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인 세이부 라이온스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이끄는 퍼시픽 리그와 센트럴 리그 우승팀인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노무라 가쓰야 감독이 지휘하는 센트럴 리그 간의 대결로 펼쳐졌다. 이 해부터 센트럴 리그에서도 지명타자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1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10-8로 승리했고,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같은 점수로 승리했다. 각 경기 MVP는 1차전 기요하라 가즈히로, 2차전 토머스 오말리에게 돌아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야구 - 1993년 한국시리즈
1993년 한국시리즈는 해태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4승 2패 1무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MVP는 해태의 이종범이 선정되었다. - 1993년 야구 - 1993년 일본 시리즈
야쿠르트 스왈로스가 1993년 일본 시리즈에서 세이부 라이온스를 4승 3패로 꺾고 15년 만에 우승했으며, 가와사키 겐지로가 MVP, 기요하라 가즈히로가 감투상을 수상하는 등 기록과 화제를 남겼다. - 1993년 7월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93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민당의 장기 집권 실패와 신생 정당의 약진으로 비자민당 연립 정권이 수립되며 55년 체제 붕괴와 정치 개혁을 가져왔으나, 낮은 투표율을 기록하고 아베 신조, 노다 요시히코 등 주요 인물을 배출한 역사적인 선거이다. - 1993년 7월 - 1993년 코파 아메리카
1993년 코파 아메리카는 에콰도르에서 CONMEBOL 10개국과 CONCACAF 초청국 2개국이 참가하여 경쟁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로, 아르헨티나가 멕시코를 꺾고 우승하며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199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정보 | |
명칭 | 1993 산요 올스타 게임 |
개최 연도 | 1993년 |
스폰서 | 산요 전기 |
감독 정보 | |
센트럴 리그 감독 | 노무라 가쓰야 |
퍼시픽 리그 감독 | 모리 마사아키 |
팬 투표 | |
센트럴 리그 최다 득표 선수 | 후루타 아쓰야 |
퍼시픽 리그 최다 득표 선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
1차전 | |
일정 | 7월 20일 |
개최지 | 도쿄 돔 |
스코어 | 10 - 8 |
MVP | 기요하라 가즈히로 |
2차전 | |
일정 | 7월 21일 |
개최지 | 그린 스타디움 고베 |
스코어 | 10 - 8 |
MVP | 토머스 오말리 |
2. 경기 개요
세이부 라이온스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노무라 가쓰야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를 맡았다. 이 해부터 센트럴 리그 주최 경기에도 지명타자 제도가 적용됐다.
1차전과 2차전 모두 MVP는 타자가 차지했는데, 특히 1차전에서는 표창을 받은 5명 전원이 홈런을 날린 선수들이었다.
2. 1. 1차전
1993년 7월 20일에 열린 1차전은 양 팀을 합쳐 6개의 홈런이 나오는 난타전이었다.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10-8로 이겼다. 9회에 결승 솔로 홈런을 친 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가 MVP로 선정됐다.1 | 2 | 3 | 4 | 5 | 6 | 7 | 8 | 9 | 합계 | H | E | |
---|---|---|---|---|---|---|---|---|---|---|---|---|
퍼시픽 | 2 | 0 | 2 | 0 | 3 | 0 | 1 | 0 | 2 | 10 | 15 | 0 |
센트럴 | 0 | 1 | 3 | 1 | 2 | 0 | 0 | 0 | 1 | 8 | 15 | 0 |
승리 투수: 노다 고지(오릭스) (1승) 패전 투수: 우도 가쓰야(요코하마) (1패) 세이브: 아카호리 모토유키(긴테쓰) (1세) | ||||||||||||
홈런: 퍼시픽: 야마모토 가즈노리(다이에, 5회 3점), 사사키 마코토(다이에, 9회 1점), 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 9회 1점) 센트럴: 오치아이 히로미쓰(주니치, 3회 3점, 9회 1점), 히로사와 가쓰미(야쿠르트, 5회 2점) | ||||||||||||
MVP: 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 |
이날, 전 히로시마 도요 카프 투수였던 쓰다 쓰네미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언론에 보도됐다.
2. 2. 2차전
2차전에서는 토머스 오말리(한신)가 홈런을 포함한 4안타를 날려 MVP로 선정됐다.센트럴 | 2 | 1 | 0 | 2 | 0 | 0 | 5 | 0 | 0 | 10 | 14 | 0 |
퍼시픽 | 0 | 0 | 3 | 1 | 2 | 0 | 2 | 0 | 0 | 8 | 12 | 0 |
승리 투수: 노무라 히로키(요코하마) 패전 투수: 시라이 야스카쓰(닛폰햄) 세이브 투수: 오노 유타카(히로시마) | ||||||||||||
---|---|---|---|---|---|---|---|---|---|---|---|---|
홈런: 토머스 오말리(한신·4회 2점), 랄프 브라이언트(긴테쓰·5회 2점), 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7회 2점) |
- MVP: 토머스 오말리(한신)
{| class="wikitable"
|+ 양 팀 선발 라인업
|-
! 센트럴 리그
! 퍼시픽 리그
|-
|
타순 | 수비 | 선수 |
---|---|---|
1 | (二) | 와다 유타카 |
2 | (중) | 마에다 도모노리 |
3 | (一) | 토머스 오말리 |
4 | (지) | 오치아이 히로미쓰 |
5 | (三) | 에토 아키라 |
6 | (좌) | J. 파치오렉 |
7 | (포) | 후루타 아쓰야 |
8 | (우) | 하타야마 히토시 |
9 | (유) | 다네다 히토시 |
(투) | 유후네 도시로 |
|
타순 | 수비 | 선수 |
---|---|---|
1 | (중) | 아키야마 고지 |
2 | (二) | 오이시 다이지로 |
3 | (좌) | 랄프 브라이언트 |
4 | (一) | 기요하라 가즈히로 |
5 | (지) | 이시이 히로오 |
6 | (우) | 다카하시 사토시 |
7 | (三) | 이시게 히로미치 |
8 | (포) | 이토 쓰토무 |
9 | (유) | 우노 마사루 |
(투) | 노모 히데오 |
|}
3.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감독 노무라 가쓰야 야쿠르트 감독 모리 마사아키 세이부 코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코치 스즈키 게이시 긴테쓰 나카무라 가쓰히로 한신 도이 쇼조 오릭스 투수 유후네 도시로 한신 투수 노모 히데오 긴테쓰 오카바야시 요이치 야쿠르트 가토리 요시타카 세이부 구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구도 기미야스 세이부 이시게 히로시 요미우리 아카호리 모토유키 긴테쓰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사토 요시노리 오릭스 우도 가쓰야 요코하마 노다 고지 오릭스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무라타 가쓰요시 다이에 사사키 가즈히로 요코하마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시라이 야스카쓰 닛폰햄 야마모토 마사히로 주니치 고미야마 사토루 지바 롯데 포수 후루타 아쓰야 야쿠르트 포수 이토 쓰토무 세이부 다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요시나가 고이치로 다이에 나카무라 다케시 주니치 다무라 후지오 닛폰햄 1루수 T. 오말리 한신 1루수 기요하라 가즈히로 세이부 2루수 와다 유타카 한신 2루수 오이시 다이지로 긴테쓰 3루수 J. 하웰 야쿠르트 3루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유격수 이케야마 다카히로야쿠르트유격수 우노 마사루 지바 롯데 내야수 가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내야수 쓰지 하쓰히코 세이부 히로사와 가쓰미 야쿠르트 이시이 히로오 긴테쓰 노무라 겐지로 히로시마 히로세 데쓰로 닛폰햄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가타오카 아쓰시 닛폰햄 다네다 히토시 주니치 오치아이 히로미쓰 주니치 외야수 J. 파치오렉 한신 외야수 아키야마 고지 세이부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R. 브라이언트 긴테쓰 이이다 데쓰야 야쿠르트 다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라이 유키오 야쿠르트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마에다 도모노리 히로시마 야마모토 가즈노리 다이에 하타야마 히토시 요코하마 M. 윈터스 닛폰햄 니시무라 노리후미 지바 롯데
4. 주요 기록
1차전에서는 양 팀을 합쳐 6개의 홈런이 나왔으며, 특히 9회에 결승 솔로 홈런을 기록한 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가 MVP로 선정됐다. 2차전에서는 토머스 오말리(한신)가 홈런을 포함한 4안타를 기록하며 MVP를 차지했다. 두 경기 모두 타자가 MVP를 차지했으며, 1차전에서는 표창을 받은 5명 모두 홈런을 기록한 선수들이었다.
5. 에피소드
- 1차전 경기 전, ‘불꽃 스토퍼’(불꽃의 수호신)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전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마무리 투수 쓰다 쓰네미가 뇌종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됐다. 히로시마 선수들은 쓰다의 죽음을 애도하는 뜻에서 어깨에 상장을 달고 경기에 임했다. 이 경기를 중계한 닛폰 TV도 쓰다의 사망 소식을 전했다.
- 사토 요시노리는 7월 12일에 출신지인 홋카이도 오쿠시리섬이 홋카이도 난세이오키 지진과 그에 따른 화재 및 해일에 의해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다음날인 7월 13일 올스타전에 출전하여 2차전에 등판, 2이닝 4탈삼진을 기록했다.
- 1차전과 2차전의 TV 중계와 라디오 중계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
TV 중계 | 라디오 중계 | ||
---|---|---|---|
1차전 | |||
2차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