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2006년에 개최된 아시아 클럽 축구 대회로,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예선은 28개 팀이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으며, 각 조 1위 팀과 전년도 우승 팀이 8강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전북 현대 모터스가 알카라마 SC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 아인 FC가 BEC 테로 사사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 소속 국가 상위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알이티하드 FC가 알아인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알이티하드는 전년도 우승팀 자격으로 8강에 자동 진출하여 2년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 2006년 축구 - 2006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의 우승, 카드 남발 논란, 그리고 팬 페스트의 성공으로 기억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6년 축구 - 2006년 AFC 챌린지컵
2006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저변 확대를 위해 AFC가 주최하고 방글라데시에서 단독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타지키스탄이 스리랑카를 꺾고 우승했으며 팔레스타인의 파헤드 아탈이 득점왕, 타지키스탄의 이브라힘 라비모프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챔피언스리그 |
연도 | 2006 |
기간 | 2006년 3월 8일 - 2006년 11월 8일 |
참가 팀 수 | 25 |
참가 연맹 | AFC |
우승팀 | 전북 현대 모터스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알-카라마 |
총 경기 수 | 78 |
총 득점 수 | 250 |
최다 득점자 | 마그노 알베스 (8골) |
최우수 선수 | 최진철 |
이전 시즌 | 2005 |
다음 시즌 | 2007 |
2. 대회 방식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조별 리그와 8강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는 28개 팀이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만이 8강전에 진출했다. 동부 지역은 12개 팀이 3개 조, 서부 지역은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8강전은 토너먼트 및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예선 1위 7개 팀과 지난 대회 우승팀인 알이티하드가 8강에 진출했다.
2. 1. 규칙 (참고)
조별 리그에서는 총 28개 클럽이 지역별로 4개 팀씩 7개 조로 나뉘었다. 각 클럽은 같은 조의 다른 세 팀과 더블 라운드 로빈(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6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받았다. 클럽은 점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졌다. 두 팀 이상이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의 타이브레이크 기준이 적용되었다.[1]# 해당 클럽 간의 승점
# 해당 클럽 간의 골득실차
# 해당 클럽 간의 다득점
# 조 내 승점
# 조 내 골득실차
# 조 내 다득점
7개 조의 우승팀과 디펜딩 챔피언은 8강전에 진출했다.
토너먼트 라운드에서 8개 클럽은 무작위로 대진이 결정되었다. 단, 같은 국가의 클럽은 8강전에서 서로 대결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었다.[1] 경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2차전으로 진행되었으며, 합산 점수가 승자를 결정했다. 합산 점수가 동점일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다. 그래도 동점일 경우, 클럽들은 연장전을 치렀고, 여기서도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다. 그래도 동점일 경우, 경기는 승부차기로 진행되었다.[1]
3. 참가 팀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총 29개 팀이 참가했으며, 서아시아 지역 8개국에서 16개 팀, 동아시아 지역 6개국에서 12개 팀이 참가했다. 지난 대회 우승 팀인 알이티하드는 8강에 자동 진출했다.
출전권 | |
---|---|
-- | 전 대회 우승 클럽 |
서아시아 | 동아시아 | ||
---|---|---|---|
협회 | 출전권 | 협회 | 출전권 |
사우디아라비아 | 2 | 대한민국 | 2 |
아랍에미리트 | 2 | 일본 | 2 |
이란 | 2 | 중국 | 2 |
카타르 | 2 | 베트남 | 2 |
우즈베키스탄 | 2 | 인도네시아 | 2 |
이라크 | 2 | 태국 | 2 |
쿠웨이트 | 2 | ||
시리아 | 2 | ||
합계 | 참가 협회: 8, 16개 팀 | 합계 | 참가 협회: 6, 12개 팀 |
인도네시아의 페르시푸라 자야푸라와 아레마 말랑, 태국의 TTM FC와 PEA FC는 선수 등록 양식을 제때 제출하지 못해 AFC에 의해 대회에서 실격되었다.
3. 1. 지역별 참가 팀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이 8강에 진출했다.A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알 카디시야 | 11 | 6 | 3 | 2 | 1 | 9 | 11 | -2 |
파흐타코르 | 10 | 6 | 3 | 1 | 2 | 11 | 7 | +4 |
알 이티하드 | 8 | 6 | 2 | 2 | 2 | 6 | 7 | -1 |
풀라드 | 4 | 6 | 1 | 1 | 4 | 8 | 9 | -1 |
- 알 카디시야는 3승 2무 1패, 9득점 11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C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알샤바브 | 13 | 6 | 4 | 1 | 1 | 9 | 6 | +3 |
알사드 | 13 | 6 | 4 | 1 | 1 | 13 | 5 | +8 |
알쿠와 알자위야 | 6 | 6 | 2 | 0 | 4 | 5 | 9 | -4 |
알아라비 | 3 | 6 | 1 | 0 | 5 | 5 | 12 | -7 |
- 알샤바브는 4승 1무 1패, 9득점 6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E조
- 전북 현대 모터스는 4승 1무 1패, 11득점 5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F조와 G조인도네시아와 태국 클럽들의 실격으로 인해 F조와 G조는 각각 2팀만으로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3. 1. 1. 서아시아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 서아시아 지역 조별 리그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국가 | 팀 |
---|---|
사우디아라비아 | 알힐랄, 알샤바브 |
아랍에미리트 | 알아인, 알와흐다 |
이란 | 풀라드, 사바 배터리 |
카타르 | 알가라파, 알사드 |
우즈베키스탄 | 파흐타코르, 마슈알 |
이라크 | 알쿠와 알자위야, 알미나 |
쿠웨이트 | 카디시야, 알아라비 |
시리아 | 알이티하드, 알카라마 |
B조 경기 결과
- 알아인은 4승 1무 1패, 10득점 6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 알힐랄은 3승 1무 2패, 12득점 7실점으로 조 2위를 기록했다.
- 마슈알은 2승 2무 2패, 7득점 11실점으로 조 3위를 기록했다.
- 알미나는 2무 4패, 6득점 11실점으로 조 4위를 기록했다.
D조 경기 결과
- 알카라마는 4승 2패, 10득점 11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 사바 배터리는 3승 1무 2패, 13득점 8실점으로 조 2위를 기록했다.
- 알와흐다는 2승 1무 3패, 14득점 15실점으로 조 3위를 기록했다.
- 알가라파는 2승 4패, 11득점 14실점으로 조 4위를 기록했다.
3. 1. 2. 동아시아
(이전 출전)2005 중국 FA컵 우승
2005 베트남 컵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