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는 입법위원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총통은 중국 국민당의 리덩후이였다. 선거는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단기 비이양식 투표)로 치러졌으며, 유권자는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20세 이상이었다. 선거 결과, 중국 국민당이 123석을 얻어 원내 제1당을 유지했고, 민주진보당이 70석으로 제2당이 되었으며, 신당은 11석을 얻었다. 전체 투표율은 68.09%를 기록했다.

2. 선거 배경

입법위원의 임기 3년이 만료됨에 따라 실시되는 선거이다. 입법원의 위원 정수는 225명이며, 이 중 지역구(168명)와 전국구(41명), 해외 거주 국민(8명) 외에 원주민(평지 4명, 산지 4명으로 총 8명)을 각각 선출하는 구조이다. 선거 당시 '''총통'''은 중국 국민당의 리덩후이였다.

2. 1. 정치적 상황

2. 2. 사회적 배경

3. 선거 제도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20세 이상은 투표를 할 수 있었다. 유권자는 총 14,961,938명으로, 지역 유권자는 14,712,126명, 평지 원주민 유권자는 119,595명, 산지 원주민 유권자는 130,217명이었다.

선거 제도는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단기 비이양식 투표)였다. 지역구는 대선거구제로, 원주민은 중선거구제로 선출하였다. 투표는 1표제로, 선거구 후보에 대한 기호식 투표였다.

3. 1. 선거 방식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20세 이상의 국민은 유권자가 될 수 있었다. 유권자는 지역구 14,712,126명, 평지 원주민 119,595명, 산지 원주민 130,217명이었다.

선거 제도는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제(단기 비이양식 투표)였다. 지역구는 대선거구제로, 원주민은 중선거구제로 선출하였다. 투표는 1표제로, 선거구 후보에 대한 기호식 투표였다.

3. 2. 선거구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20세 이상 유권자는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유권자는 지역별로 14,712,126명, 평지 원주민 119,595명, 산지 원주민 130,217명이었다.

선거는 복수 선거구 단기 비이양식 투표 제도로 치러졌다. 지역구는 대선거구제, 원주민 선거구는 중선거구제로 운영되었으며, 유권자는 1표를 행사하여 선거구 후보에 대해 기호식 투표를 했다.

3. 3. 입법위원 정수

입법위원 정수는 총 225석이다. 지역구에서 168석, 전국구에서 41석, 해외 거주 국민에서 8석, 원주민에서 8석이 선출된다. 원주민은 평지 원주민과 산지 원주민으로 나뉘어 각각 4석씩 선출된다.

3. 4. 유권자

중화민국 국적을 가진 20세 이상은 투표를 할 수 있었다. 유권자는 총 14,961,938명으로, 지역 유권자는 14,712,126명, 평지 원주민 유권자는 119,595명, 산지 원주민 유권자는 130,217명이었다.

4. 주요 정당

4. 1. 국민당

4. 2. 민주진보당

4. 3. 신당

4. 4. 기타 정당

5. 선거 결과

123701121
중국 국민당민주진보당신당기타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지역구원주민재외국민비례대표합계
bgcolor="#000099"|중국 국민당906423123
bgcolor="#1B9431"|민주진보당52-31570
bgcolor="#FDD700"|신당7-1311
bgcolor="brown"|기타72--9
bgcolor="#aaaaaa"|무소속12---12
합계1688841225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은 123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1당을 유지하였다. 국민당은 지역구에서 90석, 원주민 선거구에서 6석, 재외국민 선거구에서 4석, 비례대표 23석을 얻었다.

민주진보당은 70석을 획득하여 제2당이 되었다. 민진당은 지역구 52석, 재외국민 3석, 비례대표 15석을 차지했다.

신당은 11석을 얻어 제3당의 위치를 유지했다. 신당은 지역구 7석, 재외국민 1석, 비례대표 3석을 확보했다.

기타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은 총 21석을 얻었다. 이 중 기타 정당은 9석(지역구 7석, 원주민 2석)을, 무소속 후보는 12석(지역구)을 차지했다.

지역구 득표
정당득표%
중국 국민당4,659,67946.4
민주진보당2,966,83429.6
신당708,4657.1
민주연맹375,1183.7
신국가연선당157,8261.6
대만건국당145,1181.5
전국민주비정당연맹66,0330.7
중국대만원주민주당1,1770.0
녹색당8,0890.1
20px
중국청년당
7230.0
국가민주당3420.0
무소속 및 기타946,4319.4



원주민 선출 득표
정당평지산지
득표%득표%
중국 국민당47,36178.650,21766.0
민주진보당3,9346.55,7427.5
민주연맹align="right" |align="right" |6,6008.7
전국민주비정당연맹8,95814.912,17516.0
중국대만원주민주당align="right" |align="right" |1,1711.5
무소속 및 기타align="right" |align="right" |2290.30
합계60,253align="right" |76,134align="right" |



총 투표율은 68.09%를 기록했다. 지역구 투표율은 68.31%, 평지 원주민 투표율은 51.42%, 산지 원주민 투표율은 59.41%였다.

5.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 분포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에서 각 정당은 득표율과 의석 분포에서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정당별 당선자 수 (명)
정당지역구원주민재외국민비례대표합계
bgcolor="#000099"|중국국민당906423123
bgcolor="#1B9431"|민주진보당52-31570
bgcolor="#FDD700"|신당7-1311
bgcolor="brown"|기타72--9
bgcolor="#aaaaaa"|무소속12---12
합계1688841225



중국 국민당은 총 123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1당을 유지하였다. 국민당은 지역구에서 90석, 원주민 선거구에서 6석, 재외국민 선거구에서 4석, 비례대표 23석을 얻었다.

민주진보당은 총 70석을 획득하여 제2당이 되었다. 민진당은 지역구 52석, 재외국민 3석, 비례대표 15석을 차지했다.

신당은 총 11석을 얻어 제3당의 위치를 유지했다. 신당은 지역구 7석, 재외국민 1석, 비례대표 3석을 확보했다.

기타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은 총 21석을 얻었다. 이 중 기타 정당은 9석(지역구 7석, 원주민 2석)을, 무소속 후보는 12석(지역구)을 차지했다.

지역구 득표
정당득표%
중국 국민당4,659,67946.4
민주진보당2,966,83429.6
신당708,4657.1
민주연맹375,1183.7
신국가연선당157,8261.6
대만건국당145,1181.5
전국민주비정당연맹66,0330.7
중국대만원주민주당1,1770.0
녹색당8,0890.1
중국청년당7230.0
국가민주당3420.0
무소속 및 기타946,4319.4



원주민 선출 득표
정당평지산지
득표%득표%
중국 국민당47,36178.650,21766.0
민주진보당3,9346.55,7427.5
민주연맹align="right" |align="right" |6,6008.7
전국민주비정당연맹8,95814.912,17516.0
중국대만원주민주당align="right" |align="right" |1,1711.5
무소속 및 기타align="right" |align="right" |2290.30
합계60,253align="right" |76,134align="right" |



총 투표율은 68.09%를 기록했다. 지역구 투표율은 68.31%, 평지 원주민 투표율은 51.42%, 산지 원주민 투표율은 59.41%였다.

5. 2. 투표율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의 전체 투표율은 68.09%였다. 지역별로는 지역구가 68.31%, 평지 원주민이 51.42%, 산지 원주민이 59.41%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5. 3. 주요 당선자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의 주요 당선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4]

타이베이시1구친후이주왕쉐펑하오룽빈딩서우중줘롱타이린줘수이스밍더린루이투무민주린중모
2구선푸슝리칭안판웨이강예쥐란천쉐성훙치창주후이량천훙지펑후샹라이스바오
타이베이현1구저우시웨이저우보룬리자진류빙웨이우칭츠리원중장칭팡예셴슈
2구천징쥔차이자푸리잉위안린즈자천훙창저우후이잉리셴룽리셴런뤄푸주궈수춘
3구자오융칭저우야수한궈위뤄밍차이류성량리칭화라이진린왕자오추안랴오쉐광
지룽시전체류원슝왕퉈쉬샤오핑
이란현전현린젠룽루이펑천딩난장촨톈
타오위안현전현천건더주펑즈펑샤오진추추이전뤼신민쉬종비샤추촹량정바오칭정진링주리룬우커칭황무톈
신주시전체커젠밍린정쩌장차이미
신주현전현추징춘장쉐순정융진
먀오리현전현류정훙허즈후이천차오밍쉬청쿤
타이중시전체차이밍셴루슈옌선즈후이셰치다왕스쉰황셴저우황이쟈오
타이중현전현류취안중류쑹판양원신린야오싱추타이산궈룽전쉬중슝린펑시장원위펑딩궈양충잉
장화현전현원진주린진춘셰옌신천전슝유웨샤천차오룽황밍허천진딩셰장제훙싱룽
난터우현전현천전청린종난장밍슝차이황랑
윈린현전현린밍이쩡차이미사쉬수보허후이셴린궈화랴오푸번
자이시전체황민후이차이퉁룽
자이현전현쉬덩궁샤오위안위천밍원허자룽
타이난시전체천룽성쉬톈차이린난성라이칭더왕위팅탕비어
타이난현전현훙위친쑤환즈저우우류팡이량황슈멍왕싱난쑹쉬광리쥔이예이진
가오슝시1구천치마이황자오순주싱위류셴퉁왕톈징리칭슝
2구린훙종장쥔슝량무양탕진취안장치원
가오슝현전현왕진핑우광쉰양추싱중샤오허샤오진란린이시린위안산위정다오쉬즈밍
핑둥현전현쩡융취안우쩌위안궈팅차이차오치훙랴오완루정차오밍차이하오
타이둥현전현쉬칭위안
화롄현전현중리더장푸싱
펑후현전현린빙쿤
진먼현전현천칭바오
롄장현전현차오얼충
원주민평지[5]양런푸장런샹린정얼차이중한
산지[6]쩡화더가오양성와리스 페린린춘더



의석 획득 정당의 비례 명부 게재 순으로 기재[7]

전국구중국 국민당야오잉치천젠즈가오위런훙자오난리밍가오천충찬정펑스훙슈주원충쥔린궈룽왕링린쩡전농천제루양지슝진쩡전리저우정즈유화이인쉬수예류광화리정종차이링란랴오펑더리취안자오
민주진보당장쥔훙천자오난파얀 타르저우칭위옌진푸린충정천성훙쉬룽수황얼쉬안류쥔슝다이전야오판쑨뤼천충신젠시제린원랑
신당리주펑장스량정룽수이
거주 국외 국민중국 국민당훙두판양성양쭤저우관워누안
민주진보당장쉬청중진장장슈전
신당잉즈훙



이후 일부 의원들의 사퇴 및 당선 등으로 인해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8]

연도보궐 당선자정당명궐원궐원 사유출처
2000년5월왕리핑민주진보당판쑨뤼중화민국 교육부 정무차장 취임[8]
2001년10월야오가오차오중국 국민당쩡전눙탈당
12월중신차이신당리주펑진먼 현장 당선


5. 4. 선거 결과 분석

199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하 국민당)은 123석을 획득하여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과반 의석 확보에는 실패하였다. 국민당은 지역구에서 90석, 재외국민 4석, 비례대표 23석, 원주민 6석을 얻었다. 반면, 민주진보당(이하 민진당)은 70석을 획득하며 약진하였다. 민진당은 지역구 52석, 재외국민 3석, 비례대표 15석을 확보하였다. 신당은 11석을 얻어 원내 제3당의 위치를 유지하였으나, 이전 선거에 비해 의석수가 감소하며 존재감이 약화되었다. 신당은 지역구 7석, 재외국민 1석, 비례대표 3석을 얻었다.

국민당은 총 4,659,679표(46.4%)를 득표하였고, 민진당은 2,966,834표(29.6%)를, 신당은 708,465표(7.1%)를 득표하였다. 기타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은 총 946,431표(9.4%)를 얻었다.

원주민 선거에서는 국민당이 평지 원주민 선거에서 47,361표(78.6%), 산지 원주민 선거에서 50,217표(66.0%)를 얻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민진당은 평지 원주민 선거에서 3,934표(6.5%), 산지 원주민 선거에서 5,742표(7.5%)를 얻는 데 그쳤다.

전체 투표율은 68.09%를 기록했으며, 지역구 투표율은 68.31%, 평지 원주민 투표율은 51.42%, 산지 원주민 투표율은 59.41%였다.

정당별 의석수
정당합계선거구전국구해외
화교
원주민
평지산지
#전송1239023433
민주진보당7052153align="right" |align="right" |
20px
신당
11731align="right" |align="right" |
|20px|link=]] 대만건국당
11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중국대만원주민주당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전국민주비정당연맹31align="right" |align="right" |11
민주연맹44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신국가연선11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무소속 및 기타1212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합계22516841844


6. 선거 이후

6. 1. 정국 변화

6. 2. 한국에 대한 시사점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2] 문서 Nohlen et al.
[3] 웹사이트 選舉資料庫 https://db.cec.gov.t[...] 2024-05-30
[4] 웹사이트 第 04 屆立法委員選舉(區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5] 웹사이트 第 04 屆立法委員選舉(平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6] 웹사이트 第 04 屆立法委員選舉(山原) 候選人得票數 https://db.cec.gov.t[...] 中選會
[7] 웹사이트 04屆全國不分區及僑居國外國民立法委員選舉選舉公報 https://bulletin.cec[...] 中選會
[8] 웹사이트 第五屆立法委員名鑑 - 附錄:第四屆立法委員名單 https://lis.ly.gov.t[...] 202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