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되었으며,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과 JAR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 대회는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 예선을 거쳐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은 자동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즈베키스탄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득점왕은 일본의 미나미노 다쿠미와 우즈베키스탄의 티무르 하키모프가 공동 수상, 대회 MVP는 티무르 하키모프가 받았다. 우승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준우승팀 우즈베키스탄, 3위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은 2011년 FIFA U-17 월드컵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청소년 축구 -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고, 상위 4개 팀은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진출했다. - 2010년 청소년 축구 -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었고, 독일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 -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AFC U-23 아시안컵
2022년 AFC U-23 아시안컵은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되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되어 이란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9년 FIFA U-17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여 대한민국, 일본, 아랍에미리트가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이름 |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다른 이름 | 2010 AFC U-16 Championship 2010 yilgi U-16 Osiyo chempionati |
개최 기간 | 10월 24일 ~ 11월 7일 |
참가팀 수 | 16개 |
대륙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횟수 | 1 |
3위 | |
통계 | |
경기 수 | 31 |
득점 수 | 91 |
관중 수 | 218750 |
최다 득점 선수 | 미나미노 다쿠미 티무르 하키모프 (5골) |
최우수 선수 | 티무르 하키모프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08 |
다음 대회 | 2012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되었으며, 두 개의 경기장이 사용되었다.
타슈켄트 | |
---|---|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 | JAR 스타디움 |
수용 인원: 35,000 | 수용 인원: 8,460 |
![]() | ![]() |
타슈켄트에 위치한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은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JAR 스타디움은 8,46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 1. 경기장 정보
타슈켄트에 위치한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은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JAR 스타디움은 8,460명을 수용할 수 있다.3. 예선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은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서아시아에는 8장, 동아시아에는 7장의 출전권이 배당되었다. 3팀만으로 이루어진 동아시아의 H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5~6개 팀 중 1위와 2위가 본선에 직행했으며 나머지 1장은 동서 구분 없이 A조부터 G조까지의 3위 팀간 전적을 비교하여 가장 좋은 전적을 거둔 1개 팀에게 주어졌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은 자동 진출하였다. 대한민국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서아시아 | 동아시아/추가 진출 | |||
---|---|---|---|---|
우즈베키스탄 | 개최국, 지역 예선 A조 1위 | 일본 | 지역 예선 E조 1위 | |
쿠웨이트 | 지역 예선 A조 2위 | 인도네시아 | 지역 예선 E조 2위 | |
이란 | 지역 예선 B조 1위 | 중국 | 지역 예선 F조 1위 | |
타지키스탄 | 지역 예선 B조 2위 | 동티모르 | 지역 예선 F조 2위 | |
시리아 | 지역 예선 C조 1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역 예선 G조 1위 | |
이라크 | 지역 예선 C조 2위 | 베트남 | 지역 예선 G조 2위 | |
아랍에미리트 | 지역 예선 D조 1위 | 오스트레일리아 | 지역 예선 H조 1위 | |
요르단 | 지역 예선 D조 2위 | 오만 | 조 3위 추가 진출 |
3. 1. 본선 진출팀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는 서아시아에 8장, 동아시아에 7장의 출전권이 배당되었다. 동아시아의 H조를 제외하고는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직행했으며, 나머지 1장은 각 조 3위 팀 간 전적을 비교하여 가장 좋은 전적을 거둔 팀에게 주어졌다.서아시아 | 동아시아/추가 진출 | |||
---|---|---|---|---|
우즈베키스탄 | 개최국, 지역 예선 A조 1위 | 일본 | 지역 예선 E조 1위 | |
쿠웨이트 | 지역 예선 A조 2위 | 인도네시아 | 지역 예선 E조 2위 | |
이란 | 지역 예선 B조 1위 | 중국 | 지역 예선 F조 1위 | |
타지키스탄 | 지역 예선 B조 2위 | 동티모르 | 지역 예선 F조 2위 | |
시리아 | 지역 예선 C조 1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역 예선 G조 1위 | |
이라크 | 지역 예선 C조 2위 | 베트남 | 지역 예선 G조 2위 | |
아랍에미리트 | 지역 예선 D조 1위 | 오스트레일리아 | 지역 예선 H조 1위 | |
요르단 | 지역 예선 D조 2위 | 오만 | 조 3위 추가 진출 |
4.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0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했다.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은 자동으로 A1에 배정되었다.
1포트 | 2포트 | 3포트 | 4포트 |
---|---|---|---|
우즈베키스탄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쿠웨이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이란 | 시리아 | 오만 | 이라크 |
일본 | 중국 | 베트남 | 타지키스탄 |
아랍에미리트 | 인도네시아 | 요르단 | 동티모르 |
4. 1. 포트 배정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조 추첨은 2010년 5월 20일에 중국 타슈켄트에서 진행되었다. 대회에 참가한 팀들은 200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과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우즈베키스탄은 자동으로 A1에 배정되었다.1포트 | 2포트 | 3포트 | 4포트 |
---|---|---|---|
우즈베키스탄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쿠웨이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이란 | 시리아 | 오만 | 이라크 |
일본 | 중국 | 베트남 | 타지키스탄 |
아랍에미리트 | 인도네시아 | 요르단 | 동티모르 |
5. 조별 리그
5. 1. A조
A조에서는 ''''''(승점 7점)과 ''''''(승점 5점)이 8강에 진출했다. 반면, (승점 3점)와 (승점 1점)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11 | 1 | +10 | 7 | |
3 | 1 | 2 | 0 | 2 | 1 | +1 | 5 | |
3 | 1 | 0 | 2 | 4 | 5 | -1 | 3 | |
3 | 0 | 1 | 2 | 3 | 13 | -10 | 1 |
2010년 10월 24일,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은 을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과 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10월 26일, 는 을 4-1로 꺾었다. 같은 날, 과 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10월 28일, 은 을 8-1로 대파했다. 같은 날,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과 의 경기는 요르단의 1-0 승리로 끝났다.
5.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2 | 1 | 0 | 5 | 2 | +3 | 7 |
시리아 | 3 | 1 | 2 | 0 | 3 | 2 | +1 | 5 |
이란 | 3 | 1 | 1 | 1 | 6 | 4 | +2 | 4 |
오만 | 3 | 0 | 0 | 3 | 2 | 8 | -6 | 0 |
2010년 10월 24일, 이란은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만과의 경기에서 5 – 1로 승리했다. 이란은 알리 파티안의 2골과 메흐디 메흐디푸르, 사르다르 아즈문, 시아바시 하그 나자리의 연속골로 오만을 크게 이겼다. 같은 날 시리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기에서 오마르 크르빈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리광일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 – 1 무승부를 기록했다.
10월 26일, 시리아는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만과의 경기에서 후사인 알디엔 오므르의 결승골로 1 – 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란과의 경기에서 강남권과 정광석의 연속골로 2 – 0 승리를 기록했다.
10월 28일, 이란은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열린 시리아와의 경기에서 시아바시 하그 나자리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시리아의 아드난 타키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 – 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오만은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기에서 압둘라흐만 알리야미가 한 골을 기록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억철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1 – 2로 패배했다.
최종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시리아가 8강에 진출했고, 이란과 오만은 탈락했다.
5. 3. C조
C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이 8강에 진출했다. '''베트남'''과 '''동티모르'''는 탈락했다.
2010년 10월 25일, 일본은 우에다 나오미치, 미나미노 다쿠미, 간다 유메미, 하야카와 후미야, 이시게 히데키의 연속골로 베트남을 6-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는 제시 마카루나스와 루크 레밍턴의 멀티골과 라일리 우드콕의 골로 동티모르를 5-0으로 이겼다.
10월 27일, 베트남은 응우옌쑤언남이 골을 넣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시 마카루나스에게 페널티킥으로만 두 골을 허용하고 코너 채프먼에게 추가골을 내주며 1-3으로 패했다. 동티모르는 일본과의 경기에서 미나미노 다쿠미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졌다.
10월 29일,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베트남과 동티모르의 경기에서는 니디우 히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응우옌비엣탕과 응우옌반누이에게 골을 내주면서 동티모르가 1-3으로 패배했다.
5. 4. D조
D조에서는 이라크와 아랍에미리트가 8강에 진출했다. 쿠웨이트와 중국은 탈락했다.
2010년 10월 25일,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이라크는 JAR 스타디움에서 중국을 상대로 알리 후세인 판디와 후세인 알푸아디의 득점에 힘입어 2 – 0으로 승리했다.
10월 27일, 쿠웨이트는 JAR 스타디움에서 이라크에게 0 – 3으로 패배했다. 이라크의 두르감 이스마일, 라술 후세인, 후세인 알푸아디가 득점했다. 같은 날, 중국과 아랍에미리트는 JAR 스타디움에서 1 – 1 무승부를 기록했다. 중국의 정다룬과 아랍에미리트의 살라흐 알함마디가 각각 득점했다.
10월 29일, 아랍에미리트는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이라크를 2 – 1로 꺾었다. 아랍에미리트의 칼레드 암베르와 유시프 사이드가 득점했고, 이라크는 알리 후세인 판디가 득점했다. 같은 날, JAR 스타디움에서 열린 중국과 쿠웨이트의 경기는 쿠웨이트의 나데르 알에네지의 결승골로 0-1로 쿠웨이트가 승리했다.
6. 결선 토너먼트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이 진행되었다. 3·4위전은 진행되지 않았다.
'''8강전'''
2010년 11월 1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8강전 4경기가 열렸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3-2로 승리했다. 코리 브라운과 잔카를로 갈리푸오코가 득점하였다.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은 시리아를 2-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아보스베크 마흐스탈리예프와 티무르 하키모프가 우즈베키스탄의 득점을 기록했다.
일본은 이라크를 3-1로 이겼다. 미나미노 다쿠미가 두 골을 넣었고, 아키노 히로키도 득점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요르단을 4-0으로 대파했다. 조광이 세 골을 몰아넣었고, 주정철이 한 골을 추가했다.
'''준결승전'''
2010년 11월 4일,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두 개의 준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우즈베키스탄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로, 우즈베키스탄이 아보스베크 마흐스탈리예프의 두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라일리 우드콕이 한 골을 기록했다.
두 번째 경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기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주정철과 박명성의 연속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일본은 마쓰모토 마사야가 한 골을 만회했다.
'''결승전'''
2010년 11월 7일, 타슈켄트의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즈베키스탄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후반 30분 리광일이, 후반 40분 조광이 득점하였다.
6. 1. 8강전
2010년 11월 1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8강전 4경기가 열렸다.오스트레일리아는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3-2로 승리했다. 코리 브라운과 잔카를로 갈리푸오코가 득점하였다.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은 시리아를 2-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아보스베크 마흐스탈리예프와 티무르 하키모프가 우즈베키스탄의 득점을 기록했다.
일본은 이라크를 3-1로 이겼다. 미나미노 다쿠미가 두 골을 넣었고, 아키노 히로키도 득점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요르단을 4-0으로 대파했다. 조광이 세 골을 몰아넣었고, 주정철이 한 골을 추가했다.
6. 2. 준결승전
2010년 11월 4일,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두 개의 준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우즈베키스탄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로, 우즈베키스탄이 아보스베크 마흐스탈리예프의 두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라일리 우드콕이 한 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에는 30,000명의 관중이 들어찼으며, 나와프 슈크랄라가 심판을 맡았다.두 번째 경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기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주정철과 박명성의 연속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일본은 마쓰모토 마사야가 한 골을 만회했다. 이 경기는 5,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압둘라 발리데 심판의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6. 3. 결승전
2010년 11월 7일, 타슈켄트의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에서 2010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즈베키스탄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후반 30분 리광일이, 후반 40분 조광이 득점하였다. 이란의 알리레자 파가니 심판이 경기를 주관하였으며, 3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7.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