈토 (FW)18
야니크 스토피라 (FW)19
교체 선수:
장-마르크 페레리 (MF)11
브뤼노 베욘 (FW)16
감독:앙리 미셸


4. 2. 2. 서독 vs 멕시코

1986년 6월 21일,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사의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서독멕시코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연장전까지 진행되었지만 득점은 없었고, 승부차기에서 서독이 4-1로 승리했다.
경기 상세 정보
양 팀 선수 명단


승부차기



결과적으로, 서독은 멕시코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멕시코는 홈 팬들 앞에서 아쉬운 패배를 당하며 8강에서 탈락했다.

4. 2. 3. 아르헨티나 vs 잉글랜드

1986년 6월 22일, 멕시코시티아스테카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잉글랜드를 2-1로 이겼다. 이 경기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신의 손' 골과 '세기의 골'로 유명하다.

경기는 후반 6분 마라도나의 '신의 손' 골로 아르헨티나가 앞서나갔다. 4분 뒤, 마라도나는 60m를 단독 질주하며 5명의 잉글랜드 수비수와 골키퍼 피터 실턴까지 제치고 두 번째 골을 넣었다. 이 골은 훗날 '세기의 골'로 불리게 된다. 후반 36분, 게리 리네커가 존 반스의 크로스를 받아 만회골을 넣었지만, 경기는 아르헨티나의 승리로 끝났다.

이 경기는 포클랜드 전쟁 이후 양국 간의 첫 맞대결이었기 때문에 더욱 큰 관심을 받았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이 경기를 전쟁에서의 패배에 대한 복수로 여겼다.

  • 아르헨티나

  • 잉글랜드

  • '''감독''': 보비 롭슨
  • '''선수''':
  • * 피터 실턴 (GK, 주장)
  • * 게리 스티븐스
  • * 케니 샌섬
  • * 테리 버처
  • * 테리 펜윅 (경고 9')
  • * 글렌 호들
  • * 피터 리드 (교체 아웃 69')
  • * 트레버 스티븐 (교체 아웃 74')
  • * 스티브 하지
  • * 피터 비어슬리
  • * 게리 리네커
  • ** '''교체 선수''': 크리스 워들 (교체 투입 69'), 존 반스 (교체 투입 74')


이 경기에서 알리 빈 나세르 주심( 튀니지)은 마라도나의 첫 번째 골을 핸드볼 반칙으로 판정하지 못하고 득점으로 인정하는 오심을 범했다.

4. 2. 4. 스페인 vs 벨기에

1986년 6월 22일,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린 스페인과 벨기에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고,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벨기에의 쾰레만스가 전반 35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스페인의 세뇨르가 후반 85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는 벨기에가 5-4로 승리했다. 벨기에는 클레선, 시포, 브로스, 페르포르트, L. 판 데르 엘스트가 모두 성공시킨 반면, 스페인은 세뇨르, 첸도, 부트라게뇨, 빅토르가 성공했지만, 엘로이가 실축하여 탈락했다.

이 경기에는 45,000명의 관중이 입장했고, 심판은 동독 출신의 지크프리트 키르셴이 맡았다.

스페인의 토마스라몬 칼데레 그리고 벨기에의 조르주 그륀 과 스테판 드몰은 경고를 받았다.

4. 3. 준결승전 경기 정보

4. 3. 1. 프랑스 vs 서독

1986년 6월 25일 12시, 과달라하라의 할리스코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서독프랑스를 2-0으로 꺾었다. 브레메가 전반 9분에 선제골을, 푈러가 후반 45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선수 (프랑스)선수 (서독)
GK조엘 바츠GK하랄트 슈마허
RB마뉘엘 아모로스DF카를하인츠 푀르슈터
LB윌리앙 아야슈DF노르베르트 에더
CB막심 보시DF디트마어 야콥스
CB파트리크 바티스통DF한스-페터 브리겔
MF루이스 페르난데스DF안드레아스 브레메
MF알랭 지레스MF볼프강 롤프
MF장 티가나MF펠릭스 마가트
AM미셸 플라티니 (주장)MF로타어 마테우스
FW브뤼노 베욘FW카를-하인츠 루메니게 (주장)
FW야니크 스토피라FW클라우스 알로프스
교체 선수
DF이봉 르 루FW피에르 리트바르스키
FW다니엘 쉬에레브FW디터 회네스
MF필리프 베르크뤼스FW루디 푈러
감독
앙리 미셸 (프랑스), 프란츠 베켄바워 (서독)



이 경기에서 루이지 아뇰린 (이탈리아) 심판이 주심을 맡았고, 4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4. 3. 2. 아르헨티나 vs 벨기에

1986년 6월 25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벨기에를 2-0으로 꺾었다. 마라도나는 후반전에 두 골을 기록하며 아르헨티나의 승리를 이끌었다.
아르헨티나
벨기에

이 경기에서 마라도나는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아르헨티나를 결승으로 이끌었다. 특히, 마라도나의 두 번째 골은 그의 뛰어난 개인기를 보여주는 장면으로, 1986년 월드컵 최고의 골 중 하나로 꼽힌다. 반면, 벨기에는 엔초 시포를 앞세워 공격을 시도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수비를 뚫지 못하고 패배했다.

4. 4. 3위 결정전 경기 정보

1986년 6월 28일 12시,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린 벨기에와 프랑스의 3위 결정전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프랑스가 4-2로 승리했다. 이 경기로 유럽 국가가 2대회 연속으로 월드컵 3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쾰레만스가 전반 11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페레리가 27분에 동점골을, 파팽이 43분에 역전골을 넣으며 프랑스가 앞서나갔다. 후반 28분에 클레선이 다시 동점골을 넣으며 경기는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장기니가 104분에 추가골을, 아모로스가 111분에 페널티킥으로 쐐기골을 넣으며 프랑스가 승리했다.

이 경기는 잉글랜드의 조지 코트니 심판이 주관했으며, 21,00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 class="wikitable"

|+ 선수 명단

|-

|

width="25"|width="25"|
GK1장-마리 파프63'
DF2에릭 헤러츠
DF5미셸 랑캥46'
DF13조르주 그륀
MF21스테판 드몰
MF22파트리크 페르포르트
MF17라이몬트 모먼스
MF8엔초 시포64'
MF11얀 쾰레만스 (주장)
FW18다니엘 베이트
FW16니코 클레선
교체 선수:
GK20질베르 보다르
DF3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46'
DF15레오 판 데르 엘스트64'
DF14레이 클레이스터르스
MF6프랑키 베르코테랑
감독:
기 티



|

width=25|width=25|
GK22알베르 뤼스
DF2마뉘엘 아모로스
DF4파트리크 바티스통 (주장)
DF5미셸 비바르
DF7이봉 르 루56'
MF14장 티가나84'
MF15필리프 베르크뤼스
MF11장-마르크 페레리
MF13베르나르 장기니
FW16브뤼노 베욘
FW17장-피에르 파팽
교체 선수:
GK21필리프 베르제로
DF6막심 보시56'
MF8티에리 튀소84'
FW19야니크 스토피라
FW20다니엘 쉬에레브
감독:
앙리 미셸



|}

4. 4. 1. 벨기에 vs 프랑스

1986년 6월 28일 12시, 푸에블라의 콰우테모크에서 열린 벨기에와 프랑스의 3위 결정전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프랑스가 4-2로 승리했다. 이 경기로 유럽 국가가 2대회 연속으로 월드컵 3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쾰레만스가 전반 11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페레리가 27분에 동점골을, 파팽이 43분에 역전골을 넣으며 프랑스가 앞서나갔다. 후반 28분에 클레선이 다시 동점골을 넣으며 경기는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장기니가 104분에 추가골을, 아모로스가 111분에 페널티킥으로 쐐기골을 넣으며 프랑스가 승리했다.

이 경기는 잉글랜드의 조지 코트니 심판이 주관했으며, 21,00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벨기에프랑스



{| class="wikitable"

|+ 선수 명단

|-

|

width="25"|width="25"|
GK1장-마리 파프
DF2에릭 헤러츠
DF5미셸 랑캥
DF13조르주 그륀
MF21스테판 드몰
MF22파트리크 페르포르트
MF17라이몬트 모먼스
MF8엔초 시포
MF11얀 쾰레만스 (주장)
FW18다니엘 베이트
FW16니코 클레선
교체 선수:
GK20질베르 보다르
DF3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DF15레오 판 데르 엘스트
DF14레이 클레이스터르스
MF6프랑키 베르코테랑
감독:
기 티



|

width=25|width=25|
GK22알베르 뤼스
DF2마뉘엘 아모로스
DF4파트리크 바티스통 (주장)
DF5미셸 비바르
DF7이봉 르 루
MF14장 티가나
MF15필리프 베르크뤼스
MF11장-마르크 페레리
MF13베르나르 장기니
FW16브뤼노 베욘
FW17장-피에르 파팽
교체 선수:
GK21필리프 베르제로
DF6막심 보시
MF8티에리 튀소
FW19야니크 스토피라
FW20다니엘 쉬에레브
감독:
앙리 미셸



|}

4. 5. 결승전 경기 정보

1986년 6월 29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겼다. 브론이 전반 23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발다노가 후반 56분에 추가골을 넣었다. 서독은 루메니게가 후반 74분에, 푈러가 후반 81분에 골을 넣어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그러나 부루차가가 후반 84분에 결승골을 넣어 아르헨티나가 승리했다.

관중 수는 114,600명이었고, 심판은 브라질의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였다.

아르헨티나서독


4. 5. 1. 아르헨티나 vs 서독

1986년 6월 29일, 멕시코 시아스테카에서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겼다. 브론이 전반 23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발다노가 후반 56분에 추가골을 넣었다. 서독은 루메니게가 후반 74분에, 푈러가 후반 81분에 골을 넣어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그러나 부루차가가 후반 84분에 결승골을 넣어 아르헨티나가 승리했다.

관중 수는 114,600명이었고, 심판은 브라질의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였다.

아르헨티나서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