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2004년 7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진행된 유럽 클럽 대항전으로, 총 52개 UEFA 회원국 중 48개국에서 72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는 예선 라운드를 거쳐 조별 리그, 토너먼트 단계를 통해 우승팀을 가렸다. 결승전에서는 리버풀 FC가 AC 밀란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뤼트 판 니스텔로이가 8골로 득점왕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05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05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AC 밀란과 리버풀 FC 간의 경기에서 리버풀이 3-0으로 뒤진 상황을 극복하고 승부차기 끝에 3-2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한, "이스탄불의 기적"으로 불리는 축구 역사상 가장 극적인 결승전 중 하나이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최되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우승했고, 안드리 세브첸코와 드와이트 요크가 8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열린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탈리아는 두 팀을 조별 리그에 진출시킨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 2005년 축구 -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여 시드니 FC가 우승을 차지한 클럽 대항전이다.
  • 2005년 축구 - 2004-05년 UEFA컵
    2004-05년 UEFA컵은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를 거쳐 CSKA 모스크바가 스포르팅 CP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2004-05 시즌
개최 기간예선: 2004년 7월 13일 - 2004년 8월 25일
본선: 2004년 9월 14일 - 2005년 5월 25일
경기장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
대회 통계
참가 팀 수본선: 32팀
총합: 72팀
총 경기 수125
총 득점 수335
총 관중 수4,945,419명
결과
우승 팀리버풀 (5회 우승)
준우승 팀밀란
최다 득점자뤼트 판 니스텔로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8골
이전/다음 시즌
이전 시즌2003–04
다음 시즌2005–06
관련 이미지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결승전이 열림

2. 대회 방식

총 52개 UEFA 회원 협회 중 48개 협회에서 72개 팀이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했다. 국내 리그를 조직하지 않는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산마리노는 참가하지 않았으며, 카자흐스탄은 UEFA 라이선스를 획득한 클럽이 없어 참가하지 못했다. 각 협회의 참가 팀 수는 UEFA 국가 계수 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6]

UEFA 국가 계수 순위에 따른 참가 팀 수 배분
협회 순위참가 팀 수
1위 ~ 3위4팀
4위 ~ 6위3팀
7위 ~ 15위2팀
16위 ~ 49위 (리히텐슈타인 제외)1팀



대회는 예선 라운드, 조별 리그, 토너먼트 순서로 진행되었다.

2. 1. 예선 라운드

전년도 우승팀인 포르투가 자국 리그를 통해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하면서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조별 리그 진출 자리가 비게 되었다. 또한 카자흐스탄 팀이 참가하지 못함에 따라, 기본 진출 명단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8]

각 라운드별 진출 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2004-05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 라운드 진출팀 구성
라운드참가 팀 수해당 라운드 신규 진입 팀이전 라운드 진출 팀
1차 예선20개 팀협회 랭킹 29~49위 리그 우승팀 (20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없음
2차 예선28개 팀* 협회 랭킹 17~28위 리그 우승팀 (12팀)
* 협회 랭킹 10~15위 리그 준우승팀 (6팀)
1차 예선 승자 (10팀)
3차 예선32개 팀* 협회 랭킹 11~16위 리그 우승팀 (6팀)
* 협회 랭킹 7~9위 리그 준우승팀 (3팀)
* 협회 랭킹 1~6위 리그 3위팀 (6팀)
* 협회 랭킹 1~3위 리그 4위팀 (3팀)
2차 예선 승자 (14팀)
조별 리그32개 팀* 협회 랭킹 1~10위 리그 우승팀 (10팀)
(전년도 우승팀 포르투 포함)
* 협회 랭킹 1~6위 리그 준우승팀 (6팀)
3차 예선 승자 (16팀)


2. 2. 조별 리그

3차 예선을 통과한 16개 팀과 UEFA 랭킹 상위 10개국의 리그 우승팀, 상위 6개국의 리그 준우승팀 등 총 32개 팀이 조별 리그에 참가했다. 이 32개 팀은 4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한 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3위를 차지한 팀은 UEFA컵 3라운드로 이동한다.

조별 리그에서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총 득점

# 대회 시작 시점의 UEFA 계수

마카비 텔아비브는 이번 시즌에 처음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한편, 2003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 우승팀인 이르티쉬 파블로다르를 포함한 카자흐스탄 클럽들은 UEFA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9]

2. 3. 토너먼트

16강부터 준결승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두 경기 합산 점수로 승자를 가린다. 결승전은 단판 승부로 치러진다. 토너먼트 단계의 추첨은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10]

2004-05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일정[10]
라운드추첨 날짜1차전2차전
16강2004년 12월 17일2005년 2월 22–23일2005년 3월 8–9일*
8강2005년 3월 18일2005년 4월 5–6일2005년 4월 12–13일
준결승2005년 4월 26–27일2005년 5월 3–4일
결승2005년 5월 25일,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 튀르키예


  • 인테르의 16강 2차전 홈 경기는 같은 경기장을 사용하는 밀란과의 일정 중복 문제로 인해 1주일 뒤인 2005년 3월 15일로 연기되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참가 팀

총 52개 UEFA 회원 협회 중 48개 협회에서 72개 팀이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했다. 국내 리그를 조직하지 않는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산마리노는 제외되었다. 카자흐스탄은 해당 연도에 UEFA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는 클럽이 없어 참가하지 못했다. 각 협회의 참가 팀 수를 결정하기 위해 UEFA 국가 계수를 기반으로 한 협회 순위가 사용되었다.[6]


  • 협회 1~3위는 각각 4팀이 진출한다.
  • 협회 4~6위는 각각 3팀이 진출한다.
  • 협회 7~15위는 각각 2팀이 진출한다.
  • 협회 16~49위(리히텐슈타인 제외)는 각각 1팀이 진출한다.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경우, 각 협회는 1998–1999 시즌부터 2002–03 시즌까지의 유럽 대회 성적을 고려한 2003년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출전 자격을 배정받았다.[7]

국가 계수를 기반으로 한 배정 외에도, 협회는 추가 팀을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

|

순위협회계수팀 수
1스페인75.5394
2이탈리아62.311
3잉글랜드58.340
4독일51.1323
5프랑스43.468
6그리스36.782
7포르투갈35.5832
8네덜란드33.498
9스코틀랜드30.375
10튀르키예28.991
11벨기에28.500
12체코27.950
13스위스26.250
14우크라이나24.583
15이스라엘23.999
16오스트리아23.3751
17폴란드21.625
18러시아21.041



|



|

순위협회계수팀 수
37북마케도니아3.4971
38벨라루스3.416
39아일랜드 공화국3.331
40몰타2.998
41아르메니아2.165
42웨일스2.165
43리히텐슈타인2.0000
44알바니아1.8311
45에스토니아1.665
46북아일랜드1.498
47룩셈부르크1.332
48페로 제도1.165
49아제르바이잔1.165
50카자흐스탄0.5000
51안도라0.000
52산마리노0.000



|}

4. 예선전 결과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예선전은 1차, 2차, 3차 예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자세한 결과는 각 예선 라운드 섹션을 참고하라.


  • 1차 예선전
  • 2차 예선전
  • 3차 예선전


전년도 우승팀인 포르투가 자국 리그를 통해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고,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조별 리그 진출 자리가 비게 되었다. 또한, 카자흐스탄 팀이 참가하지 못함에 따라, 기본 진출 명단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8]

다음은 라운드별 진출 팀 구성이다.[8]

라운드신규 진입팀이전 라운드 통과팀
1차 예선
(20개 팀)
2차 예선
(28개 팀)
3차 예선
(32개 팀)
조별 리그
(32개 팀)
자동 진출
예선 통과
결선 토너먼트
(16개 팀)


4. 1. 1차 예선전

협회 랭킹 29위부터 49위까지(리히텐슈타인 제외)의 리그 우승팀 20개 팀이 참가했다.[8]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하여 2경기 합산 점수가 높은 클럽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합산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다. 1차전은 2004년 7월 14일과 15일에, 2차전은 7월 21일과 22일에 열렸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KR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2 - 2 (원정 다득점)셸번 (아일랜드)2 - 20 - 0
스콘토 (라트비아)7 - 1릴 FC (웨일스)4 - 03 - 1
플로라 탈린 (에스토니아)3 - 7고리차 (슬로베니아)2 - 41 - 3
린필드 (북아일랜드)0 - 2HJK 헬싱키 (핀란드)0 - 10 - 1
포베다 (북마케도니아)2 - 4퓨닉 (아르메니아)1 - 31 - 1
셰리프 티라스폴 (몰도바)2 - 1죄네스 에슈 (룩셈부르크)2 - 00 - 1
WIT 조지아 (조지아)5 - 3HB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5 - 00 - 3
슬리마 원더러스 (몰타)1 - 6FBK 카우나스 (리투아니아)0 - 21 - 4
시로키브리예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 - 2 (원정 다득점)네프치 바쿠 (아제르바이잔)2 - 10 - 1
고멜 (벨라루스)1 - 2KF 티라나 (알바니아)0 - 21 - 0


4. 2. 2차 예선전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과 함께, UEFA 협회 랭킹 17위부터 28위까지 리그 우승 12개 팀, 그리고 협회 랭킹 10위부터 15위까지 리그 준우승 6개 팀이 2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총 28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합계 점수가 높은 1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한다.

1차전은 2004년 7월 28일과 29일에, 2차전은 8월 4일과 5일에 열렸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ARM) 퓨닉1–4(UKR) 샤흐타르 도네츠크1–30–1
(CYP) APOEL3–4(CZE) 스파르타 프라하2–21–2
(NOR) 로센보르그4–1(MDA) 셰리프 티라스폴2–12–0
(SUI) 영 보이스2–5(SCG)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2–20–3
(SVN) 고리차6–2(DEN) 쾨벤하운1–25–0
(AZE) 네프치 바쿠0–2(RUS) CSKA 모스크바0–00–2
(SVK) 질리나0–2(ROU) 디나모 부쿠레슈티0–10–1
(FIN) HJK 헬싱키0–1(ISR) 마카비 텔아비브0–00–1
(LVA) 스콘토1–4(TUR) 트라브존스포르1–10–3
(BEL) 클뤼프 브뤼허6–0(BUL) 로코모티브 플로브디프2–04–0
(ALB) 티라나3–3 (a)(HUN) 페렌츠바로시2–31–0
(CRO) 하이두크 스플리트3–4(IRL) 셸번3–20–2
(SWE) 유르고르덴2–0(LTU) FBK 카우나스0–02–0
(GEO) WIT 조지아2–11(POL) 비스와 크라쿠프2–80–3


4. 3. 3차 예선전

2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클럽과 함께 UEFA 랭킹에 따라 새로 합류한 18개 클럽, 총 32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1차전은 8월 10일과 11일에, 2차전은 8월 24일과 25일에 열렸다.

3차 예선전에 새로 참가하는 팀들의 자격 기준은 다음과 같다:

  • UEFA 랭킹 11위부터 16위까지 리그 우승팀 (6팀)
  • UEFA 랭킹 7위부터 9위까지 리그 준우승팀 (3팀)
  • UEFA 랭킹 1위부터 6위까지 리그 3위팀 (6팀)
  • UEFA 랭킹 1위부터 3위까지 리그 4위팀 (3팀)


각 경기 승자는 조별 리그에 진출하고, 패자는 UEFA컵 1라운드로 진출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GAK1–2리버풀0–21–0
유벤투스6–3유르고르덴2–24–1
페렌츠바로시1–2스파르타 프라하1–00–2 (연장)
로센보르그5–3마카비 하이파2–13–2 (연장)
바이어 레버쿠젠6–2바닉 오스트라바5–01–2
CSKA 모스크바3–2레인저스2–11–1
샤흐타르 도네츠크6–3클뤼프 브뤼허4–12–2
디나모 키예프3–2트라브존스포르1–22–0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3–7PSV 에인트호번3–20–5
디나모 부쿠레슈티1–5맨체스터 유나이티드1–20–3
바젤2–5인테르나치오날레1–11–4
벤피카1–3안데를레흐트1–00–3
셸번0–3데포르티보0–00–3
PAOK0–4마카비 텔아비브0–310–1
고리차0–9AS 모나코0–30–6
비스와 크라쿠프1–5레알 마드리드0–21–3



'''주석:'''1 PAOK는 마카비 텔아비브와의 1차전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마카비 텔아비브의 2-1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5. 조별 리그 결과

3차 예선전 승리팀 16팀과 UEFA 리그 랭킹 상위 10개 협회의 리그 우승팀 10팀, 상위 6개 협회의 리그 준우승팀 6팀을 합한 총 32개 팀이 조별 리그에 참가한다. 32개 팀은 4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며, 각 조 3위 팀은 UEFA컵 3라운드(32강)로 이동한다. 마카비 텔아비브는 이 시즌에 처음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만약 조별 리그 종료 후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다득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총 득점

# 해당 시즌 시작 시점의 UEFA 클럽 계수

조별 리그 순위 표기 범례
16강 토너먼트 진출팀 (굵은 글씨)
UEFA컵 3라운드 진출팀 ('굵은 기울임꼴')
조별 리그 탈락팀 (기울임꼴)


5. 1. A조

경기승점
AS 모나코6402104+612
리버풀631263+310
'올림피아코스'631255010
데포르티보602409-92



날짜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04년 9월 15일데포르티보0–0올림피아코스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2004년 9월 15일리버풀2–0AS 모나코안필드
2004년 9월 28일올림피아코스1–0리버풀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2004년 9월 28일AS 모나코2–0데포르티보스타드 루이 II
2004년 10월 19일AS 모나코2–1올림피아코스스타드 루이 II
2004년 10월 19일리버풀0–0데포르티보안필드
2004년 11월 3일올림피아코스1–0AS 모나코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2004년 11월 3일데포르티보0–1리버풀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2004년 11월 23일AS 모나코1–0리버풀스타드 루이 II
2004년 11월 23일올림피아코스1–0데포르티보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2004년 12월 8일리버풀3–1올림피아코스안필드
2004년 12월 8일데포르티보0–5AS 모나코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승점 동률 시 순위 결정 기준:'''

# 해당 팀 간의 승자승 승점

# 해당 팀 간의 승자승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승자승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전체 골득실

# 조별 리그 전체 다득점

# UEFA 계수


  • '''굵은 글씨'''로 표시된 팀은 결선 토너먼트 진출팀이다.
  • '''''굵은 기울임꼴'''''로 표시된 팀은 2004-05년 UEFA컵 32강 진출팀이다.
  • ''기울임꼴''로 표시된 팀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이다.

5. 2. B조

B조에는 독일의 '''바이어 레버쿠젠''',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키예프''''', 그리고 이탈리아의 ''AS 로마''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바이어 레버쿠젠'''과 '''레알 마드리드'''가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위를 기록한 '''''디나모 키예프'''''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했고, ''AS 로마''는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최종 순위''' (요약 정보 기반)

# '''바이어 레버쿠젠''' (16강 진출)

# '''레알 마드리드''' (16강 진출)

# '''''디나모 키예프''''' (UEFA컵 3라운드 진출)

# ''AS 로마'' (탈락)

  • 참고: 원본 소스에는 B조의 상세 경기 결과 및 최종 순위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제공된 요약 정보를 바탕으로 결과를 기술함.*

5. 3. C조

C조에는 이탈리아유벤투스, 독일바이에른 뮌헨, 네덜란드아약스, 이스라엘마카비 텔아비브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유벤투스'''와 '''바이에른 뮌헨'''이 16강에 진출하였고, '''''아약스'''''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하였다. ''마카비 텔아비브''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5. 4. D조

D조에는 올랭피크 리옹(프랑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잉글랜드), 페네르바흐체(터키), 스파르타 프라하(체코)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올랭피크 리옹'''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16강에 진출하였고, '''''페네르바흐체'''''는 UEFA컵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스파르타 프라하''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5. 5. E조

E조에는 아스널 (잉글랜드), PSV 에인트호번 (네덜란드), 파나티나이코스 (그리스), 로센보르그 (노르웨이)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아스널PSV 에인트호번이 16강에 진출하였고, 3위를 차지한 파나티나이코스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하였다. 로센보르그는 조 4위로 탈락하였다.




5. 6. F조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 AC 밀란136411103+7
-- 바르셀로나10631296+3
-- '샤흐타르 도네츠크'6620459-4
-- 셀틱56123410-6




5. 7. G조

G조에는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베르더 브레멘 (독일), 발렌시아 (스페인), 안데를레흐트 (벨기에)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인테르나치오날레'''와 '''베르더 브레멘'''이 16강에 진출했고, '''''발렌시아'''''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했다. ''안데를레흐트''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5. 8. H조

H조에는 잉글랜드첼시, 포르투갈포르투TH, 러시아CSKA 모스크바, 프랑스파리 생제르맹이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첼시와 포르투가 16강에 진출하였고, CSKA 모스크바는 UEFA컵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6. 토너먼트 결과

대회 일정은 다음과 같다(모든 추첨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열린다).[10]

단계라운드추첨 날짜1차전2차전
예선1차 예선2004년 6월 25일2004년 7월 13–14일2004년 7월 21일
2차 예선2004년 7월 27–28일2004년 8월 4일
3차 예선2004년 7월 30일2004년 8월 10–11일2004년 8월 24–25일
조별 리그1경기2004년 8월 26일
(모나코)
2004년 9월 14–15일
2경기2004년 9월 28–29일
3경기2004년 10월 19–20일
4경기2004년 11월 2–3일
5경기2004년 11월 23–24일
6경기2004년 12월 7–8일
토너먼트16강2004년 12월 17일2005년 2월 22–23일2005년 3월 8–9일
(인테르의 홈 경기는 AC 밀란과의 경기장 충돌로 인해 1주일 뒤인 2005년 3월 15일로 재조정되었다.)
8강2005년 3월 18일2005년 4월 5–6일2005년 4월 12–13일
준결승2005년 4월 26–27일2005년 5월 3–4일
결승2005년 5월 25일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


6. 1. 16강전

16강 대진 추첨은 2004년 12월 17일에 진행되었다.[10] 1차전은 2005년 2월 22일과 23일에, 2차전은 2005년 3월 8일과 9일에 열렸다. 단, 인테르나치오날레의 홈 경기는 AC 밀란과의 경기장 중복 문제로 인해 1주일 뒤인 2005년 3월 15일에 치러졌다.


6. 2. 8강전

(2–4 )(네덜란드) PSV 에인트호번1–11–1(잉글랜드) 첼시6–5(독일) 바이에른 뮌헨4–22–3(이탈리아) 밀란5–0(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2–03–0
(몰수)1



'''주석:'''1 인테르나치오날레밀란의 2차전 경기는 후반 27분, 밀란의 지다 골키퍼가 인테르나치오날레 관중이 던진 홍염에 맞아 부상을 입으면서 중단되었다. 경기 중단 당시 점수는 밀란이 1-0으로 앞서고 있었다. UEFA는 이 경기를 인테르나치오날레의 0-3 몰수패로 처리하고, 인테르나치오날레에게 UEFA 주관 대회 홈 4경기를 무관중으로 치르도록 명령했다.

6. 3. 준결승전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첼시0–1리버풀0–00–1
AC 밀란3–3 (a)PSV 에인트호번2–01–3



2005년 4월 26일, 이탈리아 밀란의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열린 준결승 1차전에서 AC 밀란PSV 에인트호번을 상대로 안드리 셰우첸코(42분)와 토마손(90분)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다음 날인 4월 27일, 영국 런던의 스탬포드 브리지에서 열린 첼시리버풀의 1차전은 득점 없이 0-0 무승부로 끝났다.

5월 3일, 리버풀안필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리버풀루이스 가르시아가 전반 4분에 넣은 골을 끝까지 지켜 첼시를 1-0으로 꺾고 합계 1-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5월 4일,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PSV 슈타디온에서 열린 PSV 에인트호번AC 밀란의 2차전은 매우 극적으로 진행되었다. PSV 에인트호번박지성(9분)과 코쿠(65분)의 골로 2-0 리드를 잡으며 합계 점수 2-2 동점을 만들었다. 경기가 연장전으로 흘러가는 듯했으나, 후반 추가 시간 1분에 암브로시니에게 실점하며 합계 2-3으로 뒤처졌다. 실점 직후 코쿠(90+2분)가 다시 골을 넣으며 3-1로 경기를 마쳤지만, 합계 점수는 3-3 동률이 되었다. 그러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AC 밀란이 결승에 진출했고, 박지성이 뛰었던 PSV 에인트호번은 아쉽게 탈락했다.

6. 4. 결승전

2005년 5월 25일 EET 20시 45분, 터키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경기장에서 AC 밀란리버풀 FC의 결승전이 열렸다. 관중 수는 65,000명이었으며, 스페인 출신의 마누엘 메후토 곤살레스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경기는 전반전에 AC 밀란이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시작되었다. 경기 시작 1분 만에 파올로 말디니가 선제골을 넣었고, 이후 에르난 크레스포가 39분과 44분에 연달아 골을 성공시키며 전반전은 AC 밀란이 3-0으로 앞선 채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후반전 들어 리버풀 FC의 대반격이 시작되었다. 54분 스티븐 제라드의 만회골을 시작으로, 56분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60분 사비 알론소가 연이어 득점하며 불과 6분 만에 경기는 3-3 동점이 되었다. 이후 양 팀은 추가 득점 없이 정규 시간과 연장전을 마쳤고, 승부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승부차기에서는 리버풀 FCAC 밀란을 3-2로 꺾고 극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리버풀의 통산 5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이었다.

'''득점 정보'''

선수시간
AC 밀란파올로 말디니1'
AC 밀란에르난 크레스포39'
AC 밀란에르난 크레스포44'
리버풀 FC스티븐 제라드54'
리버풀 FC블라디미르 슈미체르56'
리버풀 FC사비 알론소60'



'''승부차기 결과'''

순서AC 밀란 선수결과리버풀 FC 선수결과
1세르지뉴실축디트마어 하만성공
2안드레아 피를로실축지브릴 시세성공
3욘 달 토마손성공욘 아르네 리세실축
4카카성공블라디미르 슈미체르성공
5안드리 셰우첸코실축--

7. 득점 순위

뤼트 판 니스텔로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8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순위이름득점
1뤼트 판 니스텔로이맨체스터 유나이티드8
2아드리아누인테르나치오날레7
로이 마카이바이에른 뮌헨
4안드리 셰우첸코밀란6
에르난 크레스포밀란
실뱅 윌토르리옹
7디디에 드로그바첼시5
이반 클라스니치베르더 브레멘
루이스 가르시아리버풀
마이클 에시엔리옹
오바페미 마틴스인테르나치오날레
티에리 앙리아스널
툰자이 산리페네르바체



통계는 예선 라운드를 제외한다.

참조

[1] 뉴스 Why it was the greatest cup final http://news.bbc.co.u[...] BBC 2011-07-08
[2] 뉴스 Reds take European crown http://www.skysports[...] Sky Sports 2011-07-08
[3] 뉴스 Grit, spirit and the ultimate glo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7-08
[4] 뉴스 AC Milan 3–3 Liverpool (aet) http://news.bbc.co.u[...] BBC 2011-07-08
[5]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UEFA Champions League http://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08-06-19
[6] 웹사이트 UEFA Country Ranking 2003 https://kassiesa.hom[...]
[7] 웹사이트 Country coefficients 2002/03 http://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8] 웹사이트 2006/07 UEFA Champions League list of participants http://www.uefa.com/[...] 2006-11-19
[9] 웹사이트 UEFA did not admit Kazakhstan clubs http://www.fsk.kz/ev[...] 2004-08-10
[10] 웹사이트 UEFA European Football Calendar 2004/2005 https://kassiesa.net[...] Bert Kassies
[11] 문서 前半終了後にローマサポーターの投げたものが主審に当たり大けがを負ったため試合続行不可となり、[[ヨーロッパサッカー連盟|UEFA]]の裁定で[[没収試合]]となった。ローマに対しては多額の制裁金とホームでの[[無観客試合]]が課せら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