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2004년 7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진행된 유럽 클럽 대항전으로, 총 52개 UEFA 회원국 중 48개국에서 72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는 예선 라운드를 거쳐 조별 리그, 토너먼트 단계를 통해 우승팀을 가렸다. 결승전에서는 리버풀 FC가 AC 밀란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뤼트 판 니스텔로이가 8골로 득점왕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05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05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AC 밀란과 리버풀 FC 간의 경기에서 리버풀이 3-0으로 뒤진 상황을 극복하고 승부차기 끝에 3-2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한, "이스탄불의 기적"으로 불리는 축구 역사상 가장 극적인 결승전 중 하나이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최되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우승했고, 안드리 세브첸코와 드와이트 요크가 8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열린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탈리아는 두 팀을 조별 리그에 진출시킨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 2005년 축구 -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여 시드니 FC가 우승을 차지한 클럽 대항전이다. - 2005년 축구 - 2004-05년 UEFA컵
2004-05년 UEFA컵은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를 거쳐 CSKA 모스크바가 스포르팅 CP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UEFA 챔피언스리그 |
시즌 | 2004-05 시즌 |
개최 기간 | 예선: 2004년 7월 13일 - 2004년 8월 25일 본선: 2004년 9월 14일 - 2005년 5월 25일 |
경기장 |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 |
대회 통계 | |
참가 팀 수 | 본선: 32팀 총합: 72팀 |
총 경기 수 | 125 |
총 득점 수 | 335 |
총 관중 수 | 4,945,419명 |
결과 | |
우승 팀 | 리버풀 (5회 우승) |
준우승 팀 | 밀란 |
최다 득점자 | 뤼트 판 니스텔로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8골 |
이전/다음 시즌 | |
이전 시즌 | 2003–04 |
다음 시즌 | 2005–06 |
관련 이미지 | |
![]() |
2. 대회 방식
총 52개 UEFA 회원 협회 중 48개 협회에서 72개 팀이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했다. 국내 리그를 조직하지 않는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산마리노는 참가하지 않았으며, 카자흐스탄은 UEFA 라이선스를 획득한 클럽이 없어 참가하지 못했다. 각 협회의 참가 팀 수는 UEFA 국가 계수 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6]
협회 순위 | 참가 팀 수 |
---|---|
1위 ~ 3위 | 4팀 |
4위 ~ 6위 | 3팀 |
7위 ~ 15위 | 2팀 |
16위 ~ 49위 (리히텐슈타인 제외) | 1팀 |
대회는 예선 라운드, 조별 리그, 토너먼트 순서로 진행되었다.
2. 1. 예선 라운드
전년도 우승팀인 포르투가 자국 리그를 통해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하면서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조별 리그 진출 자리가 비게 되었다. 또한 카자흐스탄 팀이 참가하지 못함에 따라, 기본 진출 명단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8]- 터키 리그(협회 랭킹 10위) 우승팀: 3차 예선 → 조별 리그 직행
- 오스트리아 리그(협회 랭킹 16위) 우승팀: 2차 예선 → 3차 예선
- 루마니아 리그(협회 랭킹 26위), 헝가리 리그(협회 랭킹 27위), 키프로스 리그(협회 랭킹 28위) 우승팀: 1차 예선 → 2차 예선
각 라운드별 진출 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라운드 | 참가 팀 수 | 해당 라운드 신규 진입 팀 | 이전 라운드 진출 팀 |
---|---|---|---|
1차 예선 | 20개 팀 | 협회 랭킹 29~49위 리그 우승팀 (20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 없음 |
2차 예선 | 28개 팀 | * 협회 랭킹 17~28위 리그 우승팀 (12팀) * 협회 랭킹 10~15위 리그 준우승팀 (6팀) | 1차 예선 승자 (10팀) |
3차 예선 | 32개 팀 | * 협회 랭킹 11~16위 리그 우승팀 (6팀) * 협회 랭킹 7~9위 리그 준우승팀 (3팀) * 협회 랭킹 1~6위 리그 3위팀 (6팀) * 협회 랭킹 1~3위 리그 4위팀 (3팀) | 2차 예선 승자 (14팀) |
조별 리그 | 32개 팀 | * 협회 랭킹 1~10위 리그 우승팀 (10팀) (전년도 우승팀 포르투 포함) * 협회 랭킹 1~6위 리그 준우승팀 (6팀) | 3차 예선 승자 (16팀) |
2. 2. 조별 리그
3차 예선을 통과한 16개 팀과 UEFA 랭킹 상위 10개국의 리그 우승팀, 상위 6개국의 리그 준우승팀 등 총 32개 팀이 조별 리그에 참가했다. 이 32개 팀은 4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한 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3위를 차지한 팀은 UEFA컵 3라운드로 이동한다.조별 리그에서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총 득점
# 대회 시작 시점의 UEFA 계수
마카비 텔아비브는 이번 시즌에 처음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한편, 2003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 우승팀인 이르티쉬 파블로다르를 포함한 카자흐스탄 클럽들은 UEFA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9]
2. 3. 토너먼트
16강부터 준결승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두 경기 합산 점수로 승자를 가린다. 결승전은 단판 승부로 치러진다. 토너먼트 단계의 추첨은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10]라운드 | 추첨 날짜 | 1차전 | 2차전 |
---|---|---|---|
16강 | 2004년 12월 17일 | 2005년 2월 22–23일 | 2005년 3월 8–9일* |
8강 | 2005년 3월 18일 | 2005년 4월 5–6일 | 2005년 4월 12–13일 |
준결승 | 2005년 4월 26–27일 | 2005년 5월 3–4일 | |
결승 | 2005년 5월 25일,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 튀르키예 |
- 인테르의 16강 2차전 홈 경기는 같은 경기장을 사용하는 밀란과의 일정 중복 문제로 인해 1주일 뒤인 2005년 3월 15일로 연기되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참가 팀
총 52개 UEFA 회원 협회 중 48개 협회에서 72개 팀이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했다. 국내 리그를 조직하지 않는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산마리노는 제외되었다. 카자흐스탄은 해당 연도에 UEFA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는 클럽이 없어 참가하지 못했다. 각 협회의 참가 팀 수를 결정하기 위해 UEFA 국가 계수를 기반으로 한 협회 순위가 사용되었다.[6]
- 협회 1~3위는 각각 4팀이 진출한다.
- 협회 4~6위는 각각 3팀이 진출한다.
- 협회 7~15위는 각각 2팀이 진출한다.
- 협회 16~49위(리히텐슈타인 제외)는 각각 1팀이 진출한다.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경우, 각 협회는 1998–1999 시즌부터 2002–03 시즌까지의 유럽 대회 성적을 고려한 2003년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출전 자격을 배정받았다.[7]
국가 계수를 기반으로 한 배정 외에도, 협회는 추가 팀을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
1 | 스페인 | 75.539 | 4 |
2 | 이탈리아 | 62.311 | |
3 | 잉글랜드 | 58.340 | |
4 | 독일 | 51.132 | 3 |
5 | 프랑스 | 43.468 | |
6 | 그리스 | 36.782 | |
7 | 포르투갈 | 35.583 | 2 |
8 | 네덜란드 | 33.498 | |
9 | 스코틀랜드 | 30.375 | |
10 | 튀르키예 | 28.991 | |
11 | 벨기에 | 28.500 | |
12 | 체코 | 27.950 | |
13 | 스위스 | 26.250 | |
14 | 우크라이나 | 24.583 | |
15 | 이스라엘 | 23.999 | |
16 | 오스트리아 | 23.375 | 1 |
17 | 폴란드 | 21.625 | |
18 | 러시아 | 21.041 |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
19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19.831 | 1 |
20 | 노르웨이 | 19.575 | |
21 | 불가리아 | 18.665 | |
22 | 크로아티아 | 18.625 | |
23 | 스웨덴 | 17.591 | |
24 | 덴마크 | 17.375 | |
25 | 슬로바키아 | 13.665 | |
26 | 루마니아 | 12.957 | |
27 | 헝가리 | 12.790 | |
28 | 키프로스 | 10.165 | |
29 | 슬로베니아 | 9.332 | |
30 | 핀란드 | 7.208 | |
31 | 라트비아 | 6.665 | |
32 | 몰도바 | 5.832 | |
33 | 조지아 | 5.666 | |
34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4.333 | |
35 | 리투아니아 | 3.998 | |
36 | 아이슬란드 | 3.498 |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
37 | 북마케도니아 | 3.497 | 1 |
38 | 벨라루스 | 3.416 | |
39 | 아일랜드 공화국 | 3.331 | |
40 | 몰타 | 2.998 | |
41 | 아르메니아 | 2.165 | |
42 | 웨일스 | 2.165 | |
43 | 리히텐슈타인 | 2.000 | 0 |
44 | 알바니아 | 1.831 | 1 |
45 | 에스토니아 | 1.665 | |
46 | 북아일랜드 | 1.498 | |
47 | 룩셈부르크 | 1.332 | |
48 | 페로 제도 | 1.165 | |
49 | 아제르바이잔 | 1.165 | |
50 | 카자흐스탄 | 0.500 | 0 |
51 | 안도라 | 0.000 | |
52 | 산마리노 | 0.000 |
|}
4. 예선전 결과
2004-05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예선전은 1차, 2차, 3차 예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자세한 결과는 각 예선 라운드 섹션을 참고하라.
- 1차 예선전
- 2차 예선전
- 3차 예선전
전년도 우승팀인 포르투가 자국 리그를 통해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고,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조별 리그 진출 자리가 비게 되었다. 또한, 카자흐스탄 팀이 참가하지 못함에 따라, 기본 진출 명단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8]
- 협회 랭킹 10위(터키)의 우승팀(페네르바흐체)이 3차 예선에서 조별 리그로 승격되었다.
- 협회 랭킹 16위(오스트리아)의 우승팀(GAK)이 2차 예선에서 3차 예선으로 승격되었다.
- 협회 랭킹 26위(루마니아), 27위(헝가리), 28위(키프로스)의 우승팀(디나모 부쿠레슈티, 페렌츠바로시, APOEL)이 1차 예선에서 2차 예선으로 승격되었다.
다음은 라운드별 진출 팀 구성이다.[8]
라운드 | 신규 진입팀 | 이전 라운드 통과팀 | |
---|---|---|---|
1차 예선 (20개 팀) | — | ||
2차 예선 (28개 팀) | |||
3차 예선 (32개 팀) | |||
조별 리그 (32개 팀) | 자동 진출 | — | |
예선 통과 | — | ||
결선 토너먼트 (16개 팀) | — |
4. 1. 1차 예선전
협회 랭킹 29위부터 49위까지(리히텐슈타인 제외)의 리그 우승팀 20개 팀이 참가했다.[8]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하여 2경기 합산 점수가 높은 클럽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합산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다. 1차전은 2004년 7월 14일과 15일에, 2차전은 7월 21일과 22일에 열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KR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 2 - 2 (원정 다득점) | 셸번 (아일랜드) | 2 - 2 | 0 - 0 |
스콘토 (라트비아) | 7 - 1 | 릴 FC (웨일스) | 4 - 0 | 3 - 1 |
플로라 탈린 (에스토니아) | 3 - 7 | 고리차 (슬로베니아) | 2 - 4 | 1 - 3 |
린필드 (북아일랜드) | 0 - 2 | HJK 헬싱키 (핀란드) | 0 - 1 | 0 - 1 |
포베다 (북마케도니아) | 2 - 4 | 퓨닉 (아르메니아) | 1 - 3 | 1 - 1 |
셰리프 티라스폴 (몰도바) | 2 - 1 | 죄네스 에슈 (룩셈부르크) | 2 - 0 | 0 - 1 |
WIT 조지아 (조지아) | 5 - 3 | HB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 | 5 - 0 | 0 - 3 |
슬리마 원더러스 (몰타) | 1 - 6 | FBK 카우나스 (리투아니아) | 0 - 2 | 1 - 4 |
시로키브리예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 - 2 (원정 다득점) | 네프치 바쿠 (아제르바이잔) | 2 - 1 | 0 - 1 |
고멜 (벨라루스) | 1 - 2 | KF 티라나 (알바니아) | 0 - 2 | 1 - 0 |
4. 2. 2차 예선전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과 함께, UEFA 협회 랭킹 17위부터 28위까지 리그 우승 12개 팀, 그리고 협회 랭킹 10위부터 15위까지 리그 준우승 6개 팀이 2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총 28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합계 점수가 높은 1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한다.1차전은 2004년 7월 28일과 29일에, 2차전은 8월 4일과 5일에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ARM) 퓨닉 | 1–4 | (UKR) 샤흐타르 도네츠크 | 1–3 | 0–1 |
(CYP) APOEL | 3–4 | (CZE) 스파르타 프라하 | 2–2 | 1–2 |
(NOR) 로센보르그 | 4–1 | (MDA) 셰리프 티라스폴 | 2–1 | 2–0 |
(SUI) 영 보이스 | 2–5 | (SCG)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2–2 | 0–3 |
(SVN) 고리차 | 6–2 | (DEN) 쾨벤하운 | 1–2 | 5–0 |
(AZE) 네프치 바쿠 | 0–2 | (RUS) CSKA 모스크바 | 0–0 | 0–2 |
(SVK) 질리나 | 0–2 | (ROU) 디나모 부쿠레슈티 | 0–1 | 0–1 |
(FIN) HJK 헬싱키 | 0–1 | (ISR) 마카비 텔아비브 | 0–0 | 0–1 |
(LVA) 스콘토 | 1–4 | (TUR) 트라브존스포르 | 1–1 | 0–3 |
(BEL) 클뤼프 브뤼허 | 6–0 | (BUL) 로코모티브 플로브디프 | 2–0 | 4–0 |
(ALB) 티라나 | 3–3 (a) | (HUN) 페렌츠바로시 | 2–3 | 1–0 |
(CRO) 하이두크 스플리트 | 3–4 | (IRL) 셸번 | 3–2 | 0–2 |
(SWE) 유르고르덴 | 2–0 | (LTU) FBK 카우나스 | 0–0 | 2–0 |
(GEO) WIT 조지아 | 2–11 | (POL) 비스와 크라쿠프 | 2–8 | 0–3 |
4. 3. 3차 예선전
2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클럽과 함께 UEFA 랭킹에 따라 새로 합류한 18개 클럽, 총 32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1차전은 8월 10일과 11일에, 2차전은 8월 24일과 25일에 열렸다.3차 예선전에 새로 참가하는 팀들의 자격 기준은 다음과 같다:
- UEFA 랭킹 11위부터 16위까지 리그 우승팀 (6팀)
- UEFA 랭킹 7위부터 9위까지 리그 준우승팀 (3팀)
- UEFA 랭킹 1위부터 6위까지 리그 3위팀 (6팀)
- UEFA 랭킹 1위부터 3위까지 리그 4위팀 (3팀)
각 경기 승자는 조별 리그에 진출하고, 패자는 UEFA컵 1라운드로 진출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GAK | 1–2 | 리버풀 | 0–2 | 1–0 |
유벤투스 | 6–3 | 유르고르덴 | 2–2 | 4–1 |
페렌츠바로시 | 1–2 | 스파르타 프라하 | 1–0 | 0–2 (연장) |
로센보르그 | 5–3 | 마카비 하이파 | 2–1 | 3–2 (연장) |
바이어 레버쿠젠 | 6–2 | 바닉 오스트라바 | 5–0 | 1–2 |
CSKA 모스크바 | 3–2 | 레인저스 | 2–1 | 1–1 |
샤흐타르 도네츠크 | 6–3 | 클뤼프 브뤼허 | 4–1 | 2–2 |
디나모 키예프 | 3–2 | 트라브존스포르 | 1–2 | 2–0 |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3–7 | PSV 에인트호번 | 3–2 | 0–5 |
디나모 부쿠레슈티 | 1–5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2 | 0–3 |
바젤 | 2–5 | 인테르나치오날레 | 1–1 | 1–4 |
벤피카 | 1–3 | 안데를레흐트 | 1–0 | 0–3 |
셸번 | 0–3 | 데포르티보 | 0–0 | 0–3 |
PAOK | 0–4 | 마카비 텔아비브 | 0–31 | 0–1 |
고리차 | 0–9 | AS 모나코 | 0–3 | 0–6 |
비스와 크라쿠프 | 1–5 | 레알 마드리드 | 0–2 | 1–3 |
'''주석:'''1 PAOK는 마카비 텔아비브와의 1차전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마카비 텔아비브의 2-1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5. 조별 리그 결과
3차 예선전 승리팀 16팀과 UEFA 리그 랭킹 상위 10개 협회의 리그 우승팀 10팀, 상위 6개 협회의 리그 준우승팀 6팀을 합한 총 32개 팀이 조별 리그에 참가한다. 32개 팀은 4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며, 각 조 3위 팀은 UEFA컵 3라운드(32강)로 이동한다. 마카비 텔아비브는 이 시즌에 처음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만약 조별 리그 종료 후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다득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조별 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총 득점
# 해당 시즌 시작 시점의 UEFA 클럽 계수
조별 리그 순위 표기 범례 |
---|
16강 토너먼트 진출팀 (굵은 글씨) |
UEFA컵 3라운드 진출팀 ('굵은 기울임꼴') |
조별 리그 탈락팀 (기울임꼴) |
5. 1. A조
날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04년 9월 15일 | 데포르티보 | 0–0 | 올림피아코스 |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
2004년 9월 15일 | 리버풀 | 2–0 | AS 모나코 | 안필드 |
2004년 9월 28일 | 올림피아코스 | 1–0 | 리버풀 | 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
2004년 9월 28일 | AS 모나코 | 2–0 | 데포르티보 | 스타드 루이 II |
2004년 10월 19일 | AS 모나코 | 2–1 | 올림피아코스 | 스타드 루이 II |
2004년 10월 19일 | 리버풀 | 0–0 | 데포르티보 | 안필드 |
2004년 11월 3일 | 올림피아코스 | 1–0 | AS 모나코 | 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
2004년 11월 3일 | 데포르티보 | 0–1 | 리버풀 |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
2004년 11월 23일 | AS 모나코 | 1–0 | 리버풀 | 스타드 루이 II |
2004년 11월 23일 | 올림피아코스 | 1–0 | 데포르티보 | 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
2004년 12월 8일 | 리버풀 | 3–1 | 올림피아코스 | 안필드 |
2004년 12월 8일 | 데포르티보 | 0–5 | AS 모나코 |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
'''승점 동률 시 순위 결정 기준:'''
# 해당 팀 간의 승자승 승점
# 해당 팀 간의 승자승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승자승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전체 골득실
# 조별 리그 전체 다득점
# UEFA 계수
- '''굵은 글씨'''로 표시된 팀은 결선 토너먼트 진출팀이다.
- '''''굵은 기울임꼴'''''로 표시된 팀은 2004-05년 UEFA컵 32강 진출팀이다.
- ''기울임꼴''로 표시된 팀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이다.
5. 2. B조
B조에는 독일의 '''바이어 레버쿠젠''',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키예프''''', 그리고 이탈리아의 ''AS 로마''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바이어 레버쿠젠'''과 '''레알 마드리드'''가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위를 기록한 '''''디나모 키예프'''''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했고, ''AS 로마''는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최종 순위''' (요약 정보 기반)
# '''바이어 레버쿠젠''' (16강 진출)
# '''레알 마드리드''' (16강 진출)
# '''''디나모 키예프''''' (UEFA컵 3라운드 진출)
# ''AS 로마'' (탈락)
- 참고: 원본 소스에는 B조의 상세 경기 결과 및 최종 순위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제공된 요약 정보를 바탕으로 결과를 기술함.*
5. 3. C조
C조에는 이탈리아의 유벤투스, 독일의 바이에른 뮌헨, 네덜란드의 아약스,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유벤투스'''와 '''바이에른 뮌헨'''이 16강에 진출하였고, '''''아약스'''''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하였다. ''마카비 텔아비브''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5. 4. D조
D조에는 올랭피크 리옹(프랑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잉글랜드), 페네르바흐체(터키), 스파르타 프라하(체코)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올랭피크 리옹'''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16강에 진출하였고, '''''페네르바흐체'''''는 UEFA컵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스파르타 프라하''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5. 5. E조
E조에는 아스널 (잉글랜드), PSV 에인트호번 (네덜란드), 파나티나이코스 (그리스), 로센보르그 (노르웨이)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아스널과 PSV 에인트호번이 16강에 진출하였고, 3위를 차지한 파나티나이코스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하였다. 로센보르그는 조 4위로 탈락하였다.5. 6. F조
날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
2004년 9월 14일 | -- 샤흐타르 도네츠크 | 0–1 | -- AC 밀란 | 샤흐타르 스타디움 |
2004년 9월 14일 | -- 셀틱 | 1–3 | -- 바르셀로나 | 셀틱 파크 |
2004년 9월 29일 | -- 바르셀로나 | 3–0 | -- 샤흐타르 도네츠크 | 캄 노우 |
2004년 9월 29일 | -- AC 밀란 | 3–1 | -- 셀틱 | 산 시로 |
2004년 10월 20일 | -- AC 밀란 | 1–0 | -- 바르셀로나 | 산 시로 |
2004년 10월 20일 | -- 샤흐타르 도네츠크 | 3–0 | -- 셀틱 | 샤흐타르 스타디움 |
2004년 11월 2일 | -- 바르셀로나 | 2–1 | -- AC 밀란 | 캄 노우 |
2004년 11월 2일 | -- 셀틱 | 1–0 | -- 샤흐타르 도네츠크 | 셀틱 파크 |
2004년 11월 24일 | -- AC 밀란 | 4–0 | -- 샤흐타르 도네츠크 | 산 시로 |
2004년 11월 24일 | -- 바르셀로나 | 1–1 | -- 셀틱 | 캄 노우 |
2004년 12월 7일 | -- 샤흐타르 도네츠크 | 2–0 | -- 바르셀로나 | 샤흐타르 스타디움 |
2004년 12월 7일 | -- 셀틱 | 0–0 | -- AC 밀란 | 셀틱 파크 |
5. 7. G조
G조에는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베르더 브레멘 (독일), 발렌시아 (스페인), 안데를레흐트 (벨기에)가 편성되었다.조별 리그 결과, '''인테르나치오날레'''와 '''베르더 브레멘'''이 16강에 진출했고, '''''발렌시아'''''는 UEFA컵 3라운드로 진출했다. ''안데를레흐트''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5. 8. H조
H조에는 잉글랜드의 첼시, 포르투갈의 포르투TH, 러시아의 CSKA 모스크바, 프랑스의 파리 생제르맹이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첼시와 포르투가 16강에 진출하였고, CSKA 모스크바는 UEFA컵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6. 토너먼트 결과
대회 일정은 다음과 같다(모든 추첨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열린다).[10]
단계 | 라운드 | 추첨 날짜 | 1차전 | 2차전 |
---|---|---|---|---|
예선 | 1차 예선 | 2004년 6월 25일 | 2004년 7월 13–14일 | 2004년 7월 21일 |
2차 예선 | 2004년 7월 27–28일 | 2004년 8월 4일 | ||
3차 예선 | 2004년 7월 30일 | 2004년 8월 10–11일 | 2004년 8월 24–25일 | |
조별 리그 | 1경기 | 2004년 8월 26일 (모나코) | 2004년 9월 14–15일 | |
2경기 | 2004년 9월 28–29일 | |||
3경기 | 2004년 10월 19–20일 | |||
4경기 | 2004년 11월 2–3일 | |||
5경기 | 2004년 11월 23–24일 | |||
6경기 | 2004년 12월 7–8일 | |||
토너먼트 | 16강 | 2004년 12월 17일 | 2005년 2월 22–23일 | 2005년 3월 8–9일 (인테르의 홈 경기는 AC 밀란과의 경기장 충돌로 인해 1주일 뒤인 2005년 3월 15일로 재조정되었다.) |
8강 | 2005년 3월 18일 | 2005년 4월 5–6일 | 2005년 4월 12–13일 | |
준결승 | 2005년 4월 26–27일 | 2005년 5월 3–4일 | ||
결승 | 2005년 5월 25일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이스탄불 |
6. 1. 16강전
16강 대진 추첨은 2004년 12월 17일에 진행되었다.[10] 1차전은 2005년 2월 22일과 23일에, 2차전은 2005년 3월 8일과 9일에 열렸다. 단, 인테르나치오날레의 홈 경기는 AC 밀란과의 경기장 중복 문제로 인해 1주일 뒤인 2005년 3월 15일에 치러졌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레알 마드리드 | 1–2 | 유벤투스 | 1–0 | 0–2 (연장) |
리버풀 | 6–2 | 바이어 레버쿠젠 | 3–1 | 3–1 |
PSV 에인트호번 | 3–0 | AS 모나코 | 1–0 | 2–0 |
바이에른 뮌헨 | 3–2 | 아스널 | 3–1 | 0–1 |
바르셀로나 | 4–5 | 첼시 | 2–1 | 2–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0–2 | AC 밀란 | 0–1 | 0–1 |
베르더 브레멘 | 2–10 | 올랭피크 리옹 | 0–3 | 2–7 |
포르투 | 2–4 | 인테르나치오날레 | 1–1 | 1–3 |
6. 2. 8강전
(2–4 승)(몰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