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서아시아는 A조로 묶여 3라운드를 거쳐 이라크가 본선에 진출했고, 동아시아는 B조로 대한민국이 최종 예선에서 일본을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두 자리를 놓고 총 4라운드로 경쟁한 대회로, 모로코와 알제리가 본선에 진출했다.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85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1985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9개국이 참가, 캐나다가 우승하며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지역 최강자 결정 대회였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세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예선을 거쳐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대한민국, 이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이름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연도1986년
참가 팀 수27개 팀
경기 수미확인
득점 수미확인
최고 득점자라우윙입 (7골)
이전 대회198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다음 대회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지역 예선
대륙AFC

2. 대회 구조

27개 팀은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2개 지역으로 나뉘었다. '''A조'''에는 서아시아 13개 팀이, '''B조'''에는 동아시아 14개 팀이 속했다. 각 지역은 3개의 라운드로 구성되었다.


  • '''1차 예선''': 팀들은 각각 3개 또는 4개 팀으로 구성된 4개 조로 나뉘었다.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2차 예선으로 진출했다.
  • '''2차 예선''': 각 지역의 4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짝을 이루어 경기를 치렀다. 승자는 최종 예선으로 진출했다.
  • '''최종 예선''': 각 지역의 2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다. 승자는 1986년 FIFA 월드컵에 진출했다.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이란, 이라크, 레바논은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역 또는 원정에서 치러야 했다.

3. 서아시아 (AFC A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중 서아시아(A조)는 13개 팀이 참가하여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으로 진행되었다. 이란, 이라크, 레바논은 자국 내 전쟁으로 인해 모든 홈경기를 중립 지역이나 원정 경기로 치렀다.[1]

1차 예선은 3~4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은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자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3. 1. 1차 예선

1차 예선은 1조와 2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조는 A조와 B조로 나뉘었다. A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사우디아라비아를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하였으며, 오만은 기권하였다. B조에서는 이라크카타르요르단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하였고, 레바논은 기권하였다.

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이라크)430176+16
(카타르)420263+34
(요르단)410337−42
(레바논)기권



 
(이라크)2–02–1
(요르단)2–31–0
(레바논)
(카타르)3–02–0



2조는 A조와 B조로 나뉘었다. A조에서는 시리아쿠웨이트와 북예멘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B조에서는 바레인남예멘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하였으며, 이란은 실격 처리되었다.[1]

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시리아 (1980)431050+57
쿠웨이트421182+65
북예멘4004112−110



  쿠웨이트 북예멘 시리아 (1980)
쿠웨이트5–00–0
북예멘1–30–1
시리아 (1980)1–03–0



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바레인)211074+33
(남예멘)201147−31
(이란)실격



 
(바레인)3–3
(이란)
(남예멘)1–4



최종적으로 1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이라크가, 2조에서는 시리아바레인이 각각 2차 예선에 진출했다.

3. 1. 1. 1조 A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조 A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오만은 기권하였다.[6]

승점경기
아랍에미리트3211010+1
사우디아라비아1201101−1
오만기권



경기 결과
1차전2차전
1985년 4월 12일 리야드1985년 4월 19일 두바이
0 – 01 – 0


3. 1. 2. 1조 B조

이 , 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은 중도 기권했다.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이라크는 홈경기를 중립 지역에서 치렀다.[6]

승점경기
이라크6430176+1
카타르4420263+3
요르단2410337-4
레바논중도 기권


  • 레바논은 단 4경기만 치르고 중도 기권하였다.



3. 1. 3. 2조 A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차 예선 2조 A조에서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북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3. 1. 4. 2조 B조

가 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은 중립 지역에서 홈경기를 치르는 것을 거부하여 실격 처리되었다.

3. 2. 2차 예선

가 를 상대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합계 4-4) 가 를 꺾고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합계 2-1)

승점경기
6430181+7
style="text-align:left;" |5421162+4
style="text-align:left;" |14013011-11



이 1위로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는 와의 경기에서 합계 4-4 를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는 와의 경기에서 합계 2-1 로 승리하여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

는 와의 경기에서 합계 6 – 1 (1차전 2 – 0, 2차전 4 – 1)로 승리했다.

는 와의 경기에서 합계 5 – 1 (1차전 3 – 0, 2차전 2 – 1)로 승리했다.

3. 3. 최종 예선

가 를 꺾고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합계 3-1)[6]

1차전2차전
0 – 03 – 1
다마스쿠스타이프 (사우디아라비아)


4. 동아시아 (AFC B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는 동아시아 지역 14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1차 예선에서는 각 팀이 3~4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에서는 1차 예선을 통과한 4개 팀(대한민국, 인도네시아, 홍콩, 일본)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예선 진출 팀을 가렸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6430181+7
말레이시아5421162+4
네팔14013011-11


4. 1. 1차 예선

1차 예선은 1985년에 진행되었다. 각 조는 다시 A조와 B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3조에서는 대한민국말레이시아네팔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 원정 경기에서 패배하였으나, 나머지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조 1위를 차지했다. 인도네시아는 3조 B조에서 인도, 태국, 방글라데시를 제치고 조 1위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4조에서는 홍콩중국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는 등 이변을 일으키며 조 1위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6] 한편, 4조 B조에서는 일본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1]

4. 1. 1. 3조 A조

승점경기
대한민국6430181+7
말레이시아5421162+4
네팔14013011-11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와 네팔을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특히,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 원정 경기에서 패배하였으나, 나머지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조 1위를 차지했다.

4. 1. 2. 3조 B조

가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3조 B조에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인도네시아는 인도, 태국, 방글라데시를 제치고 조 1위를 차지했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인도네시아9641184+4
인도7623176+1
태국46123440
방글라데시46204510−5


4. 1. 3. 4조 A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4조 A조는 1985년에 홍콩, 중국, 마카오, 브루나이가 경기를 치렀다. 홍콩은 중국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는 등 이변을 일으키며 조 1위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6]

승점경기
홍콩116510192+17
중국96411232+21
마카오46204415-11
브루나이06006229-27



경기 결과
일시팀 1결과팀 2경기장
1985년 2월 17일마카오2 – 0브루나이마카오
1985년 2월 17일홍콩0 – 0중국홍콩
1985년 2월 20일마카오0 – 4중국마카오
1985년 2월 23일홍콩8 – 0브루나이홍콩
1985년 2월 26일중국8 – 0브루나이마카오
1985년 3월 1일브루나이0 – 4중국홍콩
1985년 4월 6일브루나이1 – 5홍콩반다르스리브가완
1985년 4월 13일브루나이1 – 2마카오반다르스리브가완
1985년 4월 28일마카오0 – 2홍콩마카오
1985년 5월 4일홍콩2 – 0마카오홍콩
1985년 5월 12일중국6 – 0마카오베이징
1985년 5월 19일중국1 – 2홍콩베이징


4. 1. 4. 4조 B조

은 1985년에 열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과 를 제치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1]

4. 2. 2차 예선

대한민국은 1985년 7월 21일 서울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1] 같은 해 7월 30일 자카르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4-1로 승리하여,[2] 합계 6-1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일본은 1985년 8월 11일 고베에서 열린 홍콩과의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3] 같은 해 9월 22일 홍콩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2-1로 승리하여,[4] 합계 5-1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1차전2차전합계
대한민국 vs 인도네시아2 – 0[1]4 – 1[2]6 – 1
일본 vs 홍콩3 – 0[3]2 – 1[4]5 – 1


4. 3. 최종 예선



'''대한민국'''이 합계 3-1로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하였다.[4]

5. 본선 진출팀

이라크 (A조 최종 라운드 우승)

대한민국 (B조 최종 라운드 우승)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이전 출전 기록1
A조 최종 라운드 우승0 (첫 출전)
B조 최종 라운드 우승1 (1954)

1 '''굵은 글씨'''는 해당 연도의 우승팀을 나타낸다. ''기울임꼴''은 해당 연도의 개최국을 나타낸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CUP 1986 qualification, AFC http://www.allworldc[...] 2023-04-15
[2] 뉴스 프로축구선수권대회 돌연 유산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5-09-25
[3] 뉴스 "難破船(난파선)신세"프로축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5-09-25
[4] 뉴스 11월 첫선 프로선수권 6팀 하루세곳 동시에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5-02-12
[5] 뉴스 프로축구 活路(활로)가 안보인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6-03-13
[6] 문서 이라크는 이란-이라크 전쟁의 여파로 인하여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에서 치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