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서울에서 개최된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에 대한 내용이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를 획득하여 총 3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양궁, 복싱, 유도, 탁구,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양궁에서는 여자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대한민국 - 1988년 하계 패럴림픽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하계 패럴림픽으로, 올림픽과 같은 도시에서 개최된 최초의 대회이자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주관 하에 열린 첫 대회이며, 아시아 최초로 장애인의 완전한 이용을 고려하여 건설된 패럴림픽 선수촌이 특징이지만, 여러 논란도 있었다. - 1988년 대한민국 - 지강헌 인질극
1988년 지강헌 인질극은 탈주범 지강헌이 주도하여 발생한 사건으로, 탈주범들의 검거 및 사망 경위와 그들의 범죄 행위, 그리고 인질들의 탄원 내용이 주요 쟁점이다. -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총 205명의 선수가 20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7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20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양궁에서 4개의 금메달을 거두는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남예멘 선수단
1988년 하계 올림픽에 남예멘은 육상과 복싱 종목에 남자 선수 5명을 파견했으나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으며, 이후 예멘으로 통일되어 올림픽에 예멘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988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은 서울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총 2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수영, 사격, 조정, 필드 하키, 요트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약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NOC | 대한올림픽위원회 |
NOC 영문명 | Korean Olympic Committee |
웹사이트 | www.sports.or.kr 대한민국 체육회 (한국어/영어) |
개최지 | 서울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401명 (남자: 269명, 여자: 132명) |
종목 | 27개 |
기수 | 조용철 |
성적 | |
순위 | 4위 |
금메달 | 12개 |
은메달 | 10개 |
동메달 | 11개 |
올림픽 참가 역사 | |
첫 참가 | 자동 |
마지막 참가 | 자동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자동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https://web.archive.org/web/20200417041553/https://www.sports-reference.com/olympics/countries/KOR/summer/1988/ South Korea at the 1988 Summer Games |
2. 메달리스트
대한민국은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로 총 33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금메달 | 김수녕 | 양궁 | 여자 개인전 |
김수녕, 왕희경, 윤영숙 | 양궁 | 여자 단체전 | |
박성수, 천인수, 이한섭 | 양궁 | 남자 단체전 | |
김광선 | 복싱 | 남자 플라이급 | |
박시헌 | 복싱 | 남자 라이트 미들급 | |
송지현, 한현숙, 김춘례, 김명순, 이기순, 김현미, 김미속, 석민희, 손미나, 임미경, 김경순, 성경화 | 핸드볼 | 여자 단체전 | |
김재엽 | 유도 | 남자 엑스트라라이트급 | |
이경근 | 유도 | 남자 하프라이트급 | |
현정화, 양영자 | 탁구 | 여자 복식 | |
유남규 | 탁구 | 남자 개인 | |
한명우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미들급 | |
김영남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웰터급 | |
-- 은메달 | 박성수 | 양궁 | 남자 개인전 |
왕희경 | 양궁 | 여자 개인전 | |
서광미, 임계숙, 박순자, 순효선, 김미순, 김순덕, 김영숙, 한옥경, 황금숙, 진원심, 전은경, 창상현, 한금실, 장은정, 최준옥, 조기향 | 여자 하키 | 단체 | |
백현만 | 복싱 | 남자 헤비급 | |
철석제, 강재원, 김제환, 고석창, 이상효, 임진석, 노현석, 오영기, 박도훈, 박영대, 심제홍, 신영석, 윤태일 | 핸드볼 | 남자 단체전 | |
차영철 | 사격 | 남자 50m 소총복사 | |
전병관 | 역도 | 남자 플라이급 | |
김기택 | 탁구 | 남자 개인 | |
박장순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라이트급 | |
김성문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라이트급 | |
-- 동메달 | 윤영숙 | 양궁 | 여자 개인 |
이재혁 | 복싱 | 남자 페더급 | |
박종훈 | 체조 | 남자 뜀틀 | |
조용철 | 유도 | 남자 헤비급 | |
안재형, 유남규 | 탁구 | 남자 복식 | |
이경군 | 역도 | 남자 라이트헤비급 | |
노경순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벤텀급 | |
김태우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라이트헤비급 | |
이제숙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플라이급 | |
안대현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페더급 | |
김상규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미들급 |
2. 1. 금메달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금 | 김수녕 | 양궁 | 여자 개인전 |
-- 금 | 김수녕, 왕희경, 윤영숙 | 양궁 | 여자 단체전 |
-- 금 | 박성수, 천인수, 이한섭 | 양궁 | 남자 단체전 |
-- 금 | 김광선 | 복싱 | 남자 플라이급 |
-- 금 | 박시헌 | 복싱 | 남자 라이트 미들급 |
-- 금 | 송지현, 한현숙, 김춘례, 김명순, 이기순, 김현미, 김미속, 석민희, 손미나, 임미경, 김경순, 성경화 | 핸드볼 | 여자 단체전 |
-- 금 | 김재엽 | 유도 | 남자 엑스트라라이트급 |
-- 금 | 이경근 | 유도 | 남자 하프라이트급 |
-- 금 | 현정화, 양영자 | 탁구 | 여자 복식 |
-- 금 | 유남규 | 탁구 | 남자 개인 |
-- 금 | 한명우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미들급 |
-- 금 | 김영남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웰터급 |
2. 2. 은메달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은메달 | 박성수 | 양궁 | 남자 개인 |
은메달 | 왕희경 | 양궁 | 여자 개인 |
은메달 | 서광미, 임계숙, 박순자, 순효선, 김미순, 김순덕, 김영숙, 한옥경, 황금숙, 진원심, 전은경, 창상현, 한금실, 장은정, 최준옥, 조기향 | 여자 하키 | 단체 |
은메달 | 백현만 | 복싱 | 남자 헤비급 |
은메달 | 철석제, 강재원, 김제환, 고석창, 이상효, 임진석, 노현석, 오영기, 박도훈, 박영대, 심제홍, 신영석, 윤태일 | 핸드볼 | 남자 단체전 |
은메달 | 차영철 | 사격 | 남자 50m 소총복사 |
은메달 | 전병관 | 역도 | 남자 플라이급 |
은메달 | 김기택 | 탁구 | 남자 개인 |
은메달 | 박장순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라이트급 |
은메달 | 김성문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라이트급 |
2. 3. 동메달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윤영숙 | 양궁 | 여자 개인 |
이재혁 | 복싱 | 남자 페더급 |
박종훈 | 체조 | 남자 뜀틀 |
조용철 | 유도 | 남자 헤비급 |
안재형, 유남규 | 탁구 | 남자 복식 |
이경군 | 역도 | 남자 라이트헤비급 |
노경순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벤텀급 |
김태우 | 레슬링 | 남자 프리스타일 라이트헤비급 |
이제숙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플라이급 |
안대현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페더급 |
김상규 | 레슬링 | 남자 그래코로만 미들급 |
[2]
3. 종목별 성적
종목 남자 여자 총계 양궁 3 3 6 육상 27 20 47 농구 12 12 24 복싱 12 – 12 카누 11 4 15 사이클 11 4 15 다이빙 1 1 2 승마 9 1 10 펜싱 15 5 20 필드하키 16 16 32 축구 16 – 16 체조 3 8 11 핸드볼 13 12 25 유도 7 – 7 근대5종 3 – 3 조정 19 9 28 요트 8 2 10 사격 14 8 22 수영 8 7 15 싱크로나이즈 스위밍 – 3 3 탁구 4 3 7 테니스 3 2 5 배구 12 12 24 수구 13 – 13 역도 10 – 10 레슬링 19 – 19 총계 269 132 401
양궁에서 대한민국은 여자 개인전과 단체전,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최강임을 입증했다. 육상, 농구, 근대5종, 수영, 조정, 테니스, 배구, 수구 종목에는 참가하였으나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다.
복싱에서는 김광선이 남자 플라이급, 박시헌이 남자 라이트 미들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사이클 종목에는 남자 11명, 여자 4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필드하키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은메달을 획득하며 선전했다. 남자 대표팀은 10위를 기록했다.
역도에서는 전병관이 남자 플라이급 은메달, 이경군이 남자 라이트헤비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탁구에서는 유남규가 남자 개인전 금메달, 현정화와 양영자가 여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레슬링에서는 한명우가 남자 자유형 미들급 금메달, 김영남이 남자 그레코로만형 웰터급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3. 1. 양궁
대한민국 양궁 대표팀은 여자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휩쓸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김수녕은 개인전과 단체전 금메달로 2관왕에 올랐고, 왕희경은 개인전 은메달, 윤영숙은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하여 한국 여자 양궁은 개인전 메달을 모두 석권했다.[1] 남자 대표팀 역시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양궁의 위상을 드높였다.[1]
3. 2. 육상
남자 마라톤에서 김원탁이 2:15:44의 기록으로 18위, 유재성이 2:20:11의 기록으로 31위를 차지하였다.[1] 권성락은 결승에서 기권하였다.[1] 여자 마라톤에서는 이미옥이 2:32:51의 기록으로 15위, 임은주가 2:38:21의 기록으로 37위를 차지하였다.[1] 김미경은 결승에서 기권하였다.[1]남자 10,000m에서는 이상근이 예선에서 29:37.14를 기록하여 탈락했고,[1] 남자 4 × 100m 계주에서는 성낙군, 심덕섭, 김복섭, 장재근이 예선에서 39.61, 준결승에서 39.43을 기록하여 탈락했다.[1] 남자 4 × 400m 계주에서는 황홍철, 윤남한, 류태경, 조진생이 예선에서 3:14.71을 기록하여 탈락했다.[1]
남자 3,000m 장애물 경기에 출전한 차한식은 예선에서 8:59.82를 기록하여 탈락했고,[1] 남자 멀리뛰기에서는 김종일이 예선에서 7.70m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남자 해머던지기에서는 이주형이 예선에서 55.98m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남자 포환던지기에서는 한민수가 예선에서 15.68m를 기록하여 탈락했고,[1] 남자 원반던지기에서는 민세훈이 예선에서 47.84m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남자 창던지기에서는 이욱종이 예선에서 78.10m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남자 10종 경기에서는 이광익이 총점 6917점으로 33위를 기록했다.[1] 세부 종목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00m: 11.57초
- 멀리뛰기: 7.19m
- 포환던지기: 10.27m
- 높이뛰기: 1.91m
- 400m: 50.71초
- 110m 허들: 16.20초
- 원반던지기: 34.36m
- 장대높이뛰기: 4.10m
- 창던지기: 54.94m
- 1,500m: 4:29.98초
남자 20km 경보에서는 정필화가 1:32:23으로 46위, 정명오가 1:40:09로 49위를 기록했다.[1]
여자 4 × 100m 계주에서는 윤미경, 우양자, 박미선, 이영숙이 예선에서 45.83을 기록하여 탈락했고,[1] 여자 4 × 400m 계주에서는 양경희, 최세범, 임춘애, 김순자가 예선에서 3:51.09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여자 원반던지기에서는 김춘희가 예선에서 45.88m를 기록하여 탈락했고,[1] 여자 창던지기에서는 유춘옥이 예선에서 48.26m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여자 포환던지기에서는 최미선이 예선에서 13.97m를 기록하여 탈락했다.[1]
여자 7종 경기에서는 지정미가 총점 5289점으로 24위를 기록했다.[1]
3. 3. 농구
농구 남자 대표팀은 12개 팀 중 9위를 기록했다. 여자 대표팀은 8개 팀 중 7위를 기록했다.[2]종목 | 남자 | 여자 | 총계 |
---|---|---|---|
농구 | 12 | 12 | 24 |
3. 4. 복싱
대한민국은 복싱에 총 12명의 남자 선수를 출전시켰다.[2]김광선은 남자 플라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박시헌은 남자 라이트 미들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복싱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백현만은 남자 헤비급에서 은메달을, 이재혁은 남자 페더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5. 사이클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은 사이클 종목에 남자 11명, 여자 4명, 총 15명의 선수를 파견했다.[2]남자 도로 경기에는 박현곤, 이진옥, 신대철이 참가했으나 완주하지 못했다. 여자 도로 경기에는 김경숙, 노염주, 홍영미가 참가했다.
3. 6. 하키
대한민국은 필드하키 종목에 남자 16명, 여자 16명, 총 32명의 선수를 파견했다.[2]남자 대표팀은 12개 팀 중 10위를 기록했다.
- '''예선 라운드 (B조)'''
:* 대한민국 — 영국 2–2
:* 대한민국 — 소련 1–3
:* 대한민국 — 인도 1–3
:* 대한민국 — 서독 0–1
:* 대한민국 — 캐나다 1–1
- '''순위 결정전'''
:* '''9–12위 결정전''': 대한민국 — 케냐 5–2
:* '''9–10위 결정전''': 대한민국 — 스페인 0–2 (→ '''10위''')
- '''팀 로스터'''
- '''감독''': 유승인
여자 대표팀은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 '''예선 (B조)'''
:* 대한민국 — 서독 4–1
:* 대한민국 — 캐나다 3–1
:* 대한민국 — 오스트레일리아 5–5
- '''준결승'''
:* 대한민국 — 영국 1–0
- '''결승'''
:* 대한민국 — 오스트레일리아 0–2 (→ '''은메달''')
- '''팀 명단'''
- '''감독''': 유영채
3. 7. 근대5종 경기
근대5종 경기에 대한민국에서는 남자 선수 3명이 출전하였다.[2]남자 개인전에서는 김명건이 5099점으로 12위, 강경효가 5074점으로 13위, 김성호가 3854점으로 61위를 기록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김명건, 강경효, 김성호가 14027점으로 14위를 기록했다.
3. 8. 수영
198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대한민국은 남자 자유형 50m에 송광선 선수가 참가했다.[2]'''남자 자유형 50m'''
- 송광선
- # 예선 – 25.40 (→ 진출 실패, 54위)
3. 9. 역도
역도에서 대한민국은 남자 플라이급에서 전병관이 은메달을 획득하고, 남자 라이트헤비급에서 이경군이 동메달을 획득했다.[2]종목 | 남자 | 여자 | 총계 |
---|---|---|---|
역도 | 10 | – | 10 |
3. 10. 조정
조정 종목에는 남자 19명, 여자 9명, 총 28명의 선수가 참가했다.[2]종목 | 남자 | 여자 | 총계 |
---|---|---|---|
조정 | 19 | 9 | 28 |
3. 11. 탁구
탁구 종목에서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 유남규는 남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탁구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겼다.[2] 현정화, 양영자는 여자 복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2] 김기택은 남자 개인전에서 은메달을, 안재형과 유남규는 남자 복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2]종목 | 남자 | 여자 | 총계 |
---|---|---|---|
탁구 | 4 | 3 | 7 |
3. 12. 테니스
1988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종목에 출전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남자 단식'''
- 김봉수
- * 1라운드 — 조지 칼로벨로니스(그리스)에 7-5, 3-6, 6-2, 6-7, 6-3으로 승리
- * 2라운드 — 앙리 르콩트(프랑스)에 4-6, 7-5, 6-3, 3-6, 7-5로 승리
- * 3라운드 — 마르틴 하이테(아르헨티나)에 4-6, 1-6, 3-6으로 패배
- 유진선
- * 1라운드 — 아모스 만스도르프(이스라엘)에 2-6, 4-6, 5-7로 패배
- 송동욱
- * 1라운드 — 팀 마요트(미국)에 3-6, 3-6, 4-6으로 패배
3. 13. 배구
남자 대표팀은 12개 팀 중 11위, 여자 대표팀은 8개 팀 중 8위를 기록했다.;남자
- '''예선 (A조)'''
:* 스웨덴에 패 (2–3)
:* 브라질에 승 (3–2)
:* 소련에 패 (0–3)
:* 불가리아에 패 (0–3)
:* 이탈리아에 패 (0–3)
- '''순위 결정전'''
:* '''9/12위 결정전''': 일본에 패 (2–3)
:* '''11/12위 결정전''': 튀니지에 승 (3–0) → '''11위'''
- '''팀 로스터'''
:* 최천식
:* 이상열
:* 장윤창
:* 한장석
:* 이성희
:* 김은석
:* 박삼용
:* 이명학
:* 김호철
:* 이채언
:* 이종경
:* 정의탁
- '''감독''': 이규소
;여자
- '''예선 (A조)'''
:* 동독에게 승리 (3–1)
:* 소련에게 패배 (0–3)
:* 일본에게 패배 (1–3)
- '''순위 결정전'''
:* '''5-8위 결정전''': 브라질에게 패배 (2–3)
:* '''7-8위 결정전''': 미국에게 패배 (2–3) → '''8위'''
- '''팀 로스터'''
:* 박미희
:* 김경희
:* 김귀순
:* 임혜숙
:* 유영미
:* 남순옥
:* 윤정혜
:* 박복례
:* 김윤혜
:* 선미숙
:* 문선희
:* 지경희
- '''감독''': 황성온
3. 14. 수구
수구 남자 대표팀은 12개 팀 중 12위를 기록했다.[2]- '''예선 라운드 (A조)'''
- * 프랑스에 5-16으로 패배
- * 이탈리아에 1-11로 패배
- * 서독에 2-18로 패배
- * 소련에 4-17로 패배
- * 오스트레일리아에 2-13으로 패배
- '''순위 결정 라운드 (E조)'''
- * 그리스에 7-17로 패배
- * 중국에 7-14로 패배 → '''12위'''
- '''팀 로스터'''
- * 이정석
- * 장시영
- * 김성은
- * 유승훈
- * 김기춘
- * 김재윤
- * 최선영
- * 김길환
- * 김진태
- * 송승호
- * 홍순보
- * 이택원
- * 박상원
- '''감독''': 김종구
3. 15. 레슬링
레슬링 종목에는 19명의 선수가 참가했다.[2]레슬링 남자 자유형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상대 /결과) | 16강전 (상대 /결과) | 8강전 (상대 /결과) | 준결승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1회전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2회전 (상대 /결과) | 결승 (상대 /결과) | 최종 순위 |
한명우는 남자 자유형 미들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박장순은 남자 자유형 라이트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영남은 남자 그레코로만형 웰터급에서 금메달을, 김성문은 남자 그레코로만형 라이트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4. 올림픽 이모저모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at the 1988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1-07-24
[2]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at the 1988 Summer Olympics
https://www.olymp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