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육상, 수영, 조정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캐스터 세메냐(육상), 카메론 반 데르 부르흐(수영), 채드 르 클로스(수영), 제임스 톰슨, 매튜 브리튼, 존 스미스, 시즈웨 은들로부(조정)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채드 르 클로스(수영)가 은메달, 브리지트 하틀리(카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1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마리카나 광산 파업 마리카나 광산 파업은 201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마리카나 광산에서 열악한 노동 조건과 임금 인상 요구로 발생한 파업으로, 론민 광산 회사, NUM, AMCU 간의 갈등과 경찰의 발포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며 사회적 불평등과 노동 문제를 드러낸 비극적인 사건이다.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 1992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1992년 하계 올림픽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은 인종차별 정책으로 인한 국제 스포츠 보이콧 해제 후 자체 깃발과 "환희의 송가"를 사용해 복귀하여 테니스와 육상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하고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했다.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올림픽에 참가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들의 명단으로, 육상, 수영, 축구 등 다양한 종목에 남자 62명, 여자 75명, 총 137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중국 선수단은 396명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금메달 38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2개로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다이빙, 체조, 수영, 배드민턴, 역도, 탁구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은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역도에서 획득한 금메달이 도핑으로 박탈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NOC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
NOC 명칭
South African Sports Confederation and Olympic Committee
오펜체 모가와네는 4 × 400 m 릴레이 첫 번째 예선 경기 중 충돌 사고로 부상을 입었다. 항소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루이 반 질이 모가와네를 대신하여 결선에 진출했다.[3]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양쪽 다리를 절단한 선수가 올림픽 경기에 참가하면서 역사를 만들었다.[4]
도리안 제임스와 윌렘 빌존은 남자 복식에 출전했다. 조별 리그에서 덴마크의 보에 / 모겐센 조에 6–21, 12–21로 패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차이 B / 궈 Zd 조에 8–21, 13–21로 패했다. 러시아의 이바노프 / 소조노프 조에게도 13–21, 15–21로 패하며 조 4위로 탈락했다.
선수
종목
조별 리그
토너먼트
8강
4강
결승 / 동메달 결정전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도리안 제임스 윌렘 빌존
남자 복식
패 6–21, 12–21
패 8–21, 13–21
패 13–21, 15–21
4
진출 실패
'''여자'''
미셸 에드워즈와 안나리 빌존은 여자 복식에 출전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추 / 비란 조에 9-21, 7-21, 대한민국의 하정은 / 김민정 조에 8–21, 7–21, 인도네시아의 자우하리 / 폴리 조에 18–21, 10–21로 모두 패했으나, 8강에서 러시아의 소로키나 / 비슬로바 조에 9–21, 7–21로 패하며 탈락했다.
'''q''' = 가장 빠른 기록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또는'' 필드 경기에서 예선 통과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순위로 진출
'''NR''' = 국가 기록
N/A = 해당 경기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Bye = 해당 라운드에 출전할 필요가 없는 선수
;남자
오펜체 모가와네는 4 × 400 m 릴레이 첫 번째 예선 경기 중 충돌 사고로 부상을 입었다. 항소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루이 반 질이 모가와네를 대신하여 결선에 진출했다.[3]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양쪽 다리를 절단한 선수가 올림픽 경기에 참가하면서 역사를 만들었다.[4]
'''q''' = 가장 빠른 기록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또는'' 필드 경기에서 예선 통과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순위로 진출
'''NR''' = 국가 기록
N/A = 해당 경기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Bye = 해당 라운드에 출전할 필요가 없는 선수
;남자
오펜체 모가와네는 4 × 400 m 릴레이 첫 번째 예선 경기 중 충돌 사고로 부상을 입었다. 항소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루이 반 질이 모가와네를 대신하여 결선에 진출했다.[3]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양쪽 다리를 절단한 선수가 올림픽 경기에 참가하면서 역사를 만들었다.[4]
도리안 제임스와 윌렘 빌존은 남자 복식에 출전했다. 조별 리그에서 덴마크의 보에 / 모겐센 조에 6–21, 12–21로 패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차이 B / 궈 Zd 조에 8–21, 13–21로 패했다. 러시아의 이바노프 / 소조노프 조에게도 13–21, 15–21로 패하며 조 4위로 탈락했다.
미셸 에드워즈와 안나리 빌존은 여자 복식에 출전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추 / 비란 조에 9-21, 7-21, 대한민국의 하정은 / 김민정 조에 8–21, 7–21, 인도네시아의 자우하리 / 폴리 조에 18–21, 10–21로 모두 패했으나, 8강에서 러시아의 소로키나 / 비슬로바 조에 9–21, 7–21로 패하며 탈락했다.
알렉산더 페터넬(Alexander Peternell)은 아시라는 말을 타고 개인 종합마술 경기에 출전했다.[8] 마장마술에서 70.40점을 받아 72위를 기록했다.[8] 크로스컨트리에서는 46.00점을 받아 총점 116.40점으로 56위를 기록했다.[8] 장애물 비월 예선에서는 7.00점을 받아 총점 123.40점으로 공동 27위를 기록했으나 결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8] 최종 합계 123.40점으로 49위를 기록했다.[8]
선수
말
종목
마장마술
크로스컨트리
장애물 비월
합계
벌점
순위
벌점
총점
순위
벌점
총점
순위
벌점
순위
알렉산더 페터넬
아시
개인
70.40
72
46.00
116.40
56
7.00
123.40
=27
123.40
49
3. 9. 필드하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출전 자격을 얻었다.
남자 팀 이벤트 – 1팀 16명
; 선수 명단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자 하키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이름
포지션
생년월일
1
에라스무스 페테르스
골키퍼
1983년 7월 4일
2
레빈 스미스
수비수
1978년 3월 22일
5
오스틴 스미스
수비수
1985년 5월 20일
7
웨이드 페이톤
미드필더
1978년 8월 21일
8
앤드류 크론제
미드필더
1984년 9월 20일
9
이안 헤일리
미드필더
1981년 11월 15일
10
로이드 매드슨
공격수
1986년 3월 26일
14
줄리안 힌케스
공격수
1982년 6월 29일
15
클린턴 팬더
공격수
1980년 6월 20일
17
티모시 드러먼드
미드필더
1988년 3월 5일
18
클라이드 아브라함스
미드필더
1980년 9월 26일
21
저스틴 리드-로스
수비수
1986년 7월 16일
23
벤저민 콤브스
골키퍼
1985년 1월 19일
25
손튼 맥데이드
공격수
1983년 5월 8일
27
로이드 노리스-존스
공격수
1986년 1월 14일
31
티엔 스미트
공격수
1984년 4월 26일
; 조별 예선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자 하키 대표팀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A조에 속해 예선을 치렀다.
예선 통과 기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3. 12. 1. 남자
시즈웨 은들로부 존 스미스 제임스 톰슨
경량급 4인승
5:54.62
2 SA/B
부전승
6:04.21
2 FA
6:02.84
예선 통과 기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3. 12. 2. 여자
네이딘 스미스
페어
7:14.31
4 R
7:18.96
5 FB
7:56.40
7
예선 통과 기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1]
뉴스
South African track star Caster Semenya named flag bearer
https://www.cbc.ca/s[...]
CBC Sports
2012-07-18
[2]
뉴스
Caster Semenya faces sex test before she can claim victory
http://www.timesonli[...]
2009-08-20
[3]
웹사이트
Tight contests set up thrilling 400m Relay final
http://www.london201[...]
london2012.com
[4]
뉴스
Oscar Pistorius makes Olympic history in 400m at London 2012
https://www.bbc.co.u[...]
BBC Sport
2012-08-09
[5]
웹사이트
Final African Olympic Quota Places revealed
http://www.aiba.org/[...]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amateur)|AIBA
2012-05-05
[6]
웹사이트
Men Elite African Championships (RSA/CC) Cross Country 2011
http://www.uci.infos[...]
UCI
2011-05-26
[7]
웹사이트
Women Elite African Championships (RSA/CC) Cross Country 2011
http://www.uci.infos[...]
UCI
2011-05-26
[8]
웹사이트
CAS arbitration N° CAS OG 12/01
http://www.tas-cas.o[...]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2012-08-09
[9]
웹사이트
Quota places by NATION and Name
http://www.issf-spor[...]
ISSF
2011-06-16
[10]
뉴스
ロンドン五輪女子800メートル、サビノワの「金」剥奪
https://www.sankei.c[...] [11]
뉴스
South African track star Caster Semenya named flag bearer
http://www.cbc.ca/ol[...]
CBC Sports
2012-07-18
[12]
웹인용
Final African Olympic Quota Places revealed
http://www.aiba.org/[...]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amateur)|AIBA
2012-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