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8년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은 육상, 복싱, 역도, 레슬링 등 4개 종목에 남자 6명의 선수로 구성되었다. 복싱에서는 마셀리노 마소에가 웰터급에서 16강에 진출했고, 미카 마소에도 라이트 헤비급에 출전했으나 16강에서 패했다. 역도에서는 로페시 파구와 타우아마 티모티가 각각 라이트 헤비급과 헤비급에 출전했다. 레슬링에서는 알레사나 시오네가 남자 자유형 100kg에 출전했다. 육상에서는 게리 파넬리가 마라톤에 출전하여 5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 - 1992년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
1992년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은 복싱과 역도에 남자 선수 3명이 출전했으며, 복싱에서는 8강과 16강에서 탈락했고, 역도에서는 21위를 기록했다. -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아메리칸사모아는 육상, 복싱, 요트, 역도, 레슬링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참가하였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김수녕, 유남규 등 여러 선수들의 활약으로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를 획득하며 종합 4위를 기록했고, 양궁, 유도, 레슬링, 복싱, 탁구, 핸드볼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총 401명이 참가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남예멘 선수단
1988년 하계 올림픽에 남예멘은 육상과 복싱 종목에 남자 선수 5명을 파견했으나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으며, 이후 예멘으로 통일되어 올림픽에 예멘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아메리칸사모아 선수단 | |
---|---|
기본 정보 | |
NOC | ASA |
NOC 명칭 | 아메리칸사모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
올림픽 참가 정보 | |
대회 종류 | 하계 올림픽 |
첫 참가 연도 | 1988 |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첫 참가 연도 (하계) | 1988 |
마지막 참가 연도 (하계) | 자동 계산 |
1988년 하계 올림픽 (서울) 참가 정보 | |
개최지 | 서울 |
참가 선수 | 6 |
남자 선수 | 6 |
여자 선수 | 0 |
종목 | 4 |
세부 종목 | 6 |
기수 | 마셀리노 마소에아메리칸사모아 기수 |
금메달 | 0 |
은메달 | 0 |
동메달 | 0 |
임원 | 6 |
관련 정보 |
2. 참가 선수
wikitable
결과
3. 종목별 성적
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마셀리노 마소에 웰터급 페드로 프리아 레이노소 (도미니카 공화국)
승 RSCH피델 모힝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승 RSCH케네스 굴드 (미국)
패 0:5진출 실패 미카 마소에 라이트 헤비급 부전승 앤드루 메이너드 (미국)
패 RSCO진출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