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중국 광둥성에서 개최된 첫 번째 FIFA 여자 월드컵으로, 12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을 다퉜다. 미국이 노르웨이를 결승전에서 꺾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으며, 미셸 에이커스가 골든슈를, 카린 제닝스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독일이 페어플레이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선수 명단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91년 중국에서 개최된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12개 국가의 선수 명단을 포지션, 생년월일, 소속팀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고 있다.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은 6개 대륙에서 진행되어 중국을 포함한 1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각 대륙별 예선은 해당 지역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를 겸하여 진행되었다. - 1991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9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1991년 1월 오스트레일리아 퍼스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다이빙, 오픈 워터 수영, 수영,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수구의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톰 재거, 맷 비온디, 재닛 에번스, 실비 프레셰트 등의 선수가 활약했다. - 1991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1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마이크 파월의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 경신, 칼 루이스와 마이클 존슨 같은 미국 선수들의 트랙 경기 지배, 야마시타 사치코의 여자 마라톤 은메달 획득 등 주목할 만한 기록과 활약이 나타난 대회이다.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
기타 명칭 | 제1회 FIFA 여자 축구 세계 선수권 대회 M&M's 컵 |
연도 | 1991년 |
개최국 | 중국 |
기간 | 11월 16일–11월 30일 |
참가 팀 수 | 12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6 |
도시 수 | 4 |
총 경기 수 | 26 |
총 득점 수 | 99 |
총 관중 수 | 510000 |
결과 | |
우승 횟수 | 1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미셸 에이커스 (10골) |
최우수 선수 | 캐린 제닝스 |
대회 관련 | |
다음 대회 | 1995 |
![]() |
2. 경기장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은 중국 광둥성의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광저우 | ||
---|---|---|
광둥성 경기장 | 톈허 경기장 | 잉둥 스타디움 |
수용 인원: 25,000 | 수용 인원: 60,000 | 수용 인원: 15,000 |
![]() | ![]() | |
colspan=3 | | ||
포산 | 장먼 | 중산 |
신 플라자 경기장 | 장먼 경기장 | 중산 스타디움 |
수용 인원: 14,000 | 수용 인원: 13,000 | 수용 인원: 12,000 |
![]() | ![]() |
3. 예선
1991년 FIFA 월드컵에는 12개 팀이 예선을 통해 참가하였다. 여섯 개 대륙에서 한 팀 이상씩 진출하였다.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는 12개 팀이 참가했다. 6개의 FIFA 연맹 각각에서 최소 1개 팀이 참가했다.[17]
각 팀의 출전 선수는 1991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본선 진출팀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는 12개 팀이 참가했다. 6개의 FIFA 연맹 각각에서 최소 1개 팀이 참가했다.[17]
각 팀의 출전 선수는 1991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선수 명단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선수 명단 문서를 참조하면 최종 토너먼트에 참가한 선수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5. 심판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는 FIFA 대회 처음으로 6명의 여성 심판이 포함되었다.[6][7] 클라우디아 바스콘셀로스(Cláudia Vasconcelos)가 3위 결정전 주심을 맡아 FIFA가 승인한 경기의 주심을 맡은 최초의 여성이 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부심으로 활동했다.[6][7]
대륙 연맹 | 주심 | 배정 경기 | |
---|---|---|---|
남성 심판 | |||
AFC | 다이 위광(Dai Yuguang) (중화인민공화국) | 부심으로 4경기 | |
리 하이셍(Li Haiseng) (중화인민공화국) | 부심으로 2경기 | ||
루 준(Lu Jun) (중화인민공화국) | 주심으로 2경기, 부심으로 1경기 | ||
샴 크리슈나 슈레스타(Shyam Krishna Shrestha) (네팔) | 주심으로 2경기, 부심으로 1경기 | ||
슈에즈 왕(Xuezhi Wang) (중화인민공화국) | 부심으로 3경기 | ||
위 징인(Yu Jingyin) (중화인민공화국) | 부심으로 4경기 | ||
CAF | 페티 부세타(Fethi Boucetta) (튀니지) | 주심으로 2경기, 부심으로 2경기 | |
오메르 옌고(Omer Yengo) (콩고) | 주심으로 2경기, 부심으로 1경기 | ||
CONCACAF | 라파엘 로드리게스 메디나(Rafael Rodríguez Medina) (엘살바도르) | 주심으로 3경기, 부심으로 2경기 | |
CONMEBOL | 살바도르 임페라토레(Salvador Imperatore) (칠레) | 주심으로 3경기 | |
존 토로 렌돈(John Toro Rendón) (콜롬비아) | 주심으로 3경기, 부심으로 1경기 | ||
UEFA | 짐 맥클러스키(Jim McCluskey) (스코틀랜드) | 주심으로 3경기, 부심으로 2경기 | |
바실리오스 니키스(Vassilios Nikakis) (그리스) | 주심으로 2경기, 부심으로 1경기 | ||
바딤 주크(Vadim Zhuk) (소련) | 주심으로 3경기, 부심으로 1경기 | ||
여성 심판 | |||
AFC | 주오 시우디(Zuo Xiudi) (중화인민공화국) | 부심으로 5경기 | |
CONCACAF | 마리아 에레라 가르시아(María Herrera García) (멕시코) | 부심으로 3경기 | |
CONMEBOL | 클라우디아 바스콘셀로스(Cláudia Vasconcelos) (브라질) | 주심으로 1경기, 부심으로 3경기 | |
OFC | 린다 메이 블랙(Linda May Black) (뉴질랜드) | 부심으로 5경기 | |
UEFA | 게르트루드 레구스(Gertrud Regus) (독일) | 부심으로 6경기 | |
잉리드 존슨(Ingrid Jonsson) (스웨덴) | 부심으로 5경기 |
6. 조별 리그
1991년 9월 14일, 조별 리그 조 추첨 행사가 중국 광저우 톈허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이 추첨 행사는 2시간 동안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장창(베이징), 린핑(광저우), 제니 청(홍콩) 그리고 예아이링/葉璦菱중국어(타이완) 등 여성 가수들의 중국어 및 영어 노래 공연이 펼쳐졌다.[12]
=== A조 ===
A조에서는 중국이 2승 1무(승점 5점)로 1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고, 노르웨이가 2승 1패(승점 4점)로 2위, 덴마크가 1승 1무 1패(승점 3점)로 3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뉴질랜드는 3패(승점 0점)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개최국 중국은 1991년 11월 16일 광저우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첫 경기에서 4-0 대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마리가 선제골을 기록했고, 류아이링이 두 골을 추가했으며, 쑨칭메이가 마지막 골을 넣었다. 11월 19일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쑨원과 웨이하이잉이 중국의 골을 기록했고, 덴마크는 콜링과 니센이 골을 넣었다. 11월 21일 포산 신광창 경기장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4-1로 승리했다. 저우양, 류아이링(2골), 우웨이잉이 득점했고, 뉴질랜드는 나이가 한 골을 만회했다.
노르웨이는 중국과의 첫 경기에서 대패했지만, 이후 뉴질랜드와 덴마크를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11월 19일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는데, 캠벨의 자책골과 메달렌의 두 골, 리세의 골로 승리했다. 11월 21일 판위 잉둥 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는 2-1로 승리했다. 스벤손과 메달렌이 노르웨이의 골을, 튀코센이 덴마크의 골을 기록했다.
덴마크는 11월 17일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첫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옌센이 두 골을, 매켄지가 한 골을 넣었다. 그러나 이후 중국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고, 노르웨이에게 패하면서 조 3위로 8강에 진출했다.
=== B조 ===
B조에서는 미국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고, 스웨덴이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브라질은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했고, 일본은 3전 전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1년 11월 17일, 스웨덴과 미국의 경기가 판위의 잉둥 경기장에서 열렸다. 미국은 제닝스의 2골과 햄의 골로 3-2 승리를 거두었다. 스웨덴은 비데쿨과 요한손이 골을 넣었다. 같은 날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는 브라질이 일라니의 골로 일본을 1-0으로 이겼다.
11월 19일,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8-0 대승을 거두었다. 비데쿨이 2골, 안델렌이 2골을 넣었고, 룬드그렌, 닐손, 순드하게가 득점을 기록했으며, 야마구치의 자책골까지 나왔다. 같은 날 판위의 잉둥 경기장에서는 미국이 브라질을 5-0으로 완파했다. 하인릭스가 2골, 제닝스, 에이커스, 햄이 각각 1골씩을 추가했다.
11월 21일,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 미국은 에이커스의 2골과 게바우어의 골로 일본을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판위의 잉둥 경기장에서는 스웨덴이 순드하게의 페널티킥 골과 헤드베리의 골로 브라질을 2-0으로 이겼다.
=== C조 ===
C조에서는 독일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탈리아는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독일에 이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순위 결정 기준에 따라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나이지리아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1991년 11월 17일 장먼의 장먼 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독일이 4-0으로 크게 이겼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5-0으로 승리했다.
11월 19일 중산의 중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독일의 경기에서는 독일이 3-0으로 승리했다.
11월 21일 장먼의 장먼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산의 중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독일의 경기에서는 독일이 2-0으로 승리했다.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는 1) 승점, 2) 득실차, 3) 총 득점 순으로 결정되었다. 이 순위에 따라 덴마크와 중화 타이베이가 8강에 진출했다.
6. 1. A조
A조에서는 중국이 2승 1무(승점 5점)로 1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고, 노르웨이가 2승 1패(승점 4점)로 2위, 덴마크가 1승 1무 1패(승점 3점)로 3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뉴질랜드는 3패(승점 0점)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개최국 중국은 1991년 11월 16일 광저우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첫 경기에서 4-0 대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마리가 선제골을 기록했고, 류아이링이 두 골을 추가했으며, 쑨칭메이가 마지막 골을 넣었다. 11월 19일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쑨원과 웨이하이잉이 중국의 골을 기록했고, 덴마크는 콜링과 니센이 골을 넣었다. 11월 21일 포산 신광창 경기장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4-1로 승리했다. 저우양, 류아이링(2골), 우웨이잉이 득점했고, 뉴질랜드는 나이가 한 골을 만회했다.
노르웨이는 중국과의 첫 경기에서 대패했지만, 이후 뉴질랜드와 덴마크를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11월 19일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는데, 캠벨의 자책골과 메달렌의 두 골, 리세의 골로 승리했다. 11월 21일 판위 잉둥 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는 2-1로 승리했다. 스벤손과 메달렌이 노르웨이의 골을, 튀코센이 덴마크의 골을 기록했다.
덴마크는 11월 17일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첫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옌센이 두 골을, 매켄지가 한 골을 넣었다. 그러나 이후 중국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고, 노르웨이에게 패하면서 조 3위로 8강에 진출했다.
6. 2. B조
B조에서는 미국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고, 스웨덴이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브라질은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했고, 일본은 3전 전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1년 11월 17일, 스웨덴과 미국의 경기가 판위의 잉둥 경기장에서 열렸다. 미국은 제닝스의 2골과 햄의 골로 3-2 승리를 거두었다. 스웨덴은 비데쿨과 요한손이 골을 넣었다. 같은 날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는 브라질이 일라니의 골로 일본을 1-0으로 이겼다.
11월 19일,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8-0 대승을 거두었다. 비데쿨이 2골, 안델렌이 2골을 넣었고, 룬드그렌, 닐손, 순드하게가 득점을 기록했으며, 야마구치의 자책골까지 나왔다. 같은 날 판위의 잉둥 경기장에서는 미국이 브라질을 5-0으로 완파했다. 하인릭스가 2골, 제닝스, 에이커스, 햄이 각각 1골씩을 추가했다.
11월 21일,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 미국은 에이커스의 2골과 게바우어의 골로 일본을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판위의 잉둥 경기장에서는 스웨덴이 순드하게의 페널티킥 골과 헤드베리의 골로 브라질을 2-0으로 이겼다.
6. 3. C조
C조에서는 독일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탈리아는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독일에 이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순위 결정 기준에 따라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나이지리아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1991년 11월 17일 장먼의 장먼 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독일이 4-0으로 크게 이겼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5-0으로 승리했다.
11월 19일 중산의 중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독일의 경기에서는 독일이 3-0으로 승리했다.
11월 21일 장먼의 장먼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산의 중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독일의 경기에서는 독일이 2-0으로 승리했다.
6. 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wikitable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는 1) 승점, 2) 득실차, 3) 총 득점 순으로 결정되었다. 이 순위에 따라 덴마크와 중화 타이베이가 8강에 진출했다.
7. 결선 토너먼트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토너먼트 문서를 참고하라.
=== 8강전 ===
1991년 11월 24일에 4개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중산의 중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 덴마크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독일이 베티나 비크만과 하이디 모어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덴마크는 수전 매켄지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광저우의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 스웨덴의 경기는 스웨덴이 피아 순드하게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장먼의 장먼 경기장에서 열린 노르웨이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노르웨이가 3-2로 승리했다. 노르웨이는 비르테 헥스타드, 앙네테 카를센, 티나 스벤손이 득점했고, 이탈리아는 라파엘라 살마소와 리타 구아리노가 득점했다.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 열린 미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미국이 미셸 에이커스의 5골과 줄리 파우디, 줄리 포셋의 득점에 힘입어 7-0 대승을 거두었다.
=== 준결승전 ===
1991년 11월 27일, 광저우 시의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미국과 독일의 경기에서는 미국이 5-2로 승리했다. 미국의 카린 제닝스가 전반 10분, 22분, 33분에 득점하여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에이프릴 하인릭스가 후반 54분과 75분에 득점했다. 독일은 하이디 모어가 전반 34분, 베티나 비크만이 후반 63분에 득점했다.
같은 날 판위 구의 잉둥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경기에서는 노르웨이가 4-1로 승리했다. 스웨덴의 레나 비데쿨이 전반 6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노르웨이의 티나 스벤손이 전반 39분에 페널티킥으로 동점을 만들었고, 린다 메달렌이 전반 41분과 후반 77분, 앙네테 카를센이 후반 67분에 득점하며 노르웨이가 승리했다.
=== 3·4위전 ===
1991년 11월 29일, 스웨덴은 광저우의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의 3·4위전에서 4-0으로 승리하였다. 안델렌이 전반 7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순드하게가 전반 11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비데쿨은 전반 29분에, 닐손은 전반 43분에 각각 득점하여 스웨덴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 결승전 ===
1991년 11월 30일, 광저우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노르웨이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에이커스가 2골을 넣으며 미국의 승리를 이끌었고, 노르웨이는 메달렌이 1골을 기록했다.
7. 1. 8강전
1991년 11월 24일에 4개의 경기가 진행되었다.중산의 중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 덴마크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독일이 베티나 비크만과 하이디 모어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덴마크는 수전 매켄지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광저우의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 스웨덴의 경기는 스웨덴이 피아 순드하게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장먼의 장먼 경기장에서 열린 노르웨이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노르웨이가 3-2로 승리했다. 노르웨이는 비르테 헥스타드, 앙네테 카를센, 티나 스벤손이 득점했고, 이탈리아는 라파엘라 살마소와 리타 구아리노가 득점했다.
포산의 신광창 경기장에서 열린 미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미국이 미셸 에이커스의 5골과 줄리 파우디, 줄리 포셋의 득점에 힘입어 7-0 대승을 거두었다.
7. 2. 준결승전
1991년 11월 27일, 광저우 시의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미국과 독일의 경기에서는 미국이 5-2로 승리했다. 미국의 카린 제닝스가 전반 10분, 22분, 33분에 득점하여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에이프릴 하인릭스가 후반 54분과 75분에 득점했다. 독일은 하이디 모어가 전반 34분, 베티나 비크만이 후반 63분에 득점했다.같은 날 판위 구의 잉둥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경기에서는 노르웨이가 4-1로 승리했다. 스웨덴의 레나 비데쿨이 전반 6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노르웨이의 티나 스벤손이 전반 39분에 페널티킥으로 동점을 만들었고, 린다 메달렌이 전반 41분과 후반 77분, 앙네테 카를센이 후반 67분에 득점하며 노르웨이가 승리했다.
7. 3. 3·4위전
1991년 11월 29일, 스웨덴은 광저우의 광둥성 인민경기장에서 열린 독일과의 3·4위전에서 4-0으로 승리하였다. 안델렌이 전반 7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순드하게가 전반 11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비데쿨은 전반 29분에, 닐손은 전반 43분에 각각 득점하여 스웨덴의 승리를 확정지었다.7. 4. 결승전
1991년 11월 30일, 광저우 톈허 경기장에서 열린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노르웨이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에이커스가 2골을 넣으며 미국의 승리를 이끌었고, 노르웨이는 메달렌이 1골을 기록했다.8. 우승국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
---|
미국 |
1991년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에 열린 첫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9. 수상
22x20px 카린 제닝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