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동아시아, 서아시아 등 14개 국가의 리그 우승팀과 컵대회 우승팀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예선은 각 조 1위 팀이 8강에 진출했으며, 8강전부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승자를 가렸다. 결승전에서는 알이티하드가 알 아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 아인 FC가 BEC 테로 사사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상위 14개국 리그/컵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전북 현대 모터스가 알 카라마 SC를 꺾고 우승한 국제 클럽 축구 대회이다.
  • 2005년 축구 -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여 시드니 FC가 우승을 차지한 클럽 대항전이다.
  • 2005년 축구 - 2004-05년 UEFA컵
    2004-05년 UEFA컵은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를 거쳐 CSKA 모스크바가 스포르팅 CP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AFC 챔피언스리그
연도2005년
개최 기간2005년 3월 9일 - 2005년 11월 5일
참가 팀 수29
경기 수98
총 득점286
이전 시즌2004
다음 시즌2006
우승
우승 팀알 이티하드
우승 횟수2회
준우승
준우승 팀알 아인
개인 수상
득점왕모하메드 칼론 (6골)
최우수 선수모하메드 누르

2. 대회 방식

조별 예선은 총 28개 팀이 7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1위 팀만이 8강에 진출했다. 동아시아 지역은 12개 팀이 3개 조, 서아시아 지역은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1]

8강전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승자를 가렸다. 지난 대회 우승 팀은 8강에 자동 진출했다. 8강 대진은 추첨으로 정해졌는데, 같은 국가 소속 클럽끼리는 8강에서 만나지 않도록 조정되었다.[1]

조별 리그에서는 총 28개 클럽이 7개의 조로 나뉘었으며, 각 조에는 4개 팀이 배정되었다.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클럽은 E조부터 G조에, 나머지 클럽은 A조부터 D조에 배정되었다. 각 클럽은 같은 조의 다른 3개 팀과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총 6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획득했다. 클럽 순위는 승점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동점 시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1]


  • 해당 클럽 간의 승점
  • 해당 클럽 간의 골득실차
  • 해당 클럽 간의 득점
  • 조 내 승점
  • 조 내 골득실차
  • 조 내 득점


7개 조의 우승팀과 전년도 우승팀이 8강에 진출했다.[1]

토너먼트 라운드에서는 8개 클럽이 무작위로 대진을 결정했다. 단, 같은 국적의 클럽은 8강에서 서로 맞붙을 수 없다는 제약 조건이 있었다. 경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2차전으로 진행되었으며, 합산 점수로 승자를 결정했다. 합산 점수로 승자를 가릴 수 없는 경우,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다.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진행했고, 연장전에서도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다.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1]

출전 쿼터
전 대회 우승 클럽1





동아시아
협회출전 쿼터
대한민국2
일본2
중국2
인도네시아2
태국2
베트남2
합계참가 협회: 612



AFC 소속 국가별 랭킹 상위 14개 국가 및 지역의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이 출전했다.[1]

3. 참가 팀

서아시아동아시아
8강
진출 자격진출 자격
알이티하드전년도 우승팀
조별 리그
진출 자격진출 자격
PAS 테헤란2003-04 이란 프로 리그 우승 선전 젠리바오2004 중국 슈퍼 리그 우승
세파한2003-04 하즈피 컵 우승 산둥 루넝 타이산2004 중국 FA컵 우승
알자우라2003-04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중부 그룹 1 플레이오프 승자 페르세바야 수라바야2004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우승
알 쇼르타2003-04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중부 그룹 2 플레이오프 승자 PSM 마카사르2004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준우승
알 살미야2003-04 쿠웨이트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1] 요코하마 F. 마리노스2004 J1리그 우승
쿠웨이트 SC2004 쿠웨이트 에미르컵 준우승[1] 주빌로 이와타2003 천황배 우승
알 사드2003-04 카타르 스타 리그 우승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4 K리그 우승
알 라이얀2003-04 카타르 국왕컵 우승 부산 아이파크2004 대한민국 FA컵 우승
알 샤밥2003-04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우승 크룽타이 뱅크2003-04 타이 리그 우승
알 아흘리2004 사우디 크라운 프린스컵 준우승 BEC-테로 사사나2003-04 타이 리그 준우승
알 와흐다2003-04 시리아 프리미어 리그 우승 호앙 아인 잘라이2004 V-리그 우승
알 자이시2003-04 시리아 컵 우승 빈딘2004 베트남 컵 우승
알 아인2003-04 UAE 풋볼 리그 우승
알 아흘리2003-04 UAE 대통령컵 우승
파흐타코르2004 우즈베키스탄 리그 우승 및
2004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
네프치 페르가나2004 우즈베키스탄 리그 준우승



; 참고


  • 이라크: 안전 문제와 일정 문제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어 플레이오프를 통해 알자우라와 알 쇼르타가 참가했다.
  • 쿠웨이트: 2003-04 쿠웨이트 프리미어 리그 우승팀과 2004 쿠웨이트 에미르컵 우승팀인 알 카디시야는 지난 대회에서 경비원이 상대 선수들을 공격하여 AFC로부터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 이로 인해 각 대회 준우승팀이 출전하게 되었다.[1]
  • 사우디아라비아: 2004 사우디 크라운 프린스컵 우승팀인 알이티하드가 전년도 챔피언 자격으로 이미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어 2004 사우디 크라운 프린스컵 준우승팀 알 아흘리가 대신 참가했다.

4. 조별 예선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 소속 국가별 랭킹 상위 14개 국가 및 지역의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이 출전했다. 동부 지역(동아시아, 동남아시아)에서는 12개 팀을 3개 조로, 서부 지역(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중동)에서는 16개 팀을 4개 조로 나누어 조별 예선을 진행했다. 각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풀 리그를 진행했으며, 각 조 1위 팀만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조별 예선 결과, 서아시아 지역에서는 A조 이란파스 테헤란(5승 1무), B조 아랍에미리트알아인(4승 1무 1패), C조 카타르알사드(4승 2패), D조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5승 1패)가 각 조 1위를 차지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E조 중국선전 젠리바오대한민국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승점은 같았으나 골득실에서 앞서 1위(4승 1무 1패)를 차지했다. F조에서는 중국의 산둥 루넝이 6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G조에서는 대한민국부산 아이파크가 6전 전승, 25득점 무실점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며 K리그 팀 중 유일하게 8강에 진출했다.

4. 1. A조

پاس تهران|파스 테헤란fa이 5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166510124+8
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9630389-1
알라이얀 (الريانar)7621367-1
알쇼르타 (الشرطةar)2602428-6



경기일팀 1점수팀 2
2005년 3월 9일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2–1알라이얀 (الريانar)
2005년 3월 9일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3–1알쇼르타 (الشرطةar)
2005년 3월 15일알쇼르타 (الشرطةar)1–1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
2005년 3월 16일알라이얀 (الريانar)2–1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
2005년 4월 6일알라이얀 (الريانar)2–0알쇼르타 (الشرطةar)
2005년 4월 6일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5–1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
2005년 4월 19일알쇼르타 (الشرطةar)0–0알라이얀 (الريانar)
2005년 4월 20일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0–1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
2005년 5월 10일알쇼르타 (الشرطةar)0–1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
2005년 5월 11일알라이얀 (الريانar)1–2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
2005년 5월 25일파스 테헤란 (پاس تهرانfa)1–0알쇼르타 (الشرطةar)
2005년 5월 25일알살미야 (نادي السالميةar)2–0알라이얀 (الريانar)


4. 2. B조

B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의 알아인 FC가 4승 1무 1패, 승점 13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하였다.[1] 이란의 세파한은 3승 2무 1패, 승점 11점으로 2위를 기록했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샤바브는 3승 1무 2패, 승점 10점으로 3위, 시리아의 알와흐다는 6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일팀 1점수팀 2
2005년 3월 9일알아인3–0알와흐다
2005년 3월 9일알샤바브1–1세파한
2005년 3월 16일알와흐다1–2알샤바브
2005년 3월 16일세파한1–1알아인
2005년 4월 6일알와흐다1–3세파한
2005년 4월 6일알아인3–0알샤바브
2005년 4월 20일알샤바브1–0알아인
2005년 4월 20일세파한2–0알와흐다
2005년 5월 11일알와흐다2–3알아인
2005년 5월 11일세파한1–0알샤바브
2005년 5월 25일알아인3–2세파한
2005년 5월 25일알샤바브3–1알와흐다


4. 3. C조

카타르의 알사드가 4승 2패, 승점 12점으로 C조 1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1]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알사드12640286+2
네프치 페르가나9630387+1
알쿠웨이트7621356-1
알아흘리76213810-2



경기 날짜팀 1결과팀 2
2005년 3월 9일네프치 페르가나1–0알쿠웨이트
2005년 3월 9일알사드2–0알아흘리
2005년 3월 16일알쿠웨이트0–1알사드
2005년 3월 16일알아흘리3–0네프치 페르가나
2005년 4월 6일네프치 페르가나2–0알사드
2005년 4월 6일알쿠웨이트1–0알아흘리
2005년 4월 20일알아흘리3–3알쿠웨이트
2005년 4월 20일알사드3–2네프치 페르가나
2005년 5월 11일알쿠웨이트1–0네프치 페르가나
2005년 5월 11일알아흘리2–1알사드
2005년 5월 25일네프치 페르가나3–0 (몰수)알아흘리
2005년 5월 25일알사드1–0알쿠웨이트



알아흘리가 네프치 페르가나와의 원정 경기에 출전하지 않아 네프치 페르가나의 3-0 몰수승으로 처리되었다.[1]

4. 4. D조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가 5승 1패, 승점 15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 우즈베키스탄의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는 3승 3패, 승점 9점으로 조 2위를 기록했다. 이라크의 알자우라는 2승 1무 3패, 승점 7점으로 조 3위, 시리아의 알자이시는 1승 1무 4패, 승점 4점으로 조 4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알아흘리156501185+13
파흐타코르 타슈켄트9630398+1
알자우라76213613-7
알자이시46114714-7



D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일팀 1결과팀 2
2005년 3월 8일알자우라1-2알아흘리
2005년 3월 9일알자이시0-2파흐타코르
2005년 3월 16일알아흘리3-1알자이시
2005년 3월 16일파흐타코르1-2알자우라
2005년 4월 5일알자우라1-5알자이시
2005년 4월 6일알아흘리3-0파흐타코르
2005년 4월 20일파흐타코르2-1알아흘리
2005년 4월 20일알자이시0-0알자우라
2005년 5월 11일알아흘리5-1알자우라
2005년 5월 11일파흐타코르4-1알자이시
2005년 5월 24일알자우라1-0파흐타코르
2005년 5월 25일알자이시0-4알아흘리


4. 5. E조

대한민국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중국의 선전 젠리바오가 승점 13점으로 동률을 이뤘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선전 젠리바오가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조 2위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13641193+6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136411143+11
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96303114+7
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06006125-24



경기일팀 1점수팀 2
2005년 3월 9일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1–0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
2005년 3월 9일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1–5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
2005년 3월 16일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6–0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
2005년 3월 16일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0–0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
2005년 4월 6일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5–0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
2005년 4월 6일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0–1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
2005년 4월 20일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2–1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
2005년 4월 20일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0–2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
2005년 5월 11일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3–0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
2005년 5월 11일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6–0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
2005년 5월 25일深圳健力宝|선전 젠리바오중국어1–0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한국어
2005년 5월 25일Hoàng Anh Gia Lai|호앙아인 자라이vi0–1ジュビロ磐田|주빌로 이와타일본어


4. 6. F조

F조에서는 중국의 산둥 루넝이 6전 전승으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조 1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1]

경기일팀 1점수팀 2
2005년 3월 9일BEC 테로 사사나0–1PSM 마카사르
2005년 3월 9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0–1산둥 루넝
2005년 3월 16일PSM 마카사르0–2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5년 3월 16일산둥 루넝1–0BEC 테로 사사나
2005년 4월 6일PSM 마카사르0–1산둥 루넝
2005년 4월 6일BEC 테로 사사나1–2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5년 4월 20일산둥 루넝6–1PSM 마카사르
2005년 4월 20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2–0BEC 테로 사사나
2005년 5월 11일PSM 마카사르2–2BEC 테로 사사나
2005년 5월 11일산둥 루넝2–1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5년 5월 25일BEC 테로 사사나0–4산둥 루넝
2005년 5월 25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3–0PSM 마카사르


4. 7. G조



대한민국부산 아이파크가 6전 전승, 25득점 무실점이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부산 아이파크는 조별 예선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K리그 팀 중 유일하게 8강에 진출, 한국 축구의 자존심을 세웠다.

5. 8강전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알아흘리3-4선전 젠리바오2-11-3 (연장)
산둥 루넝3-8알이티하드 FC1-17-2
부산 아이파크5-1알사드3-02-1
알아인 FC4-4파스1-13-3



8강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차전은 2005년 9월 14일에, 2차전은 2005년 9월 21일에 열렸다.[1]


  • '''선전 젠리바오'''(중국)는 알아흘리(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합계 4-3으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 '''알이티하드'''(사우디아라비아)는 산둥 루넝(중국)과의 경기에서 합계 8-3으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 '''부산 아이파크'''(대한민국)는 알사드(카타르)와의 경기에서 합계 5-1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 '''알아인'''(아랍에미리트)은 파스(이란)와 합계 4-4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준결승에 진출했다.

6. 준결승전

2005년 9월 28일, 부산 아이파크는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알이티하드 FC를 상대로 홈 1차전을 치렀으나 0-5로 크게 졌다.[1] 알이티하드의 알오타이비, 칼론, 체코, 카리리, 이드리스가 득점했다.[1]

같은 날 알 아인은 타흐눈 빈 모하메드 스타디움에서 선전 젠리바오를 상대로 홈 1차전을 치러 6-0 대승을 거두었다. 알 아인의 카터가 2골, 느워하가 3골, 셰합 아흐메드가 1골을 기록했다.

2005년 10월 12일, 선전 젠리바오는 선전 경기장에서 알 아인을 상대로 홈 2차전을 치렀으나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결국 알 아인이 합계 6-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알이티하드 FC는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에서 부산 아이파크를 상대로 홈 2차전을 치러 2-0으로 승리했다. 알이티하드 FC의 칼론이 2골을 기록했다. 결국 알이티하드 FC가 합계 7-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7. 결승전

الاتحادar알아인 FC을 1, 2차전 합계 5-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차전은 2005년 10월 26일에 알 아인의 홈구장인 타눈 빈 모하메드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알리 므사리(علي مسريar)가 득점하여 알 아인이 앞서갔으나, 칼론이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은 2005년 11월 5일에 알이티하드의 홈구장인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칼론, 누르, 잡, 알-도키가 득점하여 알이티하드가 앞서갔고, 셰하브 아흐메드, 테하다가 득점하였으나, 결국 알이티하드가 4-2로 승리했다.[1] 이로써 الاتحادar는 2004년에 이어 2년 연속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알이티하드 FC
2번째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