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종목은 2006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의 축구 여자부 경기를 의미한다. 이 대회에는 일본, 중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8개 팀이 참가했다. 조별 예선 결과, 일본과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이 각각 준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일본은 은메달, 중국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한돤은 7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카타르에서 개최되었으며, 카타르가 이라크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4강에서 패해 동메달 결정전에서 이란에 패하여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 |
---|---|
대회 정보 | |
종목 | 축구 여자 |
대회 | 2006년 하계 아시안 게임 |
개최지 | 도하 |
경기장 | 알-아라비 스타디움 알-가라파 스타디움 알-라이얀 스타디움 카타르 SC 스타디움 |
기간 | 2006년 11월 30일 ~ 12월 13일 |
참가국 | 8 |
참가 선수 | 143 |
메달 정보 |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02 |
다음 대회 | 2010 |
관련 문서 | |
본 대회 | Football at the 2006 Asian Games |
남자 토너먼트 | 남자 |
여자 토너먼트 | 여자 |
남자 선수 명단 | 남자 |
여자 선수 명단 | 여자 |
2. 참가 팀 명단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종목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여자 팀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
모든 경기 시간은 아라비아 표준시(UTC+03:00)를 따른다.
3. 경기 결과
3. 1. 조별 예선
3. 1. 1. A조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A조에는 일본, 중국, 태국, 요르단이 편성되었다.
일본은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요르단은 3전 전패를 기록하며 최하위로 탈락했다.
- 2006년 11월 30일 17:15 (UTC+9)
- * 일본 13 – 0 요르단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 득점: 야나기타 (16', 71'), 미야마 (20'), 스도 (32'), 아라카와 (34'), 사카구치 (49', 54', 65', 77', 81'), 사와 (78', 90'), 사카이 (85')
- * 관중: 251명
- * 주심: 리홍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6년 11월 30일 19:45 (UTC+9)
- * 중국 7 – 0 태국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 득점: 왕쿤 (3'), 한돤 (7', 21', 45'), 위안판 (41', 53'), 왕단단 (73')
- * 관중: 262명
- * 주심: 벤틀라 디코스 (인도)
- 2006년 12월 4일 17:15 (UTC+9)
- * 태국 0 – 4 일본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 * 득점: 사카구치 (42'), 오노 (65'), 아라카와 (77'), 안도 (90')
- * 관중: 130명
- * 주심: 홍은아 (대한민국)
- 2006년 12월 4일 19:45 (UTC+9)
- * 요르단 0 – 12 중국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 * 득점: 한돤 (9', 15', 45+2', 47'), 런리핑 (22', 35'), 왕쿤 (26', 39'), 알조게이르 (28', 자책골), 리제 (65'), 마샤오쉬 (68', 73')
- * 관중: 52명
- * 주심: 크리스티나 소콜라이 (오스트레일리아)
- 2006년 12월 7일 19:45 (UTC+9)
- * 중국 0 – 1 일본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 * 득점: 이와시미즈 (27')
- * 관중: 1,198명
- * 주심: 홍은아 (대한민국)
- 2006년 12월 7일 19:45 (UTC+9)
- * 요르단 0 – 5 태국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 득점: 창쁠룩 (27'), 깨오밴 (39'), 차웡 (48'), 뺑템 (70', 83')
- * 관중: 157명
- * 주심: 덩쥔샤 (중국)
3. 1. 2. B조
B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베트남이 편성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이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3 | 3 | 0 | 0 | 13 | 1 | +12 | 9 |
대한민국한국어 | 3 | 2 | 0 | 1 | 6 | 5 | +1 | 6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3 | 1 | 0 | 2 | 3 | 7 | −4 | 3 |
베트남vi | 3 | 0 | 0 | 3 | 2 | 11 | −9 | 0 |
2006년 11월 30일,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지소연의 두 골에 힘입어 중화 타이베이를 2-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길선희의 두 골과 리은경, 김경화, 리금숙의 골을 묶어 베트남을 5-0으로 대파했다.
12월 4일, 알라이얀의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김진희, 박희영, 김주희의 연속골로 베트남에 3-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경화의 두 골과 리은숙, 허순희의 골로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제압했다.
12월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알라이얀의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리금숙의 두 골, 김경화와 리은경의 골을 묶어 4-1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도하의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했다.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패했지만, 중화 타이베이와 베트남을 상대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3. 2. 결선 토너먼트
준결승 | ||||
---|---|---|---|---|
2006년 12월 10일 | 일본/日本일본어 | 3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
2006년 12월 1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연장전) | 3 | 중국/中国중국어 | |
3·4위전 | ||||
2006년 12월 13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0 | 중국/中国중국어 | |
결승 | ||||
2006년 12월 13일 | 일본/日本일본어 | 0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승부차기) |
2006년 12월 10일 16시(현지 시각)에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이와시미즈 아즈사, 야나기타 미유키, 나가사토 유키에게 연속으로 실점하며 박희영이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쳐 1-3으로 패배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오스트레일리아의 크리스티나 소콜라이가 맡았으며, 224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2006년 12월 10일 19시(현지 시각)에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과의 준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길선희, 리금숙, 리은경의 득점에 힘입어 왕단단이 한 골을 넣은 중국을 연장전 끝에 3-1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인도의 벤틀라 디코스가 맡았으며, 3,024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과의 3·4위전에서 0-2로 패배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경기는 2006년 12월 13일 16시 카타르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태국의 빤니빠르 깜능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다. 중국의 왕쿤은 이 경기에서 두 골을 기록했다.(40분, 66분) 당시 관중은 1,032명이였다.
2006년 12월 13일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결승전에서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맞붙었다. 양 팀은 연장전까지 0-0으로 팽팽하게 맞섰으나, 결국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리금숙, 리은경, 허순희, 정복심이 모두 성공시킨 반면, 일본은 사와와 안도가 실축하면서 4-2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하였다. 이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해당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경기는 뉴후이쥔 (중국) 심판이 주관하였고, 4,83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3. 2. 1. 준결승전
2006년 12월 10일 16시(현지 시각)에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이와시미즈 아즈사, 야나기타 미유키, 나가사토 유키에게 연속으로 실점하며 박희영이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쳐 1-3으로 패배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오스트레일리아의 크리스티나 소콜라이가 맡았으며, 224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2006년 12월 10일 19시(현지 시각)에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과의 준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길선희, 리금숙, 리은경의 득점에 힘입어 왕단단이 한 골을 넣은 중국을 연장전 끝에 3-1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인도의 벤틀라 디코스가 맡았으며, 3,024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3. 2. 2. 3·4위전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과의 3·4위전에서 0-2로 패배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경기는 2006년 12월 13일 16시 카타르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태국의 빤니빠르 깜능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다. 중국의 왕쿤은 이 경기에서 두 골을 기록했다.(40분, 66분) 당시 관중은 1,032명이였다.3. 2. 3. 결승전
2006년 12월 13일 도하의 카타르 SC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결승전에서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맞붙었다. 양 팀은 연장전까지 0-0으로 팽팽하게 맞섰으나, 결국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리금숙, 리은경, 허순희, 정복심이 모두 성공시킨 반면, 일본은 사와와 안도가 실축하면서 4-2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하였다. 이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해당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경기는 뉴후이쥔 (중국) 심판이 주관하였고, 4,83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4.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5 | 4 | 1 | 0 | 16 | 2 | +14 | 13 | ||
5 | 4 | 1 | 0 | 21 | 1 | +20 | 13 | ||
5 | 3 | 0 | 2 | 22 | 4 | +18 | 9 | ||
4 | 5 | 2 | 0 | 3 | 7 | 10 | −3 | 6 | |
5 | 3 | 1 | 0 | 2 | 3 | 7 | −4 | 3 | |
6 | 3 | 1 | 0 | 2 | 5 | 11 | −6 | 3 | |
7 | 3 | 0 | 0 | 3 | 2 | 11 | −9 | 0 | |
8 | 3 | 0 | 0 | 3 | 0 | 30 | −30 | 0 |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종목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중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5. 득점 선수
중국의 한돤이 7골로 득점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의 지소연과 박희영은 각각 2골을 기록했다.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