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카나 광산 파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카나 광산 파업은 2012년 8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마리카나의 론민 백금 광산에서 발생한 파업과 그 과정에서 경찰의 발포로 인한 사망 사건을 말한다. 암반 드릴 작업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로 시작된 파업은 전국광산노동조합(NUM)과 광부건설노조협회(AMCU) 간의 갈등, 열악한 노동 환경, 노조 경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8월 16일, 경찰은 파업 중인 광부들을 해산하는 과정에서 발포하여 3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고, 이는 '마리카나 학살'로 불리며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후 정부는 조사 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책임자 처벌은 미흡했고, 파업은 다른 광산으로 확산되었다. 이 사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노동 문제와 정치적 갈등, 그리고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에도 지속되는 불평등 문제를 드러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노동쟁의 - 소웨토 항쟁
소웨토 항쟁은 197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소웨토에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과 아프리칸스어 강제 교육에 저항하여 학생들이 일으킨 시위로, 경찰의 강경 진압과 그로 인한 국내외적 파장으로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201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2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은 육상과 수영에서 총 8개의 메달(금4, 은3, 동1)을 획득했으며, 특히 채드 르 클로스는 수영에서 3개의 메달을, 가멜리아 엘리아스와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각각 육상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마리카나 광산 파업 | |
---|---|
분쟁 개요 | |
명칭 | 로민 파업 |
관련 | 론민 마리카나 광산 |
위치 | 마리카나, 러스트버그 노스웨스트 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
기간 | 2012년 8월 10일 ~ 2012년 9월 20일 |
결과 | 11-22% 임금 인상 |
교전 세력 | |
측1 | 광산 건설 노동자 조합 비제휴 광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 노동자 조합 |
측2 | 론민 사설 경비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 |
사상자 | |
측1 | 8월 12–14일: 8월 16일: 총합: |
측2 | 8월 12–14일: |
관련 이미지 | |
![]() |
2. 역사적 배경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광업은 마리카나 광산 파업의 중요한 역사적 배경을 이룬다.
2. 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광산업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광업2. 2. NUM-AMCU 간의 경쟁
마리카나 파업은 전국광산노동조합(NUM)과 새롭게 부상한 경쟁 단체인 광부건설노조협회(AMCU) 사이의 적대감을 배경으로 발생했다. NUM은 남아프리카 노동조합 회의(Cosatu)의 가장 큰 자회사였으며, Cosatu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집권당인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와 동맹 관계에 있었다. ANC의 많은 고위 지도자들이 NUM 출신이었다.[6] ''가디언''에 따르면, NUM의 인기는 사무총장 프란스 발레니 하에서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NUM이 정부 및 경영진과 가깝게 지낸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일부 조합원들은 노조가 노동자들을 수년간 불충분한 임금 인상에 묶어두는 불공정한 임금 합의를 받아들였다고 믿게 되었다.[7]반면, AMCU는 1998년 조셉 마툰주와가 NUM과 갈등을 겪은 후 설립되었다.[6] 마리카나 파업 몇 달 전과 몇 년 동안, AMCU는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금 광산에서 조합원 및 단체 교섭권을 놓고 NUM과 경쟁하기 시작했다. 발레니의 재임 기간 동안 NUM의 백금 부문은 NUM 주류와 점점 더 소원해졌다.[8][9] 2012년 1월과 2월, 임팔라 백금(Impala Platinum)의 러스텐버그, 노스웨스트주 광산에서 6주간의 파업이 격렬하게 벌어졌는데, NUM은 AMCU가 조합원 확보를 위해 파업을 부추겼다고 비난했다.[10][11] 그 후 발생한 폭력으로 4명이 사망했다.[6]
학살을 촉발한 파업은 이전의 폭력이 발생한 임팔라 광산에서 멀지 않은 마리카나, 러스텐버그에 위치한 백금 광산에서 열렸다. 이 광산은 세계 3위 백금 생산 업체인 론민(Lonmin)이 운영했다.[12][13] 론민 광산에서 NUM의 지배력은 지난 몇 년 동안 흔들렸다. 조합원 수는 론민 노동자의 66%에서 49%로 감소했고, 따라서 광산에서 독점적인 조직 권한을 잃었다.[7] 동시에 AMCU의 지지율은 론민 노동자의 약 20%까지 급증했다.[7][6]
2. 3. 노동자들의 불만

마리카나 광산 파업은 모든 광부들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가장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는 암반 드릴 작업자들이 주도했다.[7][8] 론민(Lonmin)은 약 4,100명의 이러한 작업자를 고용했다.[15] 암반 드릴 작업자들은 월 4000ZAR에서 12500ZAR으로 임금을 3배 인상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16] 당시 유효했던 단체 임금 협약은 2013년까지 만료되지 않을 예정이었다.[8]
적어도 일부 파업 참가자들은 그 해 초 임팔라 광산 파업에서 암반 드릴 작업자들이 얻은 임금 인상(4000ZAR에서 9500ZAR으로)에 영감을 받았다.[8][33] 또한, 2012년 7월 론민이 보호받지 못한 파업 이후 광부들에게 주택 수당 인상을 허용하기로 합의하면서, 광산이 단체 임금 협약 외에도 협상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 사실이 일부 파업 참가자들에게 격려가 되었다고 전해진다.[17][24] 그러나 암쿠(Amcu)가 마리카나 파업 참가자들에게 12500ZAR의 임금을 달성할 수 있다고 약속했으며, 따라서 '가디언'(Guardian)의 표현에 따르면 "노동자들의 눈앞에 뚱뚱한 과일을 흔들었다"는 보도도 있었다.[7] 암쿠의 회장 마툰주와(Mathunjwa)는 파업이 열악한 임금에 대한 반응임을 확인하며 "사장과 고위 경영진이 두둑한 수표를 받는 한, 그들에게는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이 노동자들은 평생 동안 빈곤에 시달립니다."라고 말했다.[18] 그러나 학살 이후인 8월 17일, 그는 암쿠가 노동자들에게 12500ZAR의 임금을 협상할 수 있다고 약속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19]
파업과 학살 이후, 여러 논평가들은 노동자들의 불만을 야기하고 파업 동안의 불안정한 환경에 기여했을 수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광산업 전반의 상황에 주목했다. 알 자지라는 파업이 "처참한 생활 환경, 노조 경쟁, 회사의 무관심"으로 인해 광산 내에서 "격렬한 긴장" 속에서 발생했다고 보도했다.[17] 벤치 마크 재단(Bench Marks Foundation)은 폭력의 주요 원인이 광부들의 노동 착취였다고 주장하며, "광업의 혜택은 노동자나 주변 지역 사회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역 청소년의 고용 기회 부족, 열악한 생활 환경, 실업 및 증가하는 불평등이 이러한 혼란에 기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20] 롭 데이비스,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무역 및 산업부 장관은 광산의 상황을 "끔찍하다"고 묘사하며 "수백만 달러를 버는" 광산 소유주들이 노동자들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21] 국제 노동 기구 역시 마리카나와 같은 광산의 노동자들이 종종 "낙석, 먼지 노출, 심한 소음, 매연 및 고온 등 다양한 안전 위험에 노출된다"는 점에 동의하며 열악한 노동 환경을 지적했다.[22]
3. 파업의 전개 (2012년 8월 10일 ~ 16일)
2012년 8월 10일, 마리카나 광산의 암반 드릴 작업자 약 3,000명은 월 12500ZAR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무허가 파업에 돌입했다.[24][25][16] 이는 8월 8일 회의에서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 요구에 합의했으나, 전국광업노동조합 (NUM) 지도부가 이를 지지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었다.[23] 노동자들은 론민 경영진 사무실로 행진했으나, 론민 측은 만남을 거부하고 NUM과 상의하라고 지시했다.[23] 같은 날 저녁, 파업 참가자들과 론민의 사설 경비원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광부 2명이 부상을 입었다.[181][33]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 (SAPS)은 이날 론민의 요청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181]
8월 11일, 파업 노동자들이 임금 요구 지지를 요청하기 위해 NUM 사무실로 행진하던 중, NUM 관계자들이 발포하여 노동자 2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23][181][26] 이 사건 이후 파업 노동자들은 안전을 위해 인근의 작은 언덕, koppie|코피afr로 집결 장소를 옮겼고, 이곳은 이후 대립의 중심지가 되었다.[23] NUM의 대응과 론민과의 유착 의혹에 분노한 다른 광부들도 파업에 합류하기 시작했다.[33]
이후 며칠간 폭력은 급격히 심화되었다. 8월 12일부터 14일 사이에 파업 참가자와 론민 보안 요원, 비파업 노동자 간의 충돌로 최소 10명(론민 보안 요원 2명, 비파업 노동자 2명, 론민 감독관 1명, 파업 참가자 5명 추정)이 사망했다.[181] 8월 13일에는 파업 참가자와 경찰 간의 첫 유혈 충돌이 발생하여 경찰관 2명과 파업 광부 3명이 추가로 사망했다.[29][181] 이 사건은 경찰 내부에 강한 반감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경찰의 대응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3][181]
8월 14일과 15일, 경찰과 건설광업노동조합연합 (Amcu) 및 NUM 지도부는 koppie|코피afr에 집결한 수천 명의 파업 참가자들과 협상을 시도했다.[181][19] 파업 참가자들은 임금 협상을 위해 론민 경영진과의 직접 대화를 요구했으나,[181] 론민 측은 공식적인 노조 채널을 통해서만, 그리고 안전한 장소에서만 대화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사실상 직접 대화를 거부했다.[27][181]
한편, 8월 14일 경찰은 론민 경영진과의 회의에서 파업 참가자들을 koppie|코피afr에서 포위하고 강제로 무장 해제시키는 계획을 논의했다.[181][33] 8월 15일, SAPS 전국 관리 포럼은 파업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해산하지 않을 경우 강제로 무장 해제하고 koppie|코피afr에서 제거하는 "전술적 옵션"을 최종 승인했다. 이는 8월 16일 학살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조치였다.[181] 같은 날, 전 NUM 지도자이자 당시 론민 이사였던 시릴 라마포사는 이메일을 통해 파업을 "끔찍한 범죄 행위"로 규정하며 경찰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되어 논란이 되었다.[33][34]
3. 1. 파업 시작: 8월 10일
2012년 8월 8일, 여러 론민 광산의 암반 드릴 작업자들은 대규모 회의를 열어 상당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기로 뜻을 모았으나, 회의에 참석했던 전국광업노동조합 (NUM) 지도부는 이러한 요구를 지지하지 않았다.[23] 다음 날인 8월 9일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휴일인 여성의 날이었고, 노동자들은 론민 소유의 축구 경기장에서 다시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NUM이 자신들을 대표하기를 거부한다고 판단하고, 론민 경영진에게 직접 요구를 전달하기로 결정했다.[23]8월 10일, 마리카나 광산의 노동자 약 3,000명은 론민 경영진 사무실을 향해 행진(토이토이)을 시작했다.[33][24] 이들은 월 12500ZAR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무허가 파업에 돌입했다.[25][16] 론민 측은 노동자들과의 만남을 거부하고, NUM 지도부와 상의하라고 지시했다.[23] 파업을 주도한 이들은 대부분 NUM 조합원이었지만, 노조의 공식적인 대표 없이 "노조가 아닌 노동자로서 함께 모여" 파업을 진행했다고 ''데일리 매버릭''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23] 이날 집회가 평화로웠는지, 아니면 노동자들이 론민 경영진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는지에 대해서는 이후 증언이 엇갈렸다.[181]
같은 날 저녁, 파업 참가자들과 론민이 고용한 사설 경비원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론민과 NUM 관계자들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출근하려는 노동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협박이 있었다고 주장했다.[181] 론민 경비원들은 이날 저녁 최소 세 차례, 노브케리(몽둥이)와 창 등 전통 무기로 무장했다고 주장되는 파업 참가자들을 향해 고무탄을 발사했다. 이 과정에서 광부 두 명이 총에 맞아 부상을 입었고, 이들은 살인 미수 혐의로 형사 고발을 제기했다. 그러나 이후 조사에서도 경비원들이 실제 탄약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고무탄만 사용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81][33]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SAPS)은 8월 10일 저녁 소요 사태 동안 론민의 요청으로 현장에 출동했으며, 장기 파업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수립했다고 증언했다.[181]
3. 2. NUM과의 충돌: 8월 11일
11일 토요일 이른 아침, 파업 노동자들은 원더코프에 있는 전국광업노동조합(NUM) 본부로 행진했다. 이들은 대부분 NUM 소속의 암반 드릴 작업자들이었다. 행진의 목적은 NUM 지부 지도부에게 파업 노동자들의 R12,500 임금 인상 요구를 지지해달라는 건의서를 전달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NUM 지부 지도부는 현장 대의원보다 상위 직책이었으며, 노조 활동에 대한 보너스를 광산 측으로부터 받고 있었다.[23]그러나 파업 노동자들과 다른 증언에 따르면, 행진 대열이 NUM 사무실에서 약 100m에서 150m 떨어진 원더코프 택시 정류장 근처에 이르렀을 때 충돌이 발생했다. 약 15명에서 20명의 NUM 대표들이 5정에서 15정의 총기를 소지하고 사무실에서 나와, 별다른 경고나 도발 없이 시위대를 향해 실탄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23]
이후 조사 과정에서 NUM 대표들은 일부가 시위대에 발포한 사실 자체는 부인하지 않았다. 다만, 그들은 시위대가 전통 무기를 소지하고 돌을 던지며 위협적인 구호를 외쳤고, 평화적인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NUM 대표들은 시위대가 NUM 사무실에 방화하려 한다는 소문을 들었기 때문에 정당방위 차원에서 행동했다고 해명했다.[181][26] 하지만 파업 노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며, NUM 사무실 앞에서 충돌이 벌어진 이후에야 자기 방어를 위해 무장했다고 주장했다.[23][27]
충돌 과정에서 발생한 사상자에 대해서는 초기 보도와 공식 조사 결과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2012년 ''데일리 매버릭''은 소식통을 인용하여 두 명의 시위자(모두 암반 드릴 작업자이자 NUM 회원)가 총에 맞아 사망했다고 보도했지만,[23][27][28] 이후 공식 조사에서는 두 명의 시위자가 NUM 대표의 총격으로 부상을 입었으나 생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81][26]
NUM 사무실 앞에서의 충돌 이후, 파업 노동자들은 일단 흩어졌다가 나중에 론민 소유의 축구 경기장에 다시 모였다. 이들은 안전을 고려하여 회의 장소를 근처의 koppie|코피afr(작은 언덕을 뜻하는 아프리칸스어)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이 코피는 공공 부지에 위치해 있었고, 주변 론민 광산들과 마리카나 및 원더코프 정착지에서 접근하기 용이했다. 이후 이 코피는 일주일간 이어질 대립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23]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8월 11일 오후에는 NUM의 소극적인 대응과 론민과의 유착 관계에 분노한 다른 론민 광부들도 시위에 합류하기 시작했다.[33] 또한, 같은 보도에서는 오후 집회 참석자들이 폭력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고마(전통 치료사)를 고용하기 위해 현금을 모금했다고 전했다.[33]
3. 3. 추가 폭력: 8월 12일 ~ 15일
8월 12일, 파업 참가자들과 론민 보안군 사이에 최소 세 차례의 폭력적인 대립이 있었다. 첫 번째는 파업 참가자들이 '코피'(koppie|코피afr, 작은 언덕)에서 론민 경영 사무실로 행진하는 동안 발생했다. 파업 참가자 한 명이 보안 요원에게 돌을 던지면서 시작되었고, 보안 요원들이 고무탄을 발사하면서 격렬해졌다.[33][181] 이 시점에서 많은 파업 참가자들은 팡가스를 포함한 무기를 소지하고 있었고,[33] 보안 요원들은 후퇴하는 동안 부상을 입었다.[181] 두 번째 대립은 광부 기숙사에서 발생하여 론민 보안 요원 두 명(하산 푼디와 프란스 마벨라네)이 사망했는데, 이는 파업 참가자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181] 세 번째 대립은 마리카나 광산의 K4 갱도에서 발생했다. 광산에 들어가 일하려던 노동자들이 공격을 받아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노동자 타펠로 에릭 마베베가 사망했다.[181] 여러 차량도 불탔다.[181] 공식 조사 결과, K4 사건은 "파업을 위협으로 강요하기 위한 무장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이유 없는 공격"으로 비난받았다.[181] 8월 13일 새벽, 또 다른 광부인 율리우스 랑가가 칼에 찔려 사망했는데, 이 역시 파업 참가자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181]13일에는 파업 참가자와 경찰 간의 첫 번째 유혈 충돌이 발생했다. 경찰의 사건 영상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사건의 전개는 명확하지 않다.[181] 일반적으로 100명에서 200명 정도의 소규모 파업 참가자들이 일부 직원들이 여전히 근무 중이라는 소식을 듣고 '코피'에서 K3 갱도로 행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론민 보안팀으로부터 갱도가 비어 있다는 정보를 받은 파업 참가자들은 '코피'로 돌아갔지만, 철도 선로 근처에서 경찰 병력과 마주쳤다.[33][181] 영상에는 북서부 주 경찰 부국장인 윌리엄 음펨베 소장이 무기를 내려놓으라고 요구하며, 막대기와 팡가스를 들고 있던 파업 참가자들과 협상하려는 모습이 담겨 있다. 그는 무장을 해제해야 '코피'에 있는 그룹에 합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녹화된 대화에서 파업 참가자들은 무장 해제를 거부하며, 폭력적인 의도가 아니라 전국광업노동조합`(NUM)`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무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27] 그룹의 지도자는 경찰에게 "제발 길을 열어주세요. 저희가 원하는 건 그것뿐입니다. 누구와도 싸우고 싶지 않습니다. 그냥 코피로 가고 싶을 뿐입니다."라고 간청했다.[33] 그 후 파업 참가자와 경찰은 경찰이 파업 참가자들을 코피까지 호송하고, 그들이 무기를 넘겨주기로 합의했다.[181]
그러나 몇 분 후, 경찰 영상이 끊어진 직후, 몸싸움이 벌어졌다. ''가디언''은 음펨베가 영상에서 전화를 받은 후 마음을 바꾸는 것처럼 보인다고 암시했다;[33] 음펨베 본인은 파업 참가자들이 경찰을 공격했다고 증언했지만,[181] 이후 이를 반박하는 추가 영상이 공개되었다.[29] 이어진 혼란 속에서 경찰은 최소 한 개의 최루탄과 한 개의 섬광 수류탄을 발사했지만, 음펨베가 이 명령을 내렸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181] 경찰 기록에 따르면, 최소 3명의 경찰관(한 명은 권총을, 다른 두 명은 R5 돌격 소총을 소지)이 총 37발 이상의 총격을 가했다.[181] 헨드릭 모넨과 셀로 레파쿠 두 명의 경찰관이 사망했고, 현장이나 그 근처에서 파업에 참여한 광부 3명(푸음질레 소카닐레, 세미 요카니시, 템벨라케 마티)도 사망했다.[29] 또 다른 경찰관은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81][15] ''가디언''에 따르면, 8월 13일 밤, 전국 경찰관들은 사망한 경찰관들의 처참한 시신 사진을 유포했다;[33] 파업 참가자 변호사들은 나중에 이 사건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SAPS)` 구성원들에게 이후 며칠 동안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심"을 갖게 했다고 주장했다.[181] 파업 이후 몇 년 동안, 이 사건과 관련하여 두 건의 별도 살인 재판이 시작되었다. 하나는 경찰관 사망 사건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광부 사망 사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찰관들이 소카닐레가 현장에서 도망친 후 의도적으로 그를 "사냥"하여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29]
3. 4. 코피(Koppie)에서의 협상: 8월 14일 ~ 15일
8월 13일 저녁, 경찰은 여전히 '코피'(작은 언덕을 뜻하는 아프리칸스어)를 점거하고 있는 파업 참가자들과 평화로운 해결을 시도하기로 결정했다.[181] 훈련된 인질 협상가인 스티븐 제임스 맥킨토시 중령은 8월 14일 오후 초에 '코피'에 도착했다. 그는 나중에 4,000명에서 5,000명 사이의 파업 참가자들이 '코피'에 있었으며,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무기나 직접 만든 무기를 소지했고, 많은 사람들이 "난폭하고 공격적"이었다고 회상했다.[181] 맥킨토시가 확성기로 군중에게 연설한 후, 파업 참가자 대표 5명이 SAPS 경찰관과 협상하기 위해 그의 장갑차량으로 접근했다. 그들은 파나갈로로 대화했고, 론민 직원이 경찰을 위해 통역했다.[181] 파업 참가자들은 맥킨토시에게 파업이 임금 문제에 관한 것이며, 8월 10일에 NUM이 그들을 공격했기 때문에 '코피'에 있었으며, 론민 경영진과 대화하고 싶다고 반복해서 말했다.[181] 8월 14일 오후 5시경, 경찰 협상가들은 '코피' 뒤쪽에서 시체가 발견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그 시신은 일부 파업 참가자들이 '임피피'(밀고자)라고 비난한 론민 감독관 이사야 트왈라였다.[181] 파업 참가자 대표들은 경찰이 현장 조사를 위해 '코피' 근처에 헬리콥터를 착륙시키는 데 동의했다.[181]이 시점에서 론민 경영진은 파업이 12500ZAR 임금 인상 요구에 대한 Amcu의 지원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믿었다. 이 주장은 나중에 철회되었다.[181] 그러나 당시 그 믿음은 언론에도 유포되었고, 마리카나에서 진행 중인 폭력이 Amcu와 NUM 간의 경쟁의 결과라는 서사를 재생산했다.[30] 또한 8월 14일, NUM 사무총장 발레니는 이를 부인하며 NUM이 폭력 사태에서 Amcu의 희생자라고 말했다.[31] 동시에 그는 "폭력 사태가 법 집행 기관에 의해 억제되지 않고 계속해서 확대되는 것을 허용했다"는 데 경고하며 특별 태스크 포스 또는 군대를 투입하여 "러스텐버그와 주변 광산의 범죄 요소를 단호하게 처리"할 것을 촉구했다.[31] 이에 Amcu 부회장 제프 므타흐메메는 NUM이 희생자라는 것을 부인하며, NUM 구성원들이 "이 폭력의 가해자"이며 두 명의 Amcu 구성원의 죽음을 초래했다고 비난했다.[31] Amcu 회장 조셉 마툰주와의 설명에 따르면, '코피'를 점거한 광부들은 주로 노동조합 대표에게 불신을 품은 불만을 품은 NUM 지도자들이었다. "Amcu 구성원이 거기에 있었을 수도 있지만, 산에서 시위를 조율한 것은 Amcu가 아닙니다."[19]
마툰주와에 따르면, 그와 다른 Amcu 지도자들은 파업에 개입하게 된 것은 파업 참가자들에게 임금 인상을 협상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 아니라, 8월 13일에, 공식적으로 관련 근로자를 대표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치 상황에 개입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기 때문이다.[19] 실제로 SAPS와 파업 참가자 간의 협상은 8월 15일 아침에 재개될 예정이었고, 마툰주와는 도움을 제공했다. 8월 15일, 그는 NUM 회장 세젠니 조쿠아나와 함께 오전 8시 뉴스 직후 SAFM에서 방송되는 아침 라디오 프로그램인 Xolani Gwala의 ''Forum at 8''에 출연했다. 프로그램이 끝날 무렵, 조쿠아나와 마툰주와는 함께 마리카나로 가서 파업 참가자들에게 연설하고 그들에게 업무 복귀를 촉구하기로 합의했다.[181] 두 노조 지도자는 장갑차 안에서 확성기를 통해 '코피'에 있는 군중에게 연설했다. - 영상에서 마툰주와는 이 상황에 반대하며 "이들은 사람들이고 우리는 노동조합입니다. 우리는 그들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잘못한 것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27] 파업 참가자들은 조쿠아나의 말을 듣기를 거부했고 - 조쿠아나는 나중에 파업 참가자들이 NUM을 신뢰하지 않았고 협상에 NUM의 개입을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26] - 마툰주와는 그들에게 연설할 수 있었다.[27][32] 그러나, ''데일리 매버릭''에 따르면, 마툰주와의 파업 참가자와 경영진 사이의 중재 시도는 론민 경영진이 직접 연설해 달라는 파업 참가자들의 요구에 론민과 경찰이 동의하지 않으면서 방해를 받았다.[27] 실제로, 론민은 그날 아침, 공식적인 구조를 통해서만, "무기가 없는 매우 안전한 환경에서, 산이 아닌 곳에서" 직원들과 교류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181]
3. 5. 경찰의 무장 해제 결정: 8월 15일
8월 14일, SAPS는 론민 경영진과 회동했다. 이 회의에서 노스웨스트 경찰청장 주키스와 뭄보는 론민 측에 근로자들에게 직장 복귀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발령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SAPS는 파업 참가자들을 '코피'(koppie, 작은 언덕)에서 포위하고 무기를 내려놓고 한 명씩 코피를 떠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었다. 녹음된 대화에서 뭄보는 파업 참가자들이 다음 날 무기를 포기하지 않으면 "피를 볼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20명이 사망하는 상황은 원치 않는다"고 덧붙이기도 했다.[181][33] 그러나 다음 날로 예정되었던 이 작전은 노조 지도자들의 마리카나 방문으로 인해 연기되었다.[181]다음 날인 8월 15일, SAPS 전국 관리 포럼은 미드랜드에서 "임시 회의"를 열고 새로운 전략을 승인했다. 이 계획은 파업 참가자들을 포위하여 자발적으로 무장 해제하고 해산하도록 유도하되, 이것이 실패할 경우 강제로 무장 해제시키고 '코피'에서 몰아내는 것이었다. 이른바 "전술적 옵션"으로 불린 이 비상 계획은 사전에 마련된 것이었으며, 8월 16일 오후 코피 현장에서 사건이 격화되면서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181]
한편, 전 전국광산노조(NUM) 지도자이자 당시 론민 이사였던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의 핵심 인물 시릴 라마포사는 파업 노동자들의 이익을 대변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파업 중 그가 작성하여 나중에 공개된 이메일은 경찰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8월 15일, 그는 론민의 최고 상업 이사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건들은 노사 분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명백히 끔찍한 범죄이며 그렇게 규정되어야 합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상응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라고 주장했다.[33] 다른 이메일에서는 "장관 광물자원부 장관 수잔 샤방구와 실제로 모든 정부 관계자는 우리가 기본적으로 범죄 행위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라고 썼다.[34] 라마포사는 2017년 5월,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부통령 신분으로 해당 이메일 문구에 대해 사과했다.[35]
4. 마리카나 학살: 8월 16일
2012년 8월 16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SAPS)은 마리카나 광산 파업 현장에서 강경 진압 작전을 예고했다. 경찰 고위 관계자들은 이날을 "D-Day"로 명명하며 파업을 종결시키겠다는 의지를 공공연히 밝혔고,[181][36][37] 장갑차와 가시 철사, 중무장한 특수부대까지 동원하며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181][32] 현장에는 극도의 긴장감이 감돌았고, 일부 파업 참가자들은 경찰의 강경 대응에 맞서 저항할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181]
프리토리아 성공회 교구의 요하네스 세오카 주교와 광산건설노동조합연맹(AMCU)의 조셉 마툰좌 회장이 마지막까지 파업 참가자들과 경찰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했으나,[181][6] 론민 경영진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경찰의 작전 개시 결정으로 인해 무산되었다.[181][19][32] 마툰좌 회장은 파업 참가자들에게 해산을 간청하며 경찰의 무력 사용 가능성을 경고했지만, 참가자들은 회사의 약속 파기를 이유로 농성을 이어갔다.[6][39][19]
오후 3시 40분경, 마툰좌 회장이 현장을 떠난 직후 경찰 작전이 시작되었다.[181] 이후 사건은 파업 참가자들이 점거하고 있던 주 언덕(소위 '1구역')과 그 인근의 작은 언덕('2구역') 두 곳에서 참혹하게 전개되었다.[39]
경찰은 먼저 1구역에서 물대포, 최루탄, 섬광 수류탄 등 비살상 무기를 사용하여 파업 참가자 해산을 시도했다.[181] 그러나 일부 참가자들이 경찰 저지선으로 접근하자, 경찰은 이들이 공격해 온다고 판단하고 R5 돌격 소총으로 실탄 사격을 가했다.[181][41][42] 불과 10여 초간 이어진 발포로 300발 이상의 실탄이 발사되었고, 이 과정에서 17명의 파업 참가자가 목숨을 잃었다.[181][199]
첫 번째 총격 이후 약 15분 뒤, 1구역에서 도망쳐 인근의 작은 언덕(2구역)으로 피신한 파업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두 번째 총격이 발생했다.[199] 여러 경찰 부대가 다른 방향에서 언덕을 포위하고 진입하며 약 11분 동안 300발에 가까운 실탄을 발사했다.[181][199] 이 총격으로 17명의 파업 참가자가 추가로 사망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숨으려던 바위틈에서 발견되었다.[181] 경찰은 파업 참가자들이 먼저 발포하여 방어 차원에서 대응 사격을 했다고 주장했으나,[181] 이후 조사 과정에서 경찰의 과잉 진압, 보복성 공격, 심지어 항복하는 참가자를 사살했다는 의혹과 함께 현장에서 증거 조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까지 제기되었다.[43][44][45][199]
결과적으로 8월 16일 하루 동안 경찰의 발포로 총 34명의 파업 참가자가 사망하고 78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40]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생한 가장 심각한 유혈 사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4. 1. 아침의 상황
16일 아침,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SAPS) 작전 사령부는 회의를 열어 다가오는 작전을 "D-Day"라고 지칭하며 전술적 옵션을 시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시사했다.[181] 오전 9시 30분, 경찰 간부 봅보(Mbombo)는 기자 회견에서 "오늘 우리는 이 문제를 끝낼 것입니다", "그들이 저항한다면... 오늘은 우리가 폭력을 끝내려는 날입니다"라고 말하며 경찰의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다.[181] SAPS 대변인 데니스 아드리아오(Dennis Adriao) 역시 기자들에게 "오늘 안타깝게도 D-day입니다. 불법 집회입니다... 실패하면 분명히 전술적 단계로 넘어가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그들이 따르지 않으면 조치를 취해야 하는 D-day입니다... 우리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36][37]경찰은 파업 참가자들을 포위하고 해산시킬 계획에 따라 이전과 달리 장갑차(Nyalas) 여러 대와 가시 철사가 가득 찬 트레일러를 ''koppie''(작은 언덕) 주변에 배치했다.[181] 이 가시 철사는 파업 참가자들이 경찰 방어선으로 분산되어 공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나중에 은밀하게 설치될 예정이었으나,[32] 즉시 눈에 띄어 파업 참가자들의 적대적인 반응을 유발했다.[181] 경찰은 R5 소총 탄약 4,000발 추가 주문(오후에 마리카나로 배송되었으나 사용되지 않고 반송됨)과 시신 최대 16구를 옮길 수 있는 장비를 갖춘 영안실 차량 4대 배치를 요청했다. 반면 현장에 배치된 구급차는 단 1대였고 오후 1시경에 도착했다.[181] 마리카나에 주둔한 경찰 병력에는 공공 질서 유지 경찰 176명 외에도 전술 대응 부대, 특수 태스크 포스, 국가 개입 부대, K-9 부대 등 정예 특수 부대 337명이 포함되었다.[32]
현장의 분위기는 매우 적대적으로 묘사되었다. 경찰의 태도가 강경해지는 것이 분명해지자, 최소 두 명의 파업 참가자들이 다른 참가자들에게 선동적인 연설을 하며 경찰의 개입에 폭력적인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저항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181] 일부 파업 참가자들이 ''무티''(전통 주술) 의식을 통해 성유를 받았다는 보고도 있었는데, SAPS는 나중에 이것이 파업 참가자들에게 자신들이 "무적"이라는 믿음을 심어주었다고 주장했다. 다른 관찰자들은 이러한 믿음이 없었더라도, 이 보고 자체가 경찰관들로 하여금 파업 참가자들을 비이성적이거나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199]
오후 1시경, 프리토리아 성공회 교구 주교이자 남아프리카 교회 협의회 의장인 요하네스 세오카(Johannes Seoka)가 ''koppie''에 도착하여 파업 지도자들과 대화했다. 지도자들은 론민 경영진이 직접 ''koppie''로 와서 군중들에게 연설해 줄 것을 요청했다.[181] 비슷한 시각인 오후 1시 30분경, SAPS 작전 사령부는 다시 회의를 열고 파업 참가자들에게 무기 반납과 해산을 재차 요구한 뒤, ''koppie''에 남아 있는 사람들을 수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회의에서는 파업 참가자들이 불응할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전술적 옵션을 시행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하고,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181] 이후 조사에서는 SAPS가 이 시점에서 이미 파업 참가자들이 지시에 따르지 않을 것이며 전술적 옵션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181] 세오카 주교가 론민 경영진을 만났을 때, 경영진은 파업 참가자들이 무장을 해제하고 ''koppie''를 떠날 경우에만 협상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전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세오카 주교가 이 메시지를 전달하러 ''koppie''로 돌아가기 전에, 누군가 그에게 ''koppie''가 "보안 위험 구역"으로 지정되어 접근이 금지되었다고 알렸다.[181]
작전 사령부는 오후 3시 30분에 작전을 시작하기로 했으나, 광산건설노동조합연맹(AMCU) 회장 조셉 마툰좌(Joseph Mathunjwa)가 마지막으로 ''koppie''를 방문하면서 지연되었다.[181] 마툰좌는 다음 날 기자회견에서 눈물을 흘리며 파업 광부들을 설득하여 해산시키려 했던 노력을 회상했다. 그는 "벽에 글씨가 쓰여 있어요. 그들이 당신들을 죽일 겁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6] 그가 무릎을 꿇고 파업 참가자들에게 간청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도 공개되었다.[39] 마툰좌는 파업 참가자들이 시위를 계속한 이유가 론민이 "평화롭게 일터로 돌아오면 경영진이 노조를 통해 고충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약속을 어겼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9] 구체적으로 그는 론민 경영진이 8월 15일에 파업 참가자들이 복귀하면 협상하겠다고 약속했지만, 16일 아침에 이 약속을 철회했다고 밝혔다.[32] 마툰좌는 작전이 시작되기 직전인 오후 3시 40분 직전에 ''koppie''를 떠났다.[181] 이후 사건은 두 개의 주요 장소, 즉 파업 참가자들이 일주일 동안 점거했던 ''koppie''인 소위 1구역과 그 근처의 작은 ''koppie''인 2구역에서 발생했다.[39] 공식 집계에 따르면, 두 구역에서 총 34명이 사망하고 78명이 부상을 입었다.[40]
4. 2. 첫 번째 현장 (Scene one)
작전 초반 15분 동안 경찰관들은 철조망을 풀었고, 냐알라 장갑차 한 대가 위치를 바꿔 무기를 들고 '코피'(koppie, 작은 언덕)를 떠나려던 일부 파업 참가자들을 막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SAPS)은 이 시간 동안 파업 참가자 그룹이 경찰선과 파업 참가자 무리 사이의 중립 구역에 진입하려 하면서 몇 차례 사소한 대립이 있었고, 일부 파업 참가자가 냐알라 장갑차에 총격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이후 증거는 이 주장을 반박했지만, 적어도 한 대의 냐알라 장갑차가 창과 기타 조잡한 무기로 공격받았음을 시사했다.[181] 지휘관은 자신이 다른 냐알라 장갑차에 있었고, 그 장갑차 역시 공격받는 소리를 들었지만 돌에 맞았는지 총알에 맞았는지는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181] 지휘관은 공공 질서 유지 부대가 파업 참가자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고 판단하여, 비살상 무기 사용을 승인한 후 냐알라 장갑차에 파업 참가자들 사이로 진입하여 그들을 해산하고 경찰선을 돌파하는 것을 막으라고 지시했다.[181] 전반적으로 사건에 대한 경찰의 설명은 경찰관들이 파업 참가자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는 인식을 강조했다.[51]경찰이 위협을 느낀 이유 중 하나는 오후 3시 53분까지 100명 이상의 광부 그룹이 경찰선과 '코피' 기슭의 '크랄'(kraal) 사이의 통로로 접근하고 있었고, 그들 중 일부는 여전히 날카로운 무기를 소지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181] 그 직후 공공 질서 유지 부대는 섬광 수류탄 세 발, 최루탄 여덟 발, 물대포 두 대를 발사하며 비살상 무기 사용을 시작했다.[181] 이 조치로 진격하던 광부 그룹 대부분은 흩어졌지만, 11명 또는 12명의 광부 그룹은 '크랄' 주위를 계속 나아갔고, 이 과정에서 전술 대응팀 대열에 20m 이내까지 접근했다.[181] SAPS는 이 그룹이 경찰을 공격하여 '코피'에서 몰아내려 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파업 참가자 대표는 그 그룹이 인근 판자촌인 Nkaneng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이동하고 있었으며, 단지 Nkaneng 방향으로 '코피'를 떠나려 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81] 오후 3시 54분경, 이 그룹의 한 광부가 그룹이 전진하는 동안 최소 한 발의 권총을 발사했다.[181] 이는 영상과 로이터 사진 기자의 목격으로 확인되었다.[41][42]
10초 이내에 47명의 전술 대응팀 대원과 한 명의 공공 질서 유지 경찰관이 R5 돌격 소총으로 발포하기 시작했다.[181] 파업 참가자 측 변호인들은 작전 지휘관이 몇 초 전에 "교전, 교전, 교전" 명령을 내려 경찰관들이 발포했다고 주장했지만, 관련 경찰관들은 그 명령이 명백히 전술 대응팀 대원이 아닌 공공 질서 유지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어쨌든 전술 대응팀 대원들은 파업 참가자들의 임박한 공격 위협을 받고 있다고 믿어 발포했다고 반박했다.[181] 경찰은 나중에 비살상 무기 사용이 "총을 쏘고 위험한 무기를 휘두르며 경찰을 향해 돌진하는 과격 단체"의 진격을 막는 데 실패하자 실탄 사용이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51]
일제 사격은 8초에서 12초 동안 지속되었으며, 328발의 실탄이 사용되었다.[181] 처음 4초 동안 몇 발의 경고 사격이 파업 참가자들 앞에서 땅에 발사되어 먼지 구름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경찰관들이 파업 참가자들을 제대로 볼 수 없었음에도 많은 수가 계속 발포했다. 약 9초 후, 한 전술 대응팀 지휘관이 주먹을 들고 "사격 중지"를 외쳤지만, 일부 경찰관은 계속해서 총을 쏘았다. 여러 경찰관들은 자신들의 소총이 자동 화기로 설정되어 있었다고 인정했다.[181] 이 현장에서 파업 참가자 17명이 사망했고,[199] 부상자들은 약 1시간이 지나서야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181]
4. 3. 두 번째 현장 (Scene two)
두 번째 현장(Scene 2)에서의 총격은 첫 번째 총격 지점에서 500m도 채 떨어지지 않은 작은 언덕(koppie)에서 발생했으며, 첫 번째 총격 후 약 15분 뒤에 시작되었다.[199] 작전 지휘관을 포함한 현장의 고위 경찰관들은 첫 번째 현장(Scene 1)에서의 총격 발생 사실을 알지 못했으며, 따라서 개입을 중단하지 않고 인근에 재집결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조사에서는 이들이 앞선 총격에 대해 몰랐다는 주장에 의문이 제기되었다.[181] 어쨌든, 국가 개입 부대, 전술 대응 팀, 그리고 K9 부대를 포함한 혼성 부대 등 세 개의 서로 다른 경찰 부대가 첫 번째 현장 총격 중 및 직후 작은 언덕으로 도망친 파업 참가자들을 무장 해제하고 체포하기 위해 각기 다른 방향에서 작은 언덕으로 합류했다.[181]11분 동안,[199] 세 부대의 다양한 대원들이 작은 언덕의 파업 참가자들을 향해 총격을 가했으며, 총 295발의 실탄을 발사했다.[181] 광부 14명이 현장에서 사망했고, 3명은 나중에 병원에서 사망했다.[181] 사망자 중 10명은 숨으려 했던 것으로 보이는 언덕의 바위 틈새에서 발견되었다.[181] 8월 17일 새벽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과 국제 관계 협력부 장관에게 제출된 경찰 보고서는 두 번째 현장의 사건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분산 작전이 이 시점에 시작되었고, 시위대는 그들의 거점으로부터 가까운 덤불이 많은 지역으로 쫓겨났다. 경찰은 그 지역을 포위하고 물대포, 고무탄, 섬광 수류탄을 사용하여 시위대를 밖으로 몰아내려 했다. 무장한 시위대를 체포하려는 경찰의 진격은 ''sic'' 경찰관들이 근거리에서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다시 무력을 사용해야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 인해 두 번째 사건에서 13명의 시위자가 더 사망하고 15명이 더 부상당했다.[181]
경찰관들은 광부들에게 무기를 내려놓고 나오라고 반복해서 외쳤으나, 일부는 거부하거나 심지어 경찰에게 발포했다고 증언했다.[181] 또한 여러 경찰관은 총성을 통해 광부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고 들었거나 추론했다고 진술했지만, 이후 조사에서는 이들이 SAPS의 총격 소리를 파업 참가자들의 공격으로 오인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81]
한편, 안보 연구소(ISS)의 분석가 데이비드 브루스(David Bruce)는 두 번째 현장에서의 총격에는 "파업 참가자들에 대한 강한 보복적 적대감" 요소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특히 일부 희생자들이 항복하는 과정에서 총에 맞았다는 다양한 증언들을 지적했다.[43][44] ''데일리 매버릭''의 그렉 마리노비치는 범죄 현장에 대한 예비 조사를 바탕으로 두 번째 현장에서 "무장한 경찰이 냉혹하게 광부들을 사냥하고 살해했다"고 결론지었다.[45]
두 번째 현장의 사건은 범죄 현장 사진이 촬영되지 않았고 현장이 제대로 보존되지 않아 재구성이 특히 어려웠다.[181] 특히 한 영장 담당관은 부상당하거나 사망한 광부들의 소지품과 주변에서 무기를 제거했는데, 이는 그의 독자적인 판단이었으며 어디서 무기를 발견했는지 기록하지 않았다. 그는 나중에 무기를 다시 배치했지만, 원래 위치에 놓았는지 확신하지 못한다고 인정했다.[181] 그 결과, 최소 6명의 사망한 광부 시신 근처에 무기가 조작되어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99] 또한, SAPS는 두 번째 현장의 사건에 대해 즉시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고, 초기 언론 발표에서는 총격이 주요 언덕 주변의 단일 장소에서 연속적인 단일 단계로 진행된 것처럼 암시하여 두 현장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었다.[181][43]
5. 학살 이후: 정부의 대응과 파업의 지속
8월 16일 학살 사건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는 큰 충격에 빠졌다. 정부와 경찰은 사건 수습에 나섰으나 초기 대응은 논란을 낳았다. 제이콥 주마 대통령은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조사 위원회 설치를 약속하고 국가 애도 주간을 선포했지만[47][52], 경찰 수뇌부는 경찰의 정당방위를 주장하며 비판 여론에 맞섰다.[49][50]
학살 현장에서는 SAPS에 의해 광부 259명이 체포되었고[40], 이후 추가 체포가 이어졌다.[55] 국가 검찰청(NPA)은 체포된 광부 270명 전원에게 공공 폭력 혐의와 더불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한 동료 34명에 대한 살인 혐의까지 적용하겠다고 발표하여 엄청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13]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반체제 인사 탄압에 사용되었던 공동 목적 원칙에 근거한 것이었으나[13][58], 거센 비판 끝에 살인 혐의는 잠정적으로 철회되었다.[56] 석방된 광부들 중 상당수는 구금 과정에서 경찰의 폭력과 폭행을 당했다고 증언하며 추가적인 논란을 낳았다.[55][58]
한편, 론민 측은 학살로 인한 인명 피해에 유감을 표하면서도, 사태의 본질을 노사 관계 문제가 아닌 공공 질서의 문제로 규정했다.[65] 회사는 파업 노동자들에게 업무 복귀 최후통첩을 보냈으나[52],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 요구가 수용되지 않는 한 파업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40][69] 이로 인해 파업은 장기화되었고, 론민의 생산 차질과 경제적 손실은 더욱 심화되었다.[66][67][73][74]
5. 1. 즉각적인 정부 반응: 8월 16일 ~ 19일

8월 16일, 경찰이 파업 참가자들에게 발포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경찰부는 사망자 발생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경찰의 행동을 정당화했다. 경찰부는 "시위는 모든 시민의 합법적이고 헌법적인 권리이지만, 이것이 사람들이 야만적이고 위협적이며 불법적인 집회를 열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우리는 무장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공격하고 살해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밝혔다.[46] 당시 모잠비크 마푸투에서 열린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정상 회담에 참석 중이던 제이콥 주마 대통령[47]은 살인 사건을 규탄했으나 경찰의 행동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성명을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이 무의미한 폭력에 충격과 실망을 느낍니다. 우리는 우리의 민주적 질서 내에서 어떠한 분쟁이라도 법률 위반이나 폭력 없이 대화를 통해 해결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노동 운동과 기업이 정부와 협력하여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이 상황을 해결할 것을 촉구합니다. 저는 법 집행 기관에 상황을 통제하고 폭력 행위자를 처벌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우리는 이 폭력 사태가 시작된 이후 목숨을 잃은 모든 사람들의 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48]
다음 날인 8월 17일, 주마 대통령은 모잠비크에서 일찍 귀국하여 루스텐버그의 총격 사건 현장을 방문했다. 그는 비극의 "진정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 조사 위원회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47] 같은 날, 리아 피예가 국가 경찰청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지금은 비난하거나 손가락질할 때가 아니라 애도할 때"라고 말했다.[49] 피예가 청장은 경찰이 자기 방어를 위해 행동했으며,[49]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최대의 힘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50] 그녀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파업 참가자들이 발포 전에 경찰을 향해 진격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하는 항공 사진을 제시했다.[51] 그러나 독립 경찰 조사국(IPID)은 경찰의 대응이 파업 광부들이 제기한 위협에 비례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9]
8월 19일, 주마 대통령은 "인간 생명의 신성함과 생명권에 대해 숙고할" 기회로 삼기 위해 국가적인 애도 주간을 선포했다.[52] 한편, 광부 가족들은 정부가 사망자 명단을 늦게 발표하여 실종된 가족 구성원의 생사 여부(사망, 부상, 체포)를 알 수 없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54]
5. 2. 체포와 살인 혐의: 8월 ~ 9월
8월 16일 학살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SAPS)은 학살 현장 근처에서 광부 259명을 체포했다.[40] 이들은 노스웨스트 주와 하우텡 주의 여러 경찰서 유치장에 분산 수용되었다.[55] 이후 2주 동안 마리카나 주변 정착촌에서 파업 참가자 11명이 추가로 체포되었으며, 일부는 병원에서 퇴원하자마자 구금된 것으로 알려졌다.[55]8월 30일, 국가 검찰청(NPA)은 체포된 270명의 광부 전원을 가란쿠와 치안 법원에서 공공 폭력 혐의뿐만 아니라, 8월 16일에 경찰 총격으로 사망한 동료 광부 34명에 대한 살인 혐의로 기소하겠다고 발표했다.[13] 이는 체포된 이들 중 일부가 비무장 상태였거나 시위대 후방에 있었고, 심지어 6명은 학살 당시 입은 부상으로 병원에 입원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내려진 결정이었다.[13] NPA는 경찰이 34명의 광부를 사살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형법의 공동 목적 원칙에 따라 살인 혐의 적용이 법적으로 정당하다고 주장했다.[56][57] 이 공동 목적 원칙은 과거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이 반 아파르트헤이트 활동가들을 탄압하는 데 악용했던 전례가 있어 악명이 높았으나,[13][58]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에도 법원에서 그 효력이 인정되어 왔다.[56][59]
광부들에게 살인 혐의를 적용한다는 소식은 즉각적인 사회적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8월 30일, 법원 밖에서는 약 100명의 시민이 모여 구금된 광부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13] 집권 여당인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의 재무총장 매튜스 포사는 NPA의 결정을 "터무니없다"고 강하게 비판했으며,[60] 제프 라데베 법무부 장관 역시 이 발표가 대중에게 "충격, 공황, 혼란"을 야기했다고 인정하며 NPA에 해명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61]
거센 비판 여론에 직면하자, NPA의 농고보 지바 검찰총장 직무대행은 이 결정에 대한 재검토를 지시했고, 9월 2일 270명 광부에 대한 살인 혐의를 잠정적으로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석방될 예정이었으나, 살인 외 다른 혐의는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56] 지바는 모든 관련 조사가 완료된 후에야 혐의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56]
구금되었던 광부들의 석방은 다음 날인 9월 3일부터 시작되었다.[62][63] 이들은 경고와 함께 조건부로 풀려났으며, 제이콥 주마 대통령이 임명한 조사 위원회의 조사를 포함한 모든 수사가 종결될 때까지 사건은 연기되었다.[64] NPA는 또한 이번 혐의 철회 결정이 '공동 목적' 원칙에 따른 살인 혐의에만 국한된 것이며, 8월 16일 학살 이전에 발생한 다른 10명의 사망 사건(경찰관 2명, 론민 경비원 2명 등)과는 별개로 수사가 진행 중임을 분명히 했다. 검찰은 8월 13일 경찰관 2명 살해 사건과 관련하여 용의자 7명을 체포했고, 8월 12일 론민 경비원 2명 살해 혐의로 1명을 기소했다고 밝혔다.[56]
한편, 석방된 광부들 중 상당수는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구금 기간 동안 경찰의 폭력에 시달렸다고 주장했다.[55] 실제로 이들 중 150명은 IPID(독립 경찰 조사국)에 구금 중 경찰에게 폭행을 당했다는 내용의 공식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다.[58]
5. 3. 파업의 지속: 8월 ~ 9월
론민은 8월 16일 성명을 통해 학살로 인한 인명 피해에 유감을 표명했으나, 이를 "노사 관계" 문제가 아닌 "공공 질서" 문제로 규정했다.[65] 론민 회장 로저 필리모어는 "우리는 오늘 오후 경찰 작전과 관련된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찰청 (SAPS)은 지난 주말 경쟁 노동 단체 간의 폭력 사태가 발생하여 우리 직원 8명과 경찰관 2명이 사망한 이후 현장의 공공 질서와 안전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이는 명백히 노동 관계가 아닌 공공 질서 문제로 인해 더 많은 생명을 잃게 된 점에 대해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라고 밝혔다.[65]학살 사건 이후, 론민은 이미 낮은 세계 시장의 백금 가격으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압박에 직면했다. 회사의 주식 가치는 수백만 달러 하락했으며, 곧 연간 생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고 부채 상환 조건을 재협상해야 할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66][67] 론민의 최고 재무 책임자(CFO)이자 임시 최고 경영자(CEO)였던 사이먼 스콧은 론민 브랜드와 백금 브랜드 자체를 "재건"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했다.[68]
8월 19일, 론민은 직원들에게 다음 날인 월요일까지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해고될 것이라는 "최종 최후통첩"을 발표했다.[52] 이에 파업 참가자들은 론민이 자신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 한, 일터가 아닌 ''코피''(kopje, 작은 언덕)로 돌아갈 것이라고 응수했다. 또한 이 최후통첩은 8월 16일 학살, 체포, 부상당한 동료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언론에 밝혔다.[40][69] 광산건설노동조합연맹 (Amcu) 역시 이 최후통첩이 "매우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70]
다음 날인 8월 20일, 론민은 직원의 약 27%만이 교대 근무에 출근했다고 밝혔고[71], 업무 복귀 마감 시한을 24시간 연장한다고 발표했다.[72] 그럼에도 불구하고, 8월 24일 금요일까지 광산의 노동력 복귀율은 약 23%에 그쳐 생산을 재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었다.[73] 심지어 국가 애도 기간이 끝난 후인 8월 27일 월요일에는 복귀율이 13%까지 떨어졌다.[74]
5. 4. 보안 강화: 9월 14일 ~ 16일
긴장이 고조되던 9월 14일 금요일, 파업 중인 광부들은 코피(koppie, 작은 언덕)에 모여 론민의 임금 인상 제안이 불충분하다며 집단적으로 거부했다.[84] 당시 파업은 인근의 주요 백금 생산 기업인 앵글로 아메리칸 플래티넘(Amplats)의 러스텐버그 광산까지 확산된 상태였으며, 이 지역의 일부 노동 운동가들은 광부들의 총파업을 제안하기도 했다.[85]같은 날 오후, 제이콥 주마 행정부의 안보 관련 부처 장관들은 불법적인 노동 시위에 대한 단속 방침을 발표했다. 제프 라데베 법무부 장관은 "우리 정부는 이러한 행위를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불법 집회 참가자들을 "지체 없이 신속하게 처리하겠다"고 경고했다.[85] 이에 따라 군대 – 약 1,000명으로 추정됨 – 가 남아프리카 경찰청(SAPS)을 지원하기 위해 '백금 벨트(Platinum Belt)' 지역에 배치되었다.[86]
9월 15일 토요일 새벽, 군의 지원을 받은 SAPS 경찰관 500명은 마리카나의 광부 숙소를 급습하여 금속 막대, 마체테, 창, 몽둥이 등 무기로 간주될 수 있는 물품들을 압수했다.[87][88] 이 과정에서 6명이 불법 무기 소지 및 마약 소지 혐의로 체포되었다.[88] 같은 날, SAPS는 고무탄과 최루가스를 사용하여 론민 파업 참가자들의 집회를 해산시켰고, 이 과정에서 또 다른 6명이 시위 관련 혐의로 구금되었다.[87] 군용 및 경찰 헬리콥터와 장갑차는 주말 내내 마리카나 광산 주변에 계속 주둔했다.[88]
9월 16일 일요일, 전날 있었던 경찰의 강경 진압에 항의하기 위해 러스텐버그 지역에서 온 수백 명의 광부들 – 주로 Amplats 광산 노동자들로 추정됨[86] – 이 러스텐버그 경찰서까지 행진했다. 그러나 이들은 시위 허가를 받지 않아 불법 집회로 간주되었고, SAPS는 이들을 설득하여 해산시켰다.[88][89] 알 자지라는 당시 상공에 떠 있던 경찰 헬리콥터가 시위대를 해산시키기 위한 압박 수단으로 여겨졌다고 보도했다.[90]
5. 5. 해결: 9월 18일 ~ 20일
9월 18일, 세오카 주교는 파업 노동자들이 임금 요구 수준을 낮추는 데 동의했으며[91]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92] 같은 날 밤,[93] 회사 측과 노동자 측은 파업 노동자들의 업무 복귀를 보장하는 새로운 임금 협약에 서명했다. 이 협약은 직종에 따라 10월 1일부터 평균 11%에서 22%까지 임금을 인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94][95] 예를 들어, 암반 천공 작업자의 월급은 11078ZAR로 인상될 예정이었다.[96] 또한, 모든 노동자는 파업 기간 동안 받지 못한 임금을 보전하기 위해 일회성 격려금으로 2000ZAR를 받기로 했다.[96][94] 파업 노동자들은 9월 18일 오후에 이 제안 내용을 전달받은 것으로 보인다.[93]다음 날인 19일, 암반 천공 작업자들은 8월 9일 파업을 처음 결의했던 원더코프 스타디움에 모여 협약 타결을 축하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를 불렀다.[94] ''메일 & 가디언''에 따르면, 노동자들이 협약을 수용한 이유 중 하나는 "향후 2년 안에 최소 총수입 임금으로 월 12500ZAR를 시행하겠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76] 협상 과정에서 비노조 파업 노동자들을 대표했던 한 광부는 론민 경영진에게 이 목표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을 요청했다고 밝혔다.[97]
론민 측은 힘든 과정을 마무리 짓는 협약에 만족감을 표하면서도, 마리카나 사태로 영향을 받은 모든 이들에게 이것이 "앞으로 나아갈 길고 어려운 과정의 한 단계일 뿐"임을 인정했다.[93] AMCU의 마툰자와는 성명을 통해 "이런 결과는 생명의 희생 없이도 이룰 수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96] CCMA는 양측의 노력에 축하를 보냈다.[96] 협약 발표 후 현물 백금 가격은 2% 하락했으며, 랜드화 환율은 강세를 보였다.[97]
그러나 론민 측이 마리카나의 상황을 "특수하다"고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관측통들은 론민의 양보가 도덕적 해이를 야기하고, 다른 광산에서도 유사한 수준의 임금 인상 요구와 함께 불법 파업이 모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95][98][99] 코사투(COSATU)의 즐렐린지마 바비 사무총장 역시 이러한 우려에 동조했다.[100] NUM의 프란스 발레니 또한 "정상적인 교섭 과정이 훼손되었다. 이는 보호받지 못하는 행동, 즉 무정부 상태의 요소가 쉽게 보상받을 수 있고, 사람들이 처벌받지 않고 잘못된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다른 작업장으로 번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비판했다.[95]
다른 한편에서는 협약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마리카나 연대 캠페인(Marikana Solidarity Campaign) 위원은 학살 피해자 가족 지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상담 제공, 공식 정부 조사 감독을 포함하여 아직 해야 할 일이 훨씬 더 많다고 지적했다.
: 캠페인은 계속될 것입니다. 이 캠페인은 노동자들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마리카나에서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무언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마리카나 사람들을 위한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 캠페인입니다. 우리는 범인들이 책임을 지도록 하고 싶으며, 여기에서 정의가 실현되는 것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나라가 민주주의 국가가 되도록 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쇠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의가 실현되도록 보장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자 이 나라의 의무입니다... 지난 주 동안 사람들은 집에서 끌려가 경찰에 체포되었고, 사람들은 총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이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며, 마리카나의 사람들에 대한 경찰의 조치를 막는 것을 도와야 합니다. 할 일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의료 지원이 필요하며, 우리는 또한 노동자와 지역 사회의 생활 환경을 살펴봐야 합니다. 그런 다음 여성 실업 문제와 높은 문맹률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수입을 얻고, 합리적인 생활 수준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프로그램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98]
협약에 따라,[101] 론민 광부들은 9월 20일에 업무에 복귀했지만,[101] 마리카나 광산의 운영은 한 달 후인 10월 18일에 다시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수천 명의 론민 직원들이 다른 광산 파업에서 다른 광부들의 체포에 항의하기 위해 하루 동안 파업을 벌였기 때문이다.[102]
6. 대중과 정치권의 반응
마리카나 광산 파업과 학살 사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내는 물론 국제 사회에도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정치권, 노동조합, 시민 사회, 언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책임 규명과 진상 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으며, 사건의 원인과 경찰 대응의 적절성,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프리카 사회의 구조적 문제 등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다. 각계의 구체적인 반응과 입장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6. 1. 정치적 반응
옥스퍼드 대학교의 남아프리카 출신 학자인 조니 스타인버그는 마리카나에서 벌어진 강압적인 경찰 대응이, 2012년 12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 제53차 전국대회를 앞두고 정부 내 분열이 커지는 상황에서 줄루마 대통령이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5] 그러나 역설적으로, 여러 관찰자들은 마리카나 사건이 오히려 대회를 앞두고 줄루마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압력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했다.[103][104][105]
ANC 청년 연맹의 전 지도자였던 줄리어스 말레마는 총격 현장을 방문하여 줄루마 대통령의 사임을 강력히 촉구했다. 그는 "어떻게 죽인 사람들을 위해 애도하라고 할 수 있는가? 그는 물러나야 한다"고 비판했다.[106] 또한 말레마는 다음과 같이 정부를 비판했다.
: 책임감 있는 대통령은 경찰에게 질서를 유지하라고 말하지만 자제를 부탁한다. 그는 그들에게 최대한의 힘을 사용하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 국민을 죽이는 것을 주재했으며, 따라서 그는 물러나야 한다. 심지어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도 그렇게 많은 사람을 죽이지 않았다. 정부는 총을 쏠 권리가 없었다. 우리는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진실을 밝혀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나는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조사를 통해 사건의 진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일 뒤에는 심각한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며, 그래서 나는 진실을 밝혀야 하기 때문에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은 충격적인 일이다. 우리는 이것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지 못하며 이에 대처해야 한다.[107]
알 자지라는 마리카나 사건에 대한 논란이 몇 달 전 ANC에서 해임되었던 말레마의 정치적 재기를 도울 수 있을지에 주목했다.[108] 당시 ANC 부의장이었던 라마포사는 "말레마가 슬픔과 분노가 있는 이와 같은 자리에서 다시 한 번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말레마의 행동을 비판했다.[54]
야당인 민주 동맹 역시 경찰의 대응을 비판하며 말레마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109] 아자니아 범아프리카주의 청년 회의는 줄루마 대통령에게 경찰청장 피예가와 경찰부 장관 나티 음테트와의 해임을 요구하며, "경찰의 야만적인 행위와 분쟁 해결에 대한 정부의 무관심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19]
학살은 국제 사회에서도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는 시위대가 페인트 폭탄으로 남아프리카 고등판무관실을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10] 미국 백악관의 부 대변인 조시 어니스트는 "미국 국민은 [론민 광산]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인명 피해에 슬픔을 느끼며 이 사건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유족들에게 위로를 전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111]
학살 이후 몇 주 동안 줄루마 대통령은 국제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유럽 연합(EU) 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하여 "물론 마리카나 사건을 불행한 일로 생각한다. 누구도 그런 사건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지만,[112] 그것은 "어떤 나라"에서도 일어날 수 있었으며, "매우 안정적인 민주주의와 매우 안정적인 법치를 배경으로 일어났고", 정부 대응을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1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렐 드 퓌흐트 EU 통상 담당 집행위원은 "나는 이것이 사회적 갈등이며, 이는 전적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법률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 시스템의 관할권 내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모든 사망자들에 의해 깊이 혼란스러워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12]
8월 21일, 국방부 장관 노시비웨 마피사-응카쿨라는 마리카나의 '코피'(언덕)를 방문하여 총격 사건에 대해 사과한 최초의 남아프리카 정부 관리가 되었다. 분노한 광부들이 그녀에게 총알 탄피가 담긴 플라스틱 봉투를 건네자, 그녀는 용서를 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도 당신 앞에 서서 피가 이 자리에서 흘렀다는 것에 동의한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는 데 동의하며, 정부의 대표로서 사과한다... 간청하고, 간청하며, 사과하며, 마음속으로 용서를 구하길 바란다."[114]
6. 2. 노동조합 간의 갈등
마리카나 파업은 전국광산노동조합(NUM)과 새롭게 부상한 경쟁 단체인 광부건설노조협회(AMCU) 사이의 깊어지는 적대감을 배경으로 일어났다. NUM은 남아프리카 노동조합 회의(Cosatu) 산하 최대 노조였으며, Cosatu는 다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집권당인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와 삼자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다. NUM은 ANC의 여러 고위 지도자를 배출하기도 했다.[6]영국의 ''가디언''지에 따르면, NUM의 인기는 사무총장 프란스 발레니 재임 기간 동안 하락하기 시작했다. 이는 NUM이 정부 및 사측과 지나치게 가깝다는 인식 때문이었는데, 일부 조합원들은 노조가 노동자들에게 불리한 임금 합의를 받아들여 수년간 낮은 임금 인상에 묶어두었다고 생각했다.[7] 반면, AMCU는 1998년 조셉 마툰주와가 NUM과의 갈등 끝에 설립한 노조였다.[6] 마리카나 파업이 일어나기 몇 달, 몇 년 전부터 AMCU는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금 광산 지대에서 조합원 확보와 단체 교섭권을 두고 NUM과 치열하게 경쟁하기 시작했다. 발레니의 재임 기간 동안 NUM 내 백금 부문 노동자들은 점차 주류 지도부와 멀어졌다.[8][9]
2012년 1월과 2월에는 러스텐버그에 위치한 임팔라 백금 소유 임팔라 광산에서 6주간 격렬한 파업이 벌어졌다. 당시 NUM은 AMCU가 조합원을 빼앗기 위해 파업을 부추겼다고 비난했다.[10][11] 이 과정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로 4명이 목숨을 잃었다.[6]
마리카나 학살을 촉발한 파업은 임팔라 광산에서 멀지 않은 마리카나의 백금 광산에서 일어났다. 이 광산은 세계 3위 백금 생산업체인 론민이 운영하고 있었다.[12][13] 론민 광산에서도 NUM의 영향력은 최근 몇 년간 약화되고 있었다. 전체 론민 노동자 중 NUM 조합원 비율은 66%에서 49%로 감소하여, 광산 내 독점적인 교섭 단체 지위를 잃었다.[7] 같은 기간 AMCU의 지지율은 론민 노동자의 약 20%까지 상승했다.[7][6]


학살 이후, 삼자 동맹의 일원인 ANC의 정치적 파트너들은 대체로 AMCU에게 비극의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아프리카 공산당은 파업에서의 역할과 관련하여 AMCU 지도자들을 체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satu는 경찰의 사건 설명을 지지하며, 경찰이 먼저 광부들에게 최루탄과 물대포를 사용했고 이후 광부들이 실탄으로 "보복"했다고 주장했다. NUM 사무총장 발레니 역시 경찰을 옹호하며 Kaya FM과의 인터뷰에서 "경찰은 인내심을 발휘했지만, 이 사람들(파업 광부)은 위험한 무기로 무장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NUM 대변인 레시바 세쇼카는 AMCU가 유혈 사태를 선동했다고 주장하며 "이 사람들은 오늘 언덕에서 죽고 싶다고 말했다. 그들은 아이들을 그곳에서 죽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래서 우리는 주모자들을 체포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대로 AMCU는 론민 사측, 경찰, 그리고 NUM에게 비극의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AMCU 회장 마툰주와는 론민에서의 갈등이 "AMCU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NUM 조합원들이 자신들의 대표가 공정한 합의를 이끌어낼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코피'(koppie, 작은 언덕)를 점거하면서 발생한 "NUM 조합원들 사이의 ''(sic)'' 내분"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NUM이 론민 경영진과 공모하여 학살을 조작했다고 비난했으며(NUM은 이를 강력히 부인했다), "경영진의 협조 부족으로 잔혹하게 살해된 희생자 가족들에게 애도를 표해야 한다. 우리는 할 일을 다했다. 만약 경영진이 약속을 지켰다면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의 대응에 대해 AMCU 사무총장 제프리 음파헬레는 "이 사람들이 그렇게 죽을 필요는 전혀 없었다"고 비판했다. 일부 파업 광부들과 그 가족들 역시 8월 11일 NUM 대표들이 파업 참가자들에게 총격을 가하면서 폭력이 시작되었다고 NUM을 비난했다.
Cosatu의 공식 입장과는 다소 다른 목소리도 나왔다. 또 다른 주요 Cosatu 산하 노조인 전국 교육, 보건 및 연합 노동자 연합(NEHAWU)의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성명을 발표했다.
:노동자들에 대한 이 끔찍하고 무의미한 살인은 비난받아 마땅하며 불필요했습니다. 우리 노조는 론민이 이 비극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또한 이 모든 [사건]에서 노동 중개인의 역할에 대한 조사를 요구합니다. 광부들의 보수와 근로 조건도 해결해야 합니다. 이 광산 회사들은 너무 오랫동안 살인적인 행태를 저지르도록 방치되었습니다. 우리 경찰은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의 전술과 군대식 대응 방식을 채택하고 완성하여, 분쟁 및 갈등 해결을 위해 무력 사용을 장려했습니다. 목요일 총격 사건에 비추어 경찰 전술과 훈련을 검토해야 합니다. 우리 노조는 시위를 진압하는 모든 경찰관에게 시위대를 통제하는 규율 있는 방법을 가르칠 것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새로운 시대에 시위대를 학살하는 경찰력을 용납할 수 없습니다.
6. 3. 시민 사회의 반응
파업과 학살 이후, 여러 논평가들은 노동자들의 불만을 야기하고 불안정한 환경에 기여했을 수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광산업 전반의 상황에 주목했다. 알 자지라는 파업이 "처참한 생활 환경, 노조 경쟁, 회사의 무관심"으로 인해 광산 내 "격렬한 긴장" 속에서 발생했다고 보도했다.[17]시민단체 벤치 마크 재단(Bench Marks Foundation)은 폭력의 주요 원인이 광부들의 노동 착취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광업의 혜택은 노동자나 주변 지역 사회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 청소년의 고용 기회 부족, 열악한 생활 환경, 실업 및 증가하는 불평등이 이러한 혼란에 기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20]
롭 데이비스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무역 및 산업부 장관은 광산의 상황을 "끔찍하다"고 묘사하며, "수백만 달러를 버는" 광산 소유주들이 노동자들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21] 국제 노동 기구(ILO) 역시 마리카나와 같은 광산의 노동자들이 종종 "낙석, 먼지 노출, 심한 소음, 매연 및 고온 등 다양한 안전 위험에 노출된다"고 지적하며 열악한 노동 환경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22]
6. 4. 언론의 반응
남아프리카 뉴스 매체들은 총격 사건을 "살육의 현장", "광산 학살", "피의 숙청" 등의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생생한 영상과 사진으로 보도했다. ''소웨탄'' 신문은 1면 사설을 통해 마리카나 학살이 과거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흑인 노동자에 대한 잔혹함이 "이제 다른 모습으로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125] 로이터 통신은 이 사건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하여금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영혼"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126] 알자지라는 론민(Lonmin)과 집권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이것이 "경제적 아파르트헤이트"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보도했다.[127]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충돌의 배경에 심화되는 부의 격차가 있음을 지적했다.[128] 광업 전문지 ''마이닝 위클리''는 이번 학살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투자 대상으로서 매력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129]학살 1주년을 맞아 잡지 ''아만들라!''는 국가가 시민 사회나 사법 제도 등의 견제 없이 수십 명의 흑인 노동자를 살해하고도 정치적 책임을 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국가가 학살을 단순한 "비극"이나 "정보 실패"로 치부하며 사건의 의미를 축소하려 했다고 지적했다.[124]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코미디언 트레버 노아는 논란이 된 스탠드업 코미디 쇼에서 이 사건을 가볍게 다루었다. 그는 경찰이 "일주일 내내 최루탄을 사용"했지만 효과가 없어 "파업 참가자들이 무기를 소지했기 때문에" 실탄을 사용해야 했다고 말하며 경찰의 입장을 두둔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최루탄은 시간 낭비"라며 "최루탄 때문에 끝난 파업이 있었나?"라고 농담하기도 했다.[130] 이러한 발언은 이후 조지 플로이드 시위 당시 미국 경찰의 폭력에 대한 노아의 강한 비판과 대조되면서, 한 평론가로부터 "특정 남아프리카 중산층의 위선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라는 비판을 받았다.[131]
7. 다른 광산으로의 파업 확산
론민 광산의 파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노스웨스트 주의 주지사 탄디 모디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고질적인 불평등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면 파업이 다른 광산으로 확산될 것이라고 정확히 예측했다.[66] 실제로 일부 정치인들, 특히 율리우스 말레마는 다른 광부들도 론민 노동자들이 요구한 12500ZAR의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존 전국광산노동자연합(NUM) 지도부 교체와 함께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업 전반에 걸친 전국적인 파업을 촉구했다.[83] 9월 초, 말레마는 웨스트 랜드의 금광 노동자들에게 광산을 통치 불능 상태로 만들고 전국적인 파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132]
파업은 먼저 부시벨트 복합체로 알려진 러스텐버그의 백금 벨트에서 시작되었다.[11][133][66] 이후 금광 부문으로 확산되었고,[146] 가우텡 주까지 번져나가 여러 광산 회사가 광산 회의소 빌딩에서 단체 교섭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147] 백금과 금 외에도 철광석, 다이아몬드, 크롬, 석탄 등 다른 광물 부문에서도 파업이 발생했다.[11][171][172][173][174]
영향을 받은 주요 광산 회사로는 바포켄 플래티넘, 애틀라사 리소스(보코니 광산), 앰플라츠, 골드 필드, 하모니 골드, 골드 원, 앵글로골드 아샨티 등이 있다. 특히 세계 최대 백금 생산 업체인 앰플라츠와 4위 금 생산업체인 골드 필드는 대규모 파업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132][11] 파업 과정에서 경찰과의 충돌, 폭력 사태, 대량 해고와 복직 등이 반복되었다.[140][141][103][139][157]
10월 중순까지 8월부터 시작된 파업에 참여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부의 수는 8만[102]에서 10만[11]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전체 광산 노동력의 약 15%에 해당한다.[139] 대부분의 파업은 노동조합의 공식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은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의 형태였다. 마리카나 사건 이후 이어진 광산 파업의 물결은 2012년 9월에서 10월 사이에 발생한 대규모 트럭 운전사 파업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103][153]
7. 1. 백금 광산
론민 파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노스웨스트 주의 주지사 탄디 모디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불평등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파업이 다른 지역으로 번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66] 실제로 율리우스 말레마와 같은 일부 정치인들은 다른 광산의 노동자들도 론민 노동자들이 요구한 12500ZAR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존 전국광산노동자연합(NUM) 지도부를 몰아내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업 전반에 걸친 전국적인 파업을 촉구했다.[83] 9월 초, 남아프리카 공화국 금 채굴의 중심지인 웨스트 랜드에서 말레마는 광부들에게 광산을 통치 불능 상태로 만들고 전국적인 파업을 벌여야 한다고 연설했다.[132]첫 파업 움직임은 러스텐버그의 백금 벨트(부시벨트 복합체)를 중심으로 일어났다.[11] 이 지역은 전 세계 백금 매장량의 약 3/4를 보유하고 있다.[133][66]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은 곳은 러스텐버그에 위치한 바포켄 라시모네 백금 합작 투자회사였다. 이곳은 로열 바포켄 백금이 운영하며 마리카나에서 북서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다.[134] 바포켄의 불법 파업 역시 광산 북쪽 갱도의 암반 드릴 작업자들이 시작했으며, 마리카나와 동일하게 12500ZAR의 임금을 요구했다.[133][134] 8월 22일에 시작된 이 파업에는 약 500명의 노동자가 참여했으나,[66] 비교적 평화롭게 진행되어 8월 24일 노동자와 광산 경영진 간의 합의로 마무리되었다.[133]
이후 림포포 주에 있는 애틀라사 리소스의 보코니 백금 광산에서도 노동자들이 10월 1일 불법 파업을 시작하면서 작업이 중단되었다.[135] 이 파업으로 인해 광부 2,161명이 해고되었고,[136] 문제는 12월까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137] 2012년 초 이미 불법 파업을 겪었던 임팔라 플래티넘은 이번 사태로 큰 영향을 받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인 노동 쟁의를 피하기 위해 9월에 선제적으로 4.8%의 임금 인상을 발표했다.[11]
그러나 세계 최대 백금 생산 업체인 앰플라츠는 특히 큰 타격을 입었다.[132] 앰플라츠 노동자들은 9월 12일, 월 16000ZAR의 기본 급여를 요구하며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에 돌입했다.[138] 이 파업은 시푸멜렐레 광산에서 약 1,000명의 노동자로 시작되어[132] 곧 다른 앰플라츠 사업장으로 확산되었고, 회사는 최소 5개 광산의 운영을 중단해야 했다.[12][139] 마리카나에서 합의가 이루어진 다음 날인 9월 19일, 경찰은 앰플라츠 광산 근처 불법 거주지에 모인 시위대를 해산시키기 위해 고무탄, 최루탄, 기절 수류탄을 사용했다.[140][141] 남아프리카 중앙 감리교회의 폴 베린 주교는 이 과정에서 한 여성이 고무탄에 맞아 사망했다고 보고했으나, 이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다.[101] 앰플라츠 파업은 자주 폭력적으로 변했으며, 시위는 주로 은카넹 비공식 정착촌을 중심으로 벌어졌다.[132][142][101][103]
10월 4일, 경찰은 앰플라츠의 메렌스키 리프 인근 언덕에서 파업 시위대를 향해 고무탄을 발사했고, 이로 인해 48세의 파업 참가자 한 명이 사망했다.[139][143] 경찰은 최루탄, 기절 수류탄, 물대포도 동원하여 시위대를 해산시켰다.[142][101] 다음 날인 10월 5일, 앰플라츠는 업무 복귀 및 징계 청문회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업 참가자 12,000명을 해고했다.[103][139] 그 다음 주인 10월 11일 이른 아침, 파업 광부들이 시위를 벌이던 은카넹에서 두 명의 남성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 명은 총격을 받고 병원에서 숨졌고, 다른 한 명은 불에 타 숨졌다.[143] 앰플라츠 측은 희생자 중 한 명이 출근 중이던 광산 직원이었다고 밝혔다.[143] 노동자들이 출근 시 이용하던 미니버스 택시도 방화로 불탔다.[144] 같은 날 늦게, 일단의 파업 참가자들이 바토펠레 광산에서 작업을 중단시키려 시도하다 경찰의 고무탄 발포로 해산되었고, 14명이 체포되었다.[143] 앰플라츠 파업은 10월 말, 회사가 해고된 광부들을 복직시키고 업무 복귀 시 어려움 보너스를 지급하기로 합의하면서 점차 완화되었다.[145]
7. 2. 금광
론민 파업의 여파 속에서, 율리우스 말레마와 같은 일부 정치인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업 전반에 걸친 파업을 촉구했다. 특히 금광 부문 노동자들에게 론민 노동자들이 요구했던 12500ZAR 임금을 요구하고 기존 전국광산노동자연합(NUM) 지도부를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3] 9월 초, 말레마는 웨스트 랜드 지역 금광 노동자들에게 광산을 통치 불능 상태로 만들고 전국적인 파업에 나설 것을 촉구하며, 광산 회사들이 노동자들에게서 금을 빼앗아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고 비판했다.[132]
백금 부문의 파업은 곧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우텡 주의 금광 부문으로 확산되었다.[147] 세계 4위 금 생산업체인 골드 필드(Gold Fields)는 8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최소 두 곳의 광산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unprotected industrial action)의 영향을 받았다. 파업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전체 직원 35,700명 중 23,540명이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회사는 12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11]
- 카를턴빌 인근 웨스트 랜드의 KDC 광산 동쪽 구역(KDC East)에서는 NUM 소속 광부들이 노조 대표 사퇴를 요구하며 일주일간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을 벌였다.[148][149] 이 파업은 9월 5일에 종료되었으나,[148] 며칠 뒤인 9월 9일, KDC 서쪽 구역(KDC West) 직원 15,000명이 더 큰 규모의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을 시작했다.
- 9월 21일에는 프리스테이트 주의 골드 필드 비아트릭스 광산 서부 구역(직원 9,000명)으로 파업이 확산되었고, 9월 24일까지 비아트릭스 광산 전체가 영향을 받아 KDC 웨스트와 비아트릭스 모두 생산이 중단되었다.[150][151]
- 10월 중순, 파업 관련 폭력 혐의로 70명 이상의 골드 필드 광부들이 체포된 후,[152] KDC 이스트 직원 12,400명 중 약 8,500명이 다시 파업에 합류하여 KDC 전체 운영이 중단되었다.[153][154]
- 비아트릭스와 KDC 웨스트의 노동자 대부분은 해고 위협 속에 10월 16일에서 18일 사이에 복귀했다.[155][156][152] 그러나 골드 필드는 복귀 시한을 지키지 않은 KDC 웨스트 직원 1,500명[102]과 KDC 이스트 직원 8,100명을 해고하는 최후통첩을 실행했다.[157] KDC 이스트의 파업은 해고된 노동자 대부분이 복직된 11월 초에야 마무리되었다.[157]
하모니 골드의 쿠사살레투 광산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 5,400명의 노동자 대다수가 10월 3일부터[158] 10월 25일까지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을 벌였으며, 이들 역시 해고 위협 하에 업무에 복귀하라는 회사의 최후통첩에 따랐다.[159]
골드 원 광산 역시 파업의 영향을 받았으나, 양상은 다소 간헐적이었다.
- 9월 4일, 스프링스 인근 모더 이스트 광산에서 약 60명의 파업 광부들이 동료들의 출근을 막으려 하면서 불법 파업이 폭력 사태로 번졌다. 사설 경비원과 경찰(SAPS)은 최루가스와 고무탄을 사용하여 이들을 해산시켰고, 4명의 광부가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60][161][162] 파업 참가자들은 해고되었고 13명이 공공 폭력 혐의로 체포되었다.[161]
- 다음 달인 10월 1일에는 골드 원이 최근 인수한 에줄위니 금·우라늄 광산의 쿠크 4 샤프트에서 또 다른 불법 파업이 일어났다.[12][163] 에줄위니의 전체 직원은 1,900명이었으나, 골드 원은 다음 주에 이 중 1,435명을 해고했다.[164] 이후 회사는 노동자와 자산의 안전을 이유로 광산 운영을 한 달간 중단했다.[165][11]

마지막으로, 세계 3위 금 생산업체인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운영도 전국적인 불법 파업으로 차질을 빚었다.
- 파업은 9월 20일, 코파낭 광산 직원 5,000명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명목 임금을 12500ZAR로 인상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166]
- 9월 26일, 앵글로골드는 파업이 다른 광산으로 확산되어 전체 직원 35,000명 중 대다수에게 영향을 미치자 전국적으로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46][151][167]
- 10월 중순까지 앵글로골드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6개 광산 모두 폐쇄된 상태였으며, 약 24,000명의 노동자가 파업 중이었다.[11]
- 대부분의 앵글로골드 노동자들은 10월 말까지 업무에 복귀했지만, 엠포넹 금광, 타우토나 광산, 사부카 광산이 포함된 웨스트 비트바테르스란트 지역에서는 파업이 계속되었다.[168][169] 앵글로골드의 최후통첩에도 불구하고, 엠포넹 광산에서는 11월까지 농성과 작업 중단이 이어졌다.[170][168]
7. 3. 기타 부문
론민 파업이 진행되는 동안, 노스웨스트 주의 주지사 탄디 모디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불평등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파업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것이라고 예측했다.[66] 실제로 이러한 예측은 현실이 되었다. 특히 정치인 율리우스 말레마와 같은 인물들은 다른 광산의 노동자들도 론민 노동자들이 요구한 12500ZAR의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존 전국광산노동자연합(NUM) 지도부를 교체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업 전반에 걸친 전국적인 파업을 촉구했다.[83] 9월 초, 남아프리카 공화국 금 채굴의 중심지인 웨스트 랜드에서 말레마는 광부들에게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여러분은 광산을 통치 불능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전국적인 파업이 있어야 합니다. 그들은 여러분에게서 이 금을 훔쳐왔습니다. 이제 여러분 차례입니다. 여러분은 금을 원합니다. 이 사람들은 이 광산으로 수십억 달러를 벌고 있습니다.[132]
백금 광산의 파업은 곧 금광 부문으로 번져나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전 세계 금 생산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요한 국가이며,[146] 파업은 가우텡 주까지 확산되어 결국 여러 광산 회사가 광산 회의소 빌딩에서 단체 교섭을 진행하게 되었다.[147]
세계 4위의 금괴 생산업체인 골드 필드(Gold Fields)는 8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최소 두 곳의 남아프리카 광산에서 보호받지 못하는(불법적인) 산업 행동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파업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골드 필드 직원 35,700명 중 23,540명이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회사는 12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이상의 손실을 보았다.[11] 첫 파업은 카를턴빌 근처 웨스트 랜드의 KDC 광산 동쪽 구역(KDC East)에서 시작되었다. 이곳의 NUM 소속 광부들은 노조 대표의 사임을 요구하며 일주일간 파업을 벌였다.[148][149] 이 파업은 9월 5일에 끝났지만,[148] 며칠 뒤인 9월 9일, KDC 웨스트 구역에서 15,000명의 직원이 참여하는 더 큰 규모의 파업이 시작되었다. 9월 21일에는 파업이 프리스테이트 주에 위치한 골드 필드의 비아트릭스 광산 서부 구역(직원 9,000명)으로 확산되었고, 9월 24일까지 비아트릭스 광산 전체가 영향을 받아 KDC 웨스트와 비아트릭스 모두 생산이 중단되었다.[150][151] 10월 중순, 파업 관련 폭력 혐의로 70명 이상의 골드 필드 광부들이 체포되자,[152] KDC 이스트의 직원 12,400명 중 약 8,500명이 다시 파업에 동참하면서 전체 KDC 운영이 중단되었다.[153][154] 회사 측의 해고 위협에 따라 비아트릭스와 KDC 웨스트의 대부분 노동자들은 10월 16일에서 18일 사이에 업무에 복귀했다.[155][156][152] 하지만 골드 필드는 복귀 시한을 지키지 않은 KDC 웨스트 직원 1,500명[102]과 KDC 이스트 직원 8,100명을 해고하는 최후통첩을 실행했다.[157] KDC 이스트의 파업은 해고된 노동자 대부분이 복직된 11월 초에야 마무리되었다.[157]
하모니 골드의 쿠사살레투 광산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 5,400명의 대다수 노동자들이 10월 3일부터[158] 10월 25일까지 보호받지 못하는 파업을 벌였으나, 회사 측의 해고 위협 최후통첩에 따라 대부분 업무에 복귀했다.[159]
골드 원 광산 역시 파업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 양상은 다소 간헐적이었다. 9월 4일, 골드 원의 스프링스, 가우텡 근처 모더 이스트 광산에서는 약 60명의 파업 광부들이 다른 직원들의 출근을 막으려 하면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광산의 사설 경비원과 경찰(SAPS)은 최루 가스와 고무탄을 사용하여 이들을 해산시켰고, 4명의 광부가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60][161][162] 파업 참가자들은 해고되었고 13명이 공공 폭력 혐의로 체포되었다.[161] 다음 달인 10월 1일에는 골드 원이 최근 인수한 에줄위니 금 및 우라늄 광산의 쿠크 4 샤프트에서도 불법 파업이 일어났다.[12][163] 에줄위니 광산의 직원은 1,900명에 불과했지만, 골드 원은 다음 주에 이들 중 1,435명을 해고했다.[164] 이후 회사는 노동자와 자산의 안전을 위해 한 달간 광산 운영을 중단했다.[165][11]
세계 3위 금 생산 업체인 앵글로골드 아샨티 역시 전국적인 불법 파업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 파업은 9월 20일, 앵글로골드의 코파낭 광산 직원 5,000명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명목 임금을 12500ZAR으로 인상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166] 9월 26일, 앵글로골드는 파업이 다른 광산으로 확산되어 35,000명에 달하는 직원 대부분에게 영향을 미치자 전국적으로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46][151][167] 10월 중순까지 앵글로골드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6개 광산 모두 폐쇄 상태였고, 약 24,000명의 노동자가 파업 중이었다.[11] 대부분의 노동자는 10월 말까지 업무에 복귀했지만, 엠포넹 금광, 타우토나 광산, 사부카 광산을 포함하는 앵글로골드의 웨스트 비트바테르스란트 지역에서는 파업이 계속되었다.[168][169] 회사 측의 최후통첩에도 불구하고, 엠포넹 광산에서는 11월까지 농성과 작업 중단이 이어졌다.[170][168]
금과 백금 외 다른 광물 부문에서도 파업이 발생했다. 쿰바 철광석의 시션 광산(노던케이프주),[11] 페트라 다이아몬드의 컬리넌 광산(노던케이프주),[171] 사만코르(Samancor)의 노스웨스트주 서부 크롬 광산,[172] Xstrata의 노스웨스트주 브리츠 광산,[173] 그리고 석탄 오브 아프리카(Coal of Africa)의 무이플라스 (음푸말랑가주) 탄광에서도 파업이 보고되었다.[174]
10월 중순까지, 8월 이후 파업에 참여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부의 수는 8만[102]에서 10만[11] 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보호받지 못하는(불법적인) 파업에 참여했다. 영국 가디언지는 파업 참여 광부 7만 5천 명은 전체 광산 노동력의 15%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139] 또한, 마리카나 학살 이후 이어진 광산 파업 물결은 2012년 9월에서 10월 사이에 발생한 대규모 트럭 운전사 파업과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103][153]
8. 공식 조사 위원회
2012년 8월 마리카나 학살 사건 이후, 제이콥 주마 당시 대통령은 진상 규명을 위해 조사 위원회를 임명했다. 은퇴한 대법관 이안 파람이 위원장을 맡아 '파람 위원회'라고도 불렸다. 위원회는 2012년 10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약 2년간 활동하며 사건의 경위와 책임을 조사했다.[175][176][181]
위원회는 조사를 마치고 2015년 3월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제출했으며, 이는 같은 해 6월 25일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82][183] 보고서는 사건 발생의 원인과 책임 소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담고 있으며, 경찰의 과잉 대응 및 지휘 책임, 론민 사측과 노조의 역할, 일부 정치인의 책임 문제 등 다양한 쟁점을 다루었다.
8. 1. 임명
2012년 8월 말, 주마 대통령은 조사 위원회를 임명하여 마리카나 사건을 조사하도록 지시했다. 위원장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법원의 은퇴한 판사인 이안 파람이 맡았다. 위원회는 8월에 "마리카나의 론민 광산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공, 국가 및 국제적 관심사"를 조사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175]위원회는 2012년 10월 1일에 활동을 시작했으며,[176] 처음에는 러스텐버그 시민 센터에 자리를 잡았으나 나중에 센츄리온, 하우텡으로 이전했다.[177] 위원회의 증거 조사 담당자로는 변호사인 매튜 차스칼슨, 므부이세리 마들랑가, 제프 버들렌더 등이 참여했다. 광부 측은 조지 비조스[39]와 달리 음포푸를 포함한 여러 변호사들이 대리했다.[178]
위원회의 첫 번째 과제 중 하나는 학살 현장과 인근 정착지를 방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건 현장은 총격 이후 이미 청소된 상태였고, 이로 인해 위원회가 진실을 규명하고 객관적인 균형을 찾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었다.[179] 실제로 광부 측 대표들은 이후 위원회에서 경찰이 총격으로 사망한 광부들의 시신 옆에 무기를 놓아두는 방식으로 증거를 조작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80]
위원회 활동은 당초 4개월로 예정되었으나,[175] 여러 차례 연장되어 총 300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이 중 7일은 구두 변론에 할애되었다.[181] 위원회는 2014년 11월에 마지막 심리를 열었다. 최종 보고서는 2015년 3월 대통령에게 제출되었고, 2015년 6월 25일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82][183] 위원회 운영에 소요된 총 비용은 1.53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였다.[184] 보고서 전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2. 조사 결과
2012년 8월 말, 주마 대통령은 조사 위원회를 임명하여 마리카나 사건을 조사하도록 했다. 위원장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법원의 은퇴한 판사인 이안 파람이 맡았으며, 이 때문에 '파람 위원회'라고도 불렸다. 위원회의 임무는 8월에 "마리카나의 론민 광산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공, 국가 및 국제적 관심사"를 조사하는 것이었다.[175] 위원회는 2012년 10월 1일에 러스텐버그 시민 센터에서 조사를 시작했으며,[176] 나중에 프리토리아 인근 센츄리온으로 이전했다.[177] 위원회의 증거 리더로는 변호사인 매튜 차스칼슨, 므부이세리 마들랑가, 제프 버들렌더 등이 참여했으며, 광부 측은 조지 비조스[39]와 달리 음포푸를 포함한 여러 변호사들이 대리했다.[178]위원회는 활동 초기에 학살 현장과 인근 정착지를 둘러보았다. 당시 알 자지라의 타니아 페이지 기자는 사건 현장이 총격 이후 이미 정리된 상태였으며, 위원회가 "관련 당사자들이 모두 자신들의 흔적을 지울 시간을 가진 상황에서 진실을 보고 객관적인 균형을 찾는 것"이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179] 실제로 광부 측 대표들은 이후 위원회에서 경찰이 총에 맞아 사망한 광부들의 시신 옆에 무기를 놓아두는 방식으로 증거를 조작했다고 주장했다.[180]
위원회는 당초 4개월간 활동할 예정이었으나,[175] 여러 차례 연장되어 총 300일 동안 심리를 진행했으며, 이 중 7일은 구두 변론에 할애되었다.[181] 마지막 심리는 2014년 11월에 열렸고, 최종 보고서는 2015년 3월 대통령에게 제출되었으나, 대중에게는 2015년 6월 25일에야 공개되었다.[182][183] 위원회 운영에는 총 1.53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의 비용이 소요되었다.[184]
위원회는 조사 결과, 광부 사망의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8월 15일 SAPS 회의에서 결정된 '전술적 단계' 실행이라고 결론지었다. 이 계획은 8월 16일 광부들을 무장 해제하고 해산시키려는 시도를 포함하고 있었다. 위원회는 이 계획이 파업을 해산하려는 합리적인 의도로 고안되었을 수 있으나 (파업 참가자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는 아니었음) "급하게 준비"되었으며, 상당한 유혈 사태 없이 실행될 수 없다는 점이 명백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계획은 더 신중하게 준비되었고 "상대적으로 위험 부담이 없는" 광부들을 포위하는 다른 계획을 대체하여 실행되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경찰이 발포 전에 최루탄을 사용하거나 파업 참가자에게 항복할 기회를 주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첫 번째 현장에서 발생한 일부 발포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 합리적인 근거를 가진 경찰관들의 정당방위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최소한 일부 사망자는 명백히 위협이 되지 않았음에도 사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해당 사망 사건들에 대한 추가 조사를 권고했다. 위원회는 두 번째 현장에서 발생한 17명의 사망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파람 위원장은 그곳에서 발생한 "혼란스러운 난투극" 속에서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고 보고서에 기술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더 이상 마리카나를 겪어서는 안 됩니다. 파업 참가자, 경찰, 론민의 보안 요원 및 론민 직원의 생명 손실은 깊이 유감입니다. 일부 파업 참가자가 입은 부상 또한 유감입니다. 재산 피해는 어떠한 민간 불만을 표출한 결과로 따라서는 안 됩니다. 합법적인 권위에 대한 무력 행사는 광범위한 분노를 불러일으켜야 합니다. 경찰 복무 경력은 사형 집행장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2012년 8월 9일부터 16일까지 마리카나에서 발생한 범죄 행위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 사람들은 그들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감수해야 합니다.
– SAPS 논거 요약, 파람 위원회 보고서에서 승인
위원회는 NPA가 파업 기간 중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살인 사건에 대해 추가 조사를 실시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국립 경찰 청장 리아 피예가와 노스웨스트주 경찰 청장 주키스와 뭄보의 지휘 책임을 물어 그들의 직무 수행 적합성에 대한 조사를 권고했으며, 현장에 있던 다른 경찰 지휘관들의 행위 역시 비판했다. 파람 위원장은 경찰이 "최고위층"에서부터 대중을 오도하려 했으며, 특히 두 번째 현장에서의 총격 사건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음으로써 위원회 자체를 속이려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보고서는 경찰부 장관 나티 음테트와를 포함한 주요 정치 인물의 역할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는 데 미온적이었으며, 시릴 라마포사에 대해서는 모든 잘못에서 완전히 면책했다. 위원회는 전국광부노동조합(NUM)과 광부건설연합노동조합(AMCU)이 조합원들을 통제하지 못했고, 특히 NUM의 경우 조합원에게 부적절한 조언을 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론민이 광부들과 충분히 소통하거나 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마지막으로 광부들 역시 집회 규제법, 1993과 위험 무기 소지 관련 법규를 위반한 데 대해 부분적인 책임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최종 보고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사건의 여파
파람 위원회 보고서 발표 이후, 경찰 고위 간부였던 피예가는 2017년 정년 퇴직할 때까지 정직 상태로 급여를 받았다. 위원회 조사 결과를 무효화하려던 그의 시도는 2021년 프리토리아 고등 법원에서 기각되었다.[186] 2015년에는 보고서 권고안 이행을 위해 독립적인 전문가 패널이 구성되었으나,[187][188] 실제 이행은 더디게 진행되었다.[189][190] 2022년, 파람 위원회 위원장 본인조차 보고서가 공공 기관의 공무원 징계 절차 개시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191] 2017년, 독립경찰조사국(IPID)은 72건의 사건을 기소 의견으로 검찰(NPA)에 넘겼지만, 2022년 8월까지 기소된 경찰관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이들은 모두 8월 13일 발생한 5명의 사망 사건과 관련된 자들이었으며, 8월 16일 학살로 인한 34명의 사망에 연루된 경찰관에 대한 기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92]
파업 중 체포되거나 부상을 입거나 불법적으로 구금되었던 광부들과 사망자 가족들은 정부를 상대로 여러 차례 소송을 제기했다. 이를 통해 정부와 피해자 측 간의 손해 배상 협상이 진행되었다. 2022년 8월 기준으로, 정부는 사망자 가족에게 7000만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이상, 불법 체포되었던 노동자 287명에게 1.02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이상을 지급했으며, 다른 협상들도 계속 진행 중이었다.[192] 2021년 말, 광부 329명은 당시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던 시릴 라마포사를 8월 16일 경찰 개입에 역할을 했다는 혐의로 고소했다. 2022년 7월, 요하네스버그 고등 법원은 원고 측이 라마포사가 경찰의 살인을 선동했다는 주장을 입증할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지만, 다른 근거를 통해 소송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92][193][194]
광산노동자건설연합노조(Amcu)는 최소 2016년까지 마리카나에서 매년 추모 행사를 열었으며,[195] 2022년 학살 10주년에는 코피(Koppie)에서 대규모 기념식이 개최되었다.[196] 마리카나 파업 이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Amcu는 론민의 다수 노조로 인정받았고, 2013년 8월 기준으로는 전체 노동자의 70% 이상을 대표하게 되었다.[197]
2023년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마리카나 학살은 새로운 야당 창당의 계기가 되었으며, 학살 발생지 인근 지역 유권자들이 기존 정당에서 새로 창당된 정당으로 지지를 옮기는 현상을 촉발했다.[198]
10. 미디어에서의 재현
마리카나 학살에 관한 다큐멘터리로는 eNCA의 ''마리카나 학살: 렌즈를 통해'' (2013), 아리안 카가노프의 ''밤이 오고 있다: 마리카나 희생자들을 위한 비가'' (2014), 레하드 데사이가 제작한 ''광부 사살'' (2014) 등이 있다. 특히 ''광부 사살''은 총격 사건 당시의 영상을 포함하고 있으며[202], 국제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학살 사건을 다룬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더, 피터; 레코와, 타펠로; 엠모페, 보츠앙 외 (2012). ''마리카나. 산의 관점과 답변해야 할 사건.'' 요하네스버그: 자카나 미디어. ISBN 978-1-431407330.
- 알렉산더, 피터; 레코와, 타펠로; 엠모페, 보츠앙 외 (2013). ''마리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 학살의 목소리.'' 오하이오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8214-2071-3.
- 그렉 마리노비치 (2015). ''작은 코피에서 벌어진 살인.'' 요하네스버그: 펭귄. ISBN 9781770226098.
- 로드니-구메데, 일바; 스와트, 미아 편집 (2020). ''마리카나 미해결: 학살, 과실 및 결과.'' 케이프타운: 케이프타운 대학교 출판부. ISBN 978-1775822783.
- 브라운, 줄리안 (2022). ''마리카나: 민중의 역사''. 요하네스버그: 자카나 미디어. ISBN 9781431431519.
참조
[1]
뉴스
South African police open fire as striking miners charge, killing and wounding workers
https://web.archive.[...]
2012-08-16
[2]
간행물
The Marikana Massacre, labour and capitalism: Towards a Ricoeurian alternative
https://www.koersjou[...]
2016-12-20
[3]
웹사이트
The Night Before Lonmin's Explanation
https://web.archive.[...]
African Scene
2012-08-16
[4]
웹사이트
Marikana mine shootings revive bitter days of Soweto and Sharpeville
http://www.theguardi[...]
2022-10-20
[5]
웹사이트
South African massacre was the tip of an iceberg
http://www.thebureau[...]
The Bureau of Investigative Journalism
2012-10-18
[6]
뉴스
Unions turn Marikana to political ends
https://www.ft.com/c[...]
2022-10-17
[7]
뉴스
The Marikana action is a strike by the poor against the state and the haves
https://www.theguard[...]
2012-08-19
[8]
웹사이트
Beyond the Chaos at Marikana: The search for the real issues
http://dailymaverick[...]
2012-08-17
[9]
뉴스
Marikana 20 years in the making
http://www.iol.co.za[...]
2012-10-23
[10]
웹사이트
Impala strike: Welcome to the age of retail unionism
https://www.dailymav[...]
2022-10-17
[11]
웹사이트
2012 SA mining strikes for dummies
https://www.dailymav[...]
2022-10-17
[12]
웹사이트
Gold Fields evicts workers as mining strike spreads
https://mg.co.za/art[...]
2022-10-19
[13]
뉴스
South African Marikana miners charged with murder
https://www.bbc.com/[...]
2022-10-19
[14]
웹사이트
Fixing Statistics
https://web.archive.[...]
The London Platinum and Palladium Market
2010-06-13
[15]
뉴스
Cops killed as conflict spirals at Lonmin
http://www.iol.co.za[...]
2012-08-19
[16]
뉴스
South Africa's Lonmin Marikana mine clashes killed 30
https://www.bbc.co.u[...]
2012-08-17
[17]
웹사이트
The sordid tale behind S Africa's mine strife – Features
http://www.aljazeera[...]
2012-09-21
[18]
웹사이트
South Africa mine shooting: Who is to blam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2-08-18
[19]
웹사이트
Amcu blames NUM, politics for Lonmin massacre
https://mg.co.za/art[...]
2022-10-17
[20]
뉴스
Lonmin an example of exploitation
http://www.iol.co.za[...]
2012-08-18
[21]
웹사이트
South Africa Marikana Probe to Focus on Mining Practices, Conditions
http://www.foxbusine[...]
Fox Business
2012-09-12
[22]
웹사이트
South Africa could do more for miners, says ILO mining specialist
http://www.ilo.org/g[...]
ILO
2012-09-12
[23]
웹사이트
Marikana prequel: NUM and the murders that started it all
https://www.dailymav[...]
2022-10-17
[24]
뉴스
NUM: Lethal force ahead of Marikana shootings was justified
http://mg.co.za/arti[...]
2012-10-23
[25]
뉴스
Lonmin shares tumble
http://www.iol.co.za[...]
2012-08-19
[26]
웹사이트
Marikana Commission: NUM in a deep hole over the fight that started it all
https://www.dailymav[...]
2022-10-17
[27]
웹사이트
Marikana Commission: What happened before 16 August? Lonmin and police videos failed to capture crucial evidence
https://www.dailymav[...]
2022-10-17
[28]
뉴스
NUM shot at us – witness
http://www.iol.co.za[...]
2012-10-02
[29]
웹사이트
Hope faces off against power in Marikana trial
https://mg.co.za/new[...]
2022-10-17
[30]
뉴스
South African platinum mine union riots 'kill nine'
https://www.bbc.co.u[...]
2012-08-17
[31]
웹사이트
AMCU lays blame for union violence at NUM's door
https://mg.co.za/art[...]
2022-10-17
[32]
웹사이트
We are going to kill each other today – the Marikana story
https://www.news24.c[...]
2022-10-17
[33]
뉴스
Marikana massacre: the untold story of the strike leader who died for workers' rights
https://www.theguard[...]
2017-06-07
[34]
웹사이트
Marikana inquiry shown Ramaphosa emails
https://www.sowetanl[...]
2022-10-17
[35]
웹사이트
Ramaphosa apologises for Marikana emails
https://www.enca.com[...]
2022-10-17
[36]
웹사이트
South Africa: The murder fields of Marikana. The cold murder fields of Marikana.
https://www.dailymav[...]
2012-09-07
[37]
웹사이트
Lonmin death toll at 34, 78 injured
http://www.moneyweb.[...]
2012-08-17
[38]
웹사이트
Women of Marikana: Remembering Aug 2012
http://www.thejourna[...]
2022-10-17
[39]
뉴스
Marikana inquiry updates
http://www.timeslive[...]
2012-10-23
[40]
웹사이트
Miners vow to continue strike despite Lonmin ultimatum
https://www.timesliv[...]
2022-10-19
[41]
Youtube
New Evidence Shows Marikana Miners Shot First
https://www.youtube.[...]
2012-08-20
[42]
뉴스
South Africa's "Hill of Horror": self-defense or massacre?
https://www.reuters.[...]
2012-08-18
[43]
간행물
Shot while surrendering: Strikers describe Marikana Scene 2
https://journals.ass[...]
2018-09-30
[44]
웹사이트
'Miners did not shoot at police' – new Marikana report
https://mg.co.za/art[...]
2022-12-17
[45]
웹사이트
The murder fields of Marikana. The cold murder fields of Marikana
http://dailymaverick[...]
2012-09-12
[46]
뉴스
Miners killed at South Africa's Lonmin Marikana mine
https://www.bbc.com/[...]
2022-10-17
[47]
웹사이트
Zuma announces inquiry into Marikana shooting
https://mg.co.za/art[...]
2022-10-17
[48]
뉴스
South African police shoot dead striking miners
https://www.theguard[...]
2012-08-16
[49]
뉴스
Police boss says 34 miners killed, in self-defence
http://www.sowetanli[...]
2012-08-19
[50]
뉴스
South Africa mine killings: Jacob Zuma announces inquiry
https://www.bbc.co.u[...]
2012-08-17
[51]
뉴스
South African Official Defends Police Killing of 34
https://www.nytimes.[...]
2012-08-19
[52]
뉴스
S Africa Lonmin killings: National mourning declared
https://www.bbc.co.u[...]
2012-08-19
[53]
뉴스
Fire killer cops, Marikana women urge
http://www.news24.co[...]
2012-08-18
[54]
뉴스
South Africa Lonmin killings: Anger over missing miners
https://www.bbc.co.u[...]
2012-08-18
[55]
웹사이트
Marikana: Freed miners speak of torture in police cells
http://dailymaverick[...]
2012-09-12
[56]
웹사이트
Marikana: NPA drops 'common purpose' charges, but critical questions remain
http://dailymaverick[...]
2012-09-03
[57]
뉴스
South Africa to Charge Miners in Deadly Unrest
https://www.nytimes.[...]
2012-08-30
[58]
웹사이트
Lawyers for SA miners threaten court action
http://www.aljazeera[...]
2012-09-03
[59]
웹사이트
Marikana: 'Common purpose not outdated or defunct'
http://mg.co.za/arti[...]
2012-09-03
[60]
웹사이트
Phosa slams NPA over miners' charges
https://www.iol.co.z[...]
2022-10-19
[61]
뉴스
S.Africa shocked by move to charge miners with massacre
https://www.reuters.[...]
2022-10-19
[62]
뉴스
Hundreds of South African miners charged with murder released from prison
https://www.telegrap[...]
2012-09-12
[63]
웹사이트
South Africa frees first batch of miners
http://www.aljazeera[...]
2012-09-12
[64]
웹사이트
Charges dropped against Marikana miners
https://www.news24.c[...]
2022-10-19
[65]
웹사이트
Lonmin Statement on Marikana
https://www.lonmin.c[...]
Lonmin
2012-08-17
[66]
웹사이트
Protests spill over to other S African mines
http://www.aljazeera[...]
2012-09-03
[67]
뉴스
Lonmin May Struggle to Refinance Debt After Unrest, BMO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2-09-03
[68]
뉴스
Jacob Zuma declares period of mourning for South African miners
https://www.telegrap[...]
2012-08-19
[69]
웹사이트
Striking South Africa miners given ultimatum
http://www.aljazeera[...]
2012-08-20
[70]
웹사이트
Striking South African miners defy Lonmin ultimatum
http://www.theguardi[...]
2022-10-20
[71]
뉴스
South Africa miners face Lonmin dismissal deadline
https://www.bbc.com/[...]
2022-10-19
[72]
웹사이트
S Africa mine owner extends strike deadline
http://www.aljazeera[...]
2012-08-20
[73]
뉴스
Lonmin says S.Africa seeks "peace accord" in labour dispute
https://www.reuters.[...]
2022-10-19
[74]
뉴스
Lonmin sets out peace plan as miners stay away
https://www.thetimes[...]
2022-10-20
[75]
웹사이트
Court frees jailed South African miners
http://www.aljazeera[...]
2012-09-12
[76]
웹사이트
Marikana: How the wage war was won
https://mg.co.za/art[...]
2022-10-19
[77]
웹사이트
Deal sought over striking South Africa miners
http://www.aljazeera[...]
2012-09-03
[78]
웹사이트
Strikers march at S Africa's platinum mine – Africa
http://www.aljazeera[...]
2012-09-12
[79]
뉴스
Militant South Africa union snubs Lonmin "peace deal"
https://www.reuters.[...]
2022-10-19
[80]
웹사이트
South Africa miners to continue strike
http://www.aljazeera[...]
2012-09-12
[81]
웹사이트
Striking South African miners face ultimatum from company
http://www.theguardi[...]
2022-10-19
[82]
웹사이트
South Africa miners stage march
http://www.aljazeera[...]
2012-09-12
[83]
웹사이트
South Africa's Marikana miners defy deadline
http://www.aljazeera[...]
2012-09-12
[84]
웹사이트
Miners reject Lonmin wage offer
https://www.sowetanl[...]
2022-10-20
[85]
뉴스
South Africa vows clampdown on Marikana mine unrest
https://www.bbc.com/[...]
2022-10-20
[86]
웹사이트
Malema barred from addressing S Africa miners
http://www.aljazeera[...]
2012-09-17
[87]
웹사이트
Marikana: Miners plan 'peaceful' march
https://mg.co.za/art[...]
2022-10-20
[88]
웹사이트
South African police halt peaceful protest
http://www.aljazeera[...]
2012-09-16
[89]
웹사이트
Zuma defends mine protest crackdown
https://www.iol.co.z[...]
2022-10-20
[90]
웹사이트
March of South African miners cut short
http://blogs.aljazee[...]
2012-09-17
[91]
웹사이트
Striking South African miners cut wage demands
http://www.theguardi[...]
2022-10-19
[92]
뉴스
Lonmin Workers Agree to 22% Pay Rise, to Return Sept. 20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2-09-18
[93]
뉴스
Lonmin miners in South Africa sign pay deal
https://www.bbc.com/[...]
2022-10-19
[94]
웹사이트
Miners rejoice
https://www.dw.com/e[...]
2022-10-19
[95]
웹사이트
Fears over precedent set by Lonmin mining deal
https://mg.co.za/art[...]
2022-10-19
[96]
웹사이트
Wage deal ends Marikana strike
http://news.iafrica.[...]
iAfrica
2012-09-19
[97]
뉴스
South Africa's Lonmin miners accept pay rise to end strike
https://www.reuters.[...]
2022-10-19
[98]
웹사이트
Marikana: The strike might be over, but the struggle continues
https://www.dailymav[...]
2022-10-19
[99]
웹사이트
Marikana: The strike ends – now what?
https://www.dailymav[...]
2022-10-19
[100]
웹사이트
Cosatu Congress: Battling the rupture of Mangaung, and the curse of Marikana
https://www.dailymav[...]
2022-10-20
[101]
웹사이트
S Africa's Lonmin miners return to work
http://www.aljazeera[...]
2012-09-20
[102]
뉴스
Gold Fields strike ends, 1,500 sacked as South Africa trouble simmers
https://www.reuters.[...]
2022-10-19
[103]
뉴스
South Africa's Amplats fires 12,000 strikers, union leader shot
https://www.reuters.[...]
2012-10-06
[104]
웹사이트
Can Zuma survive Marikana?
http://blogs.aljazee[...]
2012-09-12
[105]
뉴스
South Africa's ANC to discuss mine shootings row
https://www.bbc.co.u[...]
2012-08-27
[106]
뉴스
Julius Malema calls for Jacob Zuma to resign over "massacre" of 34 striking miner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2-08-18
[107]
웹사이트
Anger mounts over South African miners' fate
http://www.aljazeera[...]
[108]
웹사이트
Will Marikana resurrect Julius Malema?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2-09-12
[109]
웹사이트
Police open fire on South African miners
http://www.aljazeera[...]
2012-08-15
[110]
웹사이트
Auckland protest against South Africa shooting
http://www.3news.co.[...]
3 News
2012-08-18
[111]
뉴스
US 'saddened' by S.Africa mine killings
https://www.google.c[...]
2012-08-19
[112]
웹사이트
Handling of Marikana should reassure investors – Zuma
http://www.bdlive.co[...]
Business Day
2012-09-19
[113]
웹사이트
Zuma tells EU he is 'in control' after mine masscare
https://euobserver.c[...]
2022-10-17
[114]
뉴스
South African defense minister first official to apologize for police killings of miners
https://www.washingt[...]
2012-08-21
[115]
뉴스
Marikana, two years on: Cape Town's protest artists remember the dead
http://www.dailymave[...]
Daily Maverick
2014-09-08
[116]
뉴스
SACP calls for arrest of Amcu leaders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2012-08-18
[117]
뉴스
Mine massacre claim as police open fire on striking workers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2-08-17
[118]
뉴스
Mine Strike Mayhem Stuns South Africa as Police Open Fir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8-17
[119]
웹사이트
Marikana Prequel: NUM and the murders that started it all
http://dailymaverick[...]
Daily Maverick
2012-10-23
[120]
웹사이트
NUM: Lethal force ahead of Marikana shootings was justified
http://mg.co.za/arti[...]
Mail & Guardian
2012-10-23
[121]
뉴스
Lonmin killings senseless: Nehawu
http://www.timeslive[...]
The Times
2012-08-19
[122]
뉴스
Cape demo against Lonmin killing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2012-08-18
[123]
뉴스
Rabbi Goldstein, as part of NIFC-SA, reaches out to Lonmin victims
http://www.sajewishr[...]
2012-08-24
[124]
웹사이트
Marikana: 1 year later
http://www.amandla.o[...]
2014-02-23
[125]
뉴스
Police kill 34 striking miners in South Africa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12-08-17
[126]
뉴스
Mine "bloodbath" shocks post-apartheid South Africa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8-17
[127]
웹사이트
South Africa's economic apartheid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2-09-12
[128]
웹사이트
South Africa Mine Deaths Show Wealth Gap Inciting Tension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2-09-12
[129]
웹사이트
Lonmin killings hurt SA as mining destination
http://www.miningwee[...]
Mining Weekly
2012-08-18
[130]
웹사이트
Excerpt of Marikana strike material
https://vimeo.com/35[...]
Vimeo
2022-10-17
[131]
웹사이트
The class character of police violence
https://africasacoun[...]
2022-10-17
[132]
웹사이트
South Africa mine unrest spreads to new site
http://www.aljazeera[...]
2012-09-12
[133]
웹사이트
Wildcat strike over at Royal Bafokeng's platinum mine. How painless was that?
https://www.dailymav[...]
2022-10-19
[134]
웹사이트
Royal Bafokeng faces miners' strike as Lonmin fallout spreads
https://www.dailymav[...]
2022-10-19
[135]
웹사이트
Strike hits Limpopo platinum mine
https://www.news24.c[...]
2022-10-19
[136]
뉴스
About one third of South African truckers end strike
https://www.reuters.[...]
Reuters
2022-10-19
[137]
웹사이트
Bokoni strike ends
https://www.news24.c[...]
2022-10-19
[138]
웹사이트
Amplats counters trend in wildcat strikes
https://mg.co.za/art[...]
2022-10-19
[139]
웹사이트
Anglo American Platinum sacks 12,000 striking South African miners
http://www.theguardi[...]
2022-10-19
[140]
뉴스
South Africa police fire at Marikana mine protesters
https://www.bbc.com/[...]
BBC News
2022-10-20
[141]
웹사이트
Cops disperse Amplats protesters
https://www.news24.c[...]
2012-09-19
[142]
웹사이트
Amplats strike turns violent
https://ewn.co.za/20[...]
2012-10-04
[143]
웹사이트
Rustenburg's platinum belt draws more blood
https://www.dailymav[...]
2012-10-12
[144]
웹사이트
Man burnt to death, another shot at Amplats
https://mg.co.za/art[...]
2012-10-11
[145]
뉴스
South Africa strikes: Sacked platinum miners reinstated
https://www.bbc.com/[...]
2012-10-27
[146]
뉴스
Amplats talks tough, S.Africa illegal mine strikes spread
https://www.reuters.[...]
2012-09-26
[147]
뉴스
South Africa strikes: Unions agree gold-mine pay deal
https://www.bbc.com/[...]
2012-10-25
[148]
웹사이트
Gold Fields KDC workers to return to work
https://www.miningwe[...]
2012-09-05
[149]
웹사이트
Illegal strike hits Gold Fields KDC mine
https://www.miningwe[...]
2022-08-31
[150]
웹사이트
Gold Fields says KDC West strike spreads to Beatrix
https://www.engineer[...]
2012-09-25
[151]
웹사이트
SA strikes close AngloGold Ashanti
https://www.ft.com/c[...]
2012-09-26
[152]
웹사이트
Gold Fields issues ultimatum
https://www.sowetanl[...]
2012-10-22
[153]
뉴스
South Africa strikes engulf Gold Fields' KDC operations
https://www.reuters.[...]
2012-10-15
[154]
웹사이트
8,500 KDC East Employees Join Unlawful Strike
https://www.prnewswi[...]
2012-10-15
[155]
뉴스
South Africa Gold Fields workers 'end strike'
https://www.bbc.com/[...]
2012-10-19
[156]
웹사이트
Strike ends at Beatrix 1,2 and 3 shafts
https://www.politics[...]
2012-10-17
[157]
웹사이트
Gold Fields' KDC East ends 23-day strike
https://www.miningmx[...]
2012-11-06
[158]
웹사이트
Strike hits harmony mine on West Rand
https://www.news24.c[...]
2012-10-03
[159]
웹사이트
S. Africa police fire tear gas as mine unrest spreads
https://www.defencew[...]
2012-09-04
[160]
웹사이트
S. Africa police fire tear gas as mine unrest spreads
https://www.defencew[...]
2012-09-04
[161]
웹사이트
Gold One protesters in court
https://www.news24.c[...]
2012-09-05
[162]
웹사이트
Unrest spreads to South Africa gold mine
http://www.aljazeera[...]
2012-09-04
[163]
웹사이트
Mining Weekly - Court declares Gold One's Ezulwini strike unlawful
https://www.miningwe[...]
2012-10-03
[164]
웹사이트
Gold One dismisses 1 435 Ezulwini workers
https://www.engineer[...]
2012-10-09
[165]
웹사이트
Gold One suspends Ezulwini operations
https://www.miningre[...]
2012-10-16
[166]
웹사이트
Strike at S Africa AngloGold mine
https://www.ft.com/c[...]
2012-09-21
[167]
뉴스
AngloGold Ashanti says strike in South Africa has spread
https://www.bbc.com/[...]
2012-09-26
[168]
웹사이트
Bonus dispute halts operations at AngloGold Ashanti mine
https://www.timesliv[...]
2012-11-06
[169]
웹사이트
Strike at three AngloGold mines ends
https://www.iol.co.z[...]
2012-10-24
[170]
뉴스
AngloGold suspends work at world's deepest mine
https://www.reuters.[...]
2012-11-06
[171]
뉴스
Petra Diamonds says strike at South African Cullinan mine
https://www.reuters.[...]
2012-10-18
[172]
웹사이트
Samancor mine strike ends
https://ewn.co.za/20[...]
2012-09-29
[173]
웹사이트
Xstrata workers join mining strike
https://www.iol.co.z[...]
2012-10-09
[174]
웹사이트
Wildcat strikes at mines continue
https://mg.co.za/art[...]
2012-10-04
[175]
웹사이트
Inquiry to begin on S African miners' deaths
http://www.aljazeera[...]
2012-10-01
[176]
뉴스
South Africa's "Marikana massacre" inquiry opens
https://www.reuters.[...]
2022-10-17
[177]
웹사이트
Marikana inquiry extended, moved to Centurion
https://mg.co.za/art[...]
2022-10-17
[178]
웹사이트
Farlam commission is a sham, claim Marikana mineworkers
https://mg.co.za/art[...]
2022-10-17
[179]
웹사이트
Marikana inquiry faces challenges
http://blogs.aljazee[...]
2012-10-02
[180]
뉴스
Marikana mine killings: South African police 'planted weapons'
https://www.bbc.com/[...]
2022-10-17
[181]
웹사이트
Report on Matters of Public,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cern Arising Out of the Tragic Incidents at the Lonmin Mine in Marikana, in the North West Province
https://www.sahrc.or[...]
2015
[182]
웹사이트
Flawed police plan blamed for Marikana massacre
https://www.aljazeer[...]
2022-10-17
[183]
웹사이트
Zuma's full statement on the Marikana report
https://www.news24.c[...]
2022-10-17
[184]
웹사이트
Marikana inquiry cost R153m – report
https://www.news24.c[...]
2022-10-17
[185]
웹사이트
Marikana report: Ke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https://www.dailymav[...]
2022-10-17
[186]
웹사이트
Phiyega bid to sidestep Marikana massacre dismissed
https://mg.co.za/new[...]
2022-10-17
[187]
웹사이트
'Independent panel' to help police implement Farlam report recommendations
https://www.sowetanl[...]
2022-10-17
[188]
웹사이트
South African gov't urged to release Marikana recommendations
https://www.aljazeer[...]
2022-10-17
[189]
웹사이트
Only two Farlam Commission recommendations implemented 10 years after Marikana massacre: Expert
https://www.sabcnews[...]
2022-10-17
[190]
웹사이트
Marikana – a massacre still without any criminal consequences
https://www.dailymav[...]
2022-10-17
[191]
웹사이트
Marikana: There should have been disciplinary proceeding, says Ian Farlam
https://mg.co.za/new[...]
2022-10-17
[192]
웹사이트
Mine workers symbolising SA's tragic day: 'We'll fight another 10 years to taste justice'
https://www.dailymav[...]
2022-10-17
[193]
웹사이트
Marikana matter not quite over for Ramaphosa
https://mg.co.za/new[...]
2022-10-17
[194]
웹사이트
Ramaphosa has case to answer on Marikana 'collusion', but not on murder of miners, court rules
https://www.news24.c[...]
2022-10-17
[195]
웹사이트
Marikana: Survivors, miners remember
https://www.news24.c[...]
2022-10-17
[196]
웹사이트
People gather on Marikana's koppie of death to reflect on 10 years of lingering pain and hanging promises
https://www.dailymav[...]
2022-10-17
[197]
웹사이트
Lonmin recognises Amcu as majority union
https://www.news24.c[...]
2022-10-19
[198]
간행물
State Violence, Party Formation, and Electoral Accountability: The Political Legacy of the Marikana Massacre
2023
[199]
웹사이트
Commissioners and commanders: Police leadership and the Marikana massacre
https://issafrica.s3[...]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Monograph No. 164
2018-08-16
[200]
뉴스
South African police defend killing 34 miners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8-18
[201]
뉴스
Dozens killed in South Africa mine shooting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8-17
[202]
웹사이트
Q&A: Marikana miners shot down
https://www.aljazeer[...]
2022-10-17
[203]
뉴스
Lonmin underwriters sell shares to South Africa pension fund
https://www.theguard[...]
ガーディアン
2015-12-11
[204]
웹사이트
Rights issue
https://www.lonmin.c[...]
Lonmin
[205]
웹사이트
SOUTH AFRICA/ECON - Lonmin Could Miss Its Platinum Output Target Due to Karee Strike, RBC Says
https://wikileaks.or[...]
ウィキリークス
2011-05-25
[206]
뉴스
鉱山労働者のストに警察が発砲、死者多数、南アフリカ
https://www.cnn.co.j[...]
CNN.co.jp
2012-08-17
[207]
뉴스
南ア鉱山争議事件に世論反発、労働者270人の「殺人罪」での起訴を一時取り下げ
https://www.afpbb.co[...]
AFPBB.NEWS
2012-09-03
[208]
웹사이트
Fixing Statistics
http://www.lppm.org.[...]
The London Platinum and Palladium Market
2010-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