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6년 태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태풍은 2006년 한 해 동안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을 기록한 문서이다. 이 해에는 총 23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보다 적었지만, 5개의 강력한 태풍이 발생했다. 주요 태풍으로는 짠쯔, 에위니아, 빌리스, 사오마이, 이오케, 산산, 두리안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필리핀, 중국,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큰 피해를 입혔다. 특히 허리케인 이오케는 허리케인에서 태풍으로 변경된 특이한 사례로 기록되었으며, 두리안은 필리핀과 베트남에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혔다. 이로 인해 찬추, 빌리스, 사오미, 샹산, 두리안 등 여러 태풍의 이름이 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자연재해 - 2006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2006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알베르토, 우문다, 고든과 같은 주요 사이클론을 포함하며, 특히 알베르토는 플로리다에, 고든은 자메이카, 쿠바, 플로리다에 강풍과 폭우 피해를 입혔고, 우문다는 멕시코 해안에 폭풍 경보를 발령시켰다.
  • 2006년 자연재해 - 2006년 북한 홍수
    2006년 북한 홍수는 2006년 여름 북한에서 발생하여 수많은 사망자와 가옥 파괴를 일으킨 대규모 홍수 사태이다.
  • 2006년 태풍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태풍 - 태풍 우쿵 (2006년)
    2006년 태풍 우쿵은 팔라우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일본에 상륙,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쳐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 연도별 태풍 - 태풍 볼라벤 (2012년)
    2012년 태풍 볼라벤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하여 오키나와를 거쳐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강력한 열대 저기압으로, 라오스의 볼라웬 고원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 연도별 태풍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2006년 태풍
시즌 개요
기저서태평양
연도2006년
첫 번째 폭풍 발생2006년 1월 20일
마지막 폭풍 소멸2006년 12월 20일
평균 풍속10kt (약 18.5km/h)
총 열대 저기압40개 (비공식 3개 포함)
총 태풍23개 (비공식 1개 포함)
총 허리케인15개
총 강한 태풍6개 (비공식)인 태풍을 말함.|group="nb"}}
사망자3,886명
피해액144억 달러
관련 시즌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대서양 시즌2006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동태평양 시즌2006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북인도양 시즌2006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2006년 태평양 태풍 시즌 요약 지도
2006년 태평양 태풍 시즌 경로 요약 지도
가장 강력한 태풍 (최대 풍속 기준)
이름산산
최저 기압919hPa
최대 풍속110kt (약 204km/h)
가장 강력한 태풍 (최저 기압 기준)
이름야기
최저 기압910hPa
최대 풍속105kt (약 194km/h)

2. 2006년 태풍의 특징

2006년에는 여러 국가의 기상청과 과학 기관에서 한 시즌 동안 얼마나 많은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태풍이 형성될지 예측했다. 이 기관에는 런던 대학교의 열대 폭풍 위험 (TSR) 컨소시엄, PAGASA, 그리고 대만의 중앙 기상국이 포함되었다. 일부 예측에서는 이전 시즌에 발생한 상황과 전년도에 관측된 라니냐 현상을 고려했다.[2][3][4][5][6]

3월 7일, 열대 폭풍 위험은 장기 예보로 시즌 첫 번째 예보를 발표하여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예측했다. 5월 5일에는 니뇨 3.75 지역의 해수면 온도 상승과 중앙 태평양의 현재 패턴 때문에 열대 폭풍 활동이 약간 증가할 것이라는 두 번째 예보를 발표했다.[3] 6월 7일, TSR은 세 번째 예보를 발표하여 이전과 동일한 예측을 유지했다. 7월 5일 네 번째 예보에서 TSR은 2006년 시즌이 1965-2005년 평균보다 15% 높을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이는 열대 활동 증가와 니뇨 3.75 지역의 해수면 온도 상승 때문이었다.[5] 8월 4일, TSR은 최종 예보를 발표하면서 이전 예보보다 열대 활동이 약간 감소하고 해수면 온도가 소폭 하락했기 때문에 예측을 조정했다.[6]

2. 1. 발생 개수 및 강도

2006년에는 총 23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26.7개)보다 적었지만, 강도 '매우 강' 이상의 태풍이 5개나 발생하여 강력한 태풍이 많았던 해였다.

2006년 태풍 발생 개수 (월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1137342223



월별 발생 개수를 보면, 8월에 7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가장 많았으며, 이는 평년(5.5개)보다 많은 수치이다.[102] 30년 평균 기록(1971년~2000년)에서도 8월이 5.5개로 태풍 발생이 가장 잦았다.

여러 국가의 기상청과 과학 기관에서 한 시즌 동안 얼마나 많은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태풍이 형성될지 예측했다. 이 기관에는 런던 대학교의 열대 폭풍 위험 (TSR) 컨소시엄, PAGASA, 그리고 대만의 중앙 기상국이 포함되었다.

2006년 태풍 예측
TSR 예측
날짜
열대
폭풍
전체
태풍
강한
열대 저기압
ACE참조
평균 (1965–2005)26.716.98.6305[3]
2006년 3월 7일27.117.18.4298[2]
2006년 5월 5일29.018.69.2326[3]
2006년 6월 7일29.018.69.0315[4]
2006년 7월 5일29.018.610.0349[5]
2006년 8월 4일29.018.69.3325[6]
2006년 시즌예측
센터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태풍참조
실제 활동:JMA392315
실제 활동:JTWC282315
실제 활동:PAGASA201610


2. 2. 주요 태풍

다음은 2006년에 발생한 주요 태풍들이다.

  • 태풍 에위니아 (EWINIAR): 7월 1일 미국 남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대한민국에 상륙했다. 대한민국에 집중호우로 인한 큰 피해를 야기했고, 피해 지역들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다. "에위니아"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풍의 신을 뜻한다.

  • 태풍 빌리스 (BILIS): 7월 9일 괌 섬 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중국에 큰 물난리를 일으켰다.[106] 다른 태풍에 비해 강한 세력은 아니었지만, 대형 태풍으로서 중국에 큰 피해를 입혔고, "말릭시 (MALIKSI)"로 이름이 제명되었다. "빌리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쾌속"을 의미한다.

  • 태풍 사오마이 (SAOMAI): 8월 5일 미국 남동쪽 해상에서 발생했다. 2006년 발생한 태풍 중 가장 강력했으며, 중국에 상륙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사오마이'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금성을 의미하며, "손띤"으로 이름이 제명되었다.

  • 태풍 산산 (Shanshan): 9월 10일 미국 서북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일본에 상륙했다. 일본에 많은 피해를 발생시켰다. '산산'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소녀의 애칭을 의미한다.

  • 태풍 두리안 (Durian): 11월 26일 발생하여 필리핀베트남에 막대한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마욘 화산의 화산재와 결합된 영향으로 1,500명 이상이 사망했다. '두리안'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열대과일 두리안을 뜻하며, "망쿳"으로 이름이 제명되었다.

2. 3. 특이 사항

이오케는 중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카테고리 5등급까지 발달한 강력한 태풍으로, 날짜변경선을 넘어 서태평양 지역으로 이동했다.[10]

2006년에는 찬추, 빌리스, 사오마이, 상산, 두리안 등의 태풍 이름이 제명되었다.

3. 월별 태풍 발생 현황

2006년 태평양 태풍 시즌은 대체로 5월부터 10월 사이에 대부분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며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5월에는 찬추 한 개만 발달했고, 그 이전에 몇몇 소규모 시스템이 발달했다. 2006년 첫 번째 열대성 시스템인 아가톤은 1월 20일 필리핀 동쪽에서 발달하여 며칠 후 이 나라를 지나면서 경미한 피해를 입혔다.[8]

6월 말에는 젤라왓과 에위니아가 형성되었다.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빌리스, 카이미, 프라피룬 등 세 개의 폭풍이 중국에 상륙하여 900명 이상이 사망하고 50억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그 직후, 마리아, 사오마이, Bopha 등 세 개의 동시 폭풍이 형성되어 일본, 중국, 대만 등 세 곳에 영향을 미쳤다. 8월 말에는 이오케가 중태평양에서 분지로 진입했다.[10]

9월에는 상산필리핀 루손에 영향을 미쳐 200명 이상이 사망했다.[11] 11월 말에는 두리안비콜 지방에 상륙하여 1,5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최소 5.3억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12월 초에는 우토르가 비사야를 통과했고, 12월 20일에는 열대 폭풍 트라미가 소멸되었다.[1]

2006년 태풍 시즌의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ACE) 지수는 321.3 단위였다.[7]

런던 대학교의 열대 폭풍 위험 (TSR) 컨소시엄, PAGASA, 대만의 중앙 기상국 등 여러 기관에서 2006년 태풍 시즌을 예측했다. 예측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TSR 예측
날짜
열대
폭풍
전체
태풍
강한
열대 저기압
ACE참조
평균 (1965–2005)26.716.98.6305[3]
2006년 3월 7일27.117.18.4298[2]
2006년 5월 5일29.018.69.2326[3]
2006년 6월 7일29.018.69.0315[4]
2006년 7월 5일29.018.610.0349[5]
2006년 8월 4일29.018.69.3325[6]
2006년 시즌예측
센터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태풍참조
실제 활동:JMA392315
실제 활동:JTWC282315
실제 활동:PAGASA201610


3. 1. 월별 태풍 발생 개수

(누적)0
(0)0
(0)0
(0)0
(0)1
(1)1
(2)3
(5)7
(12)3
(15)4
(19)2
(21)2
(23)30년 평균[102]
1971년~2000년
(누적)0.5
(0.5)0.1
(0.6)0.4
(1.0)0.8
(1.8)1.0
(2.8)1.7
(4.5)4.0
(8.5)5.5
(14.0)5.0
(19.0)3.9
(22.9)2.5
(25.4)1.3
(26.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1137342223


3. 2. 월별 태풍 활동 타임라인

2006년 태평양 태풍 시즌은 한 해 동안 진행되었으며 공식적인 경계는 없지만, 대부분의 열대 저기압은 일반적으로 5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다.



ImageSize = width:1030 height:290

PlotArea = top:10 bottom:80 right:20 left:20

Legend = columns:2 left:30 top:58 columnwidth:270

AlignBars = early

DateFormat = dd/mm/yyyy

Period = from:01/01/2006 till:01/01/2007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ScaleMinor = grid:black unit:month increment:1 start:01/01/2006

Colors =

id:canvas value:gray(0.88)

id:GP value:red

id:TD value:rgb(0.43,0.76,0.92) legend:Tropical_Depression_=_≤62_km/h_(≤39_mph)

id:TS value:rgb(0.3,1,1) legend:Tropical_Storm_=_62–88_km/h_(39–54_mph)

id:ST value:rgb(0.75,1,0.75) legend:Severe_Tropical_Storm_=_89–117_km/h_(55–72_mph)

id:TY value:rgb(1,0.85,0.55) legend:Typhoon_=_118–156_km/h_(73–96_mph)

id:VSTY value:rgb(1,0.45,0.54) legend:Very_Strong_Typhoon_=_157–193_km/h_(97–119_mph)

id:VITY value:rgb(0.55,0.46,0.90) legend:Violent_Typhoon_=_≥194_km/h_(≥120_mph)

Backgroundcolors = canvas:canvas

BarData =

barset:Hurricane

bar:Month

PlotData=

barset:Hurricane width:10 align:left fontsize:S shift:(4,-4) anchor:till

from:20/01/2006 till:27/01/2006 color:TD text:"Agaton"

from:03/03/2006 till:07/03/2006 color:TD text:"Basyang"

from:07/03/2006 till:10/03/2006 color:TD text:"TD"

from:11/03/2006 till:12/03/2006 color:TD text:"TD"

from:09/05/2006 till:18/05/2006 color:VSTY text:"찬추"

from:24/06/2006 till:29/06/2006 color:TS text:"Jelawat"

from:29/06/2006 till:10/07/2006 color:VSTY text:"에위니아"

from:03/07/2006 till:04/07/2006 color:TD text:"TD"

from:08/07/2006 till:16/07/2006 color:ST text:"빌리스"

from:17/07/2006 till:27/07/2006 color:TY text:"카이미"

from:21/07/2006 till:22/07/2006 color:TD text:"TD"

from:27/07/2006 till:05/08/2006 color:TY text:"프라피룬"

from:28/07/2006 till:29/07/2006 color:TD text:"TD"

from:04/08/2006 till:11/08/2006 color:TY text:"마리아"

barset:break

from:05/08/2006 till:11/08/2006 color:VITY text:"사오마이"

from:05/08/2006 till:10/08/2006 color:ST text:"Bopha"

from:12/08/2006 till:21/08/2006 color:ST text:"우콩"

from:13/08/2006 till:16/08/2006 color:TS text:"Sonamu"

from:22/08/2006 till:25/08/2006 color:TD text:"13W"

from:27/08/2006 till:06/09/2006 color:VITY text:"이오케"

from:05/09/2006 till:09/09/2006 color:TS text:"Unnamed"

from:10/09/2006 till:19/09/2006 color:VITY text:"샨샨"

from:12/09/2006 till:13/09/2006 color:TD text:"15W"

from:13/09/2006 till:15/09/2006 color:TD text:"TD"

from:13/09/2006 till:13/09/2006 color:TD text:"TD"

from:16/09/2006 till:25/09/2006 color:VITY text:"야기"

from:23/09/2006 till:25/09/2006 color:TD text:"17W"

from:25/09/2006 till:02/10/2006 color:VSTY text:"상산"

barset:break

from:28/09/2006 till:06/10/2006 color:ST text:"Bebinca"

from:03/10/2006 till:06/10/2006 color:TS text:"Rumbia"

from:08/10/2006 till:16/10/2006 color:TY text:"Soulik"

from:12/10/2006 till:13/10/2006 color:TD text:"Ompong"

from:21/10/2006 till:23/10/2006 color:TD text:"TD"

from:21/10/2006 till:21/10/2006 color:TD text:"TD"

from:21/10/2006 till:21/10/2006 color:TD text:"TD"

from:25/10/2006 till:06/11/2006 color:VSTY text:"시마론"

from:09/11/2006 till:14/11/2006 color:VSTY text:"체비"

from:25/11/2006 till:05/12/2006 color:VITY text:"두리안"

from:07/12/2006 till:15/12/2006 color:VSTY text:"우토르"

from:15/12/2006 till:20/12/2006 color:TS text:"Trami"

barset:skip

bar:Month width:5 align:center fontsize:S shift:(0,-20) anchor:middle color:canvas

from:01/01/2006 till:01/02/2006 text:January

from:01/02/2006 till:01/03/2006 text:February

from:01/03/2006 till:01/04/2006 text:March

from:01/04/2006 till:01/05/2006 text:April

from:01/05/2006 till:01/06/2006 text:May

from:01/06/2006 till:01/07/2006 text:June

from:01/07/2006 till:01/08/2006 text:July

from:01/08/2006 till:01/09/2006 text:August

from:01/09/2006 till:01/10/2006 text:September

from:01/10/2006 till:01/11/2006 text:October

from:01/11/2006 till:01/12/2006 text:November

from:01/12/2006 till:01/01/2007 text:December


4. 활동한 태풍

2006년 태평양 태풍 시즌은 공식적인 경계는 없지만, 대부분의 열대 저기압은 5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한다. 2006년에는 5월에 찬추가 발생하여 필리핀, 베트남, 중국 등에 큰 피해를 입혔다.

6월 말에는 즐라왓에위니아가 발생했다. 특히 에위니아는 대한민국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대한민국 정부는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도 했다.

7월부터 8월 초까지는 빌리스, 카이미, 프라피룬이 연이어 중국에 상륙하여 900명 이상의 사망자와 50억달러 이상의 피해를 냈다. 이후 마리아, 사오마이, 보파가 발생하여 일본, 중국, 대만 등에 영향을 미쳤다. 8월 말에는 이오케가 중태평양에서 넘어와 태풍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9월에는 산산필리핀 루손에 큰 피해를 입혔고,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후 야기, 상산 등이 발생했다.

10월에는 버빙카룸비아가 발생했는데, 이들은 다른 온대저기압과 결합하여 일본에 큰 피해를 입혔다. 솔릭도 발생했다.

11월에는 시마론제비필리핀에 영향을 주었다. 두리안필리핀베트남에 1,4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발생시켜 제명되었다.

12월에는 우토르와 자미가 발생했다.

다음은 2006년에 활동한 태풍의 목록이다.

이름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비고
찬추5월 9일5월 19일930 hPa95 노트125 노트필리핀, 베트남, 중국에 큰 피해
즐라왓6월 27일6월 29일996 hPa40 노트45 노트
에위니아6월 30일7월 10일930 hPa100 노트130 노트대한민국에 상륙, 큰 피해
빌리스7월 9일7월 15일970 hPa60 노트50 노트중국에 큰 피해
개미7월 19일7월 26일960 hPa80 노트75 노트
쁘라삐룬8월 1일8월 5일970 hPa65 노트70 노트필리핀과 중국에서 총 94명 사망, 9.84억달러 재산 피해[7]
마리아8월 6일8월 10일975 hPa70 노트60 노트일본에 영향
사오마이8월 5일8월 11일925 hPa105 노트140 노트
보파8월 6일8월 9일980 hPa55 노트55 노트
우쿵8월 13일8월 19일980 hPa50 노트55 노트
소나무8월 14일8월 15일992 hPa35 노트45 노트
이오케8월 27일9월 6일920 hPa105 노트140 노트중태평양에서 넘어옴
산산9월 10일9월 18일919 hPa110 노트120 노트
야기9월 17일9월 25일910 hPa105 노트140 노트
상산9월 26일10월 2일940 hPa125kn영어필리핀과 베트남 등지에 300여 명의 인명 피해
버빙카10월 3일10월 6일980 hPa50 노트35 노트
룸비아10월 3일10월 6일985 hPa45 노트30 노트
솔릭10월 9일10월 16일955 hPa75 노트90 노트
시마론10월 27일11월 4일920 hPa100 노트140 노트
제비11월 9일11월 13일925 hPa100 노트125 노트
두리안11월 26일12월 5일915 hPa105 노트135 노트필리핀과 베트남에 1,400여 명의 인명 피해
우토르12월 7일12월 14일945 hPa85 노트100 노트
자미12월 17일12월 18일1000 hPa35 노트30 노트


4. 1. 제1호 태풍 짠쯔 (CHANCHU)

2006년 제1호 태풍 '''짠쯔(CHANCHU)'''는 5월 9일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1,40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후 서북서쪽으로 이동하며 강도와 크기를 키웠고, 5월 11일부터 5월 13일에는 필리핀 마닐라와 그 외 중부 지역을 강타하였다. 남중국해로 빠져나온 태풍은 점차 속도를 늦추며 크게 발달했고, 5월 15일 오후 3시에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46m/s를 기록하며 최성기를 맞았다. 이후 점차 약해지며 북쪽으로 이동하다 방향을 동쪽으로 틀어 중국 남부 해안에 상륙하였다. 육상 상륙 후 세력이 크게 약화된 태풍은 5월 19일 새벽 상하이 동쪽 해상에서 소멸되었다. "짠쯔"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진주를 뜻한다.

태풍 짠쯔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간 필리핀, 베트남, 중국 등지에서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 필리핀에서 41명, 베트남에서 26명, 중국에서 23명이 사망하여 총 9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또한 중국에서 300여 명, 베트남에서 245명의 실종자가 신고되었다.[103] 중국에서는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해 푸젠성, 광둥성, 저장성 주민 118만 명이 대피했고,[104] 남중국해에서 베트남 어선이 침몰했지만 중국 선박에 구조되기도 했다.[105] 태풍 소멸 후에도 비구름으로 인해 대한민국 남부 지역에 집중호우가 쏟아지기도 했다. 이처럼 동아시아 전역에 큰 피해를 남긴 "짠쯔"라는 이름은 사용 중지되고 "산바(SANBA)"로 교체되었다.

4. 2. 제2호 태풍 즐라왓 (JELAWAT)

제2호 태풍 즐라왓(JELAWAT)은 6월 27일 오후 3시 필리핀 마닐라 서북서쪽 약 79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크게 발달하지 못한 채 북서쪽으로 이동하였고, 하이난섬에 이르러 진로를 북북서쪽으로 바꾸었다. 중국 대륙에 상륙하기 직전인 6월 29일 아침 레이저우반도 동쪽 해상에서 소멸되었다. "즐라왓"은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물고기의 한 종류이다.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
6월 27일6월 29일996 hPa40 kt45 kt


4. 3. 제3호 태풍 에위니아 (EWINIAR)

7월 1일 오전 3시에 미국 남서쪽 해상에서 제3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가 발생했다. 북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발달하여 7월 4일 오후 9시에는 중심 기압 930hPa, 최대 풍속 50m/s의 강도 '매우 강'인 태풍으로 발달했다.[7] 최성기를 지난 후 세력이 조금씩 약해지면서 7월 8일 밤부터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7월 10일 전라남도 진도군에 상륙했다.[7] 이후 같은 날 밤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되었다.[7] "에위니아"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풍의 신을 뜻한다.

태풍 에위니아가 대한민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태풍과 함께 집중 호우가 겹쳐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피해 지역들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였다.[7]

4. 4. 제4호 태풍 빌리스 (BILIS)

제4호 태풍 빌리스(BILIS)는 7월 9일 오후 3시 괌 섬 서쪽 약 85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빠른 속도로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서서히 발달했다. 7월 13일 오후 3시 대만 통과 직전 중심 기압 970hPa, 최대 풍속 31m/s의 강도 '중', 강풍 반경 650km의 대형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했다. 7월 14일 오후 중국 남동부 해안에 상륙한 뒤 세력이 약화되어 7월 15일 오후 중국 내륙에서 소멸되었다.[106]

태풍 빌리스는 강한 세력을 가진 것은 아니었지만, 대형 태풍으로서 중국에 큰 피해를 가져왔다. 후난성에서 346명, 광둥성에서 106명 등 총 53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주택 수천 채가 파괴되어 3만여 명이 긴급 대피했다.[106] 또한 소멸되면서 대한민국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집중호우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큰 피해로 인해 "빌리스"라는 이름은 사용 중지되고 "말릭시(MALIKSI)"로 교체되었다. "빌리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쾌속"을 의미한다.

4. 5. 제5호 태풍 개미 (KAEMI)

제5호 태풍 개미(KAEMI)는 7월 19일 오후 3시 괌 섬 서남서쪽 약 49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 태풍은 앞서 발생한 제4호 태풍 빌리스와 유사한 진로를 그리며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강하게 발달했다. 7월 23일 오전 3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85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 기압 955 hPa, 최대 풍속 39 m/s의 강도 '강'의 태풍으로 발달하며 최성기에 접어들었다. 7월 25일 오전에는 대만 남부 해안에 상륙하여 대만을 관통한 뒤, 같은 날 중국 푸젠성에 상륙하였고 7월 26일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개미|개미중국어

4. 6. 제6호 태풍 쁘라삐룬 (PRAPIROON)

'''제6호 태풍 쁘라삐룬'''(PRAPIROON)은 8월 1일 필리핀 마닐라 북서쪽 해상에서 발생한 열대폭풍이다. 발생 초기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 m/s, 강풍반경 150 km의 소형 태풍이었으나, 북서진하며 발달하여 8월 3일에는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5 m/s, 강풍반경 330km까지 성장했다. 이후 세력이 약화되어 8월 5일 베트남 하노이 부근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소멸했다.

쁘라삐룬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비의 신'을 의미한다.

이 태풍으로 인해 필리핀과 중국에서 총 94명이 사망하고, 9.84억달러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7]

4. 7. 제7호 태풍 마리아 (MARIA)

'''제7호 태풍 마리아(MARIA)'''는 2006년에 발생한 7번째 태풍으로, 일본에 영향을 주어 이즈반도도쿄에 400mm가 넘는 폭우를 일으켰다. '마리아'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 이름을 의미한다.

8월 3일, 일본 기상청(JMA)은 미나미토리섬 남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을 주시했다. 이 열대저기압은 서북서쪽으로 이동하며 느리게 발달했다. 8월 5일 16시 30분경,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열대저기압이 북마리아나 제도 동남동쪽 약 740km(460mi) 부근 해상에 있을 때 열대저기압 발생 경고령을 내렸다. 같은 날 JMA는 열대저기압을 열대 폭풍으로 승격시키고 '마리아(MARIA)'로 명명했다.

JMA가 첫 경고령을 내렸을 때, JTWC는 마리아가 이오섬 동남동쪽 약 280km(175mi) 부근 해상에 있을 때 '열대저기압 09W'로 명명했다. 다음 날 아침, JMA는 마리아가 10분 최대풍속 95km/h(60mph)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강한 열대폭풍 단계로 격상했다. 동시에 JTWC는 마리아가 1분 최대풍속 75km/h(45mph)의 세력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마리아는 서북서쪽에서 북서쪽으로 진로를 약간 바꾼 뒤, 8월 6일 9시에 중심기압 965hPa, 10분 최대풍속 130km/h(80mph)로 최성기를 맞이했다. 8월 7일, JTWC는 마리아가 1분 최대풍속 120km/h(75mph)에 도달하여 태풍의 초기 단계까지 강력해졌다고 판단했다.

8월 7일 마리아는 북서쪽으로 이동하다가 급격히 동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일본 혼슈섬과 평행하게 이동했다. 마리아가 우회전하면서 건조한 공기가 내부로 침투해 약해지기 시작했다. 8월 8일 JMA는 강한 열대폭풍 단계로 다시 낮추었고, 8월 9일 도쿄와 매우 가까운 곳에서 상륙하지 않고 육지와 근소한 차이로 멀어졌다. JMA와 JTWC는 모두 마리아를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켰다. 마리아는 24시간 동안 열대저기압 상태로 있다가 8월 10일 도쿄 동남동쪽 약 835km(520mi) 부근 해상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나머지 잔해는 북쪽으로 이동해 8월 14일오호츠크해에 도달했다.

8월 5일 오후 9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1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7m/s, 강풍반경 180km의 '소형' 열대폭풍(TS)으로 발생했다. 태풍은 발생 초기 서북서진하며 빠르게 발달하여 다음 날 정오에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5m/s로 강한 열대폭풍(STS)으로 발달했다. 8월 7일 오전 3시에는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5m/s로 발달하여 태풍 일생 중 가장 강한 시기가 되었다. 태풍은 점차 북진하다가 북동진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하여 9일경 일본 동쪽 해상을 통과했으며, 8월 11일 오전 3시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 당국은 8월 8일8월 9일 사이에 태풍 마리아가 도카이 지방, 간토 지방, 고신에쓰 지방, 이즈반도 등에 폭우, 강풍, 높은 파도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이륙하는 7편의 비행편이 취소되었고, 여러 철도들도 임시 폐쇄되었다. 마리아가 혼슈섬과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많은 피해를 일으켰는데, 요코타 공군기지에서는 38.1mm의 강수량과 34kmh의 바람이 불었다. 이즈반도 여러 지역에서 48시간 강수량이 400mm를 초과했고, 도쿄에서는 458mm의 폭우가 내렸다. 기후현에서는 산사태가 일어나 전선이 끊어져 510가구의 전기 공급이 일시 중단되었다. 1명이 부상당했고, 작은 목장에서 소 2마리가 죽었다. 지바현 최동단에 위치한 조시시에서는 홍수와 산사태로 63가구가 대피했다. 도쿄에서 1명이 낙뢰에 맞아 사망했고, 5명이 비행기 안에서 도쿄로 가던 중 마리아가 일으킨 대기 불안정에 의해 기체가 흔들려 부상당했다.[7]

4. 8. 제8호 태풍 사오마이 (SAOMAI)

'''제8호 태풍 사오마이'''(SAOMAI)는 8월 5일 오후 9시에 미국 남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했다. 발생 당시 중심기압 998 hPa, 최대풍속 17m/s, 강풍반경 180km의 소형 열대폭풍이었다. 발생 이후 태풍은 북서진했다.

초기 발달은 늦었으나, 8월 7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85 hPa, 최대풍속 25m/s, 강풍반경 220km의 소형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8월 8일 오전 3시에는 중심기압 960 hPa, 최대풍속 35m/s, 강풍반경 350km의 중형 태풍으로 격상되었다. 이후 서북서진하며 오키나와 남쪽 해상을 통과하면서 급격히 발달, 8월 10일 오전 3시에는 중심기압 925 hPa, 최대풍속 55m/s의 맹렬한 태풍이 되었다. 8월 11일 중국 상하이 남쪽에 상륙한 후 급격히 약화되어 오전 9시에 열대저기압으로 소멸했다.

'사오마이'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금성을 의미한다. 이 명칭은 막대한 피해로 인해 사용 중지되었고, 이후 신화 속 산신 이름인 '손띤'으로 대체되었다.[7]

4. 9. 제9호 태풍 보파 (BOPHA)

'''제9호 태풍 보파'''(BOPHA)는 2006년 8월 6일 오후 10시에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3m/s, 강풍반경 200km의 소형 열대폭풍으로 발생하였다. 발생 직후 제8호 태풍 사오마이의 후지와라 효과로 인해 타이완을 향해 서진하기 시작했다. 발생 1일 만에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8m/s, 강풍반경 300km로 발달한 태풍 보파는 계속 서진하면서 8월 9일 오전 10시에는 타이완 남부에 상륙하였고, 이후 세력이 약화되어 8월 10일 오후 4시에 중국 홍콩 남동쪽 약 250km 부근 해상에서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7]

일본기상청은 타이완을 관통한 직후인 8월 9일 오전 6시에 타이완 동쪽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보파(BOPHA)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을 의미한다.

4. 10. 제10호 태풍 우쿵 (WUKONG)

'''제10호 태풍 우쿵'''(Wukong)은 8월 13일 오후 4시 30분에 일본 오키나와 동쪽 약 107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 hPa, 최대풍속 17m/s, 강풍반경 290 km의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발생하였다. 발생 당시에는 매우 느리게 정체하면서 서북서진하였으나, 일본 오사카 남쪽 해상에서 진로를 서진으로 바꾸었고, 이때의 세력은 중심기압 980 hPa, 최대풍속 23m/s, 강풍반경 350 km로 크기가 늘어난 상태였다. 일본 기상청(JMA)은 중심기압 980 hPa, 최대풍속은 25m/s로 해석하여 강한 열대폭풍으로 해석하였다. 이 태풍은 계속 서진하면서 한반도 남쪽 해상까지 다다랐다. 8월 18일 오전 4시에는 일본 규슈 지역에 상륙하였다. 이 태풍은 큐슈 지역 상륙 후 정체하면서 다음날 오전 4시까지 큐슈 지역에 머물렀다. 큐슈 지역에 머무르면서 세력은 약화되어 끝내 8월 19일 오후 4시 30분에 부산 동쪽 약 90 km의 울산 인근 앞바다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7]

4. 11. 제11호 태풍 소나무 (SONAMU)

'''제11호 태풍 소나무'''는 8월 14일 오전 11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 m/s, 강풍반경 240km의 소형 열대폭풍으로 발생하였다. 그러나 동쪽에서 서진하던 제10호 태풍 우콩과의 후지와라 효과로 인해 크게 발달하지 못하고 8월 16일 오전 10시 20분에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7]

소나무(SONAMU)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이다.

4. 12. 제12호 태풍 이오케 (IOKE)

2006년 8월 중순 하와이 남동쪽 적도 수렴대에서 발생한 열대저기압은 날짜 변경선 동쪽에서 허리케인 이오케(IOKE)로 명명되었다. 이는 날짜 변경선 동쪽에 위치했기 때문이며,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발달하여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4등급을 유지하기도 했다. 8월 22일 존스턴 환초 남쪽 해상을 통과했고, 8월 24일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5등급으로 발달했다.

8월 27일 중심기압 900hPa로 최성기를 맞이한 이오케는 날짜 변경선을 지나면서 풍속 260km/h의 태풍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이때부터 일본 기상청(JMA)의 관할 구역으로 들어왔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이오케를 슈퍼태풍으로 칭했다.

이오케는 날짜 변경선을 지난 후에도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5등급을 유지하다 8월 29일 다시 제5등급으로 격상되었다. 8월 30일 JMA는 이오케의 10분최대풍속이 190 km/h라고 보고했다. 이후 8월 31일 웨이크섬 부근을 통과했고, 9월 2일 미나미토리섬 북쪽 해상을 통과했다. 점차 세력이 약해지면서 일본 동쪽 해상에서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고, 9월 6일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했다.

이오케(IOKE)는 '조이스'라는 남자의 하와이 원주민식 표현으로,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 태풍으로 편입되면서 허리케인 당시의 이름이 붙었다. 이후 허리케인 명명 기준에 따라 '이오파'로 변경되었다.

4. 13. 제13호 태풍 산산 (SHANSHAN)

2006년 9월 9일 일본 기상청은 열대저기압 발생을 발표했고, 이 열대저기압은 9월 10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서북서쪽 약 1140km 부근 해상에서 태풍 산산으로 발달했다. 태풍 산산은 9월 12일 중심기압 965hPa, SSHS 등급 '2등급 태풍'으로 발달했고, 이후 최저기압 919hPa, SSHS 등급 '4등급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았다. 9월 16일 한반도에 점차 영향을 주었으며, 9월 17일 영남 지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9월 19일 일본 삿포로 서쪽 약 3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태풍이 직접 상륙한 일본에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7]

'산산'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소녀의 애칭이다.

4. 14. 제14호 태풍 야기 (YAGI)

'''제14호 태풍 야기(YAGI)'''는 9월 17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2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반경 100 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60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초기 정체하다가 서진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하여 9월 20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50 hPa, 최대풍속 45 m/s로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하였고, 9월 21일 오후 9시에는 중심기압 910 hPa, 최대풍속 55 m/s로 태풍의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방향을 전향하여 북진한 후 북동진하여 일본 동쪽 해상으로 향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해 9월 25일 오후 3시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7]

'야기'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염소를 의미한다.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
9월 17일9월 25일910 hPa105 노트140 노트


4. 15. 제15호 태풍 상산 (XANGSANE)

'''제15호 태풍 상산(XANGSANE)'''은 9월 26일에 발생하여 10월 2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 940 hPa, 최대 풍속 125kn영어 (1분 평균)을 기록했다. "상산"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코끼리를 의미한다. 2000년에는 "샹산"으로 표기했으나, 이후 "상산"으로 정정되었다.[7]

상산은 2006년 필리핀베트남 등지에 3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발생시켜 제명되었고, 이후 '리피'로 대체되었다.

2006년 제15호 태풍 상산(XANGSANE)
발생일9월 26일
소멸일10월 2일
최저 기압940 hPa
1분 최대 풍속125kn영어
인명 피해318명 사망
피해 총액7.5억달러


4. 16. 제16호 태풍 버빙카 (BEBINCA)

'''제16호 태풍 버빙카(BEBINCA)'''는 2006년 10월 3일에 발생하여 10월 6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은 980 hPa, 최대 풍속은 50노트(약 26 m/s)였다.

태풍 자체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지만, 이 태풍의 영향으로 다른 온대저기압이 급격히 발달하여 일본에 큰 피해를 입혔다.[7]

4. 17. 제17호 태풍 룸비아 (RUMBIA)

'''2006년 제17호 태풍 룸비아(RUMBIA)'''는 10월 3일에 발생하여 10월 6일에 소멸한 태풍으로, 최저 기압은 985 hPa, 최대 풍속은 45노트(약 23m/s)였다. 룸비아는 온대 저기압에 흡수되었는데, 이 온대 저기압은 태풍 16호를 흡수한 것과 동일하다. 룸비아를 흡수한 온대 저기압은 폭탄 저기압으로 발달하여 일본 열도에 피해를 입혔다.[7]

4. 18. 제18호 태풍 솔릭 (SOULIK)

第18號颱風蘇力|제18호 태풍 솔릭중국어 (SOULIK)은 10월 9일에 발생하여 10월 1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55 hPa, 10분 최대 풍속은 75노트(약 39 m/s)였다.[7]

4. 19. 제19호 태풍 시마론 (CIMARON)

필리핀에서 제출한 시마론(Cimaron)은 야생 황소를 의미한다.[12] 2006년 10월 27일에 발생하여 11월 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20hPa, 10분 최대 풍속은 100노트(KMA 기준 54노트), 1분 최대 풍속은 140노트였다. 시마론은 필리핀에 영향을 주었으며, 35명이 사망하고, 피해 총액은 3100만달러였다.[12]

4. 20. 제20호 태풍 제비 (CHEBI)

'''제20호 태풍 제비(JEBI)'''는 2006년 11월 9일에 발생하여 11월 14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25 hPa, 10분 최대 풍속은 초속 51m/s (100노트)였으며, 1분 최대 풍속은 125노트였다. 태풍 제비는 필리핀에 영향을 주어 1명이 사망했다.[7] Chebi영어

4. 21. 제21호 태풍 두리안 (DURIAN)

두리안(Durian)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열대과일 두리안을 뜻한다. 2001년에는 "투리안"이라고 사용하였으나, 2006년부터는 "두리안"이라고 쓰고 있다. 2006년 필리핀베트남에 1,4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발생시켜 제명되었다. 이후 태국은 망쿳으로 이름을 대체했다.[7]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
11월 26일12월 5일915 hPa105 kn135 kn



2006년 태풍 두리안은 마욘 화산의 화산재와 결합된 영향으로 1,5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최소 5.3억달러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두리안은 북인도양 분지로 진입했는데, 이는 2003년 이후 처음이었다.[1]

4. 22. 제22호 태풍 우토르 (UTOR)



'''2006년 제22호 태풍 우토르(UTOR)'''는 12월 7일에 발생하여 12월 14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45 hPa, 10분 최대 풍속은 85노트(약 44 m/s)였다. "우토르"는 마셜 제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스콜 선(squall line)을 의미한다.

태풍 우토르는 필리핀말레이시아에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 38명이 사망하고, 피해 총액은 1580만달러에 달했다.[7]

4. 23. 제23호 태풍 자미 (TRAMI)

'''제23호 태풍 자미 (TRAMI)'''는 2006년 12월 17일에 발생하여 12월 19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1000 hPa, 10분 최대 풍속은 35노트(약 18 m/s)였다. 1분 최대 풍속은 30노트(약 15 m/s)였다. 직경은 약 400 km였고,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 최대 강풍 반경은 180 km였다.

5.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Summary of 2006 NW Pacific Typhoon Season and Verification of Authors' Seasonal Forecasts http://www.tropicals[...] Tropical Storm Risk Consortium 2007-01-10
[2] 간행물 Extended Range Forecast for Northwest Pacific Typhoon Activity in 2006 http://www.tropicals[...] Tropical Storm Risk Consortium 2006-03-07
[3] 간행물 May Forecast Update for Northwest Pacific Typhoon Activity in 2006 http://www.tropicals[...] Tropical Storm Risk Consortium 2006-05-05
[4] 간행물 June Forecast Update for Northwest Pacific Typhoon Activity in 2006 http://www.tropicals[...] Tropical Storm Risk Consortium 2006-06-07
[5] 간행물 July Forecast Update for Northwest Pacific Typhoon Activity in 2006 http://www.tropicals[...] Tropical Storm Risk Consortium 2006-07-05
[6] 간행물 August Forecast Update for Northwest Pacific Typhoon Activity in 2006 http://www.tropicals[...] Tropical Storm Risk Consortium 2006-08-04
[7] 웹사이트 Basin Archives: Northwest Pacific Ocean Historical Tropical Cyclone Statistics http://tropical.atmo[...] Colorado State University 2022-07-09
[8]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January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6-04-25
[9] 웹사이트 Cold & Warm Episodes by Season https://web.archive.[...] NOAA 2016-11-04
[10]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August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6-11-26
[11]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September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7-01-28
[12]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October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7-02-21
[13]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January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9-02-17
[14] 웹사이트 Navy/NRL Tropical Cyclone Page http://www.nrlmry.na[...] Nrlmry.navy.mil 2010-10-19
[15] 웹사이트 Monthly Global Tropical Cyclone Summary May 2006 http://www.australia[...] Gary Padgett 2014-06-22
[16] 간행물 Annual Report on Activities of the RSMC Tokyo: Typhoon Center 2006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06-22
[17] 간행물 2006 Chanchu (2006128N09138) https://web.archiv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4-06-22
[18] 웹사이트 Seoul to go ahead with drills despite threats of war https://web.archive.[...] Today.reuters.co.uk 2010-10-19
[19] 뉴스 Asia typhoon kills 104, hundreds missing in Vietnam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4-06-26
[20] 웹사이트 HKO Warnings/Signals Database http://www.hko.gov.h[...] Hko.gov.hk 2010-10-19
[21] 웹사이트 Hong Kong's First FREE English Newspaper https://web.archive.[...] 2010-10-19
[22]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June 24, 2006 (Sat) http://agora.ex.nii.[...] 2018-04-10
[2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6-11-16
[24] 뉴스 Shanghai Daily | 上海日报 – English Window to China News http://www.shanghaid[...]
[25] 웹사이트 Trmm Sees Typhoon Kaemi http://trmm.gsfc.nas[...] Trmm.gsfc.nasa.gov 2010-10-19
[26] 웹사이트 http://exploreourpla[...]
[27] 웹사이트 Flag raising ceremony cancelled http://www.info.gov.[...] Info.gov.hk 2010-10-19
[28] 웹사이트 World Updates | The Star Online https://web.archive.[...] Thestar.com.my 2012-12-08
[29] 웹사이트 Xinhua – English https://web.archive.[...] News.xinhuanet.com 2010-10-19
[30] 웹사이트 台風0607号 (0621 Maria)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3-07-23
[31] 웹사이트 Tropical Storm 09W 2006 (Maria) Best Track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Navy 2013-07-23
[32] 뉴스 Typhoon Saomai to skirt northern Taiwan today http://www.chinapost[...] 2009-02-16
[33]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August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9-02-16
[34] 웹사이트 http://agora.ex.nii.[...]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2010-08-19
[35] 웹사이트 http://agora.ex.nii.[...]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2010-08-19
[36] 웹사이트 Vietnamese Dictionary and Translation http://vdict.com/?di[...] VDict.com 2010-10-19
[37] 웹사이트 Tropical Storm 10W (Bopha) Best Track https://web.archive.[...] 2009-08-02
[3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opha http://www.uclick.co[...] Earthweek 2009-08-02
[39] 뉴스 Two children killed in RP landslide http://www.chinapost[...] 2009-08-02
[40] 웹사이트 Taiwan Issues Alert as Tropical Storm Bopha Nears (Update2)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09-08-02
[41] 웹사이트 Island prepares for storm Bopha; heavy rain likely http://www.chinapost[...] 2009-08-02
[42] 웹사이트 HKO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STS Bopha 2006 https://web.archiv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9-08-02
[43]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opha rainfall amounts in Hong Kong http://gb.weather.go[...] Hong Kong Observatory 2009-08-02
[44]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opha Winds in Hong Kong http://gb.weather.go[...] Hong Kong Observatory 2009-08-02
[45] 웹사이트 Tropical Storm Bopha storm surge in Hong Kong http://gb.weather.go[...] Hong Kong Observatory 2009-08-02
[46] 웹사이트 Hickam Airman To Evacuate Hundreds From Wake Island https://web.archive.[...] Khnl.com 2010-10-19
[47] 뉴스 Storm on the Bering Sea https://web.archive.[...] KTVA 11 2006-09-08
[48] 웹사이트 Monthly Global Tropical Cyclone Summary – September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13-07-22
[49] 웹사이트 Yahoo! News http://sg.news.yahoo[...] Sg.news.yahoo.com 2010-10-19
[50] 뉴스 Thousands trapped by typhoon https://web.archive.[...] 2012-03-20
[51] 뉴스 Typhoon kills 2 in Vietnam https://web.archive.[...] 2012-03-20
[5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8-31
[53] 웹사이트 Annual Report on Activities of the RSMC Tokyo: Typhoon Center 2006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7-11-10
[54] 웹사이트 JMA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2006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9-02-16
[55] 웹사이트 JTWC Best Track for Typhoon 21W (Soulik) https://web.archiv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9-02-18
[56]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21W Advisory Number 2 http://www.weather.u[...] Unisys Corporation 2009-02-18
[57] 웹사이트 Tropical Storm Soulik (21W) Intermediate Advisory Number 7A http://www.weather.u[...] Unisys Corporation 2009-02-18
[5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Soulik (21W) Local Statement http://www.weather.u[...] Unisys Corporation 2009-02-18
[59] 웹사이트 NCDC Event Report http://www4.ncdc.no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09-02-18
[60] 웹사이트 Soulik affecting the Bonin Islands, Heavy Rains in Mexico https://archive.toda[...] Weather Matrix 2009-02-18
[61] 웹사이트 Soulik continuing to affect Iwo Jima https://archive.toda[...] Weather Matrix 2009-02-18
[62]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Weather Summary for October 2006 http://www.typhoon20[...] Typhoon 2000 2009-02-18
[63] 웹사이트 (Update) Super typhoon 'Paeng' rips Isabela province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s://web.archive.[...] GMANews.TV 2010-10-19
[64] 웹사이트 Paeng 2006 https://web.archive.[...] Gmanews.tv 2010-10-19
[65] 웹사이트 Typhoon 'Paeng' claims first casualties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0-19
[66] 웹사이트 Typhoon 'Paeng' weakens but casualties rise; 3 dead, 3 hurt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0-19
[67] 웹사이트 Classes in Metro Manila not suspended despite typhoon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0-19
[68] 웹사이트 News: Southeast Asia: Typhoon Cimaron – Oct 2006, Toll from typhoon Cimaron rises to 19 in Philippines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69] 웹사이트 Error – BostonHerald.com http://news.bostonhe[...] 2006-12-08
[70] 웹사이트 Contributions: Southeast Asia: Typhoon Cimaron – Oct 2006, Sida support to nearly two million Asians affected by typhoon, Press Releases: Southeast Asia: Typhoon Xangsane – Sep 2006, Sida support to nearly two million Asians affected by typhoon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71] 웹사이트 "(Update) 'Queenie' leaves RP: 1 dead, 10 injured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s://web.archive.[...] GMANews.TV 2010-10-19
[72] 웹사이트 Floods hamper relief work in Aurora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0-19
[73] 웹사이트 Zero visibility now keeping relief goods from Aurora – Nation – Official Website of GMA News and Public Affairs – Latest Philippine News – BETA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0-19
[74] 웹사이트 Situation Reports: Southeast Asia: Typhoon Durian – Dec 2006, Philippines: NDCC media update – Typhoon "Reming" (Durian) 13 Dec 2006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75] 웹사이트 Press Releases: Southeast Asia: Typhoon Durian – Dec 2006, Devastating typhoon hits the Philippines and Vietnam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76] 웹사이트 Press Releases: Southeast Asia: Typhoon Durian – Dec 2006, Viet Nam: NDMP Durian typhoon damage update 8 Dec 2006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77] 웹사이트 The official site of 12th ASEAN SUMMIT: Cebu, Philippines http://www.12thasean[...] 12thaseansummit.org.ph 2010-10-19
[78] 뉴스 Philippines postpones Asean talks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4-22
[79] 뉴스 Situation Reports: Philippines: Typhoon Utor – Dec 2006, Philippines: NDCC media update – Typhoon "Seniang" (Utor) 15 Dec 2006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80] 웹사이트 ReliefWeb ť Document ť CWS Situation Report: Typhoon Utor/Philippines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10-19
[81] 웹사이트 Typhoon Utor to blame http://thestar.com.m[...] The Star Online
[82] 웹사이트 Seas too choppy for small vessels https://web.archive.[...] Thestar.com.my 2010-10-19
[83] 웹사이트 Segamat and Kota Tinggi folks stranded by floods http://www.thestar.c[...] The Star Online
[84] 웹사이트 Relief all round http://www.thestar.c[...] The Star Online
[85]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March 07, 2006 (Tue) http://agora.ex.nii.[...] 2018-04-10
[86]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March 08, 2006 (Wed) http://agora.ex.nii.[...] 2018-04-10
[87]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March 10, 2006 (Fri) http://agora.ex.nii.[...] 2018-04-10
[88]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March 11, 2006 (Sat) http://agora.ex.nii.[...] 2018-04-10
[89]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March 12, 2006 (Sun) http://agora.ex.nii.[...] 2018-04-10
[90] 웹사이트 SAIC | Digital Transformation http://weather.unisy[...]
[91]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July 04, 2006 (Tue) http://agora.ex.nii.[...] 2018-04-10
[92]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July 28, 2006 (Fri) http://agora.ex.nii.[...] 2018-04-10
[93]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July 29, 2006 (Sat) http://agora.ex.nii.[...] 2018-04-10
[94]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September 13, 2006 (Wed) http://agora.ex.nii.[...]
[95]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September 15, 2006 (Fri) http://agora.ex.nii.[...] 2018-04-10
[96]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October 21, 2006 (Sat) http://agora.ex.nii.[...] 2018-04-10
[97]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October 23, 2006 (Mon) http://agora.ex.nii.[...] 2018-04-10
[98]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October 22, 2006 (Sun) http://agora.ex.nii.[...]
[99] 웹사이트 Monthly Tropical Cyclone summary December 1999 http://www.australia[...] Australian Severe Weather 2012-08-28
[100] 웹사이트 Typhoon Committee Operational Manual 2012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02-21
[101] 웹사이트 Philippine Tropical Cyclone Names https://web.archive.[...] Pagasa.dost.gov.ph 2010-10-19
[102] 웹사이트 국가태풍센터 자료실 - 내습빈도 http://www.kma.go.kr[...]
[103] 뉴스 태풍 "짠쯔"로 90명 사망, 수백 명 실종 https://news.naver.c[...] YTN 2006-05-20
[104] 뉴스 태풍 '짠쯔' 강타…중국 20여명 사망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05-20
[105] 뉴스 태풍 침몰 베트남 어민 97명 구조돼 https://news.naver.c[...] YTN 2006-05-21
[106] 뉴스 中 태풍 빌리스 사망자 530명으로 늘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