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예선은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대륙별 선수권 대회, 최종 세계 예선 토너먼트, 삼자 위원회 초청 등을 통해 진행되었다. 남자부에서는 개최국인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하여 49개국, 64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여자부 역시 49개국 64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단체전에는 남자 12개국, 여자 10개국이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구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수구 예선은 남자 12개 팀과 여자 8개 팀의 본선 진출을 위해 각 대륙별 예선,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월드 리그 등을 통해 올림픽 수구 종목에 참가할 국가대표팀을 선발하는 과정이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예선은 경영과 오픈 워터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A, B 기준 기록을 충족하는 선수를 출전시키거나, 2007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상위 팀 또는 오픈 워터 세계 선수권 대회, 대륙별 대표, 개최국, 예선전을 통해 출전 자격을 결정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은 대한민국이 랭킹 라운드와 8강전에서 신기록을 세우고 결승에서 중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6연패를 달성한 종목이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대한민국이 이창환, 박경모, 임동현 선수로 팀을 이루어 금메달과 세계 신기록을 동시에 달성하고, 이탈리아가 은메달, 중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대회이다. - 올림픽 양궁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51개국 128명의 선수가 참가,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안산 선수의 3관왕 달성으로 주목받았으며 일부 논란이 있었으나 다양한 국가가 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확인했다. - 올림픽 양궁 -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 29명만이 참가하여 6개의 세부 종목에서 메달이 수여되었고, 조지 브라이언트와 마틸다 하웰이 각각 남녀부 2관왕, 미국은 전 종목 메달을 석권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예선 | |
---|---|
대회 정보 |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예선 |
개최지 | 여러 장소 |
기간 | 2007년 8월 6일 ~ 2008년 7월 24일 |
참가 자격 | 남자: 64명 여자: 64명 |
2008년 올림픽 양궁 경기 티켓 | 128장 |
국가 올림픽 위원회 | 82개국 |
예선 일정 | |
2007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8월 6일 ~ 8월 12일) |
2008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008년 유럽 선수권 대회 (5월 12일 ~ 5월 17일) |
최종 예선 토너먼트 | 2008년 7월 11일 |
대륙별 쿼터 | 2008년 7월 24일 |
2.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참가국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에는 총 49개국에서 남녀 각 64명씩,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참가국 | 남자 | 여자 | 총원 |
---|---|---|---|
오스트레일리아 | 3 | 2 | 5 |
벨라루스 | 1 | 1 | 2 |
부탄 | 1 | 1 | 2 |
브라질 | 1 | align=center| | 1 |
불가리아 | 1 | align=center| | 1 |
캐나다 | 3 | 1 | 4 |
중화인민공화국 | 3 | 3 | 6 |
중화 타이베이 | 3 | 3 | 6 |
콜롬비아 | align=center| | 3 | 3 |
쿠바 | 1 | align=center| | 1 |
키프로스 | align=center| | 1 | 1 |
체코 | 1 | 1 | 2 |
덴마크 | 1 | 1 | 2 |
이집트 | 1 | 1 | 2 |
핀란드 | 1 | align=center| | 1 |
프랑스 | 2 | 3 | 5 |
조지아 | align=center| | 2 | 2 |
독일 | 1 | 1 | 2 |
영국 | 3 | 3 | 6 |
그리스 | align=center| | 2 | 2 |
인도 | 1 | 3 | 4 |
인도네시아 | align=center| | 2 | 2 |
이란 | 1 | 1 | 2 |
이탈리아 | 3 | 3 | 6 |
일본 | 2 | 3 | 5 |
카자흐스탄 | align=center| | 1 | 1 |
말레이시아 | 3 | align=center| | 3 |
모리셔스 | align=center| | 1 | 1 |
멕시코 | 2 | 2 | 4 |
모로코 | align=center| | 1 | 1 |
미얀마 | 1 | align=center|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align=center| | 2 | 2 |
필리핀 | 1 | align=center| | 1 |
폴란드 | 3 | 3 | 6 |
포르투갈 | 1 | align=center| | 1 |
카타르 | 1 | align=center| | 1 |
루마니아 | 1 | align=center| | 1 |
러시아 | 3 | 2 | 5 |
사모아 | 1 | align=center| | 1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align=center| | 1 |
대한민국 | 3 | 3 | 6 |
스페인 | 1 | align=center| | 1 |
스웨덴 | 1 | align=center| | 1 |
스위스 | align=center| | 1 | 1 |
타지키스탄 | align=center| | 1 | 1 |
튀르키예 | 1 | 1 | 2 |
우크라이나 | 3 | 2 | 5 |
미국 | 3 | 2 | 5 |
베네수엘라 | align=center| | 1 | 1 |
2. 1. 참가국 목록 (선수 명단)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 | 남자 | 여자 | 총 인원 | 선수 | |
---|---|---|---|---|---|
남자 | 여자 | ||||
오스트레일리아 | 3 | 2 | 5 | 김스카이 매튜 그레이 마이클 내레이 | 렉시 피니 제인 월러 |
벨라루스 | 1 | 1 | 2 | 막심 쿤다 | 카차리나 물리우크 |
부탄 | 1 | 1 | 2 | 타시 펠조르 | 도르지 데마 |
브라질 | 1 | align=center| | 1 | 루이스 트레이니니 | |
불가리아 | 1 | align=center| | 1 | 다니엘 파블로프 | |
캐나다 | 3 | 1 | 4 | 제이슨 리온 크리스핀 두에나스 존-데이비드 번스 | 마리-피에르 보데 |
중화인민공화국 | 3 | 3 | 6 | 쉐하이펑 장린 리원취안 | 장쥐안쥐안 천링 궈단 |
중화 타이베이 | 3 | 3 | 6 | 궈청웨이 왕청팡 천스위안 | 위안수치 우후이주 웨이피시우 |
콜롬비아 | align=center| | 3 | 3 | 시그리드 로메로 아나 렌돈 나탈리아 산체스 | |
쿠바 | 1 | align=center| | 1 | 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 | |
키프로스 | align=center| | 1 | 1 | 엘레나 무시쿠 | |
체코 | 1 | 1 | 2 | 마틴 불리르 | 바르보라 호라치코바 |
덴마크 | 1 | 1 | 2 | 닐스 달 | 루이스 라우르센 |
이집트 | 1 | 1 | 2 | 마게드 유세프 | 소하 아베드 엘알 |
핀란드 | 1 | align=center| | 1 | 마티 하타바 | |
프랑스 | 2 | 3 | 5 | 로맹 지루이 장-샤를 발라동 | 버지니 아르노 소피 도데몽 베랑제르 슈 |
조지아 | align=center| | 2 | 2 | 카투나 나리만니제 크리스티나 에세부아 | |
독일 | 1 | 1 | 2 | 옌스 파이퍼 | 안야 히츨러 |
영국 | 3 | 3 | 6 | 로렌스 고드프리 사이먼 테리 앨런 윌스 | 앨리슨 윌리엄슨 샬롯 버지스 나오미 폴카드 |
그리스 | align=center| | 2 | 2 | 엘피다 로만치 에반젤리아 프사라 | |
인도 | 1 | 3 | 4 | 망갈 싱 챔피아 | 라이스람 봄바야 데비 돌라 바네르지 프라니타 바르디네니 |
인도네시아 | align=center| | 2 | 2 | 이카 율리아나 로흐마와티 리나 데위 푸스피타사리 | |
이란 | 1 | 1 | 2 | 호잣올라 바에지 | 나즈메 아브틴 |
이탈리아 | 3 | 3 | 6 | 일라리오 디 부오 마르코 갈리아초 마우로 네스폴리 | 엘레나 토네타 피아 카르멘 리오네티 나탈리아 발레바 |
일본 | 2 | 3 | 5 | 후루카와 다카하루 모리야 류이치 | 하야카와 나미 하야시 유키 키타바타케 사요코 |
카자흐스탄 | align=center| | 1 | 1 | 아나스타시야 반노바 | |
말레이시아 | 3 | align=center| | 3 | 청추시안 칼미잠 완 압드 아지즈 마르바위 술라이만 | |
모리셔스 | align=center| | 1 | 1 | 베로니크 드'유니엔빌 | |
멕시코 | 2 | 2 | 4 | 후안 레네 세라노 루이스 에두아르도 벨레즈 산체스 | 마리아나 아비티아 아이다 로만 |
모로코 | align=center| | 1 | 1 | 카디자 아부다 | |
미얀마 | 1 | align=center| | 1 | 나이 묘 아웅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align=center| | 2 | 2 | 권은실 손혜영 | |
필리핀 | 1 | align=center| | 1 | 마크 하비에르 | |
폴란드 | 3 | 3 | 6 | 라파우 도브로볼스키 표트르 볘테크 야체크 프로치 | 마우고르자타 치웬체크 이보나 마르친키에비츠 유스티나 모스피네크 |
포르투갈 | 1 | align=center| | 1 | 누누 폼보 | |
카타르 | 1 | align=center| | 1 | 알리 살렘 | |
루마니아 | 1 | align=center| | 1 | 알렉산드루 보드나르 | |
러시아 | 3 | 2 | 5 | 안드레이 아브라모프 바이어 바데노프 발지니니마 치렘필로프 | 나탈리아 에르디니예바 미로슬라바 다그바예바 |
사모아 | 1 | align=center| | 1 | 무아사 요셉 월터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align=center| | 1 | 캘빈 하틀리 | |
대한민국 | 3 | 3 | 6 | 임동현 이창환 박경모 | 주현정 박성현 윤옥희 |
스페인 | 1 | align=center| | 1 | 다니엘 모릴로 | |
스웨덴 | 1 | align=center| | 1 | 마그누스 페테르손 | |
스위스 | align=center| | 1 | 1 | 나탈리 딜렌 | |
타지키스탄 | align=center| | 1 | 1 | 알비나 카말레트디노바 | |
튀르키예 | 1 | 1 | 2 | 괵투르그 에르긴 | 제키예 케스킨 사티르 |
우크라이나 | 3 | 2 | 5 | 마르키얀 이바슈코 빅토르 루반 올렉산드르 세르디우크 | 테티아나 베레즈나 빅토리아 코발 |
미국 | 3 | 2 | 5 | 브래디 엘리슨 버치 존슨 빅 원더리 | 제니퍼 니콜스 카투나 로리그 |
베네수엘라 | align=center| | 1 | 1 | 레이디스 브리토 | |
총계: 49개 NOC | 64 | 64 | 128 | colspan=2| |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종목에는 남녀 개인전과 단체전에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각국 올림픽 위원회(NOC)는 각 종목별로 최대 3명씩, 총 6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3. 예선
예선은 국제 양궁 연맹(FITA)이 승인한 대회에서 특정 순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7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를 시작으로, 각 대륙별 선수권 대회(아시아, 유럽, 범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와 최종 세계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출전 선수가 결정되었다. 또한, 삼자 위원회 초청을 통해 일부 선수들에게 출전권이 주어졌다.
개최국인 중국은 자동 출전권을 얻어 남녀 개인전에 각각 3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3. 1. 예선 대회 일정
대회 | 기간 | 개최지 |
---|---|---|
2007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2007년 7월 5일 ~ 15일 | 라이프치히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07년 9월 14일 ~ 19일 | 시안 |
범아메리카 대륙 예선 토너먼트 | 2007년 10월 9일 ~ 13일 | 산살바도르 |
뉴질랜드 선수권 대회 및 오세아니아 예선 | 2008년 1월 5일 ~ 11일 | 웰링턴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2008년 2월 7일 ~ 10일 | 카이로 |
유럽 선수권 대회 | 2008년 5월 12일 ~ 19일 | 비텔 |
최종 세계 예선 토너먼트 | 2008년 6월 24일 ~ 28일 | 보에 |
삼자 위원회 초청 | 2008년 3월 19일 | 해당사항 없음 |
3. 2. 남자 예선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전에는 총 64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각국 올림픽 위원회(NOC)는 최대 3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예선 통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자격 획득 방법 | 순위/조건 | 선수 수 | 자격 획득 선수 및 국가 |
---|---|---|---|
개최국 | - | 3 | 중국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 | 8위 이상 | 3명씩 | 대한민국, 영국, 중화 타이베이, 폴란드, 이탈리아, 미국, 우크라이나, 캐나다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전 | 16위 이상 | 최대 2명 | 발지니니마 치렘필로프, 청추시안, 후루카와 다카하루, 마그누스 페테르손, 루이스 에두아르도 벨레스 산체스, 닐스 달, 데이비드 반스, 호자톨라 바에지, 스카이 김, 바이어 바데노프, 다니엘 파블로프, 옌스 파이퍼, 마르바위 술라이만, 괵투그 에르긴, 알렉산드루 보드나르, 모리야 류이치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3위 이상 | 최대 2명 | 마크 하비에르, 망갈 싱 챔피아, 칼미잠 완 압드 아지즈 |
유럽 선수권 대회 | 3위 이상 | 최대 2명 | 로맹 지루이, 안드레이 아브라모프, 장샤를 바라도 |
범아메리카 대륙 예선 토너먼트 | 3위 이상 | 최대 2명 | 후안 레네 세라노, 후안 카를로스 스티븐스, 루이스 트라이니니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2위 이상 | 최대 2명 | 캘빈 하틀리, 암르 가넴 |
뉴질랜드 선수권 대회 & 오세아니아 예선 | 2위 이상 | 최대 2명 | 마이클 나레이, 무아아사 조셉 월터 |
최종 세계 예선 토너먼트 | 5위 이상 | 1명 | 누누 폼보, 마티 하타바, 막심 쿤다, 밀란 안드레아스, 다니엘 모릴로 |
삼자 위원회 초청 | - | 1명 | 타시 펠조르, 네이 미오 아웅, 알리 살렘 |
- 이라크의 알리 아드난은 출전권을 얻었으나, 이라크 올림픽 위원회가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면서 출전이 무산되었다.
3. 3. 여자 예선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예선전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올림픽 개최국인 중국은 자동으로 3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8위 이상을 기록한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영국, 이탈리아, 폴란드, 인도, 프랑스, 콜롬비아 대표팀도 각각 3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전 16위 이상 선수들은 최대 2명까지 출전 가능했다. 이 자격으로 출전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 나탈리아 에르디니예바 (러시아)
- 제니퍼 니콜스 (미국)
- 카투나 나리마니제 (조지아)
- 권은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테티아나 베레즈나 (우크라이나)
- 비크토리야 코바우 (우크라이나)
- 하야카와 나미 (일본)
- 타티아나 보로다이 (러시아)
- 기타바타케 사요코 (일본)
- 리콕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아나스타시야 반노바 (카자흐스탄)
- 크리스티나 에세부아 (조지아)
- 루이세 로르센 (덴마크)
- 엘피다 로만치 (그리스)
- 리브세트 레오니 (베네수엘라)
- 마리-피에르 보데 (캐나다)
이후 각 대륙별 선수권 대회와 세계 예선, 삼자 초청 위원회 초청을 통해 추가 출전 선수가 결정되었다.
대회 | 순위 | 선수 |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3위 이상 | 이카 율리아나 로흐마와티, 하야시 유키, 리나 데위 푸스피타사리 (이상 인도네시아) |
유럽 선수권 대회 | 3위 이상 | 제키예 케스킨 사티르 (터키), 에반겔리아 프사라 (그리스), 잔나 스비스툰 (벨라루스) |
아메리카 예선 | 3위 이상 | 자네스 가르시아, 아이다 로만 (이상 멕시코), 카렌 스카보토 (미국)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2위 이상 | 파틴 와두디 (모로코), 아미라 만수르 (이집트) |
뉴질랜드 선수권 대회 &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 | 2위 이상 | 제인 월러, 제이드 린지 (이상 오스트레일리아) |
세계 예선 | 5위 이상 | 안야 히츨러 (독일), 나제메 아브틴 (이란), 나탈리 디엘렌 (스위스), 엘레나 무시쿠 (키프로스), 바르보라 호라코바 (체코) |
삼자 초청 위원회 초청 | 3위 | 도르지 데마 (부탄), 베로니크 디니엔빌 (모리셔스), 알비나 카말레트디노바 (타지키스탄) |
4. 2008년 하계 올림픽 양궁 단체전 참가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 | 남자 | 여자 |
---|---|---|
중화인민공화국 | H | H |
영국 | W | W |
이탈리아 | W | W |
대한민국 | W | W |
폴란드 | W | W |
중화 타이베이 | W | W |
일본 | C | |
우크라이나 | W | |
인도 | W | |
미국 | W | |
캐나다 | W | |
콜롬비아 | W | |
프랑스 | W | |
말레이시아 | C | |
오스트레일리아 | C | |
러시아 | C | |
총계 | 12 | 10 |
- '''H:'''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
- '''W:'''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출전
- '''C:''' 대륙 선수권 대회 이후 출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