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구정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구정컵은 2004년 1월 22일부터 2월 9일까지 홍콩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이다. 홍콩 리그 XI, 온두라스, 노르웨이, 스웨덴이 참가했으며, 노르웨이가 결승전에서 온두라스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4위전에서는 스웨덴이 홍콩 리그 XI을 3-0으로 이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홍콩 -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은 2004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유가전》이 최우수 작품상을, 두기봉 감독이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고, 유덕화, 장백지, 양가휘, 하운시, 안지걸이 각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신인배우상을 수상했으며, 일본 영화 《황혼의 사무라이》가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을, 매염방과 장국영에게 공로상이 수여되었다. - 2004년 1월 - 제61회 골든 글로브상
2004년에 열린 제61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 부문에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과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TV 부문에서 《24》, 《오피스》, 《엔젤스 인 아메리카》 등의 작품에 상을 수여한 행사로, 특히 《엔젤스 인 아메리카》는 TV 부문에서 최다 수상을 기록했다. - 2004년 1월 - 2003년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2003년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2003년 영화계의 뛰어난 작품과 배우들에게 수여된 상으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과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등이 주요 수상작이며, 빌 머레이, 샤를리즈 테론 등이 연기상을 수상했다. - 구정컵 - 2017년 구정컵
2017년 구정컵은 FC 서울, 무앙통 유나이티드, 킷치 SC, 오클랜드 시티 FC 총 4개 팀이 참가하여 홍콩 스타디움에서 열린 축구 대회로, 결승전에서 오클랜드 시티 FC가 킷치 SC를 꺾고 우승했으며, 3-4위전에서는 무앙통 유나이티드가 FC 서울을 꺾고 3위를 기록했다. - 구정컵 - 2001년 구정컵
2001년 구정컵은 칼스버그가 후원하고 홍콩 리그 선발팀, 대한민국, 노르웨이, 파라과이 4개 팀이 참가한 국제 축구 대회로, 노르웨이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젊은 선수들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팀 조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4년 구정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구정컵 |
개최 연도 | 2004년 |
개최국 | 홍콩 |
개최 기간 | 2004년 2월 6일 ~ 2004년 2월 9일 |
참가 팀 수 | 4팀 |
경기장 수 | 1개 |
도시 수 | 1개 |
경기 결과 | |
4위 | 선발팀 |
총 경기 수 | 4경기 |
총 득점 | 11골 |
경기당 득점 | 2.75골 |
총 관중 수 | 62738명 |
경기당 관중 수 | 15,684.5명 |
득점 관련 | |
최다 득점 선수 | 프로데 욘센 Håvard Flo Lars Nilsson |
골 수 | 2골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2003 |
다음 대회 | 2005 |
2. 참가팀
팀명 | 국가 |
---|---|
홍콩 리그 XI | 香港聯賽選手隊|홍콩 리그 XI중국어 |
온두라스 | Selección de fútbol de Honduras|온두라스es |
노르웨이 | Norges herrelandslag i fotball|노르웨이no |
스웨덴 | Sveriges herrlandslag i fotboll|스웨덴sv |
2004년 구정컵에는 홍콩 리그 XI, 온두라스, 노르웨이, 스웨덴 4팀이 참가했다. 각 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3. 선수 명단
3. 1. [[홍콩 리그 XI]]
賴新祥|라이 썬 청중국어 코치가 이끌었다.
번호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클럽 |
---|---|---|---|---|
1 | GK | 陳達燊|도밍고스 찬중국어 | 1970년 9월 11일(1970-09-11) (33세) | 선 헤이 |
2 | DF | Barnes Colly Ezeh|반스 콜리 에제영어 | 1979년 12월 10일(1979-12-10) (24세) | 해피 밸리 |
4 | DF | 吳偉超|응 와이 치우중국어 | 1981년 10월 22일(1981-10-22) (22세) | 광저우 의약 |
5 | DF | Cristiano Cordeiro|크리스티아누 코르데이루pt | 1973년 8월 14일(1973-08-14) (30세) | 선 헤이 |
6 | MF | 劉志強|라우 치 키웅중국어 | 1977년 1월 7일(1977-01-07) (27세) | 선 헤이 |
7 | MF | 羅振邦|로 춘 봉중국어 | 1981년 1월 25일(1981-01-25) (22세) | 선 헤이 |
8 | MF | 鄭兆基|청 사이 호중국어 | 1975년 8월 27일(1975-08-27) (28세) | 해피 밸리 |
9 | FW | Márcio Gabriel Anacleto|마르시우 가브리엘 아나클레토pt | 1975년 11월 10일(1975-11-10) (28세) | |
10 | MF | 伊東 壇|단 이토일본어 | 1975년 11월 3일(1975-11-03) (28세) | 키체 |
11 | MF | 李健和|리 킨 워중국어 | 1967년 10월 20일(1967-10-20) (36세) | 선 헤이 |
14 | MF | 沈國強|샴 콕 키웅중국어 | 1985년 9월 10일(1985-09-10) (18세) | 해피 밸리 |
15 | DF | 陳偉豪|찬 와이 호중국어 | 1982년 4월 24일(1982-04-24) (21세) | 레인저스 |
16 | DF | 陸冠邦|룩 쿤 퐁중국어 | 1978년 8월 1일(1978-08-01) (25세) | 사우스 차이나 |
18 | DF | 李偉文|리 와이 만중국어 | 1973년 8월 18일(1973-08-18) (30세) | 해피 밸리 |
19 | GK | 潘俊立|판 춘 립중국어 | 1976년 5월 2일(1976-05-02) (27세) | 해피 밸리 |
20 | DF | 潘耀焯|푼 유 척중국어 | 1977년 9월 19일(1977-09-19) (26세) | 해피 밸리 |
21 | FW | Rochy Putiray|로치 푸티레이id | 1970년 6월 26일(1970-06-26) (33세) | 키체 |
22 | FW | 郭裕洪|곽 유 훙중국어 | 1975년 2월 28일(1975-02-28) (28세) | 해피 밸리 |
23 | MF | Gerard Ambassa Guy|제라드 암바사 가이영어 | 1978년 9월 21일(1978-09-21) (25세) | 해피 밸리 |
24 | MF | 潘文迪|푼 만 틱중국어 | 1975년 2월 24일(1975-02-24) (28세) | 선 헤이 |
25 | DF | 司徒文俊|세토 만 춘중국어 | 1975년 6월 5일(1975-06-05) (28세) | 사우스 차이나 |
DF | 文彼得|만 페이 닥중국어 | 1982년 2월 16일(1982-02-16) (21세) | 레인저스 | |
MF | José Ricardo Rambo|호세 리카르도 람보pt | 1971년 8월 17일(1971-08-17) (32세) | ||
FW | 黃鎮宇|웡 춘 유중국어 | 1978년 1월 28일(1978-01-28) (25세) | 선 헤이 |
3. 2.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온두라스]]
감독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출신의 보라 밀루티노비치였다.번호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 클럽 |
---|---|---|---|---|---|
1 | GK | 엑토르 메디나 | 1975-01-27|1975년 1월 27일es (28세) | 레알 에스파냐 | |
2 | DF | 엘머 마린 | 1979-10-14|1979년 10월 14일es (24세) | 올림피아 | |
4 | DF | 밀톤 팔라시오스 | 1980-12-02|1980년 12월 2일es (23세) | 올림피아 | |
6 | DF | 닌로드 메디나 | 1976-08-26|1976년 8월 26일es (27세) | 사카테펙 | |
8 | DF | 호세 피네다 | 1975-03-19|1975년 3월 19일es (28세) | 올림피아 | |
10 | FW | 윌머 벨라스케스 | 1972-04-28|1972년 4월 28일es (31세) | 올림피아 | |
11 | FW | 밀톤 누녜스 | 1972-11-30|1972년 11월 30일es (31세) | 네칵사 | |
12 | MF | 마이노르 수아소 | 1979-08-10|1979년 8월 10일es (24세) | 잘츠부르크 | |
13 | FW | 폼필리오 카초 | 1976-12-22|1976년 12월 22일es (27세) | 모타구아 | |
15 | MF | 엘킨 곤잘레스 | 1980-09-29|1980년 9월 29일es (23세) | 레알 에스파냐 | |
16 | 마르셀로 페레이라 | 올림피아 | |||
17 | DF | 하비에르 마르티네스 | 1971-12-06|1971년 12월 6일es (32세) | 마라톤 | |
18 | FW | 사울 마르티네스 | 1976-01-29|1976년 1월 29일es (27세) | 상하이 선화 | |
19 | DF | 이반 게레로 | 1977-11-30|1977년 11월 30일es (26세) | 모타구아 | |
21 | FW | 윌리엄스 레예스 | 1976-12-30|1976년 12월 30일es (27세) | FAS | |
24 | DF | 후니오르 이사기레 | 1979-08-12|1979년 8월 12일es (24세) | 모타구아 | |
GK | 빅토르 코엘로 | 1974-07-29|1974년 7월 29일es (29세) | 마라톤 | ||
DF | 에드가르 알바레스 | 1980-01-08|1980년 1월 8일es (24세) | 페냐롤 | ||
DF | 빅토르 메나 | 1980-08-02|1980년 8월 2일es (23세) | 모타구아 | ||
DF | 마우리시오 사빌론 | 1978-11-11|1978년 11월 11일es (25세) | 마라톤 | ||
MF | 아마도 게바라 | 1976-05-02|1976년 5월 2일es (27세) | 뉴욕 메트로스타스 | ||
MF | 다닐로 투르시오스 | 1978-05-08|1978년 5월 8일es (25세) | 테코스 |
3. 3.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노르웨이'''는 2004년 구정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노르웨이 대표팀 감독은 아게 하레이데였다.
번호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 클럽 | |
---|---|---|---|---|---|---|
1 | GK | 테르예 셸스타드 | Terje Skjeldstad영어 | 1978년 1월 18일 | 소그달 | |
3 | DF | 비다르 리세트 | Vidar Risethno | 1972년 4월 21일 | 로젠보르그 | |
4 | DF | 브레데 앙겔란 | Brede Hangelandno | 1981년 6월 20일 | 바이킹 | |
5 | DF | 스토레 스텐사스 | Ståle Stensaasno | 1971년 7월 7일 | 로젠보르그 | |
6 | DF | 욘 잉에 호일란 | Jon Inge Høilandno | 1977년 9월 20일 | 말뫼 | |
7 | MF | 얀-데레크 쇠렌센 | Jan-Derek Sørensenno | 1971년 12월 28일 | 린 | |
8 | MF | 마그네 호세트 | Magne Hosethno | 1980년 10월 13일 | 몰데 | |
9 | FW | 프로데 욘센 | Frode Johnsenno | 1974년 7월 13일 | 로젠보르그 | |
10 | FW | 호바르 플로 | Håvard Flono | 1970년 4월 4일 | 소그달 | |
11 | FW | 하랄 브라트바크 | Harald Brattbakkno | 1971년 2월 1일 | 로젠보르그 | |
16 | FW | 룬 부에르 요한센 | Rune Buer Johansenno | 1973년 9월 4일 | 함-캄 | |
17 | MF | 다니엘 브라텐 | Daniel Braatenno | 1982년 5월 25일 | 스케이드 | |
18 | MF | 카를 오스카르 표르토프트 | Karl Oskar Fjørtoftno | 1975년 7월 26일 | 함마르비 | |
19 | MF | 아르디안 가시 | Ardian Gashisq | 1981년 6월 20일 | 외른-호르텐 | |
20 | DF | 파 모두 카 | Pa-Modou Kah영어 | 1980년 7월 30일 | AIK | |
21 | MF | 얀 군나르 솔리 | Jan Gunnar Sollino | 1981년 4월 19일 | 로젠보르그 | |
22 | MF | 안데르스 스타드헤임 | Anders Stadheimno | 1980년 8월 14일 | 소그달 | |
GK | 에릭 홀탄 | Erik Holtanno | 1969년 4월 20일 | 오드 | ||
DF | 토미 베른첸 | Tommy Berntsenno | 1973년 12월 18일 | 린 | ||
DF | 뵨 델 | 1978년 4월 17일 | 바이킹 | |||
DF | 에를렌 한스트베이트 | Erlend Hanstveitno | 1981년 1월 28일 | 브란 | ||
DF | 알렉산데르 아스 | Alexander Aasno | 1978년 9월 14일 | 오드 |
3. 4.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토미 쇠데르베리와 라르스 라게르백이 코치를 맡았다.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클럽 |
---|---|---|---|
GK | 안드레아스 이삭손 | 1981년 10월 3일 (22세) | 유르고르덴 IF |
GK | 마그누스 킬스테트 | 1972년 2월 29일 (31세) | FC 코펜하겐 |
GK | 욘 알브보게 | 1982년 8월 10일 (21세) | 외레브로 SK |
DF | 크리스토페르 안데르손 | 1978년 10월 22일 (25세) | 헬싱보리 IF |
DF | 미카엘 안톤손 | 1981년 5월 31일 (22세) | IFK 예테보리 |
DF | 크리스티안 예를레르 | 1982년 6월 3일 (21세) | 헬싱보리 IF |
DF | 프레드릭 룬드크비스트 | GIF 순스발 | |
DF | 막스 폰 슐레브뤼게 | 1977년 2월 1일 (26세) | 함마르비 IF |
DF | 프레드릭 스텐만 | 1983년 6월 2일 (20세) | 유르고르덴 IF |
DF | 알렉산데르 외스룬 | 1978년 11월 2일 (25세) | 함마르비 IF |
MF | 요한 아르넹 | 1979년 6월 14일 (24세) | 유르고르덴 IF |
MF | 마틴 에릭손 | 1980년 9월 4일 (23세) | IFK 예테보리 |
MF | 안드레아스 요한손 | 1978년 7월 5일 (25세) | 유르고르덴 IF |
MF | 안드레아스 요한손 | 1982년 3월 10일 (21세) | 할름스타드 BK |
MF | 미카엘 닐손 | 1978년 6월 24일 (25세) | 할름스타드 BK |
MF | 마츠 루바르트 | 1977년 1월 25일 (26세) | AIK 포트볼 |
MF | 바비스 스테파니디스 | 1981년 3월 8일 (22세) | 유르고르덴 IF |
FW | 파블로 피뇨네스-아르세 | 1981년 8월 27일 (22세) | 함마르비 IF |
FW | 라세 닐손 | 1982년 1월 3일 (22세) | 함마르비 IF |
FW | 니클라스 스코그 | 1974년 6월 15일 (29세) | 말뫼 FF |
4. 경기 결과
2004년 구정컵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4강전'''
- 2004년 1월 22일, 홍콩대구장: 0 : 3
- 2004년 1월 22일, 홍콩대구장: 0 : 1
- 2004년 2월 6일, 홍콩 스타디움: 0 : 3 (욘센 44분, 플로 53분, 63분), 관중 16,765명, 심판 퐁 야우 팟 (홍콩)
- 2004년 2월 6일, 홍콩 스타디움: 0 : 1 (카초 18분), 관중 16,765명, 심판 아두냐차트 칸타마 (태국)
- '''3·4위전'''
- 2004년 1월 25일, 홍콩 대구장: 0 : 3
- '''결승전'''
- 2004년 1월 25일, 홍콩대구장: 3 : 1 (브라트바크 26분, 욘센 37분, 호세트 86분; 마르티네스 28분), 관중 14,604명, 심판 펑 야우 팟 (홍콩)
4. 1. 4강전
2004년 1월 22일, 홍콩대구장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스웨덴은 노르웨이에 0:3으로 패배했고, 홍콩 리그 XI는 온두라스에 0:1로 패배했다.
2004년 2월 6일, 홍콩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스웨덴은 노르웨이에 0:3으로 패배했다. 노르웨이의 욘센이 44분에, 플로가 53분과 63분에 득점했다. 같은 날, 홍콩 리그 XI는 온두라스에 0:1로 패배했으며, 온두라스의 카초가 18분에 득점했다. 두 경기 모두 관중 수는 16,765명이었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 선수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2004년 2월 6일 | 스웨덴 | 0 - 3 | 노르웨이 | 욘센 (44분), 플로 (53분, 63분) | 홍콩 스타디움, 홍콩 | 16,765 | 퐁 야우 팟 (홍콩) |
2004년 2월 6일 | 홍콩 리그 XI | 0 - 1 | 온두라스 | 카초 (18분) | 홍콩 스타디움, 홍콩 | 16,765 | 아두냐차트 칸타마 (태국) |
4. 2. 3·4위전
2004년 1월 25일 홍콩 대구장에서 열린 홍콩과 스웨덴의 3·4위전 경기는 스웨덴이 3-0으로 승리했다.경기 정보 |
---|
4. 3. 결승전
2004년 1월 25일 홍콩대구장에서 노르웨이와 온두라스의 결승전이 열렸다. 노르웨이는 전반 26분 브라트바크의 선제골, 37분 욘센의 추가골, 후반 41분 호세트의 쐐기골로 마르티네스가 한 골을 만회한 온두라스를 3-1로 꺾었다. 경기는 14,604명의 관중이 관람했으며, 심판은 홍콩의 펑 야우 팟이 맡았다.5. 우승
'''노르웨이'''
'''우승'''
6. 득점 순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