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우한시에서 개최된 여자 U-19 축구 대회이다. 예선에서 대한민국, 베트남,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 타이베이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전 대회 우승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준우승팀 일본, 3위 중국은 자동 진출했다. 대회 결과 일본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는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 자격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09
UEFA 여자 유로 2009는 핀란드에서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팀을 가린 UEFA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로, 독일이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했으며 잉카 그린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9년 여자 축구 -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8개 팀이 참가하여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상위 3개 팀은 2010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획득한 16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이다. - 2009년 청소년 축구 - 2009년 FIFA U-17 월드컵
2009년 FIFA U-17 월드컵은 나이지리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스위스가 우승을 차지하고 사니 이매뉴얼 등이 득점왕을 기록한 17세 이하 선수들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9년 청소년 축구 -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8개 팀이 참가하여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상위 3개 팀은 2010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획득한 16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이다. - AFC U-20 여자 아시안컵 -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19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 국제 대회이며,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이 상위 3위를 차지하여 2016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 AFC U-20 여자 아시안컵 -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2013년 중국 난징에서 열린 19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대회인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이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준우승, 중국이 3위를 차지하며 상위 3팀이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참가 자격을 얻었다.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연도 | 2009년 |
다른 제목 |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국가 | 중국 |
날짜 | 8월 1일 – 8월 12일 |
참가 팀 수 | 8 |
연맹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팀 | 일본 (2번째 우승) |
준우승팀 | 대한민국 |
3위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위팀 | 중국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 48 |
최다 득점자 | 이와부치 마나 (4골) 지소연 (4골) |
최우수 선수 | 이와부치 마나 |
페어플레이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0 |
대회 통계 | |
이전 시즌 | 2007년 |
다음 시즌 | 2011년 |
이미지 | |
![]()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우한에서 개최되었다. 경기는 신화루 스포츠 센터와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두 곳에서 진행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예선 대회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와 샤알람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1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A, B 두 개의 조별 리그로 나뉘어 각 조별로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3. 예선
A조에서는 대한민국이 싱가포르와의 경기에서 24-0이라는 기록적인 대승[3]을 거두는 등 모든 5경기를 무실점으로 승리했다. 베트남이 A조 2위를 차지하여 대한민국과 함께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고, 미얀마는 3위로 탈락했다[4]. B조에서는 태국과 오스트레일리아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고, 중화 타이베이는 3위를 기록했다[5]. A조 3위 미얀마와 B조 3위 중화 타이베이 중 득실차에서 3점 앞선 중화 타이베이가 본선 출전권을 획득했다[6].
3. 1. 본선 자동 진출 팀
3. 2. 예선 통과 팀
4. 조별 예선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조 추첨은 2009년 2월 27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1]
-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
4.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13 | 0 | +13 | 9 |
대한민국 | 3 | 2 | 0 | 1 | 8 | 3 | +5 | 6 |
베트남 | 3 | 1 | 0 | 2 | 2 | 10 | -8 | 3 |
태국 | 3 | 0 | 0 | 3 | 1 | 11 | -10 | 0 |
- ---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
---|---|---|---|---|---|---|
2009년 8월 2일 | 18:00 | 4 - 0 |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 500명 | ||
2009년 8월 2일 | 20:30 | 3 - 0 |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 600명 | ||
2009년 8월 4일 | 18:00 | 0 - 5 |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 500명 | ||
2009년 8월 4일 | 20:30 | 0 - 6 |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 500명 | ||
2009년 8월 6일 | 19:30 | 3 - 0 |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 | 1,100명 | ||
2009년 8월 6일 | 19:30 | 2 - 1 | 신화루 스포츠 센터 | 100명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승, 승점 9)과 '''대한민국'''(2승 1패, 승점 6)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 베트남은 1승 2패(승점 3)로 조 3위, 태국은 3패(승점 0)로 조 4위를 기록했다.
- ---
'''A조 상세 경기 결과'''
- '''대한민국 3 – 0 베트남''' (2009년 8월 2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6]
- *득점: 공혜원 (전반 5분), 강인해 (전반 29분), 박희영 (후반 46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 0 태국''' (2009년 8월 2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6]
- *득점: 허은별 (전반 7분), 김은향 (후반 7분), 김충심 (후반 29분), 윤현희 (후반 46분)
- '''대한민국 5 – 0 태국''' (2009년 8월 4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6]
- *득점: 강인해 (전반 16분), 지소연 (후반 4분, 20분), 박희영 (후반 14분), 임진영 (후반 17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 0 베트남''' (2009년 8월 4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6]
- *득점: 윤현희 (전반 6분, 후반 22분), 전명화 (전반 17분, 22분, 32분), 김충심 (후반 43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0 대한민국''' (2009년 8월 6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6]
- *득점: 허은별 (전반 21분), 김충심 (후반 10분), 최은주 (후반 40분)
- '''베트남 2 – 1 태국''' (2009년 8월 6일 신화루 스포츠 센터)[6]
- *득점: 응우옌티응우옛 (전반 10분, 후반 40분, 태국: 니사 롬옌 (전반 31분)
4.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중국 | 3 | 2 | 1 | 0 | 5 | 2 | +3 | 7 |
일본 | 3 | 1 | 2 | 0 | 7 | 2 | +5 | 5 |
오스트레일리아 | 3 | 1 | 1 | 1 | 6 | 3 | +3 | 4 |
중화 타이베이 | 3 | 0 | 0 | 3 | 0 | 11 | -11 | 0 |
- 2009년 8월 1일:
- * 일본 1 : 1 오스트레일리아 (이와부치 마나 (일본) 66', 카이아 사이먼 (오스트레일리아) 88')[7]
- * 중국 2 : 0 중화 타이베이 (구야사 4', 장천쉐 82')
- 8월 3일:
- * 중화 타이베이 0 : 5 일본 (구마가이 사키 4', 오바라 유리아 33', 후지타 노조미 37', 다카라 료코 59', 다케야마 유코 68')
- * 오스트레일리아 1 : 2 중국 (카이아 사이먼 (오스트레일리아) 75', 러우자후이 10', 안닝 42')
- 8월 5일:
- * 일본 1 : 1 중국 (이와부치 마나 (일본) 49', 안닝 (중국) 83')
- * 중화 타이베이 0 : 4 오스트레일리아 (얼래샤 클리퍼드 21', 카이아 사이먼 58', 페이 코트니 66', 니컬라 볼저 84')
중국이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 일본이 1승 2무(승점 5점)로 조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5. 결선 토너먼트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의 결선 토너먼트는 4강전부터 시작되었다. 8월 9일 우한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4강전에서 일본은 이와부치 마나의 결승골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1-0으로 꺾었고, 대한민국은 지소연의 결승골로 중국을 1-0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3] 8월 12일에는 3·4위전과 결승전이 열렸다.[3]
5. 1. 대진표
준결승전 | |||
---|---|---|---|
8月9日|8월 9일중국어 우한 | 0 – 1 | ||
8月9日|8월 9일중국어 우한 | 0 – 1 | ||
3·4위전 | |||
8月12日|8월 12일중국어 우한 | 1 – 0 | ||
결승전 | |||
8月12日|8월 12일중국어 우한 | 2 – 1 |
5. 2. 준결승전
2009년 8월 9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준결승전에서 지소연이 후반 84분에 결승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3] 이 경기에는 6,200명의 관중이 입장했고, 주심은 태국의 쁘래우 세막숙이 맡았다.[3]
이 승리로 대한민국은 결승전에 진출했다.
5. 3. 3·4위전
2009년 8월 12일 한커우 문화 스포츠 센터(우한)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중국을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3] 허은별이 후반 66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3] 주심은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맡았으며, 4,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3]
5. 4. 결승전
2009년 8월 12일 중국 우한의 한커우 문화체육센터에서 열린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일본에 1-2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지소연이 페널티킥으로 골을 기록했으나, 야스모토 사와코와 이와부치 마나에게 실점하며 석패했다.[1]6. 우승
일본
2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