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2012년 중화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대회로, 원래 2011년 필리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다. 일본이 우승하였으며, 중화 타이베이, 대한민국, 중국, 필리핀, 파키스탄이 참가했다. 대회는 타이중 인터콘티넨탈 야구장과 타이중 야구장에서 진행되었다. 파키스탄과 필리핀은 각각 서아시아 컵과 동아시아 컵에서 우승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12년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2년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10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대한민국이 우승했으며, 상위 4개 팀은 2013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다.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2007년 11월 타이중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이 우승하고 결승 리그 1위 팀이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진출하는 대회이다.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0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등이 참가하여 최종 라운드에서 일본, 중화 타이베이, 대한민국, 중국이 순위를 결정지었고, 아시안컵 예선 토너먼트에서는 인도네시아가 우승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 대만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2015년 WBSC 프리미어 12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이 주최하고 일본과 중화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김현수가 MVP를 수상했다. - 대만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 -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2019년 WBSC 프리미어 12는 WBSC 주최로 중화민국, 대한민국, 멕시코,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로, 상위 12개국이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으며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 있었다.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국가 | 타이완 |
기간 | 2012년 11월 28일 – 12월 3일 |
참가 팀 수 | 6 |
지난 대회 우승팀 | 일본 |
지난 대회 | 2009 |
다음 대회 | 2015 |
메달 정보 | |
메달 종류 | 아시아 |
우승 | 일본 |
우승 횟수 | 17 |
준우승 | 중화 타이베이 |
3위 | 대한민국 |
4위 | 중국 |
개인 기록 | |
최고 타율 타자 | 호리코시 쇼 |
최다 홈런 타자 | 조평호 (Cho Pyung Ho) |
최다 도루 선수 | 추이 샤오 (Cui Xiao) |
최고 평균 자책점 투수 | 아키요시 료 |
최우수 선수 | 카타야마 준이치 |
2. 대회 개요
제26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원래 2011년에 필리핀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필리핀 측의 사정으로 개최권을 반납하면서 2012년으로 연기되었다.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은 WBC 예선을 통과할 경우, 이번 대회에 WBC 본선을 대비한 A급 전력 팀을 출전시킬 의향이었다.[4]
일본 대표팀은 사회인 야구 선수와 대학생으로 팀을 구성했다.[2]
대한민국 대표팀은 프로 1군 반, 2군 선수와 대학생을 출전시켰다.[5]
3. 참가국
4. 경기 결과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2012년 11월 28일부터 12월 3일까지 타이완에서 열렸다. 총 6개국이 참가하여 경기를 치렀다.
일본이 5승 무패로 1위를 차지하며 18번째 우승을 달성했고, 중화 타이베이가 4승 1패로 2위, 대한민국이 3승 2패로 3위를 기록했다.[1]
4. 1. 경기 기록
모든 시간은 대만 표준시간 NST (UTC+8)이다.경기 | 날짜 | 현지 시각 | 홈 팀 | 점수 | 원정 팀 | 경기장 | 비고 |
---|---|---|---|---|---|---|---|
G1 | 11월 28일 (수) | 12:00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6 : 3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
G2 | 11월 28일 (수) | 12:00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0 : 7 | 中国|중국중국어 | 타이중 야구장 | 5회 강우 콜드 |
G3 | 11월 28일 (수) | 18:30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1 : 2 | 日本|일본일본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개막전 |
G4 | 11월 29일 (목) | 12:00 | 中国|중국중국어 | 0 : 4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
G5 | 11월 29일 (목) | 14:00 | 日本|일본일본어 | 13 : 0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타이중 야구장 | 7회 콜드 게임 |
G6 | 11월 29일 (목) | 18:30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1 : 12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8회 콜드 게임 |
G7 | 11월 30일 (금) | 12:00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0 : 5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3회 이후, 19:00로 연기 후 타이중 야구장에서 속행 |
G8 | 11월 30일 (금) | 14:00 | 日本|일본일본어 | 1 : 0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타이중 야구장 | 3시간 연기 후 7회 강우 콜드 |
G10 | 12월 1일 (토) | 12:00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0 : 15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7회 콜드 게임 |
G11 | 12월 1일 (토) | 14:00 | 中国|중국중국어 | 16 : 0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타이중 야구장 | 7회 콜드 게임 |
G12 | 12월 1일 (토) | 18:30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0 : 4 | 日本|일본일본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
G13 | 12월 2일 (일) | 12:00 | 中国|중국중국어 | 1 : 10 | 日本|일본일본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
G14 | 12월 2일 (일) | 14:00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2 : 0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타이중 야구장 | |
G15 | 12월 2일 (일) | 18:30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7 : 0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
G9 | 12월 3일 (월) | 18:30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3 : 1 | 中国|중국중국어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 11월 30일에서 우천으로 연기 |
4. 2. 최종 순위
야구 선수권 대회일본
18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