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 개기 월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12월 개기 월식은 2011년 12월 10일에 발생한 개기 월식이다. 동아시아, 북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전역과 북부 북아메리카에서 완전히 관측 가능했으며, 유럽, 동아프리카, 중앙 아프리카에서는 월식이 뜨는 모습을, 북아메리카에서는 지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 월식은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태평양 주변 지역에서 주로 관측되었으며,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는 부분 월식만 관측되었다. 월식의 진행 과정과 관련된 시간 정보는 다양한 지역의 시간대를 기준으로 상세히 기록되었으며, 2011년의 다른 일식 및 월식과 관련하여 일식 주기에 따른 특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식 - 2008년 2월 개기 월식
2008년 2월 개기 월식은 2008년 2월 21일에 일어났으며, 51분 동안 개기 월식이 지속되었고,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관측 가능했다. - 월식 - 2018년 1월 31일 월식
2018년 1월 31일 월식은 슈퍼문, 블루문, 블러드문의 특징을 동시에 나타내어 '슈퍼 블루 블러드 문'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에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관측된 개기월식이다. - 2011년 과학 - K 컴퓨터
K 컴퓨터는 일본 이화학연구소에서 개발한 슈퍼컴퓨터로, 2011년 세계 최고 성능을 기록했으며, 기상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으나 운영 비용 문제로 2019년 가동이 중단되었다. - 2011년 과학 - 2011년 7월 1일 일식
2011년 7월 1일 일식은 부분 일식으로, 달의 그림자가 지구에 닿는 시각은 09시 24분 55초(UTC)에 시작되었고, 최대 크기는 1.0454였으며, 사로스 주기 156과 여러 천문 주기와 관련되어 있다. - 2011년 12월 - 2011년 태국 홍수
2011년 태국 홍수는 3개월간 지속된 폭우와 여러 요인으로 발생한 50년 만의 최악의 홍수 사태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야기했으며 정부 대응에 대한 비판과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 2011년 12월 - 제62회 NHK 홍백가합전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 속에서 "내일을 노래하자"라는 테마로 진행된 제62회 NHK 홍백가합전은 지진 피해 복구 지원과 국민들에게 희망을 전달하고자 도호쿠 응원 기획 생중계를 진행하고 K-POP 그룹 KARA와 소녀시대가 첫 출전하여 화제를 모은 NHK의 연말 음악 프로그램이다.
2011년 12월 개기 월식 | |
---|---|
개기 월식 정보 | |
![]() | |
종류 | 개기 월식 |
날짜 | 2011년 12월 10일 |
감마 | -0.3882 |
엄폐식 등급 | 1.1076 |
사로스 계열 | 135 |
사로스 주기 번호 | 71개 중 23번째 |
완전식 지속 시간 | 51분 8초 |
부분식 지속 시간 | 212분 15초 |
반영식 지속 시간 | 356분 21초 |
P1 (반영식 시작) | 11:33:36 |
U1 (부분식 시작) | 12:45:43 |
U2 (전체식 시작) | 14:06:16 |
최대 | 14:31:49 |
U3 (전체식 종료) | 14:57:24 |
U4 (부분식 종료) | 16:17:58 |
P4 (반영식 종료) | 17:29:57 |
이전 월식 | 2011년 6월 |
다음 월식 | 2012년 6월 |
2. 관측
2011년 12월 개기 월식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오스트레일리아 등 주로 태평양 주변 지역에서 관측되었다.[7]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는 부분 월식만 관측 가능했고,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서부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했다.[7]
2. 1. 기타 지역에서의 관측
개기 월식은 동아시아, 북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전역과 북부 북아메리카에서 완전히 관측 가능했으며, 유럽과 동아프리카 및 중앙 아프리카에서는 월식이 뜨는 모습을, 북아메리카에서는 지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었다.[3]![]() | ![]() | ![]() |
2011년 12월 10일에 발생한 개기 월식은 지역에 따라 관측 시간이 달랐다.[7][8]
이 월식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오스트레일리아 등 주로 태평양 주변 지역에서 관측되었다.[7] 유럽 지역과 북아메리카 지역에서도 부분 월식은 관측되었지만, 개기 월식은 관측되지 않았다.[7] 남아메리카 지역과 아프리카 지역 서부에서는 월식 시간이 이른 아침이었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었다.[7]
3. 진행 과정
3. 1. 한국 시간 기준 진행 과정
월식 경과[7][8] | KST (UTC+9) |
---|---|
반영식 시작 | 22:34 |
식 시작 | 23:46 |
개기식 시작 | 1:06 (다음 날) |
최대 식 | 1:32 (다음 날) |
개기식 종료 | 1:57 (다음 날) |
식 종료 | 3:18 (다음 날) |
반영식 종료 | 4:30 (다음 날) |
3. 2. 기타 지역 시간 기준 진행 과정
2011년 12월 10일에 일어난 개기 월식은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시간대에 관측되었다.월식 경과[7][8] | 오스트레일리아 | 인도 | 일본 | 북미 | 프랑스 | UTC | ||||
---|---|---|---|---|---|---|---|---|---|---|
EDST (UTC+11) | IST (UTC+5:30) | JST (UTC+9) | AKST (UTC-9) | PST (UTC-8) | MST (UTC-7) | CST (UTC-6) | EST (UTC-5) | CET (UTC+1) | ||
반영식 시작 | 22:34 | 17:04 | 20:34 | 2:34 | 3:34 | 4:34 | 5:34 | 6:34 | 12:34 | 11:34 |
부분식 시작 | 23:46 | 18:16 | 21:46 | 3:46 | 4:46 | 5:46 | 6:46 | 7:46 | 13:46 | 12:46 |
개기식 시작 | 1:06 | 19:36 | 23:06 | 5:06 | 6:06 | 7:06 | 8:06 | 9:06 | 15:06 | 14:06 |
최대식 | 1:32 | 20:02 | 23:32 | 5:32 | 6:32 | 7:32 | 8:32 | 9:32 | 15:32 | 14:32 |
개기식 종료 | 1:57 | 20:27 | 23:57 | 5:57 | 6:57 | 7:57 | 8:57 | 9:57 | 15:57 | 14:57 |
부분식 종료 | 3:18 | 21:48 | 1:18 | 7:18 | 8:18 | 9:18 | 10:18 | 11:18 | 17:18 | 16:18 |
반영식 종료 | 4:30 | 23:00 | 2:30 | 8:30 | 9:30 | 10:30 | 11:30 | 12:30 | 18:30 | 17:30 |
북미에서는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에서만 월식의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었다.[7]
4. 관련 일식 및 월식
승교점 (삭)
강교점 (망)

태양 사로스 123
달 사로스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