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2012년 8월 29일부터 9월 9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했다. 사격에서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 수영에서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 탁구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4개, 양궁, 보치아, 육상, 파워리프팅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여 총 금메달 9개, 은메달 9개, 동메달 9개로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0년 동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0년 밴쿠버 동계 패럴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아이스 슬레지 하키, 알파인 스키, 휠체어 컬링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으며, 휠체어 컬링은 예선에서 2승 7패를 기록했고 이후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4년 동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4년 동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휠체어 컬링, 아이스 슬레지 하키 종목에 총 27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특히, 여자 단체전에서는 김란숙, 고희숙, 이화숙 선수가 팀을 이루어 결승에서 중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패럴림픽 5연패의 쾌거를 달성했다.
3. 1. 1. 남자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요약 내용을 기반으로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1. 2. 여자
소스(source)에 해당 섹션에 관한 내용이 없어, 요약(summary)에 기반하여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육상
전민재 선수는 여자 100m T36 결승에서 14.70초로 은메달, 200m T36 결승에서 31.08초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육상 종목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전민재는 100m T36 예선에서 14.81초, 200m T36 예선에서 30.67초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하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김규대 선수는 남자 1500m T54 결승에서 3분 12.57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육상에 값진 메달을 추가했다. 김규대는 800m T54 (1분 39.03초, 4위), 5000m T54 (11분 08.95초, 6위) 에도 출전하여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최예진, 정호원, 김한수는 페어 BC3 종목에 출전했다. 조별 예선에서 그리스를 11-0으로 크게 이기고, 영국을 6-2로 이겼으나, 캐나다에 4-5로 패하며 1위를 기록, 4강에 진출하였다. 4강전에서 포르투갈에게 3-4로 석패하였고, 벨기에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3-4로 아쉽게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정소영, 지광민, 김명수, 손정민은 단체 BC1-2 종목에 출전했다. 조별 예선에서 브라질을 10-3, 아일랜드를 14-3으로 완파하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8강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 6-6 동점을 이루었으나, 승리하지 못하고 탈락했다.
3. 3. 1. 혼성 개인전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요약만을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3. 2. 혼성 페어 및 단체전
최예진, 정호원, 김한수는 페어 BC3 종목에 출전했다. 조별 예선에서 그리스를 11-0으로 크게 이기고, 영국을 6-2로 이겼으나, 캐나다에 4-5로 패하며 1위를 기록, 4강에 진출하였다. 4강전에서 포르투갈에게 3-4로 석패하였고, 벨기에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3-4로 아쉽게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정소영, 지광민, 김명수, 손정민은 단체 BC1-2 종목에 출전했다. 조별 예선에서 브라질을 10-3, 아일랜드를 14-3으로 완파하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8강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 6-6 동점을 이루었으나, 승리하지 못하고 탈락했다.
3. 4. 사이클
시간
순위
진용식
남자 개인 추발 C3
3:57.694
11
진출 실패
3. 4. 1. 도로 사이클
진용식은 남자 개인 도로 타임 트라이얼 C3에서 25:38.03으로 12위를 기록했고, 남자 도로 레이스 C1-3에서는 1:48:13으로 22위를 기록했다. 김정임은 여자 개인 도로 타임 트라이얼 H3에서 43:25.32로 7위를 기록했고, 여자 도로 레이스 H1-3에서는 8km 랩을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조별 예선에서 1승 4패를 기록하며 5위를 차지,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영국과의 첫 경기에서는 5-4로 승리했지만, 브라질, 핀란드, 리투아니아, 튀르키예에 연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특히 핀란드와 리투아니아에게는 각각 1-6, 4-8로 대패하며 전력의 열세를 드러냈다.
3. 5. 1. 남자 토너먼트
대한민국 남자 골볼 대표팀은 2012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B조 순위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튀르키예/Türkiyetr
5
4
0
1
26
6
+20
12
2
브라질/Brasilbr
5
3
0
2
30
20
+10
9
3
리투아니아/Lietuvalt
5
3
0
2
33
20
+13
9
4
핀란드}}
5
3
0
2
20
14
+6
9
5
5
1
0
4
11
50
-39
3
대한민국 조별 예선 경기 결과
날짜
시간
팀 1
결과
팀 2
경기장
2012년 8월 30일
19:30
코퍼 박스
2012년 8월 31일
15:00
6 – 1
코퍼 박스
2012년 9월 2일
20:45
4 – 1
{{KOR/Türkiyetr
코퍼 박스
대한민국은 조별 예선에서 1승 4패를 기록하며 5위를 차지,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영국과의 첫 경기에서는 5-4로 승리했지만, 브라질, 핀란드, 리투아니아, 튀르키예에 연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특히 핀란드와 리투아니아에게는 각각 1-6, 4-8로 대패하며 전력의 열세를 드러냈다.
대한민국은 2012년 하계 패럴림픽 사격에서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새로운 강세 종목으로 떠올랐다. 박세균 선수는 남자 10m 공기권총 SH1, 혼성 50m 공기권총 SH1에서 2관왕을 차지했고, 강주영 선수는 혼합 10m 공기총 스탠딩 SH2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주희 선수는 남자 10m 공기권총 SH1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2012년 하계 패럴림픽 탁구에서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김영건은 남자 개인전 C4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최일상은 같은 종목 예선에서 이스라엘의 시아다를 3-0으로 이기고, 이탈리아의 카치에게 0-3으로 패해 1위를 기록, 8강에 진출했으나, 중국의 장 Y에게 2-3으로 패해 4강 진출에 실패했다. 김정길은 예선에서 프랑스의 마틴에게 1-3으로 패하고, 중화 타이베이의 고를 3-0으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정은창은 남자 개인전 C5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예선에서 중화 타이베이의 린을 3-2, 이집트의 페티르를 3-1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했으나, 노르웨이의 우르하우그에게 0-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프랑스의 로섹을 3-0으로 이겼다. 김병영은 예선에서 독일의 체틴에게 2-3, 프랑스의 로섹에게 1-3으로 패하며 3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김경묵은 남자 개인전 C2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예선에서 이란의 잔페샨과 오스트리아의 루프를 각각 3-0으로 이기고 1위로 8강에 진출, 부전승으로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러시아의 포드부니를 3-0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슬로바키아의 리아포스에게 1-3으로 패했다. 김광용은 예선에서 슬로바키아의 리아포스에게 1-3으로 패하고, 이탈리아의 벨라를 3-1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김민규는 예선에서 중국의 가오 Y과 브라질의 에스핀돌라를 각각 3-0으로 이기고 1위로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프랑스의 라미로에게 0-3으로 패해 4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창호는 남자 개인전 C1에서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예선에서 아르헨티나의 에버하르트를 3-1로, 프랑스의 구에제넥을 3-1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했으나, 프랑스의 두카이에게 0-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영국의 P 데이비스에게 2-3으로 패했다. 조재관은 예선에서 독일의 니켈리스에게 1-3으로 패하고, 스위스의 켈러에게 1-3으로 패하며 3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정영일, 김정석, 김진성은 남자 개인전 C3 예선에서 모두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정영일은 중국의 자오 P에게 1-3으로 패하고, 독일의 거틀러를 3-0으로 이겼다. 김정석은 독일의 슈미트베르거에게 0-3으로 패하고, 프랑스의 길렘을 3-1로 이겼다. 김진성은 중국의 펑에게 0-3으로 패하고, 체코의 하드라바를 3-2로 이겼다.
박홍규는 남자 개인전 C6 예선에서 러시아의 에사울로프에게 1-3으로 패하고, 브라질의 미셸을 3-0으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김영성은 남자 개인전 C7 예선에서 우크라이나의 포포프와 영국의 카라바르닥에게 각각 0-3으로 패해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손병준은 남자 개인전 C11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예선에서 헝가리의 팔로스를 3-1, 일본의 키노시타를 3-0으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폴란드의 올레이르스키를 3-1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헝가리의 팔로스에게 1-3으로 패했다.
문성혜는 여자 개인전 C4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예선에서 영국의 길로이를 3-1, 이집트의 아흐메드를 3-0으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 중국의 저우 Y에게 0-3으로 패했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중국의 장 M을 3-2로 이겼다. 정지남은 예선에서 세르비아의 페리치-란코비치에게 0-3, 요르단의 알-아잠에게 0-3으로 패하며 3위를 기록, 진출에 실패했다.
정영아는 여자 개인전 C5 예선에서 중국의 장 B에게 2-3으로 패하고, 브라질의 파소스를 3-0으로 이겨 2위를 기록, 진출에 실패했다.
조경희, 최현자, 정상숙은 여자 개인전 C3에 출전했다. 조경희와 최현자는 예선에서 각각 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정상숙은 예선 1위로 8강에 진출했으나 슬로바키아의 카노바에게 0-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장은봉은 여자 개인전 C6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최일상, 정은창, 김정길, 김영건은 남자 단체전 C4-5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8강에서 체코를 3-0, 4강에서 중화 타이베이를 3-0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중국에 1-3으로 패했다.
조경희, 최현자, 정상숙은 여자 단체전 C1-3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8강에서 크로아티아를 3-1, 4강에서 영국을 3-0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중국에 0-3으로 패했다.
김콩용, 김경묵, 김민규는 남자 단체전 C1-2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4강에서 프랑스에 2-3으로 패했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오스트리아를 3-0으로 이겼다.
정지남, 정영아, 문성혜는 여자 단체전 C4-5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8강에서 슬로베니아를 3-0으로 이겼으나, 4강에서 스웨덴에 1-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세르비아를 3-1로 이겼다.
김정석, 김진성은 남자 단체전 C3에서 4위를 기록했다. 8강에서 오스트리아를 3-1로 이겼으나, 4강에서 중국에 0-3, 동메달 결정전에서 프랑스에 1-3으로 패했다.
김영성, 박홍규는 남자 단체전 6-8 1라운드에서 스페인에 0-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3. 11. 1. 남자
남자 개인전 C1에 출전한 조재관은 예선에서 독일의 니켈리스에게 1-3으로 패하고, 스위스의 켈러에게 1-3으로 패하며 3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이창호는 예선에서 아르헨티나의 에버하르트를 3-1로, 프랑스의 구에제넥을 3-1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했으나, 프랑스의 두카이에게 0-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영국의 P 데이비스에게 2-3으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남자 개인전 C2에 출전한 김광용은 예선에서 슬로바키아의 리아포스에게 1-3으로 패하고, 이탈리아의 벨라를 3-1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경묵은 예선에서 이란의 잔페샨과 오스트리아의 루프를 각각 3-0으로 이기고 1위로 8강에 진출, 부전승으로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러시아의 포드부니를 3-0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슬로바키아의 리아포스에게 1-3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민규는 예선에서 중국의 가오 Y과 브라질의 에스핀돌라를 각각 3-0으로 이기고 1위로 8강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프랑스의 라미로에게 0-3으로 패해 4강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개인전 C3에 출전한 정영일은 예선에서 중국의 자오 P에게 1-3으로 패하고, 독일의 거틀러를 3-0으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정석은 예선에서 독일의 슈미트베르거에게 0-3으로 패하고, 프랑스의 길렘을 3-1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진성은 예선에서 중국의 펑에게 0-3으로 패하고, 체코의 하드라바를 3-2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개인전 C4에 출전한 최일상은 예선에서 이스라엘의 시아다를 3-0으로 이기고, 이탈리아의 카치에게 0-3으로 패해 1위를 기록, 8강에 진출했으나, 중국의 장 Y에게 2-3으로 패해 4강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정길은 예선에서 프랑스의 마틴에게 1-3으로 패하고, 중화 타이베이의 고를 3-0으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영건은 부전승으로 8강에 진출, 프랑스의 마틴을 3-0, 이집트의 살레를 3-1, 중국의 장 Y을 3-1로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개인전 C5에 출전한 정은창은 예선에서 중화 타이베이의 린을 3-2, 이집트의 페티르를 3-1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했으나, 노르웨이의 우르하우그에게 0-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프랑스의 로섹을 3-0으로 이기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종목에 출전한 김병영은 예선에서 독일의 체틴에게 2-3, 프랑스의 로섹에게 1-3으로 패하며 3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개인전 C6에 출전한 박홍규는 예선에서 러시아의 에사울로프에게 1-3으로 패하고, 브라질의 미셸을 3-0으로 이겨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개인전 C7에 출전한 김영성은 예선에서 우크라이나의 포포프와 영국의 카라바르닥에게 각각 0-3으로 패해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개인전 C11에 출전한 손병준은 예선에서 헝가리의 팔로스를 3-1, 일본의 키노시타를 3-0으로 이기고 1위로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폴란드의 올레이르스키를 3-1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헝가리의 팔로스에게 1-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