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고인돌체육관에서 9월 30일부터 10월 3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다. 남자 8개, 여자 8개 총 16개의 세부 체급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 6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총 37개국에서 248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태권도 -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자카르타에서 겨루기와 품새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품새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태권도 -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태권도 경기는 구덕실내체육관에서 35개국 21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 8체급과 여자 8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고 중화 타이베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177개 국가 및 난민팀에서 온 94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체급별 경쟁을 펼친 국제 태권도 대회로, 대한민국이 금메달 5개 등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태권도 경기는 구덕실내체육관에서 35개국 21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 8체급과 여자 8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고 중화 타이베이가 그 뒤를 이었다.
  • 아시안 게임 태권도에 관한 -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자카르타에서 겨루기와 품새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품새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태권도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10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2010년 11월 광저우에서 37개국 24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녀 8체급씩 총 16개의 금메달을 두고 경기를 펼쳤으며,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기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아시안 게임 정보
종목태권도
대회2014년 아시안 게임
이미지
개최지강화고인돌체육관
날짜2014년 9월 30일 – 2014년 10월 3일
참가 선수248명
참가 국가37개국
이전 대회2010년
다음 대회2018년
종목 정보 (영어)Taekwondo pictogram at the Incheon 2014
픽토그램
개최 도시인천
경기장강화고인돌체육관
이전2010
다음2019

2. 경기장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경기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강화고인돌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강화고인돌체육관은 4,043석 규모이다.

3. 경기 일정

화1일
수2일
목3일
금남자 54kg예선 및 결승남자 58kg예선 및 결승남자 63kg예선 및 결승남자 68kg예선 및 결승남자 74kg예선 및 결승남자 80kg예선 및 결승남자 87kg예선 및 결승남자 +87kg예선 및 결승여자 46kg예선 및 결승여자 49kg예선 및 결승여자 53kg예선 및 결승여자 57kg예선 및 결승여자 62kg예선 및 결승여자 67kg예선 및 결승여자 73kg예선 및 결승여자 +73kg예선 및 결승


3. 1. 경기 세부 일정

화1일
수2일
목3일
금남자 54kg예선 및 결승남자 58kg예선 및 결승남자 63kg예선 및 결승남자 68kg예선 및 결승남자 74kg예선 및 결승남자 80kg예선 및 결승남자 87kg예선 및 결승남자 +87kg예선 및 결승여자 46kg예선 및 결승여자 49kg예선 및 결승여자 53kg예선 및 결승여자 57kg예선 및 결승여자 62kg예선 및 결승여자 67kg예선 및 결승여자 73kg예선 및 결승여자 +73kg예선 및 결승


4. 메달리스트

4. 1. 남자

(−54 kg)김태훈 (대한민국)황위젠 (중화 타이베이)람나롱 사웨크위하리 (태국)
몰롬윈 튀멘바야르 (몽골)플라이급
(−58 kg)파르잔 아슈르자데 (이란)누르술탄 마마예프 (카자흐스탄)야마다 유마 (일본)
웨이 천양 (중화 타이베이)밴텀급
(−63 kg)이대훈 (대한민국)아카린 킷위자른 (태국)천옌밍 (중화 타이베이)
아마드 로만 아바시 (아프가니스탄)페더급
(−68 kg)베남 아스바기 (이란)황젠난 (중국)카이라트 사림사코프 (카자흐스탄)
키스 셈브라노 (필리핀)라이트급
(−74 kg)마수드 하지-자바레 (이란)니키타 라팔로비치 (우즈베키스탄)송영건 (대한민국)
사무엘 모리슨 (필리핀)웰터급
(−80 kg)메흐디 호다바흐시 (이란)막심 라팔로비치 (우즈베키스탄)파르호드 네그마토프 (타지키스탄)
차오 센 (중국)미들급
(−87 kg)자수르 바이쿠지예프 (우즈베키스탄)첸 링롱 (중국)신영래 (대한민국)
나타팟 탄트라마트 (태국)헤비급
(+87 kg)조철호 (대한민국)드미트리 쇼킨 (우즈베키스탄)알리셰르 굴로프 (타지키스탄)
엘리아스 엘-히다리 (레바논)


4. 1. 1. 남자 54kg (핀급)

김태훈(대한민국)이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남자 54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황위젠(중화 타이베이)이 차지했으며, 동메달은 람나롱 사웨크위하리(태국)와 몰롬윈 튀멘바야르(몽골)에게 돌아갔다.

4. 1. 2. 남자 58kg (플라이급)

이란의 파르잔 아슈르자데가 이 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카자흐스탄의 누르술탄 마마예프는 은메달을, 일본의 야마다 유마와 타이완 (대만)의 웨이 천양이 각각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4. 1. 3. 남자 63kg (밴텀급)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남자 63kg급 경기는 2014년 10월 2일, 강화 고인돌 체육관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의 이대훈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태국의 아카린 킷위자른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동메달은 대만의 천옌밍과 아프가니스탄의 아마드 로만 아바시에게 돌아갔다.

4. 1. 4. 남자 68kg (페더급)

베남 아스바기(이란)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황젠난(중국)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카이라트 사림사코프(카자흐스탄)와 키스 셈브라노(필리핀)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4. 1. 5. 남자 74kg (라이트급)

마수드 하지-자바레(이란)가 남자 74kg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니키타 라팔로비치(우즈베키스탄)는 은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의 송영건과 필리핀의 사무엘 모리슨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4. 1. 6. 남자 80kg (웰터급)

이란의 메흐디 호다바흐시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우즈베키스탄의 막심 라팔로비치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타지키스탄의 파르호드 네그마토프와 중국의 차오 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4. 1. 7. 남자 87kg (미들급)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남자 87kg급 경기는 2014년 10월 3일 인천광역시 강화 고인돌 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이 체급에는 15개국 출신의 선수 15명이 참가했다.

우즈베키스탄의 자수르 바이쿠지예프 선수가 결승전에서 중국의 첸링롱 선수를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의 신영래 선수와 태국의 나타팟 탄트라마르트 선수는 각각 동메달을 차지했다.

4. 1. 8. 남자 +87kg (헤비급)

조철호(대한민국)가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남자 +87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드미트리 쇼킨(우즈베키스탄)에게 돌아갔다. 동메달은 알리셰르 굴로프(타지키스탄)와 엘리아스 엘-히다리(레바논)가 차지했다.

4. 2. 여자

(−46 kg)김소희 (대한민국)린완팅 (중화 타이베이)안젤레이 펠라에즈 (필리핀)
파니팍 웡파타나키트 (태국)플라이급
(−49 kg)차나팁 손캄 (태국)리 자오이 (중화인민공화국)쑨 후이닝 (중화 타이베이)
로나 일라오 (필리핀)밴텀급
(−53 kg)황윤웬 (중화 타이베이)윤정연 (대한민국)수산 하지푸르 (이란)
우 징위 (중화인민공화국)페더급
(−57 kg)이아름 (대한민국)하마다 마유 (일본)왕 윤 (중화인민공화국)
랑시야 니사이솜 (태국)라이트급
(−62 kg)이다빈 (대한민국)장 화 (중화인민공화국)좡 지아지아 (중화 타이베이)
팜 티 투 히엔 (베트남)웰터급
(−67 kg)궈 윈페이 (중화인민공화국)이원진 (대한민국)하 티 응우옌 (베트남)
류 칭 (마카오)미들급
(−73 kg)손 세아브메이 (캄보디아)파테메 루하니 (이란)아브라르 알-파하드 (쿠웨이트)
커스티 알로라 (필리핀)헤비급
(+73 kg)리 동화 (중화인민공화국)아크람 코다반데 (이란)왕 준난 (마카오)
목루 할리모바 (타지키스탄)


4. 2. 1. 여자 46kg (핀급)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여자 46kg급에서 대한민국의 김소희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중화 타이베이의 린완팅이 차지했다. 동메달은 필리핀의 안젤레이 펠라에즈와 태국의 파니팍 웡파타나키트에게 돌아갔다.

4. 2. 2. 여자 49kg (플라이급)

태국(타이)의 차나팁 손캄이 이 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결승전에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리 자오이를 꺾었다. 준결승에서 패배한 선수들에게는 각각 동메달이 수여되었다. 중화 타이베이(타이완)의 쑨후이닝과 필리핀의 로나 일라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4. 2. 3. 여자 53kg (밴텀급)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여자 53kg급 경기는 2014년 10월 3일에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강화고인돌체육관에서 열렸다. 이 체급에는 16개국 출신 16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경기 결과, 중화 타이베이의 황윤웬이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의 윤정연을 4-2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란의 수산 하지푸르와 중화인민공화국의 우징위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우징위는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선수였으나, 이번 대회에서는 동메달에 그쳤다.

4. 2. 4. 여자 57kg (페더급)

이아름(대한민국)이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여자 57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하마다 마유(일본)에게 돌아갔다. 동메달은 왕 윤(중국)과 랑시야 니사이솜(태국)이 차지했다.

4. 2. 5. 여자 62kg (라이트급)

이다빈(대한민국)이 여자 62kg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장 화(중국)는 은메달을 획득했고, 좡 지아지아(중화 타이베이), 팜 티 투 히엔(베트남)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4. 2. 6. 여자 67kg (웰터급)

대한민국의 이원진은 결승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궈윈페이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고, 동메달은 베트남의 하티응우옌과 마카오의 류칭에게 돌아갔다.

4. 2. 7. 여자 73kg (미들급)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여자 73kg급 경기는 2014년 10월 3일 강화 고인돌 체육관에서 열렸다. 캄보디아의 손 세아브메이가 캄보디아 역사상 첫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란의 파테메 루하니는 은메달을 차지했고, 쿠웨이트의 아브라르 알-파하드와 필리핀의 커스티 알로라가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4. 2. 8. 여자 +73kg (헤비급)

리둥화( 이동화/李东华중국어 )가 결승전에서 이란의 아크람 코다반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마카오의 왕준난과 타지키스탄의 모루 할리모바에게 돌아갔다.

5. 메달 집계

순위나라합계
162210
24217
32439
41304
51247
61146
71001
80112
80112
100055
110033
120022
120022
140011
140011
140011
140011



대한민국이 금메달 6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로 1위를 차지했다. 이란이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로 3위를 차지했다.

6. 참가국

201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에는 총 37개국에서 248명의 선수가 참가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