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K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K리그는 14개 팀이 참가하여 26경기 단일리그로 진행되었으며, 정규 시즌 후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포항 스틸러스가 정규리그 5위로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개인 수상으로는 최우수 선수상에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 신인선수상에 하태균, 득점상에 까보레가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 축구 리그 - 중국 슈퍼리그 2007
중국 슈퍼리그 2007은 중국 프로축구 리그의 4번째 시즌으로, 허난 젠예와 저장 뤼청이 승격하여 참가했고 창춘 야타이가 우승했으며, 시즌 중 상하이 선화와 상하이 롄청의 합병, 리진위의 득점왕, 두전위의 올해의 선수상 수상 등이 있었다. - 2007 축구 리그 - J리그 디비전 2 2007
2007년 J2리그는 13개 팀이 참가하여 48경기씩 치른 결과,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가 우승하고 도쿄 베르디와 함께 J1리그로 승격했으며, 교토 상가 FC는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했고 헐크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7년 대한민국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이명박 후보가 4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와 정권 교체 여론, BBK 주가 조작 의혹 논란, 낮은 투표율, 지역별 표심 차이 등이 특징이다. - 2007년 대한민국 - BBK 주가 조작 사건
BBK 주가 조작 사건은 김경준이 설립한 BBK와 관련된 사건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연루 의혹이 핵심 쟁점이며, 자금 횡령 및 주가 조작 혐의로 기소되었고, 2007년 대선에 영향을 미쳤다. - K리그 시즌 - 1985년 K리그
1985년 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럭키금성 황소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문배가 MVP, 삐야퐁 푸온이 득점왕과 도움왕을, 이흥실이 신인상을, 박세학이 감독상을, 김현태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 K리그 시즌 - 1988년 K리그
1988년 K리그는 외국인 선수 규정 하에 포항제철 아톰즈가 우승하고, 이기근 득점왕, 김종부 도움왕, 박경훈 MVP, 6번의 해트트릭, 이회택 감독상 수상 등 다양한 기록이 나온 풍성한 시즌이었다.
2007년 K리그 | |
---|---|
시즌 정보 | |
시즌 | 2007년 |
대회 | 삼성 하우젠 K리그 |
기간 | 정규 시즌: 2007년 3월 3일 – 2007년 10월 14일 챔피언십: 2007년 10월 20일 – 2007년 11월 11일 |
우승 | 포항 스틸러스 (4번째 우승) |
정규 리그 1위 | 성남 일화 천마 |
강등 | (없음) |
경기 수 | 182 |
총 득점 | 424 |
이전 시즌 | 2006년 |
다음 시즌 | 2008년 |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 |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팀 | 포항 스틸러스 (리그 우승) 전남 드래곤즈 (FA컵 우승) |
개인 수상 | |
최우수 선수 | 안드레진요 |
득점왕 | 까보레 (17골) |
관중 | |
최다 관중 | 55,397명 (서울 vs 수원) (2007년 4월 8일) |
최소 관중 | (정보 없음) |
평균 관중 | (정보 없음) |
2. 운영 방식
이전 년도와 같이 전기와 후기 리그 구분을 하지 않고, 14개 팀이 26경기 단일리그로 치러졌다. 정규 시즌이 끝난 후 상위 6개 팀은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5]
2007년 K리그에는 14개 구단이 참가하였다.
6월 23일 13라운드가 끝나고, 7월 7일부터 7월 29일까지 아시안컵으로 인해 휴식 기간을 가졌고, 8월 8일부터 다시 14라운드가 시작되었다.[5]
리그컵인 하우젠컵 2007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한 성남 일화 천마와 전남 드래곤즈를 제외한 12개 팀이 두 개 조로 나뉘어 상위 두 팀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고, 앞서의 두 팀과 함께 6강 플레이오프를 벌였다. 2007년에 처음 도입된 6강 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 후반까지 치열한 중위권 다툼으로 리그의 긴장감을 끝까지 이어가는 데 크게 기여하며 리그 막바지와 플레이오프 흥행에 도움이 되었다.[5]
하지만, 정규리그 상위 팀들에게 홈에서 경기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 특별히 유리한 점이 없었고, 최종적으로 우승한 팀이 정규리그 5위였던 포항 스틸러스였다는 점은 정규리그 1위와 리그 챔피언에 대한 가치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다른 외국 리그에서 찾아보기 힘든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제도에 대한 비판을 야기할 수밖에 없었다.[5]
3. 참가 구단
순번 팀명 연고지 리그 참여년도 전년도 순위 1 성남 일화 천마 성남시 1989년 우승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원시 1996년 준우승 3 울산 현대 호랑이 울산광역시 1984년 4 FC 서울 서울특별시 1984년 5 전남 드래곤즈 전라남도 1995년 6 포항 스틸러스 포항시 1983년 7 전북 현대 모터스 전라북도 1995년 8 제주 유나이티드 제주특별자치도 1983년 9 부산 아이파크 부산광역시 1983년 10 대전 시티즌 대전광역시 1997년 11 대구 FC 대구광역시 2003년 12 광주 상무 불사조 광주광역시 2003년 13 인천 유나이티드 인천광역시 2004년 14 경남 FC 경상남도 2006년
3. 1. 구단 목록
순번 | 팀명 | 연고지 | 리그 참여년도 | 전년도 순위 |
---|---|---|---|---|
1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시 | 1989년 | 우승 |
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시 | 1996년 | 준우승 |
3 | 울산 현대 호랑이 | 울산광역시 | 1984년 | |
4 | FC 서울 | 서울특별시 | 1984년 | |
5 | 전남 드래곤즈 | 전라남도 | 1995년 | |
6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시 | 1983년 | |
7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라북도 | 1995년 | |
8 | 제주 유나이티드 | 제주특별자치도 | 1983년 | |
9 | 부산 아이파크 | 부산광역시 | 1983년 | |
10 | 대전 시티즌 | 대전광역시 | 1997년 | |
11 | 대구 FC | 대구광역시 | 2003년 | |
12 | 광주 상무 불사조 | 광주광역시 | 2003년 | |
13 | 인천 유나이티드 | 인천광역시 | 2004년 | |
14 | 경남 FC | 경상남도 | 2006년 |
4. 정규 시즌
2007년 K리그 정규 시즌은 3월 3일부터 10월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팀당 26경기를 치렀다. 정규 시즌 결과, 성남 일화 천마가 1위를 차지하여 K리그 챔피언십 결승전에 직행했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2위로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울산 현대 호랑이, 경남 FC, 포항 스틸러스, 대전 시티즌이 3~6위를 기록하며 6강 플레이오프에 합류했다.
정규 리그에서 주목할 만한 더비 경기는 다음과 같다.
4. 1.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1 | 성남 일화 천마 | 26 | 16 | 7 | 3 | 43 | 18 | +25 | 55 | K리그 챔피언십 결승전 직행 |
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6 | 15 | 6 | 5 | 36 | 24 | +12 | 51 | K리그 챔피언십 6강 플레이오프 진출 |
3 | 울산 현대 호랑이 | 26 | 12 | 9 | 5 | 34 | 22 | +12 | 45 | K리그 챔피언십 6강 플레이오프 진출 |
4 | 경남 FC | 26 | 13 | 4 | 9 | 41 | 31 | +10 | 43 | |
5 | 포항 스틸러스 | 26 | 12 | 5 | 9 | 27 | 31 | -4 | 38 | |
6 | 대전 시티즌 | 26 | 10 | 7 | 9 | 34 | 27 | +7 | 37 | |
7 | FC 서울 | 26 | 8 | 13 | 5 | 23 | 16 | +7 | 37 | |
8 | 전북 현대 모터스 | 26 | 9 | 9 | 8 | 36 | 32 | +4 | 36 | |
9 | 인천 유나이티드 | 26 | 8 | 9 | 9 | 30 | 32 | -2 | 33 | |
10 | 전남 드래곤즈 | 26 | 7 | 9 | 10 | 24 | 27 | -3 | 30 | 2008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1] |
11 | 제주 유나이티드 | 26 | 8 | 6 | 12 | 27 | 35 | -8 | 30 | |
12 | 대구 FC | 26 | 6 | 6 | 14 | 35 | 46 | -11 | 24 | |
13 | 부산 아이파크 | 26 | 4 | 8 | 14 | 20 | 39 | -19 | 20 | |
14 | 광주 상무 불사조 | 26 | 2 | 6 | 18 | 14 | 44 | -30 | 12 |
4. 2. 경기 결과
경남 FC | 광주 상무 | 대구 FC | 대전 시티즌 | 부산 아이파크 | FC 서울 | 성남 일화 | 수원 삼성 | 울산 현대 | 인천 유나 | 전남 드래곤즈 | 전북 현대 | 제주 유나 | 포항 스틸러스 | ||
---|---|---|---|---|---|---|---|---|---|---|---|---|---|---|---|
경남 FC | 1-0 | 1-0 | 1-2 | 2-0 | 1-0 | 0-2 | 0-0 | 0-4 | 0-0 | 2-0 | 1-2 | 3-1 | 1-3 | ||
광주 상무 | 0-4 | 2-1 | 1-0 | 0-3 | 0-0 | 0-1 | 1-3 | 1-2 | 1-1 | 0-0 | 0-2 | 0-2 | 0-1 | ||
대구 FC | 1-3 | 2-1 | 1-1 | 1-1 | 1-0 | 1-2 | 1-2 | 3-1 | 1-2 | 2-2 | 1-1 | 3-0 | 2-2 | ||
대전 시티즌 | 0-0 | 2-0 | 4-1 | 2-2 | 0-0 | 1-2 | 1-0 | 1-3 | 0-1 | 1-1 | 2-0 | 1-0 | 3-0 | ||
부산 아이파크 | 1-4 | 2-1 | 1-4 | 1-0 | 0-0 | 1-3 | 1-2 | 0-1 | 0-0 | 1-3 | 0-2 | 0-1 | 1-2 | ||
FC 서울 | 0-3 | 0-0 | 2-0 | 2-1 | 4-0 | 0-0 | 0-1[1] | 0-0 | 2-1[2] | 1-0 | 1-1 | 1-0 | 3-0 | ||
성남 일화 | 1-2 | 3-1 | 3-0 | 0-0 | 2-1 | 0-0 | 3-1 | 1-1 | 1-1 | 1-1 | 2-1 | 2-0 | 1-1 | ||
수원 삼성 | 5-3 | 0-0 | 1-1 | 2-1 | 1-0 | 2-1[1] | 2-1 | 1-2 | 1-0 | 1-0 | 2-3 | 3-0 | 1-0 | ||
울산 현대 | 1-1 | 4-0 | 2-1 | 2-1 | 0-0 | 0-0 | 0-3 | 2-0 | 1-0 | 2-2 | 2-1 | 2-2 | 0-0 | ||
인천 유나 | 1-2 | 3-2 | 2-1 | 3-2 | 2-2 | 2-2[2] | 0-2 | 2-3 | 1-0 | 2-1 | 1-3 | 1-1 | 0-1 | ||
전남 드래곤즈 | 2-1 | 2-0 | 3-2 | 1-2 | 0-0 | 0-1 | 0-2 | 0-0 | 0-1 | 0-0 | 1-0[3] | 1-0 | 2-1 | ||
전북 현대 | 2-3 | 2-1 | 4-1 | 0-2 | 1-1 | 1-1 | 0-2 | 1-1 | 0-0 | 0-0 | 1-1[3] | 2-1 | 1-2 | ||
제주 유나 | 1-1 | 1-1 | 2-0 | 2-3 | 1-0 | 2-2 | 1-2 | 0-1 | 2-1 | 0-2 | 2-1 | 2-2 | 2-0 | ||
포항 스틸러스 | 2-1 | 2-1 | 1-3 | 1-1 | 0-1 | 0-0 | 2-1 | 0-0 | 1-0 | 3-2 | 1-0 | 1-3 | 0-1 |
5. 포스트시즌 (K리그 챔피언십)
2007년 K리그 챔피언십은 6강 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6강 플레이오프에서는 리그 4위 경남 FC와 5위 포항 스틸러스, 3위 울산 현대 호랑이와 6위 대전 시티즌이 맞붙어 각각 포항 스틸러스와 울산 현대 호랑이가 승리하여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울산 현대 호랑이를 꺾고 포항 스틸러스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포항 스틸러스가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꺾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포항 스틸러스가 성남 일화 천마를 1, 2차전 합계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2008 조별리그 출전권을 획득했다.
5. 1. 대진표
wikitext경기 | 날짜 및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비고 |
---|---|---|---|---|---|
K리그 챔피언십 2007 6강 플레이오프 Ⅰ | 2007년 10월 20일 19:00 UTC+9 | 경남 FC | 1 - 1 (승부차기 3 - 4) | 포항 스틸러스 | 창원종합운동장 |
K리그 챔피언십 2007 6강 플레이오프 Ⅱ | 2007년 10월 21일 15:00 UTC+9 | 울산 현대 호랑이 | 2 - 0 | 대전 시티즌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5. 2. 경기 결과
K리그 챔피언십 2007 6강 플레이오프는 리그 4위와 5위(제1경기), 리그 3위와 6위(제2경기)가 단판 홈 경기로 진행되었다. 승리 팀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패배 팀은 정규 리그 순위에 따라 시즌 5위, 6위가 되었다.경기 | 날짜 및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득점 (홈 팀) | 득점 (원정 팀) |
---|---|---|---|---|---|---|---|
K리그 챔피언십 2007 제1경기 6강 플레이오프 Ⅰ | 2007년 10월 20일 19:00 UTC+9 | 경남 FC | 1 - 1 (승부차기 3 - 4) | 포항 스틸러스 | 창원종합운동장 | 까보레 (86 ---- 승부차기''' 정윤성 김성길 까보레 산토스 김근철 | 이광재 (68br>---- 승부차기''' 따바레즈 황지수 황재원 김수연 김기동 |
K리그 챔피언십 2007 제2경기 6강 플레이오프 Ⅱ | 2007년 10월 21일 15:00 UTC+9 | 울산 현대 호랑이 | 2 - 0 | 대전 시티즌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이상호 (39) 박동혁 (69) |
6강 플레이오프 승리 팀들은 준플레이오프에서 단판 경기로 플레이오프 진출 팀을 결정했다. 경기는 정규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의 홈에서 열렸고, 패배 팀은 시즌 4위가 되었다.
경기 | 날짜 및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득점 (홈 팀) | 득점 (원정 팀) |
---|---|---|---|---|---|---|---|
K리그 챔피언십 2007 제3경기 준플레이오프 | 2007년 10월 28일 15:00 UTC+9 | 울산 현대 호랑이 | 1 - 2 | 포항 스틸러스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우성용 (70') | 황재원 (34) 이광재 (65)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 리그 2위는 플레이오프에서 단판 경기로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7 진출 팀을 결정했다. 경기는 정규 리그 2위 팀의 홈에서 열렸고, 패배 팀은 시즌 3위가 되었다.
경기 | 날짜 및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득점 (홈 팀) | 득점 (원정 팀) |
---|---|---|---|---|---|---|---|
K리그 챔피언십 2007 제4경기 플레이오프 | 2007년 10월 31일 19:30 UTC+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 - 1 | 포항 스틸러스 | 수원월드컵경기장 | 박원재 (86') |
K리그 챔피언십 2007 플레이오프 승자와 리그 1위는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7에서 우승, 준우승 팀을 결정했다. 정규 리그 1위 팀은 1차전을 원정, 2차전을 홈 경기로 치렀다. 우승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 2008 조별리그 출전권을 얻었다.
경기 | 날짜 및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득점 (홈 팀) | 득점 (원정 팀) |
---|---|---|---|---|---|---|---|
K리그 챔피언십 2007 제5경기 K리그 챔피언 결정전 1차전 | 2007년 11월 4일 15:00 UTC+9 | 포항 스틸러스 | 3 - 1 | 성남 일화 천마 | 포항스틸야드 | 박원재 (31) 고기구 (73) 이광재 (74') | 장학영 (90+1') |
K리그 챔피언십 2007 제6경기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차전 | 2007년 11월 11일 15:00 UTC+9 | 성남 일화 천마 | 0 - 1 | 포항 스틸러스 | 탄천종합운동장 | 슈벵크 (43') |
6. 우승 구단
'''포항 스틸러스'''는 2007년 K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는 1986년, 1988년, 1992년에 이어 통산 4번째 우승이다.[1]
7. 시즌 통계
2007년 K리그는 총 2,296,389명의 관중을 동원했으며, 경기당 평균 12,215명의 관중을 기록했다. 이는 K리그가 협회 축구 국내 프로 리그 평균 관중 수에서 세계 15위에 해당함을 의미한다.[1]
개인 기록으로는 까보레가 18골로 득점왕을, 따바레즈가 13도움으로 도움왕을 차지했다.[1]
팀 | 경기수 | 총 관중수 | 평균 관중수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4 | 361,350명 | 25,811명 |
FC 서울 | 13 | 279,700명 | 21,515명 |
인천 유나이티드 FC | 13 | 216,728명 | 16,671명 |
대전 시티즌 | 13 | 214,638명 | 16,511명 |
대구 FC | 13 | 190,950명 | 14,688명 |
울산 현대 호랑이 | 15 | 168,803명 | 11,254명 |
전북 현대 모터스 | 13 | 140,927명 | 10,841명 |
경남 FC | 14 | 130,294명 | 9,307명 |
광주 상무 불사조 | 13 | 115,196명 | 8,861명 |
성남 일화 천마 | 14 | 118,717명 | 8,480명 |
전남 드래곤즈 | 13 | 108,610명 | 8,355명 |
포항 스틸러스 | 14 | 103,822명 | 7,416명 |
제주 유나이티드 FC | 13 | 81,763명 | 6,289명 |
부산 아이파크 | 13 | 65,161명 | 5,012명 |
합계 | 188 | 2,296,389명 | 12,215명 |
구단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前 선수 |
---|---|---|---|---|
부산 아이파크 | Ciel|시엘pt | Luciano Tanque|루시아누 탄케pt | Frane Čačić|프라네 차치치hr | Luiz Fernando|루이스 페르난두pt William|윌리엄pt |
전남 드래곤즈 | Leandrão|레안드롱pt | Sandro Hiroshi|산드로 히로시pt | Victor Simões|빅토르 시모이스pt | Sandro|산드로pt |
대구 FC | Eninho|에닝요pt | Luizinho|루이징요pt | Selmir|셀미르pt | |
대전 하나 시티즌 | Adriano Chuba|아드리아노 추바pt | Cristiano Pereira|크리스티아누 페레이라pt | Denilson|데닐손pt | Fabián Caballero|파비안 카바예로es Fernandinho|페르난지뉴pt |
FC 서울 | Adilson|아딜손pt | Dudu|두두pt | Ricardo Nascimento|히카르두 나시멘투pt | |
광주 상무 불사조 | ||||
경남 FC | Caboré|카보레pt | Rogério Pinheiro|호제리오 핀에이루pt | Popó|포포pt | |
인천 유나이티드 | Дејан Дамјановић|데얀 다먀노비치sr | Dragan Mladenović|드라간 믈라데노비치sr | Željko Kalajdžić|젤코 칼라지치sr | Зенан Радончић|제난 라돈치치sr |
제주 유나이티드 FC | Irineu|이리네우pt | Ricardinho|히카르지뉴pt | Nikola Vasiljević|니콜라 바실예비치bs Иван Перић|이반 페리치sr | |
전북 현대 모터스 | Antonio Franja|안토니오 프라냐hr | Zé Carlos|제 카를루스pt | Стевица Ристиќ|스테비차 리스티치mk | |
포항 스틸러스 | Jones|존스pt | Schwenk|슈벵크pt | André Luiz Tavares|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pt | Carlos Frontini|카를로스 프론티니es Maurício Fernandes|마우리시우pt |
성남 FC | Itamar|이타마르pt | Mota|모타pt | Adrian Neaga|아드리안 네아가ro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Edu|에두pt | Nadson|나드손pt | Mato Neretljak|마토 네레틀야크hr | Elpídio Silva|엘피디오 실바pt |
울산 현대 | Almir|알미르pt | Leandro Machado|레안드로 마차도pt | José Luis Villanueva|호세 루이스 비야누에바es |
7. 1. 개인 기록
2007년 K리그의 개인 기록으로는 득점과 도움 순위가 있다. 까보레는 18골로 득점왕을, 따바레즈는 13도움으로 도움왕을 차지했다.[1]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7. 1. 1. 득점
순위 | 이름 | 득점 | 경기 수 | 소속팀 |
---|---|---|---|---|
1 | 까보레 | 18 | 26 | 경남 FC |
2 | 데닐손 | 14 | 24 | 대전 시티즌 |
3 | 데얀 | 14 | 26 | 인천 유나이티드 FC |
4 | 스테보 | 13 | 25 | 전북 현대 모터스 |
5 | 루이지뉴 | 11 | 23 | 대구 FC |
6 | 모따 | 9 | 21 | 성남 일화 천마 |
7 | 슈바 | 8 | 14 | 대전 시티즌 |
이근호 | 8 | 20 | 대구 FC | |
우성용 | 8 | 26 | 울산 현대 호랑이 | |
산드로 히로시 | 8 | 26 | 전남 드래곤즈 |
이 목록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의 골을 포함한다. 공식적인 득점왕은 정규 시즌 기록만으로 결정되었으며, 까보레가 17골로 수상했다.[1]
7. 1. 2. 도움
순위 | 이름 | 도움 | 경기 수 | 소속팀 |
---|---|---|---|---|
1 | 따바레즈 | 13 | 28 | 포항 스틸러스 |
2 | 뽀뽀 | 10 | 21 | 경남 FC |
3 | 까보레 | 8 | 26 | 경남 FC |
4 | 에닝요 | 6 | 20 | 대구 FC |
5 | 우성용 | 6 | 26 | 울산 현대 호랑이 |
6 | 데닐손 | 5 | 24 | 대전 시티즌 |
7 | 알미르 | 5 | 26 | 울산 현대 호랑이 |
8 | 정종관 | 4 | 18 | 전북 현대 모터스 |
9 | 남기일 | 4 | 19 | 성남 일화 천마 |
10 | 김재성 | 4 | 20 | 제주 유나이티드 FC |
이 목록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의 골을 포함한다.
7. 2. 팀 기록
2007 시즌 K리그는 총 2,073,808명의 관중을 동원했으며, 경기당 평균 11,786명의 관중을 기록했다. 이는 K리그가 협회 축구 국내 프로 리그 평균 관중 수에서 세계 15위에 해당함을 의미한다.[1]7. 2. 1. 구단별 관중 수
팀 | 경기수 | 총 관중수 | 평균 관중수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4 | 361,350명 | 25,811명 |
FC 서울 | 13 | 279,700명 | 21,515명 |
인천 유나이티드 FC | 13 | 216,728명 | 16,671명 |
대전 시티즌 | 13 | 214,638명 | 16,511명 |
대구 FC | 13 | 190,950명 | 14,688명 |
울산 현대 호랑이 | 15 | 168,803명 | 11,254명 |
전북 현대 모터스 | 13 | 140,927명 | 10,841명 |
경남 FC | 14 | 130,294명 | 9,307명 |
광주 상무 불사조 | 13 | 115,196명 | 8,861명 |
성남 일화 천마 | 14 | 118,717명 | 8,480명 |
전남 드래곤즈 | 13 | 108,610명 | 8,355명 |
포항 스틸러스 | 14 | 103,822명 | 7,416명 |
제주 유나이티드 FC | 13 | 81,763명 | 6,289명 |
부산 아이파크 | 13 | 65,161명 | 5,012명 |
합계 | 188 | 2,296,389명 | 12,215명 |
- 플레이오프 및 챔피언 결정전 관중수 포함.
팀 | 평균 | 최소 | 최대 | 총 관중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5,194 | 16,213 | 41,819 | 327,526 |
FC 서울 | 21,513 | 10,574 | 55,397 | 279,670 |
인천 유나이티드 FC | 16,671 | 6,217 | 25,686 | 216,728 |
대구 FC | 15,007 | 2,085 | 44,215 | 180,090 |
대전 시티즌 | 14,659 | 5,423 | 28,074 | 175,914 |
전북 현대 모터스 | 11,312 | 4,328 | 29,112 | 135,754 |
광주 상무 불사조 | 8,861 | 2,678 | 28,637 | 115,196 |
울산 현대 호랑이 | 8,706 | 3,628 | 14,763 | 113,184 |
경남 FC | 8,625 | 3,051 | 23,192 | 103,503 |
전남 드래곤즈 | 8,565 | 3,859 | 13,800 | 102,780 |
성남 일화 천마 | 7,677 | 4,236 | 10,508 | 99,794 |
제주 유나이티드 FC | 6,636 | 1,231 | 20,499 | 79,635 |
포항 스틸러스 | 6,572 | 1,735 | 12,596 | 78,873 |
부산 아이파크 | 5,012 | 1,505 | 11,075 | 65,161 |
2007 시즌 K리그는 총 2,073,808명의 관중을 동원했으며, 경기당 평균 11,786명의 관중을 기록했다. 이는 K리그가 협회 축구 국내 프로 리그 평균 관중 수에서 세계 15위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7. 3. 외국인 선수
구단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前 선수 |
---|---|---|---|---|
부산 아이파크 | Ciel|시엘pt | Luciano Tanque|루시아누 탄케pt | Frane Čačić|프라네 차치치hr | Luiz Fernando|루이스 페르난두pt William|윌리엄pt |
전남 드래곤즈 | Leandrão|레안드롱pt | Sandro Hiroshi|산드로 히로시pt | Victor Simões|빅토르 시모이스pt | Sandro|산드로pt |
대구 FC | Eninho|에닝요pt | Luizinho|루이징요pt | Selmir|셀미르pt | |
대전 하나 시티즌 | Adriano Chuba|아드리아노 추바pt | Cristiano Pereira|크리스티아누 페레이라pt | Denilson|데닐손pt | Fabián Caballero|파비안 카바예로es Fernandinho|페르난지뉴pt |
FC 서울 | Adilson|아딜손pt | Dudu|두두pt | Ricardo Nascimento|히카르두 나시멘투pt | |
광주 상무 불사조 | ||||
경남 FC | Caboré|카보레pt | Rogério Pinheiro|호제리오 핀에이루pt | Popó|포포pt | |
인천 유나이티드 | Дејан Дамјановић|데얀 다먀노비치sr | Dragan Mladenović|드라간 믈라데노비치sr | Željko Kalajdžić|젤코 칼라지치sr | Зенан Радончић|제난 라돈치치sr |
제주 유나이티드 FC | Irineu|이리네우pt | Ricardinho|히카르지뉴pt | Nikola Vasiljević|니콜라 바실예비치bs Иван Перић|이반 페리치sr | |
전북 현대 모터스 | Antonio Franja|안토니오 프라냐hr | Zé Carlos|제 카를루스pt | Стевица Ристиќ|스테비차 리스티치mk | |
포항 스틸러스 | Jones|존스pt | Schwenk|슈벵크pt | André Luiz Tavares|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pt | Carlos Frontini|카를로스 프론티니es Maurício Fernandes|마우리시우pt |
성남 FC | Itamar|이타마르pt | Mota|모타pt | Adrian Neaga|아드리안 네아가ro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Edu|에두pt | Nadson|나드손pt | Mato Neretljak|마토 네레틀야크hr | Elpídio Silva|엘피디오 실바pt |
울산 현대 | Almir|알미르pt | Leandro Machado|레안드로 마차도pt | José Luis Villanueva|호세 루이스 비야누에바es |
8. 수상
염동균
김영철
장학영
김용대 || FC 서울
전남 드래곤즈
성남 일화 천마
성남 일화 천마
성남 일화 천마
|-
|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3] || 김두현 || 성남 일화 천마
|}
여름에 ''FourFourTwo'' 한국판에서 K리그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가 발표되었으며, K리그 공식 시상은 아니었지만 100명의 선수가 선정 과정에 참여했다.[3]
8. 1. 개인 수상
염동균김영철
장학영
김용대
| FC 서울
전남 드래곤즈
성남 일화 천마
성남 일화 천마
성남 일화 천마
|}
여름에 ''FourFourTwo'' 한국판에서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가 발표되었으며, K리그의 공식 시상은 아니었지만 100명의 선수가 선정 과정에 참여했다.[3]
시상 | 수상자 | 클럽 | |||||||||||||||||||||||||||||||||||||||||||||||||||||||||
---|---|---|---|---|---|---|---|---|---|---|---|---|---|---|---|---|---|---|---|---|---|---|---|---|---|---|---|---|---|---|---|---|---|---|---|---|---|---|---|---|---|---|---|---|---|---|---|---|---|---|---|---|---|---|---|---|---|---|---|
최우수 선수상[2] |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따바레즈pt | 포항 스틸러스 | |||||||||||||||||||||||||||||||||||||||||||||||||||||||||
득점왕[1] | 이베라우두 지 제수스 페헤이라|까보레pt | 경남 FC | |||||||||||||||||||||||||||||||||||||||||||||||||||||||||
도움왕[1] |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따바레즈pt | 포항 스틸러스 | |||||||||||||||||||||||||||||||||||||||||||||||||||||||||
신인 선수상[2] | 하태균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올해의 감독상[4] | {{lang|pt|세르지우 파리아스|} | }
포지션 | 수상자 | 클럽 |
---|---|---|
골키퍼 | 김병지 | FC 서울 |
수비수 | 아디우송 두스 산투스|아디pt | FC 서울 |
마토 네레틀랴크|마토hr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황재원 | 포항 스틸러스 | |
장학영 | 성남 일화 천마 | |
미드필더 |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따바레즈pt | 포항 스틸러스 |
이관우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김기동 | 포항 스틸러스 | |
김두현 | 성남 일화 천마 | |
공격수 | 이근호 | 대구 FC |
이베라우두 지 제수스 페헤이라|까보레pt | 경남 FC |
8. 2. 베스트 11
포지션 | 수상자 | 클럽 |
---|---|---|
골키퍼 | 김병지 | FC 서울 |
수비수 | 아디 | FC 서울 |
마토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황재원 | 포항 스틸러스 | |
장학영 | 성남 일화 천마 | |
미드필더 | 따바레즈 | 포항 스틸러스 |
이관우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김기동 | 포항 스틸러스 | |
김두현 | 성남 일화 천마 | |
공격수 | 이근호 | 대구 FC |
까보레 | 경남 FC |
참조
[1]
뉴스
http://www.inews24.c[...]
JoyNews24
2007-10-14
[2]
뉴스
https://news.kbs.co.[...]
KBS
2007-12-06
[3]
뉴스
http://osen.mt.co.kr[...]
Osen
2007-05-30
[4]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YTN
2007-11-27
[5]
웹인용
(초점) '5등 포항 우승'...K-리그 6강 PO 이대로 좋은가
http://sports.chosun[...]
2007-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