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은 2008년 8월 9일부터 16일까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장닝이 금메달, 셰 싱팡이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인도네시아의 마리아 크리스틴 유리아티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여자 배드민턴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복식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복식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려 중국의 두징/위양 조가 금메달, 대한민국의 이경원/이효정 조가 은메달, 중국의 장야원/웨이이리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남자 단식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남자 단식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8월 9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린단이 금메달, 리총웨이가 은메달, 천진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복식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복식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려 중국의 두징/위양 조가 금메달, 대한민국의 이경원/이효정 조가 은메달, 중국의 장야원/웨이이리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배드민턴 - 201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201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은 49개국에서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중국이 가장 많은 선수를 파견했고, 대한민국은 1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올림픽 배드민턴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경기는 2008년 8월 9일부터 17일까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배드민턴 여자 단식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베이징 |
경기장 |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 |
기간 | 2008년 8월 9일 ~ 8월 16일 |
참가 선수 | 47명 |
참가 국가 | 42개국 |
이전 대회 | 2004년 아테네 |
다음 대회 | 2012년 런던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장닝 |
은메달 | 시에 싱팡 |
동메달 | 마리아 크리스틴 율리안티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 | 전 경기 |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경기는 8월 9일부터 8월 15일까지 베이징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렸으며, 47개국에서 64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1]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종목 2008년 8월 9일 (토요일) 64강 2008년 8월 10일 (일요일) 64강 2008년 8월 11일 (월요일) 32강 2008년 8월 12일 (화요일) 16강 2008년 8월 13일 (수요일) 8강 2008년 8월 15일 (금요일) 4강 2008년 8월 16일 (토요일) 3·4위전 결승전
4. 시드 배정
순위 선수 국가 비고 1 시에 싱팡 (은메달) 2 장닝 (금메달) 3 루란 (4위) 4 왕천 (3라운드) 5 피홍옌 (8강) 6 티네 라스무센 (3라운드) 7 쉬화이원 (8강) 8 웡미우추 (8강)
5. 경기 결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장닝과 셰싱팡이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인도네시아의 마리아 크리스틴 유리아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8강 준결승 결승 셰싱팡 (CHN|중국중국어)
21 22셰싱팡 (CHN|중국중국어)
7 21 21셰싱팡 (CHN|중국중국어)
12 21 18쉬화이원 (GER|독일de)
19 20루란 (CHN|중국중국어)
21 29루란 (CHN|중국중국어)
21 10 12웡미우추 (MAS|말레이시아ms)
7 27마리아 크리스틴 유리아티 (INA|인도네시아id)
26 21 21마리아 크리스틴 유리아티 (INA|인도네시아id)
15 15장닝 (CHN|중국중국어)
21 10 21사이나 네왈 (IND|인도hi)
28 14 15피홍옌 (FRA|프랑스프랑스어)
8 21 19장닝 (CHN|중국중국어)
21 21장닝 (CHN|중국중국어)
21 19 21
3,4위전 에서는 인도네시아의 마리아 크리스틴 유리아티가 중화인민공화국의 루란을 상대로 11-21, 21-13, 21-15 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5. 1. 본선 (1)
5. 2. 본선 (2)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8강 |
---|---|---|---|
Thilini Jayasinghe영어 (13, 12) | Lê Ngọc Nhungvi (21, 21) | 히로세 에리카 (21, 21) | 히로세 에리카 (12, 21, 6) |
Lê Ngọc Nhungvi (21, 21) | Ragna Ingolfsdottiris (6, 7, 기권) | ||
히로세 에리카 (21, 19) | Claudia Riveroes (6, 9) | ||
Ragna Ingolfsdottiris (6, 7, 기권) | Pi Hongyan프랑스어 (21, 21) | |||
Chloe Mageega (18, 21, 21) | Chloe Mageega (12, 14) | Pi Hongyan프랑스어 (21, 16, 21) | |
카티 톨모프 (21, 18, 19) | 전재연 (21, 21) | |||
카밀라 아우구스틴 (15, 5) | 살라킷 폰사나 (23, 17, 7) | ||
전재연 (21, 21) | 장닝 (21, 21, 21) | |||
Pi Hongyan프랑스어 (8, 21, 19) | Pi Hongyan프랑스어 (8, 21, 19) | ||
장닝 (21, 19, 21) | 장닝 (21, 19, 21) |
5. 3. 본선 (3)
21 / 13 / 20
9 / 14
21 / 19 / 14
28 / 14 / 15
9 / 8
18 / 10
19 / 21 / 11
26 / 21 / 21
6 / 8
18 / 21 / 21
7 / 7
21 / 11 / 21
1 / 9
16 / 15
19 / 20
17 / 8
10 / 7
21 / 22
19 / 12
17 / 14
21 / 21
15 / 17
18 / 13
21 / 21
3 / 1 (기권)
7 / 12
7 / 27
4 / 4
16 / 8
21 / 29
15 / 21 / 19
10 / 13
21 / 21
9 / 13
21 / 21
6 / 9
12 / 21 / 6
21 / 19 / 21
23 / 17 / 7
11 / 12
8 / 21 / 19
6 / 7 (기권)
7 / 12
21 / 16 / 21
15 / 5
12 / 14
21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