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홍콩 시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홍콩 시위는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 중국 공산당이 반중 인사의 후보군 배제 및 친중 인사만 후보로 나설 수 있도록 제한하려 하자,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대학생과 시민 단체를 중심으로 시작된 대규모 시위이다. 2014년 8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결정으로 행정장관 후보가 지명 위원회의 과반수 지지를 받아야 하고 후보를 2~3명으로 제한하면서, 민주화 단체들은 친중파가 지명 위원회 다수를 차지하여 중앙 정부에 반하는 인물의 입후보를 배제하는 조치에 반발하여 시위를 시작했다. 시위는 홍콩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경찰의 강경 진압과 삼합회 연루 의혹, 국제 사회의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시위 이후 홍콩 사회의 분열, 경제적 영향, 2019년-2020년 홍콩 민주화 시위에 미치는 영향 등 여러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민주화 운동 - 2019-2020년 홍콩 시위
    2019-2020년 홍콩 시위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까지 홍콩에서 발생한 시위 운동으로,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반대로 시작되어 민주주의 요구, 경찰 강경 진압 항의, 중국 정부의 영향력 확대 우려 표출로 확대되었으며 홍콩 사회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 홍콩의 민주화 운동 - 민주파
    민주파는 홍콩의 민주주의 발전을 추구하며, 보편적 선거권 확보와 자유주의적 가치를 옹호하며, 온건파와 급진파로 나뉘어 활동해 왔다.
  • 2014년 홍콩 - 우산 운동
    우산 운동은 2014년 홍콩에서 중국 정부의 선거 개혁안에 반대하며 완전한 보통선거를 요구한 민주화 시위로, 시위대가 우산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고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국내외 연대를 이끌어내며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14년 홍콩 - 제33회 홍콩 영화 금상장
    2014년 4월 13일에 개최된 제33회 홍콩 영화 금상장에서 왕가위 감독의 《일대종사》가 12개 부문을 수상하며 최다 수상작이 되었고, 장가휘가 남우주연상을, 《소시대: 작은 시대》가 최우수 중국/대만 영화상을, 장선염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 홍콩의 항의행동 - 2019-2020년 홍콩 시위
    2019-2020년 홍콩 시위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까지 홍콩에서 발생한 시위 운동으로,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반대로 시작되어 민주주의 요구, 경찰 강경 진압 항의, 중국 정부의 영향력 확대 우려 표출로 확대되었으며 홍콩 사회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 홍콩의 항의행동 - 우산 운동
    우산 운동은 2014년 홍콩에서 중국 정부의 선거 개혁안에 반대하며 완전한 보통선거를 요구한 민주화 시위로, 시위대가 우산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고 비폭력 시민 불복종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국내외 연대를 이끌어내며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4년 홍콩 시위
개요
2014년 10월 10일 금종에 모인 항의자
2014년 10월 10일 금종에 모인 항의자들의 야경
명칭영어: Umbrella Revolution (우산 혁명), Umbrella Movement (우산 운동), Occupy Movement (점령 운동)
중국어:
간체: 雨伞革命 (Yǔsǎn gémìng, 우산 혁명), 雨伞运动 (Yǔsǎn yùndòng, 우산 운동), 占领行动 (Zhànlǐng xíngdòng, 점령 행동)
번체: 雨傘革命 (Yúh saan gaak mihng, 우산 혁명), 雨傘運動 (Yúh saan wahn duhng, 우산 운동), 佔領行動 (Jim líhng hàhng duhng, 점령 행동)
관련홍콩 민주화 운동
홍콩-중국 본토 갈등
기간2014년 9월 26일 – 2014년 12월 15일
장소홍콩:
애드미럴티(2014년 9월 26일 – 12월 11일)
코즈웨이베이(2014년 9월 28일 – 12월 15일)
몽콕(2014년 9월 28일 – 11월 25일)
침사추이(2014년 10월 1일 – 10월 3일)
원인
주요 원인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 및 입법회 구성 방법 개혁 관련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결정에 대한 항의 (결의에서는, 지명권의 개방이나 입법회 구성의 개혁이 부결됨)
목표
주요 목표피선거권(지명권)을 개방하는 '진정한 보통 선거', 소위 '진보선'의 실시
"시민 지명" 제도의 도입
전술한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결의 철회
입법회의 구성 개혁 (의석 절반에 해당하는 업계 단체 선출 의석의 폐지)
추가 요구 사항행정장관 양전영, 정무사사 임정월아, 율정사사 원국강, 정제 및 내지사무국 국장 담지원 4인의 사임 요구
방법
시위 방법거리 점거, 농성, 시민 불복종, 모바일 가두 시위, 인터넷 운동, 단식, 해킹
결과
주요 결과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2014년 홍콩 선거 개혁 결정에 대한 변경 없음 및 입법회의 개혁안 거부 (찬성 8, 반대 28의 대규모 거부 결과는 친베이징 진영의 실수로 인한 것임)
시위자들은 철거 작전 후 다양한 지역에서 모바일 가두 시위 시작
본토주의와 독립 운동의 부상, 2019년 시위로 이어짐
양보
정부의 약속홍콩 정부는 중국 중앙 정부에 "새로운 점령 보고서" 제출을 약속
교전 세력
우산 혁명
홍콩전상학생연회
학민사조
사랑과 평화의 센트럴 점령
열혈공민
범민주 진영

어나니머스
당국
홍콩 정부
홍콩 경찰
중국 정부
중국 공산당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한 연대
홍콩 침묵 다수
홍콩을 사랑하는 목소리
홍콩을 돌보는 힘
정의 연맹
친베이징 진영

중국인민해방군 61398 부대

신이안
워싱워
주요 인물
시위대저우융캉
레스터 셤
조슈아 웡
나탄 로
베니 타이
찬킨만
추유밍
아그네스 초우
에드워드 렁
데니스 호
정부/경찰양전영
캐리 람
림스키 유엔
앤디 청
로버트 초우
피해
부상470명 이상 (2014년 11월 29일 기준)
체포955명
75명 자수
추가 정보
관련 사건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
2019년 홍콩 시위

2. 배경

대학생들과 시민단체가 주축으로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는 중국 공산당이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 반중(反中) 인사를 후보군에서 배제하고 친중(親中) 인사만 후보로 나설 수 있도록 선거 제도를 제한하자, 시위대가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촉발되었다.

2. 1. 정치적 배경

대학생들과 시민단체가 주축으로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는 중국 공산당이 오는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 반중(反中) 인사를 후보군에서 배제하고 친중(親中) 인사만 후보로 나설 수 있도록 제한하자, 시위대가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촉발되었다.

중국과 영국의 협상 및 1984년 협정의 결과로, 홍콩은 1997년 7월 1일 중국에 반환되어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중국의 첫 번째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홍콩은 중국 대륙과는 다른 정치 체제를 가지며, 독립적인 사법부는 영국법 체계 하에서 기능한다.[27][28] 홍콩 기본법은 반환 전에 중국 측이 공동 선언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작성한 헌법 문서로[29], 홍콩의 정치 체제를 규정한다. 이 법은 외교 관계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문제에 대해 홍콩이 높은 수준의 자치를 누리며,[30] 1997년 반환 이후 최소 50년 동안 자본주의 경제 체제와 홍콩 시민의 권리 및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의 자치와 개인의 권리 및 자유에 대한 보장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NPCSC)의 해석을 받는다.[31][32]

홍콩의 행정 수반인 홍콩 행정장관은 현재 1,200명으로 구성된 선거위원회에 의해 선출된다. 하지만 홍콩 기본법 제45조는 "궁극적인 목표는 민주적 절차에 따라 광범위하게 대표되는 지명 위원회의 지명을 통해 보통 선거로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33] 2007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 보통 선거를 통해 행정장관을 선출할 가능성을 열었으며,[34] 이를 위한 선거 개혁 논의가 시작되었다. 2014년 초에는 첫 번째 협의가 5개월간 진행되었고, 당시 행정장관인 량전잉은 절차에 따라 상무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하여 행정장관 선출 방식 개정 필요성 심의를 요청했다.[35]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민주화 요구 움직임도 구체화되었다. 2013년 1월, 법학자 데이븐슨은 정부의 선거 개혁안이 "보통 선거와 관련된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홍콩 센트럴을 점거하는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을 제안했다.[36] 같은 해 3월에는 오큐파이 센트럴 위드 러브 앤 피스 (OCLP)라는 단체가 결성되어 선거 개혁 제안과 전략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2014년 6월, OCLP는 자체적인 선거 개혁 제안에 대한 "시민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홍콩 등록 유권자의 5분의 1이 넘는 792,808명의 주민이 참여하여 민주화에 대한 높은 열망을 보여주었다.[37]

한편, 2014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홍콩 특별행정구에서의 '일국양제' 정책 실천''이라는 백서를 발표하여 홍콩에 대한 "포괄적 관할권"을 주장했다.[38] 이 백서는 "홍콩 특별행정구의 높은 수준의 자치는 완전한 자치도, 분권화된 권한도 아니다"라며, "중앙 지도부가 위임한 대로 지역 문제를 처리하는 권한"이라고 명시하여[39] 홍콩의 자치권에 대한 중국 중앙 정부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국양제 하에서 고도의 자치가 인정된 홍콩에서는 2017년 홍콩 특별행정구 행정장관 선거부터 1인 1표의 "보통 선거"가 도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14년 8월 31일, 행정장관 후보는 지명위원회의 과반수 지지가 필요하며 후보는 2~3명으로 한정한다는 결정을 내렸다.[389] 홍콩의 민주화 단체인 학민사조 등의 단체는 지명위원회의 다수가 친중파로 채워질 것이므로 이는 중앙 정부의 뜻에 반하는 인물의 입후보를 사실상 배제하는 조치라고 비판하며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 거부를 시작했다.[390]

이러한 갈등은 이전에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 바 있다. 2011년 홍콩 정부는 의무 교육 과정에 중국 중앙 정부에 대한 애국심을 강조하는 내용(애국 교육)을 추가하려 했으나, 학생들로부터 "세뇌 교육"이라는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당시 황즈펑 등이 이끄는 10대 학생 단체 학민사조가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결국 홍콩 정부는 해당 교육 과정 도입을 철회해야 했다.[391]

2. 2. 2014년 전인대 상무위원회 결정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에서는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부터 1인 1표의 보통 선거가 도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14년 8월 31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10차 회의는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와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결정하면서, 홍콩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와는 거리가 있는 제한적인 안을 내놓았다.[17]

상무위원회는 표면적으로 보통 선거를 허용하는 형태를 취했으나, 행정장관 후보 자격에 대해 "나라(중국)를 사랑하고 홍콩을 사랑하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보통 선거에 의한 행정장관 선출 방식은 이 목적에 상응하는 제도적 안전 장치를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하며, 행정장관 후보를 선출하는 지명위원회의 구성과 후보자 추천 방식에 엄격한 제한을 두었다.[17] 구체적으로, 2017년 행정장관 선거를 위해 기존의 1,200명 규모 선거위원회와 유사한 지명위원회를 구성하고, 각 후보자는 지명위원 과반수의 지지를 얻어야만 최종 후보가 될 수 있으며, 후보자 수는 2~3명으로 한정했다.[17][389] 이렇게 선출된 행정장관 당선자는 최종적으로 "중앙인민정부에 의해 임명되어야 한다"고 규정했다.[17] 이는 사실상 중국 중앙 정부의 입장에 동조하는 친중파 인사 외에는 행정장관 후보로 나서기 어렵게 만드는 조치로 받아들여졌다.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 방식은 기존 방식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17]

이 결정은 홍콩 내에서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홍콩의 민주주의 발전을 요구해 온 시민들과 학생들은 이 결정이 홍콩 기본법에서 약속한 보통 선거의 원칙을 훼손하고, 홍콩의 자치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지명위원회가 사실상 친중 인사들로 채워질 가능성이 높아 중앙 정부의 입맛에 맞는 후보만 걸러낼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390] 결정이 발표된 당일 밤, 수백 명의 시민들이 정부 청사 인근에 모여 항의 시위를 벌였으며,[46][40] 학생 단체인 학민사조 등은 이 결정에 반발하여 수업 거부 운동을 시작했다.[390]

2014년 10월 홍콩 중문대학교가 실시한 여론조사(응답자 802명) 결과, 상무위원회 결정을 그대로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36.1%에 불과했다. 다만, 홍콩 정부가 향후 지명위원회를 민주화하겠다고 약속한다면 수용하겠다는 조건부 응답은 55.6%로 나타나, 시민들이 전면적인 반대보다는 절충안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41] 상무위원회의 결정은 향후 홍콩 입법회에서 논의될 선거 개혁안의 기본 틀이 되었으며, 이후 홍콩 사회의 격렬한 논쟁과 대규모 시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2. 3. 시위의 발단

대학생들과 시민단체가 주축이 되어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는 중국 공산당이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 반중(反中) 성향 인사를 후보군에서 배제하고 친중(親中) 성향 인사만 후보로 나설 수 있도록 선거 제도를 제한하자, 시위대가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촉발되었다.

중국영국의 협상 및 1984년 협정의 결과로, 홍콩은 1997년 7월 1일 중국에 반환되었고,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중국의 첫 번째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홍콩은 중국 대륙과는 다른 정치 체제를 유지하며, 독립적인 사법부는 영국법 체계 하에서 기능한다.[27][28] 홍콩 기본법은 반환 전에 중국 측이 공동 선언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작성한 헌법적 문서로,[29] 홍콩의 정치 체제를 규정한다. 이 법은 외교 관계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문제에 대해 홍콩이 높은 수준의 자치를 누린다고 명시하고 있다.[30] 또한, 공동 선언은 홍콩이 1997년 반환 이후 최소 50년 동안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홍콩 시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한다고 약속했다. 홍콩의 자치와 개인의 권리 및 자유 보장은 기본법에 명시되어 있으나, 최종 해석권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가 갖는다.[31][32]

홍콩의 행정 수반인 행정장관은 현재 1,200명으로 구성된 선거위원회에 의해 선출된다. 그러나 홍콩 기본법 제45조는 "궁극적인 목표는 민주적 절차에 따라 광범위하게 대표되는 지명 위원회의 지명을 통해 보통 선거로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33] 2007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17년 행정장관 선거에서 보통 선거를 통해 행정장관을 선출할 가능성을 열어주었고,[34] 이에 따라 필요한 선거 개혁을 시행하기 위한 첫 번째 협의가 2014년 초 5개월간 진행되었다. 당시 행정장관이었던 량전잉은 절차에 따라 상무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하여 행정장관 선출 방식 개정 필요성에 대한 심의를 요청했다.[35]

한편, 2013년 1월 법학자 데이븐슨은 정부의 선거 개혁안이 "보통 선거와 관련된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센트럴을 점거하는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을 제안하는 글을 발표했다.[36] 이를 계기로 2013년 3월에는 '오큐파이 센트럴 위드 러브 앤 피스'(Occupy Central with Love and Peace, OCLP)라는 단체가 결성되어 선거 개혁 제안 및 전략에 대한 여러 차례의 논의를 진행했다. 2014년 6월, OCLP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선거 개혁 제안에 대해 "시민 국민투표"를 실시했으며, 이 투표에는 등록 유권자의 5분의 1이 넘는 792,808명의 주민이 참여했다.[37]

이러한 홍콩 내 민주화 요구 움직임 속에서 2014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홍콩 특별행정구에서의 '일국양제' 정책 실천''이라는 제목의 백서를 발표하여 홍콩에 대한 "포괄적 관할권"을 주장했다.[38] 이 백서는 "홍콩 특별행정구의 높은 수준의 자치는 완전한 자치도, 분권화된 권한도 아니다"라며, "중앙 지도부가 위임한 대로 지역 문제를 처리하는 권한"이라고 명시하여 홍콩의 자율성에 대한 중국 중앙 정부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39]

일국양제 하에서 고도의 자치가 인정된 홍콩에서는 다음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부터 1인 1표의 "보통 선거"가 도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14년 8월 31일, 행정장관 후보는 반드시 지명위원회의 과반수 지지를 얻어야 하며, 후보자 수는 2~3명으로 제한한다는 결정을 내렸다.[389] 지명위원회의 다수가 친중파 인사들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홍콩의 민주화 단체인 "학민사조" 등은 이 결정이 사실상 중국 중앙 정부의 입장에 반하는 인물의 입후보를 배제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하며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 거부를 시작했다.[390]

이러한 학생 운동의 배경에는 이전의 경험이 있었다. 2011년 홍콩 정부는 의무 교육 과정에 중국 중앙 정부에 대한 애국심을 강조하는 내용(애국 교육)을 추가하려 했으나, 학생들로부터 "세뇌 교육"이라는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당시 황즈펑 등이 이끄는 10대 학생 중심의 학민사조가 대규모 시위를 조직했고, 결국 홍콩 정부는 해당 교육 과정 도입 계획을 철회해야 했다.[391]

3. 전개

중국영국의 1984년 협정에 따라 1997년 중국에 반환된 홍콩일국양제 원칙 아래 특별행정구 지위를 부여받았다. 홍콩 기본법은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고도의 자치와 함께 보통선거를 통한 행정장관 선출을 궁극적 목표로 명시했지만,[33] 실제 선거 제도는 선거위원회를 통한 간선제로 운영되었다.

2017년 행정장관 선거부터 보통선거를 도입하기 위한 선거 개혁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2014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백서를 통해 홍콩에 대한 "포괄적 관할권"을 주장하며 자치권이 중앙 정부의 위임 사항임을 강조했다.[38][39] 결정적으로 2014년 8월 31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는 행정장관 후보 자격을 친중 인사로 제한하고 후보 추천 절차를 통제하는 내용의 선거안을 결정했다.[17] 이는 사실상 보통선거 약속을 무력화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져 홍콩 시민 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에 오큐파이 센트럴 위드 러브 앤 피스(OCLP)와 학민사조, 홍콩 학생 연합회(HKFS) 등 학생 단체를 중심으로 민주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2014년 9월 22일, 학생들은 대규모 수업 거부에 돌입했고,[48][49][50] 9월 26일 밤 정부 청사 앞 시민 광장 점거를 시도하다 경찰의 강경 진압에 직면했다.[51][53] 이 사건을 계기로 OCLP는 9월 28일 센트럴 점령을 선언했으며,[61][62] 같은 날 저녁 경찰이 비무장 시위대를 향해 대량의 최루 가스를 발사하자[65][66][67] 분노한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면서 시위는 애드미럴티, 코즈웨이 베이, 몽콕 등 도심 주요 지역을 점거하는 대규모 운동으로 확산되었다.[83][88][73][74][75][76][77] 시위대가 경찰의 최루 가스 공격을 우산으로 막아내면서 이 시위는 '우산 혁명' 또는 '우산 운동'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시위는 수개월간 이어졌으나, 홍콩 정부와 학생 대표 간의 대화는 별다른 성과 없이 결렬되었고,[90][110] 시위대와 친중 성향 단체 간의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는 등[91][97] 갈등이 심화되었다. 시위 장기화에 따른 시민 불편과 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홍콩 당국은 11월 말부터 점거 지역에 대한 강제 철거에 나섰다.[452] 12월 15일, 마지막 점거 지역인 코즈웨이 베이가 정리되면서 79일간 이어진 대규모 도심 점거 시위는 막을 내렸다.[477][479]

3. 1. 2014년 9월

2014년 8월 31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 제10차 회의는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와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 대한 제한적인 안을 결정했다. 이 결정은 표면적으로는 보통선거를 허용하는 듯 보였으나, 실제로는 "행정장관은 나라를 사랑하고 홍콩을 사랑하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기준을 내세우며, 1200명의 선거위원회와 유사한 구조의 지명위원회가 후보자를 2~3명으로 제한하고, 각 후보자는 지명위원 과반수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이는 사실상 중국 중앙정부의 입맛에 맞는 후보만 출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로 해석되어 민주 진영의 큰 반발을 샀다.[17] 수백 명의 참정권 운동가들은 결정이 발표된 당일 밤 정부 청사 근처에 모여 항의 시위를 벌였다.[46][40]

9월 1일, NPCSC 결정을 설명하기 위해 홍콩을 방문한 리페이 부비서장은 해당 결정이 홍콩의 안정을 위한 것이며 "민주적" 절차라고 주장했으나, 친민주주의 진영은 이 결정이 사실상 후보자를 사전 검열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46] 설명회에 참석한 약 100명의 참정권 지지자 중 일부는 야유를 보내다 쫓겨났고,[46] 경찰은 리페이가 묵는 호텔 밖에서 시위하던 19명을 불법 집회 혐의로 체포했다.[45]

NPCSC 결정에 반발하여 민주당 등 범민주파 입법 의원들은 이 선거안을 거부할 것을 선언했고, 오큐파이 센트럴 위드 러브 앤 피스(OCLP)는 시민 불복종 시위를 예고하며 9월 14일 코즈웨이 베이에서 센트럴까지 검은 깃발 시위 행진을 벌였다.[46]

9월 13일, 학민사조 대표들은 정부 청사 밖에서 NPCSC 결정에 반대하는 소규모 시위를 열고, 9월 22일부터 대학생들의 수업 거부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저우융캉은 시위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지지의 의미로 노란 리본을 달 것을 제안했다.[47] 홍콩 학생 연합회(HKFS)와 학민사조는 학생들의 수업 거부를 조직했고, 9월 22일 오후 홍콩 중문 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린 집회에는 13,000명의 학생이 참여하며 본격적인 저항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48][49][50]

경찰이 시민 광장에서 시위하는 학생들을 포위하고 있다 (9월 27일)


학민사조는 정부 본부 단지 앞 타마 공원에서 9월 23일부터 26일까지 집회를 열기 위해 허가를 신청했으나, 마지막 날인 26일에는 친중 단체의 집회가 예정되어 있다는 이유로 불허되었다.[51] 이에 학생들은 26일, 경찰로부터 집회 허가를 받은 팀 메이 애비뉴로 이동하여 중앙 정부 청사 동쪽 입구 근처 도로를 점거했다.[52] 같은 날 오후 10시 30분경, 학민사조 소집인 황즈펑과 로언 등 학생 약 100명이 정부 청사 앞 시민 광장의 울타리를 넘어 진입을 시도했다. 이곳은 본래 시민에게 개방된 공간이었으나 당시 폐쇄된 상태였다. 학생들은 이를 "광장 재점령"이라 불렀다.[51][53] 황즈펑은 진입 직후 체포되었고,[51] 경찰은 광장으로 진입하려는 학생들에게 최루 스프레이를 분사하며 강경하게 대응했다.[51] 경찰은 광장 안의 시위대를 포위하고 밤새 연행 작전을 펼쳤다.[54][55]

9월 27일 새벽 1시 20분, 경찰은 홍콩 입법회 건물 밖에 모인 군중에게도 최루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일부 학생들이 부상을 입었다. 오후 1시 30분에는 시민 광장에서 2차 진압 작전을 벌여 남성 48명과 여성 13명을 추가로 연행했다.[57] 이날 총 78명이 체포되었으며,[59][60] HKFS 대표 저우융캉과 슈험 등 일부 학생 지도부는 30시간 이상 구금되었다.[58] 황즈펑은 체포된 지 46시간 만인 9월 28일 저녁, 고등법원의 인신 보호 영장 발부로 석방되었다.[51][56]

2014년 9월 28일 오전 10시 45분 – 홍콩 경찰에 의해 쫓겨난 시위대 이후 시민 광장 울타리에 노란 리본이 장식되어 있다


학생들의 시민 광장 점거 시도와 경찰의 강경 진압은 시위의 전환점이 되었다. 당초 10월 1일로 예정되었던 OCLP의 센트럴 점령 계획은 학생들의 참여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 앞당겨졌다.[61] 9월 28일 새벽 1시 40분, OCLP 창립자 중 한 명인 천젠민은 중앙 정부 청사 인근 집회에서 센트럴 점령 시작을 공식 선언했다.[61][62]

마스크와 리본을 착용한 민주주의 시위자, 시민당 위원회 위원 및 전 입법 의원 오드리 유가 2014년 9월 28일 오전 10시 53분 팀 메이 애비뉴 근처 룽 웨이 로드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우산 혁명 - 경찰이 평화 시위대를 최루탄으로 해산시켰다.


2014년 9월 28일 저녁 - 정부 청사 밖에서 시위대에 최루 가스 발사


야간에 경찰이 최루탄을 발사했을 때의 사진


28일 오전, 경찰이 팀 메이 애비뉴로 통하는 도로를 봉쇄하자 시위는 더욱 격화되었다. 시위 지도부는 시민들에게 애드미럴티로 모여 경찰을 포위할 것을 촉구했다.[63] 오후에는 팀 메이 애비뉴와 하코트 로드 교차로에 모인 시위대가 인도를 넘어 차도로 밀려 나오면서 자연스럽게 하코트 로드가 점거되었다.[64] 저녁 6시경, 경찰은 "경고, 최루 연기", "흩어져라, 그렇지 않으면 발사한다"는 경고 현수막을 내건 후 시위대를 향해 최루 가스를 발사하기 시작했다.[65][66][67][68][69] 경찰은 이날 총 87발의 최루탄을 발사했으며,[78][392] 일부 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레밍턴 모델 870 산탄총을 겨누기도 했다.[71] (이후 량전잉 행정장관은 경찰의 총격은 없었다고 부인했다.[72])

경찰이 비무장 평화 시위대에게 최루 가스를 대량 사용한 것은 시민들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이날 밤 수만 명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거리로 나와 애드미럴티 시위에 합류했으며,[83][88][73][233][74][75] 시위는 완차이, 코즈웨이 베이, 몽콕 등 홍콩의 다른 주요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88][76][77] 몽콕에서는 3,000명, 코즈웨이 베이에서는 1,000명의 시위대가 도로를 점거했으며,[74] 전체 시위대 규모는 최대 1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었다.[313][18] 시위대는 경찰의 최루 가스와 고추 스프레이를 막기 위해 우산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는 이후 시위의 상징이 되었다.[392] 이날 경찰의 진압 과정에서 최소 34명이 부상을 입었다.[79] 경찰 대변인은 "최대한의 관용"을 보였으며 시위대가 "폭력적으로 돌격"했기 때문에 최루 가스를 사용했다고 주장했지만,[80][81]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 등 언론은 경찰이 여성 시위자를 공격하는 장면을 보도하며 과잉 진압 논란이 일었다.[82] 홍콩 경찰이 자국 시민에게 최루 가스를 사용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마지막 사용 사례는 2005년 세계 무역 기구 각료 회의 당시 한국 시위대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67][80]

9월 29일, 경찰은 전날의 강경 진압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다소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며 협상가를 동원해 시위대의 해산을 촉구했다.[83] 이날 89명의 시위대가 추가로 체포되었고, 경찰 12명을 포함해 41명이 부상을 입었다.[83] 캐리 람 정무사장(당시)은 연말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던 정치 개혁에 대한 2단계 공개 협의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84]

9월 30일 자정까지 센트럴, 금종(애드미럴티), 코즈웨이 베이, 몽콕 등 홍콩의 주요 도심 지역은 시위대에 의해 점거된 상태가 지속되었다.[392]

3. 2. 2014년 10월

10월 1일 국경절을 맞아 홍콩에서 열린 집회에서 리페이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비서장은 8월 31일의 결정이 홍콩의 안정을 보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후보자 사전 심사 방식이 "민주적"이라고 강변하며, 보통선거 원칙을 훼손한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입장을 고수했다.[46] 약 100명의 참정권 지지자들이 이 집회에 참석했으며, 일부는 야유하다 쫓겨났다.[46] 경찰은 리페이가 묵고 있던 호텔 밖에서 시위하던 19명을 불법 집회 혐의로 체포했다.[45] 조슈아 웡과 학민사 회원들은 국기 게양식에 참석하여 국기를 등지는 방식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구의원 폴 짐머만은 식후 리셉션에서 노란 우산을 펼쳐 항의했다.[85][86] 시위대는 침사추이의 광동로 일부에 잠시 네 번째 점거 구역을 만들기도 했다.[87]

알렉스 차우가 2014년 10월 2일 17:54 점거 중심 시위 군중에게 연설하고 있다.


10월 2일, 활동가들은 중앙 정부 청사를 거의 포위했다.[88][89] 자정 직전, 홍콩 정부는 캐리 람 정무사장(정부 서열 2위)을 통해 학생 지도자들과 정치 개혁에 대한 대화를 열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후보자 사전 심사를 철회하라는 시위대의 최후통첩에 대한 응답이었으나, 렁춘잉 행정장관은 사임 요구를 거부했다.[90][393] 일부 학생들은 정부의 시간 벌기라며 반발했다.[393]

10월 3일, 몽콕과 코즈웨이 베이에서 삼합회 조직원으로 의심되는 인물들을 포함한 반(反)점거 시위대가 텐트와 바리케이드를 철거하며 선거권 지지자들을 공격하는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91][97][92][93] 이 과정에서 학생과 언론인들이 부상을 입었다.[91][94][95] 홍콩 외국 특파원 클럽은 경찰이 용의자를 체포했다가 즉시 석방했다고 비판했다.[96] 일부에서는 정부가 삼합회를 동원해 시위대를 해산시키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97][105] 몽콕 지역 사업체 소유주인 삼합회가 시위대에 반감을 가졌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75] 경찰은 20명을 체포했으며, 이 중 8명은 삼합회 관련자로 알려졌으나 보석으로 풀려났다.[97][219][394][395] 학생 지도자들은 정부가 폭력 사태의 배후라고 비난하며 예정된 대화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98] 한편, 3일 밤 침사추이 일부 도로를 점거했던 시위대는 해산했다.[396][397]

10월 4일, 파란 리본을 단 반대 시위대가 경찰을 지지하며 행진했다.[99] 친정부 성향의 홍콩 사랑의 목소리와 캐어링 홍콩 파워 등의 단체는 시위대를 비판하고 경찰의 강경 대응과 중국 인민 해방군 투입까지 지지한다고 발표했다.[100][101] 오후에는 렁춘잉 행정장관이 월요일까지 정부 기능과 학교 운영이 정상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만광 전 민주당 의원은 상황이 위험하다며 대화를 촉구했다.[102] 학생 연맹은 정부의 해명을 요구하며 거리 점거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103] 라이통콕 보안장관은 경찰 대응에 대한 비판을 부인하며, 애드미럴티와 몽콕에서의 대응 차이는 지리적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시위대의 바리케이드가 경찰 지원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104] 언론인 폭행 사건은 홍콩 외국 특파원 클럽, 홍콩 기자 협회, RTHK 등에서 강력히 규탄했다.[106] 전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 3명은 행정장관에게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107] 이날 오후, 홍콩 5개 대학 총장들이 금종 집회 현장을 방문하여 학생들을 위로했다.[398]

10월 5일, 대학 총장들을 포함한 여러 주요 인사들이 학생들에게 안전을 위해 해산할 것을 촉구했다.[108] 경찰의 강제 해산 작전은 실행되지 않았다.[109] 정부는 시위대가 도로 점거를 풀면 대화하겠다고 제안했고, 밤늦게 시위대의 안전 보장을 약속했다. 이에 홍콩 학생 연합회(HKFS) 대표 알렉스 차우는 캐리 람과의 대화 준비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109] 홍콩 8개 대학 총장들은 학생들에게 즉시 해산을 요구하며, 홍콩 중문 대학교 총장 선주야오는 "물러선다고 해서 실패한 것은 아니다"라고 호소했다.[399]

10월 6일, 학생 단체는 대화의 조건으로 ▲여러 차례 진행 ▲대등한 대화 ▲정부의 결과 이행 보장 등 3가지를 제시하며, 수용되지 않으면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정부 청사로 통하는 보도의 일부 바리케이드를 철거하여 공무원들의 도보 출근을 허용했다. 그러나 홍콩 정부는 도로 점거 해제 등 완전한 철수를 요구했다.[400] 소매업 단체인 홍콩 소매 관리 협회는 10월 1일부터 5일까지 주요 상업 지구의 소매 매출이 30~45% 감소했다고 발표하며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10월 8일부터 15일까지 홍콩 중문 대학교가 실시한 여론 조사(응답자 802명)에서는 36.1%만이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의 결정을 수용한다고 답했다. 정부가 향후 지명위원회를 민주화하겠다고 제안할 경우 수용률은 55.6%로 상승했다.[41]

10월 9일, 홍콩 정부는 10월 10일로 예정되었던 학생 지도자들과의 대화를 취소한다고 발표했다.[110] 캐리 람은 "불법 행위와 대화 여부를 연결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111] 알렉스 차우는 정부가 시위 규모가 줄어들자 대화를 취소한 것이라며 시민들에게 다시 거리로 나올 것을 촉구했다.[111] 범민주 진영 입법 의원들은 정부 운영을 방해할 수 있는 비필수 예산안을 거부하겠다고 경고했다.[220] 같은 날, 렁춘잉 행정장관이 외국 기업으로부터 비밀리에 보수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401][402]

10월 10일, 경찰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수천 명의 시위대가 텐트를 가지고 다시 거리로 모여들었다.[220] 애드미럴티의 하코트 로드에는 100개 이상의 텐트가 설치되었고, 음식 및 응급 처치 텐트도 마련되었다. 시위대 규모는 다음 날까지 계속 증가했다.[112] 추정 1만 5천 명이 넘는 인파가 모여 "점거를 계속하라"는 구호를 외치고 레 미제라블의 "민중의 노래"를 광둥어로 불렀다. 조슈아 웡은 장기 점거를 호소했다.[403][404] 이날 학민사조 대변인 아그네스 차우가 심적 고통을 이유로 사임했다.[405]

10월 11일, 학생 지도자들은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렁춘잉 행정장관이 제출한 보고서가 여론과 "홍콩 사람들의 진정한 소망"을 무시했다고 주장했다.[113]

10월 15일 새벽, 센트럴에서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려다 경찰에 의해 해산되었다.[406] 이어 오전 3시경, 경찰 수백 명이 룽와 도로의 바리케이드를 강제 철거하며 시위대에 고추 스프레이를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45명(남성 37명, 여성 8명)이 체포되었다.[407][408][409][410][411][412][413] 이날 경찰의 시위대 폭행 사건이 여러 건 발생했으며, 특히 시민당 당원 켄 창 킨치우(曾健超)가 경찰관 6명에게 집단 구타당하는 장면이 민영 방송사 TVB에 의해 촬영 및 보도되어 큰 파문을 일으켰다.[414][415][416] TVB가 이후 뉴스 보도에서 "때리고 발로 차는" 등의 표현을 삭제하자, TVB 뉴스부 직원 27명이 이에 항의하는 공개 성명을 발표했다.[417]

10월 16일, 캐리 람 행정장관은 다음 주 학생들과의 대화를 재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경찰 폭행 문제로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대학 총장들의 중재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학생 단체 측도 같은 날 밤 대화 수용 의사를 표명했다.[418]

10월 20일, 렁춘잉 행정장관은 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주민이 직접 후보를 지명하게 되면 평균 월수입 1800HKD 이하의 저소득층이 선거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민주파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한 중국 정부가 최종 승인권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했다.[419] 이 발언은 큰 논란을 일으켰다.

10월 21일, 홍콩 정부 관계자와 학생 단체 지도자 간의 첫 공식 대화가 열렸다. 수천 명의 시민들이 거리에서 TV 중계로 대화를 지켜봤다. 정부는 시위대의 견해를 담은 보고서를 중앙 정부에 제출하겠다고 밝혔지만, 후보자 제한 방침 철회 요구는 거부했다. 학생 측은 정부가 시민 의견을 제대로 전달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420][421]

사자산에 걸린 거대한 현수막


10월 23일, 구룡반도의 사자산 절벽에 "我要真普選 (진정한 보통 선거를 원한다)"라고 적힌 길이 28m의 대형 현수막이 걸렸다. 이는 렁춘잉 행정장관의 저소득층 발언에 대한 항의 표시로, 노동자 계층 거주 지역인 구룡의 상징적인 장소에 설치된 것이다.[422] 또한 노란 우산을 든 시진핑 총서기 사진이 놓이기도 했다.[423]

금종에 놓인 학생 자습실


금종에 놓인 "노란 우산 거인"의 조각


몽콕에 설치된 기독교 예배소


10월 25일, 학생 측은 정부의 제안(▲중앙 정부 보고, ▲다양한 의견 수렴의 장 마련)에 대한 찬반을 묻는 투표를 26일과 27일에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투표는 점거 지역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광장 투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424]

10월 27일, 민주파 단체 지도부는 투표 내용과 방식에 대한 내부 이견으로 시민 투표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시위 장기화로 경제 활동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우려가 커졌다. 당초 10월 시작 예정이었던 홍콩-상하이 증시 간 주식 교차거래(후강퉁) 시행이 연기되었는데, 홍콩 침례 대학교의 장피에르 카베스탕 교수는 이를 시위 사태를 해결하지 못하는 홍콩 정부에 대한 중국 중앙 정부의 압력으로 분석했다.[425]

10월 29일, 중국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상무위원회는 홍콩의 친중파 정당인 자유당 대표 티안 베이준 입법회 의원을 정협 위원에서 해임했다. 티안 의원이 시위 수습을 위해 렁춘잉 행정장관의 사퇴 검토를 요구했기 때문이었다. 이는 렁 장관 사퇴 요구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홍콩 친중파에 대한 압박으로 해석되었다.[426][427] 같은 날, 주영 중국 대사 류샤오밍은 영국 재무장관 존 차와 회담하고 영국에 내정 간섭을 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428][429]

10월 30일, 홍콩 학생 운동 지도부는 다음 달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국 지도부에 민주화를 호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홍콩 학생 연합회의 알렉스 차우 사무총장은 APEC 정상회의 기간을 활용할 계획이며, 지지자들과의 협의 및 실현 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430]

가수 데니스 호는 시위에 참여하여 지지 의사를 표명하고, 황야오밍과 함께 시위 응원곡 '우산을 들어올려'()를 작곡했다. 이들은 '문화계 감찰 폭력 행동조'() 소속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데니스 호는 12월 11일 강제 퇴거 과정에서 체포되었다.[483] 반면, 배우 성룡은 시위로 인한 경제적 손실(3500억홍콩 달러)을 언급하며 시위대를 비판하고 이성적인 대응과 애국심을 호소했다.[484] 시위 지지 의사를 밝힌 배우 황추생이 주연한 영화 '잠룡풍운'은 중국 본토 일부 영화관에서 상영이 중단되었고, 홍보물에서 그의 모습이 삭제되기도 했다.[485]

홍콩의 교회들은 시위 참가자들에게 식사나 숙박 장소를 제공하는 등 지원 역할을 했다. 가톨릭 홍콩 교구의 진르쥔 추기경은 10월 24일 정부 청사 앞에서 민주화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요 교회 조직들은 대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으나, 탕한 추기경은 정부의 자제와 시위대의 침착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진르쥔 추기경은 12월 3일 다른 운동 지도자들과 함께 경찰에 자진 출두했다.

3. 3. 2014년 11월 ~ 12월

11월 1일, 다마오산의 홍콩 천문대 레이더 기지 부근에 "나는 진정한 보통 선거를 원한다"라고 쓰인 거대한 현수막이 다시 등장했다.[432] 다음 날인 2일에는 다이둥산에서도 같은 내용의 현수막이 걸렸다.[433]

11월 4일에는 금종 점거 지역에 풍력 발전 장치가 설치되었다.[434] 이는 점거 중인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435]

11월 6일, 몽콕에서 시위대와 경찰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빈과일보의 여성 기자를 포함한 11명이 부상했다. 해당 기자는 경찰이 고추 스프레이를 살포할 때 넘어진 것으로 알려졌다.[436] 같은 날, 인권 단체 국제앰네스티는 중국 본토에서 홍콩 시위에 찬성 의사를 표명한 최소 94명이 구금되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제앰네스티 일본 지부는 베이징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등에서 중국 측에 이들의 석방을 촉구할 것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대신에게 요청했다. 구금된 이들은 주로 식사 자리에서 지지 플래카드를 들거나 관련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올린 활동가와 예술가들이었으며, 수십 명은 '소란을 일으킨 혐의'로 정식 체포되었다.[437]

11월 7일, 베를린에서 열린 독일 신문 Die Welt 문학상 시상식에 참석한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을 앞두고 "벽이 있는 세상에서 벽이 없는 세상의 풍경을 생생하게 상상하면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며, "이 메시지를 홍콩의 젊은이들, 지금 벽에 맞서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보내고 싶다"고 말하며 홍콩 시위대에 지지를 보냈다.[438] 한편, 같은 날 홍콩 학생 단체 멤버들이 중국 선전으로 입국하려 했으나, '국가 안전에 반하는 활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중국 당국으로부터 입국을 거부당했다. 이로 인해 학생 단체는 APEC 기간 중 베이징 방문 계획을 보류했다.[431]

11월 8일, 시위 초기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던 데이지 야오팅 홍콩 대학교 교수는 홍콩 공영 라디오를 통해 불법 집회 참가 책임을 인정하고 수 주 내 자수할 의사를 밝혔다. 그는 시위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견해를 보이며 학생들에게 시위 수습 방안 검토를 촉구했다. 또한, 입법회 민주파 의원들의 사퇴를 통한 보궐선거 실시 검토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439]

11월 9일, APEC 정상회의 참석차 베이징을 방문한 량전잉 홍콩 행정장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면담했다. 시 주석은 "중앙 정부는 앞으로도 일국양제홍콩 기본법을 관철하며, 법에 따라 민주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것을 강력히 지지한다"고 말했다. 렁 장관은 면담 후 기자회견에서 중앙 정부가 홍콩 정부의 입장을 지지했다고 밝혔으며, 학생 단체의 중앙 정부 간부 면담 요구에 대해서는 "지도자들도 그들의 요구를 분명히 이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지연되고 있는 주식 교차거래 시행에 대해 "중앙도 지지하고 있으며, 조만간 일정이 공표될 것"이라면서도 "법치와 질서 유지가 중요한 조건"이라고 덧붙여 시위가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했다.[440]

11월 15일, 홍콩 학생 연맹의 저우융캉 사무총장, 상임위원 로관총, 승무 비서 종야오화 3명은 중국 정부에 직접 요구사항을 전달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가려 했으나, 홍콩 국제공항에서 항공사로부터 "중국 측의 통보로 통행증(비자) 효력이 취소되어 탑승시킬 수 없다"는 설명을 듣고 탑승을 거부당했다.[441][442] 학생 단체는 베이징행에 맞춰 리커창 총리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발표하여 "홍콩인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올바른 판단을 내려달라", "함께 현실을 직시해달라"고 호소했다.[441][442] AP 통신사 기자는 이들이 타려던 좌석에 '앉지 마시오'(不要坐)라는 쪽지가 붙어 있었다고 전했다.[443]

11월 18일, 홍콩 당국은 금종의 도로 일부에서 바리케이드 철거 작업을 시작했다. 사법 당국자와 경찰관 수십 명이 정부 청사 인근 빌딩 출입구 등의 장애물 제거에 나섰으며, 《명보》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찰 500명 이상이 대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홍콩 학생 연맹의 저우융캉 사무총장은 강제 집행에 대한 대응은 개별 시위 참가자의 결정에 맡기겠다고 밝혔다.[444]

11월 19일 새벽, 금종에 있는 입법회 건물 입구의 유리문을 시위대 일부가 철책 등으로 파손하고 건물 내로 잠시 진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최루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제압했으나, 반발한 시위대와 충돌이 이어져 경찰 3명이 부상했다.[445] 경찰은 18세에서 24세 사이의 남성 6명을 체포했다.[446] 홍콩 학생 연맹 측은 이 사건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447] 한편, 몽콕에서는 시위에 반대하는 버스 회사와 택시 업계 단체가 법원에 바리케이드 철거를 요구했고, 버스 회사 측 대리인 등이 법원 명령에 따라 바리케이드를 철거하겠다는 통고문을 부착했다. 법원 명령에 따라 20일 경찰과 함께 철거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448]

11월 20일, 마지막 홍콩 총독이었던 크리스 패튼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은 미국 의회 산하 중국 문제 집행위원회 청문회에 화상으로 참여하여, 세계 각국이 민주주의와 인권 문제로 중국에 맞서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학생들에게는 주장이 충분히 전달되었다며 도로 봉쇄 해제를 촉구했다.[449][450]

11월 21일, 시민 60여 명이 영국 영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홍콩 반환 시 체결된 중영 공동 선언의 이행과 영국 정부의 개입을 요구했다.[451]

11월 25일, 홍콩 법원의 명령에 따라 몽콕 지역에서 바리케이드와 텐트의 강제 철거가 시작되었다. 경찰 당국은 3천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했으며, 저항하는 시위대 80명 이상을 체포했다. 법원 집행관들은 오전부터 퇴거 경고 후 장애물 철거를 시작했고, 오후에는 경찰이 투입되어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시위대를 강제 해산했다. 체포자 중에는 민주파 입법회 의원도 포함되었다. 이날 하루 체포자 수는 시위 시작 이후 최대 규모였다. 철거는 일부 도로에서 진행되었으나, 주변 도로에서는 이에 반발하는 시위대 수천 명이 모여 경찰과 대치하며 혼란이 계속되었다. 경찰은 최루액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며 진압에 나섰다.[452][453] 시위 발기인인 데이븐슨, 주야오밍, 첸젠민 3명은 12월 초 자수할 의사를 밝혔다.[454]

11월 26일, 경찰은 몽콕의 주요 도로인 네이선 로드에서 바리케이드와 텐트를 완전히 철거하고 시위대를 강제 해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학생 단체 학민사조의 지도자인 황즈펑과 레스터 샴을 체포했다.[455][456]

11월 28일 밤부터 29일 새벽까지, 몽콕에서는 바리케이드 철거에 항의하는 500명 이상의 시위대가 경찰과 충돌했다. 경찰 발표에 따르면 남녀 28명(16~52세)이 체포되었고 경찰 8명이 부상했다. 시위대는 '진정한 보통 선거를 요구한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경찰과 대치했고, 경찰은 최루 스프레이와 곤봉을 사용하며 진압에 나섰다. 시위대는 우산을 펼쳐 저항했으며, 29일 아침까지 몽콕을 떠났다.[457] 몽콕 지역 상점들의 매출 감소를 우려한 렁춘잉 행정장관이 25일 "시위대가 배제되면 몽콕에 더 쇼핑하러 와달라"고 호소하자, 시위대는 몽콕에서 연일 "쇼핑하러 왔다"는 구호를 외치며 행정장관을 비꼬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458]

11월 30일 밤, 금종의 정부 청사를 포위하려던 시위대와 경찰 간의 충돌이 12월 1일 아침까지 이어졌다. 금종 외 다른 지역에서도 산발적인 충돌이 발생했으며, 1일 오전까지 총 5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경찰은 1일 오전 8시경 금종 충돌 현장에서 500명 이상의 시위대 해산을 거의 완료했으며, 이 과정에서 40명을 체포하고 경찰 11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했다. 시위대 측에서도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현장은 큰 혼란에 빠졌다. 경찰은 곤봉과 최루 스프레이 외에 물대포까지 동원하여 시위대를 진압했다.[459] 시위 장기화로 시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행정 당국이 강제 철거에 나서면서 시위 규모는 축소될 수밖에 없었고, 시위대는 거점을 금종으로 거의 집중시켰다.[460]

12월 1일, 학민사조의 리더 황즈펑은 18세 대학생과 17세 고등학생 여성 시위 참가자 두 명과 함께 무기한 단식 투쟁에 돌입했다. 이는 정부 측의 양보를 압박하기 위한 시도였다.[462][463]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단식 선언'을 발표했다.[464] 한편, 학생 단체 지도부는 정부 본부 포위 시도 실패에 대해 사과했다.[465]

12월 2일, 시민 단체 '오큐파이 센트럴'의 발기인 3명 데이븐슨, 주야오밍, 첸젠민은 경찰에 자진 출두하여 법적 책임을 지겠다고 발표했다.[461]

12월 3일, 예고대로 '오큐파이 센트럴' 발기인 3명을 포함한 65명이 경찰에 출두했다. 경찰은 이들의 출두 절차만 진행하고 체포는 하지 않았다. 데이븐슨은 경찰서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같은 날, 홍콩 학생 연맹의 저우융캉 사무총장은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점거를 계속하는 것은 정부에 대한 압력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466] 한편, 영국 의회 하원 외교위원회 의원단의 홍콩 방문 계획이 중국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영국 의원단은 중영 공동 선언 30주년을 맞아 홍콩을 방문하여 정치·경제 관계 및 민주 개혁 노력을 조사할 예정이었으나, 런던 주재 중국 대사관은 11월 28일 입국 거부 의사를 전달했다. 외교위원회 리처드 오타웨이 위원장은 이를 "노골적인 대결 자세"라고 비판했으며, 영국 외무성도 유감을 표명했다.[467] 오타웨이 위원장은 12월 2일 하원에서 주영 중국 대사관 차석대사가 중영 공동 선언이 이미 '무효'가 되었다는 견해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위원장과 전 외무장관 맬컴 리프킨드 의원 등은 강하게 반발했다.[468] 중국 외교부 화춘잉 대변인은 "비자 발급 여부는 국가 주권의 문제"라며 영국의 방문 시도는 "양국 관계 발전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467][469]

12월 5일, 홍콩 고등 법원은 금종 간선 도로 점거 금지 명령에 대한 시위대의 이의 신청을 기각했다. 점거 금지를 신청한 버스 회사는 다음 주 초 강제 집행 방법을 논의할 예정이었으며, 바리케이드와 텐트의 강제 철거는 10일 이후로 예상되었다. 렁춘잉 행정장관은 학생 단체와의 대화에 대해 "(선거 제도 개혁에 관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에 근거하는 것이 전제"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470] 학생 단체 '대학생 연합회'(학련)는 4일 밤, "점거 철수 여부를 1주일 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학민사조 소속 학생 5명은 정부와의 대화를 요구하며 단식 투쟁을 이어갔으나, 정부 측은 선거 제도 결정 프로세스 재시작을 전제로 한 대화 요구를 거부했다.[471]

12월 6일, 단식 투쟁 중이던 황즈펑은 의사의 권고에 따라 단식을 중단했다. 건강 악화와 혈당치 저하가 원인이었다. 다른 두 명의 학생도 건강 문제로 이미 단식을 중단한 상태였다.[472][473]

12월 11일, 홍콩 당국은 경찰 약 7,000명을 투입하여 시위 최대 거점인 금종의 간선 도로에서 바리케이드와 텐트 등을 강제 철거했다. 이 과정에서 홍콩 학생 연맹 대표 저우융캉 등 약 150명이 체포되었다. 금종에서의 강제 해산은 이날 완료되었으며, 이로써 75일간 이어진 도로 점거 시위는 사실상 종결되었다. 당국은 오전부터 고등 법원의 점거 금지 명령 집행 형태로 철거를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큰 저항 없이 진행되었다. 오후 들어 경찰은 모든 시위대에게 해산을 경고했고, 1,000명 이상의 시위 참가자 대부분은 자진 해산했다. 경찰은 남은 시위대를 포위하며 장애물을 모두 철거했다. 저우융캉을 비롯한 학생 지도자들, 민주파 입법회 의원들, 빈과일보 리쯔잉(지미 라이) 회장 등 약 150명은 정부 청사 앞 도로에 앉아 연행을 기다렸고, 경찰은 오후 4시부터 약 5시간에 걸쳐 이들을 모두 체포했다. 저우융캉은 체포 직전 "강제 해산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는 없다. 시민들의 저항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코즈웨이 베이(퉁뤄완) 점거 지역도 강제 해산할 방침임을 밝혔다.[474]

12월 12일, 시위를 주도한 두 학생 단체(홍콩 학생 연맹, 학민사조)는 재점거를 촉구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당국의 강제 해산을 사실상 수용했다. 황즈펑은 "강제 해산이 '우산 운동'의 수습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단기적으로는 행동하지 않겠다"고 말했고, 레스터 샴 간사장은 "학생도 이기지 못했지만, 정부도 이기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경찰은 시민들에게 점거 장소 복귀 시 단호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금종에서 체포된 249명 중 입법회 의원과 학생 지도자들은 12일 새벽까지 대부분 보석으로 풀려났다. 경찰은 남은 코즈웨이 베이 지역의 강제 해산 시점을 추후 공표하겠다고 밝혔다.[475][476]

12월 15일, 홍콩 경찰은 마지막 점거 지역인 코즈웨이 베이(퉁뤄완) 대로에서 시위대를 강제 해산시켰다. 이로써 9월 말 시작된 도로 점거 시위는 79일 만에 완전히 종결되었다.[477] 이 과정에서 공민당 케네스 찬 의원 등 17명이 구금되었다.[478] 같은 날 렁춘잉 행정장관은 시위가 끝났음을 공식 선언했다.[479]
시위에 대한 각계 반응

  • 가수 데니스 호는 시위 현장에 나타나 "학생들의 행위는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홍콩을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며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482] 이후 황야오밍과 함께 시위 지지곡 '우산을 들어올려'(撑起雨傘)를 작곡했으며, 폭력 감시를 위한 문화계 인사 모임 '문화계 감찰 폭력 행동조'(文化界监察暴力行动组)에도 참여했다. 그는 12월 11일 강제 해산 과정에서 체포되었다.[483]
  • 배우 성룡은 시위로 인한 경제적 손실(3500억홍콩 달러)을 언급하며 "매우 걱정된다"고 시위대를 비판했다. 그는 웨이보에 "강한 나라가 없으면 풍요로운 집도 없다"는 애국적인 노래 가사를 인용하며 "이성을 되찾아 우리의 나라와 홍콩을 사랑하자"고 호소했다.[484]
  • 배우 황추생이 주연을 맡은 홍콩 영화 '대차반'(중국 본토 개봉명 '잠룡풍운')은 중국 본토 일부 영화관에서 상영이 갑자기 보류되었다. 한 극장에는 "(홍콩 민주파를 지지하는) 황추생이 주연을 맡아 상영을 중단한다"는 안내문이 붙었으며, 중국 본토용 홍보 포스터에서도 황추생의 모습과 이름이 삭제되었다.[485]
  • 홍콩의 교회들은 시위 참가자들에게 식사나 숙박 장소를 제공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시위 주최자나 지지자 중 일부는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운동의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 가톨릭 홍콩 교구의 진르쥔 추기경은 10월 24일 정부 청사 앞에서 시위대에게 민주화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12월 3일에는 오큐파이 센트럴 발기인들과 함께 경찰에 자진 출두했다. 홍콩의 주요 교회 조직들은 대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으나, 가톨릭 교회 주교인 탕한 추기경은 9월 29일에 짧은 성명을 발표하여 홍콩 정부가 "기동대에 의한 실력 행사에 관해 자제심을" 발휘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시위 참가자에게는 항의를 표명함에 있어 "침착할" 것을 호소했다.

4. 주요 쟁점

중국영국 간의 협상 및 1984년 협정에 따라, 홍콩은 1997년 7월 1일 중국에 반환되었으며, '일국양제' 원칙 하에 중국의 첫 번째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홍콩은 중국 대륙과는 다른 정치 체제를 유지하며, 독립적인 사법부는 영국법 체계에 기반한다.[27][28] 홍콩 기본법은 반환 이전에 중국 측이 공동 선언의 조건에 따라 마련한 헌법적 문서로[29], 홍콩의 정치 체제를 규정한다. 이 법은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사안에 대해 홍콩이 고도의 자치권을 누린다고 명시하고 있다.[30] 또한, 공동 선언은 홍콩이 반환 후 최소 50년간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시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한다고 규정했다. 홍콩의 자치권 및 시민의 권리와 자유는 기본법에 명시되어 있으나, 그 해석 권한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에 있다.[31][32]

홍콩의 행정 수반인 행정장관은 현재 1,200명으로 구성된 선거위원회를 통해 선출된다. 그러나 홍콩 기본법 제45조는 "궁극적인 목표는 민주적 절차에 따라 광범위하게 대표되는 지명 위원회의 지명을 거쳐 보통 선거로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33] 2007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17년 행정장관 선거부터 보통 선거를 통해 행정장관을 선출할 가능성을 열었으며,[34] 이를 위한 선거 개혁 논의가 2014년 초 5개월간 진행되었다. 당시 행정장관 량전잉은 절차에 따라 상무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하여 행정장관 선출 방식 개정 필요성 검토를 요청했다.[35]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3년 1월, 법학자 데이븐슨은 정부의 선거 개혁안이 "보통 선거에 관한 국제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센트럴을 점거하는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을 제안했다.[36] 이에 따라 2013년 3월 '사랑과 평화로 센트럴을 점령하라'(Occupy Central with Love and Peace, OCLP) 운동이 조직되어 선거 개혁 방안과 전략을 논의했다. 2014년 6월, OCLP는 자체적인 선거 개혁안에 대한 "시민 투표"를 실시했고, 홍콩 등록 유권자의 5분의 1이 넘는 792,808명이 참여했다.[37]

한편, 2014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홍콩 특별행정구에서의 '일국양제' 정책 실천'' 백서를 발표하며 홍콩에 대한 "전면적 통치권(포괄적 관할권)"을 주장했다.[38] 백서는 "홍콩 특별행정구의 고도 자치는 완전한 자치나 분권이 아니며, 중앙 정부가 위임한 권한 내에서 지역 사무를 처리하는 것"이라고 명시하여 홍콩의 자치권에 대한 중국 중앙 정부의 해석을 드러냈다.[39]

결정적으로 2014년 8월 31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10차 회의는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와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 관한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은 형식적으로는 보통 선거를 허용했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제한을 두었다. 행정장관 후보자는 "국가를 사랑하고 홍콩을 사랑하는 인사"여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했으며, 선출 방식 역시 이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갖춰야 한다고 규정했다. 구체적으로, 2017년 행정장관 선거에서는 기존 선거위원회와 유사한 1,200명 규모의 지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에서 위원 과반수의 지지를 얻은 2~3명의 후보자만을 선출하도록 했다. 이렇게 지명된 후보자 중에서 보통 선거를 통해 당선된 행정장관은 최종적으로 "중앙인민정부의 임명"을 받아야 했다. 2016년 입법회 선거 방식은 변경되지 않았으나, 향후 입법회 보통 선거 역시 베이징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를 명시했다.[17]

상무위원회의 결정은 홍콩 입법회가 마련할 선거 개혁안의 틀을 제시한 것이었으나, 홍콩 내 민주 진영에서는 이를 사실상 보통 선거 약속의 후퇴이자 민주주의 원칙 훼손으로 받아들였다. 친민주 진영은 중국 중앙 정부가 보기에 부적합한 후보자를 사전에 배제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46] 발표 당일 밤, 수백 명의 시민들이 정부 청사 인근에 모여 항의 시위를 벌였다.[46][40] 민주당 소속 입법의원들은 이 선거안을 거부하겠다고 선언했으며, OCLP는 시민 불복종 운동을 예고했다.[46] 10월 1일, 리페이 상무위원회 부비서장은 홍콩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이 결정이 홍콩의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민주 진영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46]

홍콩 중문대학교가 10월 8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응답자 802명)에 따르면, 상무위원회 결정을 수용한다는 응답은 36.1%에 그쳤다. 다만, 홍콩 정부가 향후 지명위원회를 민주화하겠다고 약속한다면 수용률이 55.6%로 상승할 수 있다는 조건부 응답도 있었다.[41] 이처럼 행정장관 보통 선거 방식을 둘러싼 중국 중앙 정부의 입장과 홍콩 시민 사회의 민주화 요구 사이의 간극이 2014년 홍콩 시위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5. 영향

2014년 홍콩 시위는 홍콩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수만 명의 시민들이 도심 주요 지역을 장기간 점거하며 민주적인 선거 제도 개혁을 요구했으나, 홍콩 정부와 중국 중앙 정부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46][149] 이 과정에서 시위대와 경찰 간의 충돌이 발생했으며, 특히 경찰의 최루탄 사용과 과잉 진압 논란은 국내외적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65][66][67][133][134] 시위 장기화로 인해 교통 혼잡, 상업 활동 위축 등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으며,[205][206][216] 시위를 둘러싼 찬반 논쟁은 홍콩 사회의 분열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91][92][93][99][100][101] 국제 사회 역시 시위에 큰 관심을 보이며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들이 입장을 표명했고, 특히 중국 정부의 외세 개입 주장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21][329][527][270] 시위는 직접적인 정치 개혁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지만, 홍콩 시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홍콩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5. 1. 홍콩 사회에 미친 영향

시위는 홍콩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지지와 반대 의견이 충돌했으며, 이는 홍콩 사회의 분열상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정치 및 사회 각계 반응

  • 정부 및 친중 진영: 중국 정부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의 결정을 옹호하며 시위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량전잉 행정장관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46][288][272][289] 중국 관영 매체들은 시위가 법치주의를 훼손하고 경제에 피해를 준다고 비판하며 '상상할 수 없는 결과'를 경고했다.[281][282][283][284][285] 량전잉 행정장관은 시위대의 요구인 보통선거 도입이 빈곤층에게 유리한 복지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고,[142][143] 자신의 사임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15] 행정회의 위원인 로라 차는 미국의 노예 해방과 투표권 획득 사이의 시간 간격을 언급하며 홍콩이 기다릴 수 있지 않냐는 발언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고, 결국 유감을 표명했다.[313][314][315][316] 친중파 자유당 소속 톈베이는 량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직에서 해임되기도 했다.[164][165][166][167] 친중 단체인 애호홍콩역량 등은 시위가 일반 시민에게 피해를 주고 외세(특히 미국)의 영향을 받았다며 비판했다.[101][503] 전 입법회 의장 리타 판 역시 외세 개입설을 주장했다.[308]

  • 범민주 진영 및 학생: 민주당 등 범민주 진영은 NPCSC의 결정이 비민주적이라며 거부 의사를 밝혔고,[46] 센트럴 점거(OCLP)와 학민사, 홍콩 학생 연합회(HKFS) 등 학생 단체들은 수업 거부와 도심 점거 시위를 주도했다.[46][47][48] 이들은 정부와의 대화를 시도했으나,[90][109][145]-[ref name="wiki-148"/> 정부가 시민 지명 후보 제안을 수용하지 않고 NPCSC 결정을 고수하자 실망감을 표하며 협상은 큰 진전을 보지 못했다.[149][150][110][162] 학생 지도자들은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렁 장관의 보고서가 홍콩 시민의 뜻을 왜곡했다고 비판했다.[113] 전 정무사장 안손 찬은 영국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하며 홍콩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307] 민주당의 앨버트 호 의원은 시위대에 대한 폭력 배후에 중국 당국의 개입 가능성을 제기했다.[311] 노동당 당수 리줘런은 홍콩의 미래를 위해 자치와 자유가 보장된 민주 사회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시위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 법조계: 홍콩 변호사회는 9월 28일 경찰의 최루탄 사용에 관해 비난을 표명하고 과도한 폭력 행사를 하지 않도록 성명을 발표했다.[489] 또한 10월 3일에는 500명의 변호사가 애드미럴티에서 검은 옷을 입고 촛불을 들고 경찰의 최루탄 사용에 항의했다.[490] 홍콩 최종항소법원 초대 수석판사였던 리궈넝은 학생들의 안전을 우려하며 해산을 촉구했다.[491]

  • 학계: 8개 대학 총장들은 학생들의 안전을 이유로 해산을 촉구했으나,[108] 홍콩 중문 대학 총장 션조셉은 학생들의 행동에 이해를 표하며 대화를 촉구했고,[480] 홍콩 대학교 총장 피터 매티슨은 최루탄 사용을 비판했다.[481]

  • 종교계: 홍콩의 교회들은 시위 참가자에게 식사나 숙박 장소를 제공하는 등, 항의 활동 속에서 눈에 띄지 않지만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486] 시위 집회의 주최자나 지지자 중에는, 그 운동의 영감으로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꼽는 사람도 있었다. 가톨릭 홍콩 교구의 진르쥔 추기경은 10월 24일, 홍콩 정부 청사 앞에서 민주화를 위한 투쟁은 "우리 사회의 문화 전체, 삶의 방식 그 자체의 문제다"라고 시위 참가자들에게 말했다.[486] 홍콩의 주요 교회 조직은 '오큐파이 센트럴 운동'에 대해, 대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가톨릭 교회의 주교인 탕한 추기경은, 9월 29일에 짧은 성명을 발표하여 홍콩 정부가 "기동대에 의한 실력 행사에 관해 자제심을" 발휘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시위 참가자에게는 항의를 표명함에 있어 "침착할" 것을 호소했다.[487] 진르쥔은 그 후 12월 3일에 공동 발기인 3명과 함께 홍콩 경찰에 출두했다.

경제계 및 경제적 영향시위 장기화로 인해 경제적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홍콩 소매 관리 협회는 6일 늦게, 상업 지구인 코즈웨이 베이뿐만 아니라 홍콩 정부 본부 청사가 있는 애드미럴티와 금융가인 센트럴의 소매 체인점의 1일부터 5일까지의 매출이 30~45%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대로라면 성수기인 10월 소매 매출액은 2003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표명하며, 조속한 사태 수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504] 증준화 재무장관은 10월 3일, 현재 금융 시스템은 정상이나, 장기화에 따른 위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500] 장강실업 그룹 총수 리자청은 15일, 민주파 시위 참가자들에게 해산하고 가족 곁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498] 또한 "법치라는 둑의 붕괴는 홍콩 최대의 비애"라고 말했다.[499]
사회적 갈등 및 폭력 사태

  • 경찰력 사용 논란: 경찰은 시위 초기부터 최루 가스를 87차례 사용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65]-[ref name="wiki-71"/>,[ref name="wiki-78"/> 이는 오히려 더 많은 시민의 참여를 유발하는 결과를 낳았다.[83][88][73][233][74][75] 특히 10월 15일, 시민당 당원 쩡젠청이 경찰관들에게 집단 구타당하는 영상(쩡젠청 구타 사건)이 공개되면서 경찰의 과잉 폭력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졌다.[133][134][129][130] 국제앰네스티와 홍콩 인권 감시단 등은 경찰의 폭력 행사를 규탄하고 관련자 처벌을 요구했다.[233][309] 경찰 측은 시위대가 해산 명령에 불응하고 "폭력적으로 돌격"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물리력을 사용했다고 해명했다.[80][81]

  • 삼합회 개입 의혹: 몽콕, 코즈웨이 베이 등지에서 삼합회 조직원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시위대를 공격하고 텐트와 바리케이드를 철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91]-[ref name="wiki-97"/>,[ref name="wiki-119"/>-[ref name="wiki-122"/> 이 과정에서 학생과 언론인들이 부상을 입었다.[91][94][95] 일부에서는 정부가 시위 진압을 위해 삼합회를 동원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으나[97][105][240], 경찰은 이를 부인했다.[104] 영국 BBC는 반점령 시위대가 돈을 받고 동원되었다는 정황을 보도하기도 했다.[233][234] 국제앰네스티는 경찰이 시위대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233] 경찰 사령관 폴 에드미스턴(Paul Edmiston)은 시위대를 보호하지 않았다는 비난에 대해 "우리가 무슨 짓을 하든, 너무 적게 하거나 너무 많이 한다고 비난받는다. 우리는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80]

  • 시위대 간 충돌: 시위 지지자들과 반대 시위자(친경찰, 반점령)들 간의 물리적 충돌도 발생했다.[99]-[ref name="wiki-101"/>,[ref name="wiki-157"/> 반점령 시위대가 언론인을 공격하는 사건도 있었다.[157][158]

언론 및 미디어홍콩의 많은 언론 매체는 중국 본토와 상당한 사업 관계를 맺고 있는 현지 재벌 소유이므로, 모두 어느 정도 자율 검열을 채택하고 있으며 시위에 대한 보도에서 대체로 보수적인 편집 노선을 유지해 왔다.[241] 반면, 친민주 성향의 넥스트 미디어(애플 데일리 발행사)는 반점령 시위대의 봉쇄, 사이버 공격, 배송 트럭 납치 등의 표적이 되었다.[123]-[ref name="wiki-126"/>,[ref name="wiki-247"/>,[ref name="wiki-495"/>,[ref name="wiki-496"/> 전통적인 미디어에서 시각의 불균형한 확산으로 인해 젊은이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접하게 되었고, 이에 대해 ''가디언''은 이 시위를 "역사상 가장 잘 기록된 사회 운동으로, 조용한 순간조차도 상태 업데이트, 공유 및 좋아요의 소용돌이를 만들어낸다"고 묘사했다.[242] 현재 시위 현장의 사람들은 시위에 의해 추진된 대안 미디어에 의존하거나, 기존 저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관점에서 뉴스를 적극적으로 보도한다. 심지어 최근 폐간된 ''하우스 뉴스''도 ''The House News Bloggers''로 재개편되어 부활했다. 급진적인 관점은 ''홍콩 피넛''과 시빅 패션이 운영하는 ''패션 타임스''에서 제공된다.[241]

TVB는 원래 10월 15일에 경찰관이 시위자를 구타하는 영상을 방송했지만, 방송 중에 방송국 내부에서 갈등이 발생했다.[243] 새벽 방송의 "주먹질과 발길질" 언급 사운드트랙은 경찰관이 "과도한 무력을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고 말하도록 재녹음되었다.[244] 약 57명의 언론인이 방송 처리 방식에 불만을 표명했고, 뉴스 직원이 서명한 TVB 직원의 시위 처리 방식에 항의하는 청원서에는 80명 이상이 서명했다.[243][245] 2015년, "점령 센트럴 운동 시위자에 대한 경찰의 폭력 혐의"라는 제목의 이 영상은 제55회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에서 최고의 TV 뉴스 아이템으로 선정되었으며, "포괄적이고 객관적이며 전문적인" 보도로 칭찬받았다. 또한 하드 뉴스 부문에서 에드워드 R. 머로 상을 수상했다.[246]

인터넷 보안 회사 클라우드플레어는, 올해 초 OCLP가 후원한 PopVote에 대한 공격과 마찬가지로, ''빈과일보''(Apple Daily) 서버를 마비시키기 위한 정크 트래픽의 양이 500 Gbit/s로 전례가 없었으며 최소 5개의 봇넷이 연루되었다고 밝혔다. 서버는 초당 2억 5천만 개가 넘는 DNS 요청으로 폭격을 받았는데, 이는 전체 인터넷의 평균 DNS 요청량과 같다.[247] 국제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는 11일에 중국 정부의 서버에 대해 DDoS 공격을 가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중국이여,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홍콩 시민에게 권력을 남용하기 전에 우리의 공격을 예상했어야 했다"고 밝히며, 홍콩에서의 민주적인 선거를 요구하는 시위가 공격의 이유임을 시사했다. 중앙 정부 주 홍콩 연락 판공실은 웹사이트가 8일, 9일에 공격을 받아 열람이 잠시 불가능했었다고 밝혔다.[497]
문화계 반응 및 상징시위는 문화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가수 데니스 호, 황야오밍 등은 시위를 지지하며 撑起雨傘|청치위산zho(우산을 들어올려)이라는 노래를 발표하고 시위 현장에 참여했다.[482] 호와 황은 홍콩 정부에 폭력을 행사하지 않도록 50명의 문화인으로 결성된 조직 文化界监察暴力行动组|문화계 감찰 폭력 행동조zho에 소속되어 활동하기도 했다. 호는 12월 11일 강제 퇴거 시 체포되었다[483]. 반면 배우 성룡은 시위로 인한 경제적 손실(3500억홍콩 달러)을 우려하며 시위대를 비판하고 애국심을 강조했다.[484] 배우 황추생이 주연한 홍콩 영화 '대차반'(중국 본토 제목 '잠룡풍운')은 그가 민주파를 지지한다는 이유로 중국 본토 일부 영화관에서 상영이 보류되기도 했다.[485] 시위 과정에서 라이언 록에 "나는 진정한 보통 선거를 원한다"는 대형 현수막이 걸리는 등[153]-[ref name="wiki-156"/> 다양한 응원가, 풍자화, 조각 등 예술 작품과 상징물이 등장했으며, 이는 시위의 요구와 정신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505]

5. 2. 경제적 영향

시위가 장기화되면서 홍콩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특히 소매업과 관광업 등 일부 산업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다.

홍콩 소매 관리 협회는 10월 6일, 시위가 집중된 퉁뤄완, 금종, 센트럴 등 주요 상업 지구의 소매 체인점 매출이 10월 1일부터 5일까지 30~45%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협회는 이 추세가 계속될 경우, 성수기인 10월 전체 소매 매출액이 2003년 SARS 사태 이후 처음으로 감소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표명하며 조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친중 단체인 애호홍콩역량 대표 리자자 역시 시위가 상업과 관광업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503]

홍콩 재무장관 쩡쥔화는 10월 3일, 금융 시스템은 당시까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나, 시위 장기화에 따른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500] 홍콩 중소기업 연맹과 같은 경제 단체들도 시위로 인한 혼란과 투자 심리 위축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94][317][318]

홍콩의 주요 기업인들은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리자청은 시위대에 해산을 촉구하며 "법치라는 둑의 붕괴는 홍콩 최대의 비애"라고 말했지만,[498][499] 중국 관영 매체로부터는 입장이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94] 반면, 뤼즈허는 "홍콩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활동"에 반대한다며 보다 명확하게 친 베이징 입장을 드러냈다.[320][294] 영화배우 성룡은 웨이보를 통해 시위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3500억홍콩 달러에 달한다는 뉴스를 접했다며 우려를 표하고 시위대를 비판했다.[484]

문화 산업에도 영향이 미쳤다. 민주파 배우 황추생이 주연한 홍콩 영화 '대차반'은 중국 본토 개봉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일부 영화관에서 황추생의 정치적 입장을 이유로 상영을 보류하고 홍보물에서 그의 이름과 사진을 삭제하는 일이 발생했다.[485] 또한, 시위를 지지하는 보도를 이어온 친민주파 신문사 빈과일보는 일부 기업의 광고 중단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으며,[495] 반점거 시위대로부터 사무실 포위, 신문 배송 방해 등 직접적인 영업 방해를 받기도 했다.[495]

5. 3. 국제 사회의 반응

2014년 10월 2일, 미국, 영국, 대만 등에서 홍콩의 우산 시위를 지지하는 집회가 열렸다.[536] 시위는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국가 및 국제기구

  • 유엔: 유엔 인권 위원회는 2014년 10월 23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준수를 감시하는 기구로서 중국에 홍콩의 자유로운 선거를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321][322] 위원회는 '보편적 참정권'이 투표권뿐만 아니라 입후보할 권리까지 포함한다고 강조하며, 중국의 조치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평가했다. 위원장 콘스탄틴 바르젤라슈빌리는 "위원회의 주요 관심사는 불합리한 제한 없이 선거에 입후보할 권리에 집중되었다"고 밝혔다.[323] 반기문 당시 유엔 사무총장은 시위가 중국 국내 문제임을 인정하면서도 민주주의 원칙 존중을 촉구했다.[510]
  • 영국: 데이비드 캐머런 당시 총리는 홍콩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옛 식민지에 대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329][330] 그는 10월 15일, 영국이 중영 공동 선언에 명시된 권리를 옹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331] 영국 외무부는 홍콩 당국에 시민들의 시위 권리를 보장할 것을 촉구하며, 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보편적 참정권으로의 전환이라고 밝혔다.[332][333] 마지막 홍콩 총독이었던 크리스 패튼은 시위를 지지하며[334] 중국식 모델을 비판하고[335] 영국 정부가 중국에 더 강력한 압력을 가할 것을 촉구했다.[337] 이에 중국 외교부는 패튼이 "시대가 변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338] 어떤 나라도 중국 내정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반박했다.[339] 12월 말, 영국 하원 외교 위원회가 중영 공동 선언 이행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홍콩을 방문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는 위원회의 방문이 "시위대를 편드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라며 입국을 거부했다.[340] 영국 의원 리처드 그레이엄은 중국 정부의 비자 발급 거부로 인해 초당적 의회 대표단의 방중이 취소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국가 안정이란 현상 유지가 아니라, 사람들에게 더 많은 참여, 즉 지도자 선택에 더 큰 발언권을 주고 신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00]
  • 미국: 백악관 대변인 조시 어니스트는 "미국은 홍콩 당국에 자제를, 시위대에 평화적인 수단으로 스스로의 견해를 표명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527]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은 중국 왕이 외교부장에게 "미국은 직접 선거와 홍콩 주민의 염원을 일관되게 지지한다"고 밝히며 평화적 해결을 요구했다.[528] 미국 국무부는 중국 측의 외세 개입 주장에 대해 "보편적 참정권을 바라는 사람들의 열망에서 주의를 돌리려는 시도"라고 일축했다.[276] 미국 의회 산하 중국 특별위원회는 연례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의 대응에 우려를 나타내는 동시에 미국 정부에 대해 중국 측과의 회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는 등 홍콩의 민주 선거에 대한 지지를 더욱 강화하도록 요구했다.[528]
  • 대만 (중화민국): 마잉주 당시 총통은 "(중국 정부는) 홍콩 사람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하며[342] 보편적 참정권 실현이 홍콩과 중국 본토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343] 그는 10월 10일 쌍십절 연설에서 중국에 입헌 민주주의 도입을 촉구하며 "이제 본토의 13억 인구가 적당히 부유해졌으므로, 물론 더 큰 민주주의와 법치를 누리고 싶어할 것입니다. 그러한 열망은 서방의 독점물이 아니라 모든 인류의 권리입니다."라고 말했다.[344] 또한 "대만은 홍콩의 민주적인 선거 제도가 실현되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홍콩 학생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자세를 강조했다.[520] 이에 중국 대만 사무판공실은 베이징이 "중국의 정치 시스템과 홍콩의 정치 개혁에 대한 발언에 단호히 반대한다. .... 대만은 이 문제에 대해 언급을 삼가야 한다"라고 밝혔다.[345] 타이베이시 중정기념당 앞에서는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집회가 열렸고, 6·4 천안문 사건의 리더였던 왕단과 우얼카이시가 등장했다. 왕단은 "홍콩은 전초전이며, 언젠가 대만에도 닥칠 것", "지금 중공은 규모를 확대하고 있으며, 홍콩뿐 아니라 대만에도 (이번 위기가) 닥칠 것이다. 홍콩을 지키는 것은 즉 우리들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우얼카이시는 "우리는 공통의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 민주를 지지하고, 스스로의 운명을 컨트롤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521] 민주진보당차이잉원 주석도 9월 28일 이번 시위에 대해 지지를 표명했다.[522]
  • 캐나다: 외무장관 존 베어드는 이번 시위를 지지하며 "보통 선거를 위한 홍콩 주민의 민주적인 소망이 평화적으로 달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야당인 신민주당은 이번 시위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511]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안전 대책을 요구했다. 또한 줄리 비숍 외무장관은 중국 정부에 대해 홍콩인이 2017년 행정 장관 선거에서 "진정한 발언권"을 가질 수 있도록 촉구한다고 발언했다.[512]
  •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독일을 방문 중인 리커창 총리에게 시위가 평화롭게 해결되도록 요청했다.[516] 또한,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은 독일 통일의 날 행사에서 이번 시위와 24년 전 독일 통일에서의 시위의 유사점을 지적하며 시위대는 "자유에 대한 갈망이 컸기 때문에 억압자로부터의 공포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517]
  • 프랑스: 외무성은 이번 시위에 대해 "평화적으로 항의할 권리"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514][515]
  • 일본: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종래와 같이 일국양제 하에서 자유롭고 열린 체제가 유지되고, 우리나라와의 밀접한 교류 관계가 유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529] 또한 와세다 대학 오쿠마 강당에서 약 300명의 홍콩인 유학생들이 이번 홍콩 학생들의 활동을 지지하는 집회를 열었다.[530] 또한 2014년 신어·유행어 대상 후보 50개 단어에 "우산 혁명"이 선정되었다.[531][532]
  • 유럽 연합: EU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 시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주의 깊게 조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509]
  • 바티칸 시국: 2014년 10월, 전 가톨릭 홍콩 교구 주교 진르쥔 추기경은 교황에게 소년 다윗이 거인 골리앗에게 맞섰던 성경 이야기를 인용하면서 폭력에 굴하지 않도록 말했다.[534][535]
  • 러시아: 국영 언론은 홍콩 민주화 시위를 미국의 음모라고 전하기 시작했다. 30일이 되자 각 국영 TV는 홍콩 시위 참가자는 키예프에 있는 자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이 조작한 폭동의 하청업자라고 보도했다. 제1채널의 앵커는 같은 날 늦게 홍콩으로부터의 보도를 인용, 미국이 배후에서 민주화 운동의 실을 당기고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 정부는 시위 주최자들은 미국 국무부와 관련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 정부는 그렇게 명확하게 말하지 않았다.[519] 러시아 국영 언론은 이 시위가 유로마이단과 유사한 서방이 지원하는 또 다른 색깔 혁명이라고 주장했다.[325][326][327]
  • 베트남: 외무부 대변인은 "중국의 내정 문제"라고 말했다.[533]
  • 싱가포르: 10월 1일 팡린 공원에서 이번 학생 활동을 지지하는 집회가 열렸고, 300명 정도가 모였다.[524] 또한 리센룽 총리는 10월 3일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에서의 강연에서 이번 시위에 언급하며 "홍콩은 국가가 아니고, 일국양제를 준수해야 하며, 여러 외국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525]
  • 필리핀: 외무성은 홍콩 체류 필리핀인에게 시위에 참가하지 않도록 촉구했다.[526]
  • 마카오: 10월 1일 밤 8시부터 10시까지 우의 광장에서 "마카오 홍콩 보통 선거 쟁취 집회"(澳門聲援香港爭普選集會zho)가 열렸고, 800명 정도가 모였다.[523]

중국 정부 및 관영 매체중국 정부와 언론은 외부 세력이 시위를 조장했다고 반복해서 주장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 결정에 대해 홍콩에 언급한 최초의 중국 관리인 리페이는 민주주의 옹호자들이 공산당의 권위를 훼손하려는 서방 세력에 의해 전복의 도구로 이용되었다고 비난했다. 리페이는 그들이 "혼란을 뿌리고" "사회를 오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46]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훙레이 대변인은 29일 베이징에서의 기자 회견에서 "홍콩 문제는 순수한 내정 문제다. 타국이 점거라는 위법 활동을 지지하는 행위에 강하게 반대한다"고 경고했다.[518] 중화인민공화국의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홍콩 시위의 주최자들이 대만에서 해바라기 학생 운동 지지자들로부터 전술을 배웠으며, 처음에는 영국과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구했다고 주장했다.[267][268] 학민사조는 극단주의자로 낙인 찍혔고, 홍콩의 친중국 언론은 조슈아 웡이 "미국 세력"에 의해 육성되었다고 주장했다.[269] 점거를 비난하는 수많은 사설 중 하나에서, ''인민일보''는 "미국은 다른 국가의 내정에 간섭하는 달콤한 맛을 즐길 수 있지만, 홍콩 문제에 있어서는 안정과 번영을 유지하려는 중국 정부의 결의를 극복할 기회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270] 이 신문은 미국 전미 민주주의 기금(NED)이 시위의 배후에 있으며, 이 기구의 한 이사가 시위 지도자들과 만났다고 주장했다.[271] 10월 15일, 익명의 중국 정부 관리는 "간섭이 확실히 존재한다"고 말하며 "정치인, 일부 국회의원 및 개별 언론의 외부 세력의 발언과 수사, 행동"을 인용했다.[272]

10월 19일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렁춘잉 행정장관은 시위에 대한 외국 책임에 대한 중국의 주장에 동조했지만, "적절한 시기"가 올 때까지 세부 사항을 밝히기를 거부했다.[270][273] 6개월 후인 2015년 4월 22일, 한 기자가 렁춘잉에게 "그때가 왔습니까?"라고 질문했고, 렁춘잉은 "글쎄요, 저는 제가 말한 바를 고수합니다"라고 답했다.[274] 3년 후, 렁춘잉은 약속한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275]

미국 국무부는 간섭 혐의를 일축하며, 그러한 주장을 "보편적 선거권을 바라는 사람들의 열망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276]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외세 간섭 주장을 "과장된 것"으로 묘사했고,[277] 오랫동안 홍콩 민주주의 옹호자인 마틴 리는 그러한 주장이 "베이징이 한때 약속했던 진정한 민주주의를 영토에 부여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덮기 위한 '편리한 변명'"이라고 말했다.[278]

홍콩대학교의 중국 미디어 프로젝트는 "적대 세력"(敌对势力zho)이라는 표현이 - 강경한 스탈린주의 용어 - 외국 세력의 선동을 주장하는 음모론에 자주 사용되었다고 지적했다.[279] 분석가들은 중국의 외국 연루 주장이 비난을 피하기 위한 직접적인 수단일 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에 뿌리를 두거나 "자발성은 불가능하다"는 권위주의적 믿음에 기인할 수 있으며, 시위를 지원하는 "미국과 영국 정부에게 매우 어려운 선제 공격"이라고 말했다.[325][280]

중국 본토 언론은 또한 시위대의 민주주의 요구에 대해 식민 통치자들을 비난하며 영국이 "우리 홍콩 동포에게 단 하루도 민주주의를 허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공개된 영국 외교 문서에 따르면 1950년대 후반부터 민주주의가 부족했던 주된 이유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이를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296]

중국 당국은 개방적으로 보통 선거를 지지한 홍콩 연예인 47명을 블랙리스트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고, 이 명단은 소셜 미디어에서 퍼졌다.[297] 데니스 호, 차프만 토와 배우 황추생은 이 운동의 가장 유명한 지지자 중 한 명으로, 공식 신화 통신으로부터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298] 중국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에 대해 주윤발은 "그냥 적게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고 전해졌다. 주윤발의 반박에 대한 보도는 중국 본토 인터넷 검열의 대상이 되었다.[299]

베이징은 홍콩에 대한 의회 토론에서 중영 공동 선언의 원칙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한 영국 국회의원 리처드 그레이엄에게 비자를 발급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피터 만델슨이 이끄는 초당적 의회 대표단의 중국 방문이 취소되었다.[300]

학생들에게 시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면서, 바오퉁, 전 자오쯔양 중공 중앙위원회 총서기의 비서관은 지도부가 무엇을 할지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301] 그는 자오쯔양이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투표할 권리를 갖는 보통 선거를 의미했고, "중국 특색의 특별 선거"가 아니라고 믿었다.[301][302] 바오는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지도자들이 홍콩 시민들이 스스로 통치한다는 원칙을 존중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덩샤오핑이 홍콩에 약속한 것은 거짓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301][302] 후자는 ''월스트리트 저널''에 공동 기고문을 실었는데, "중국은 러시아보다 더 가혹하고 공격적인 독재 국가가 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이 강력하고 명확한 경고를 해야만 두 국가가 새로운 폭력적 탄압 행위에 대한 대가를 신중하게 고려할 것이다. 홍콩과 우크라이나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의 부활을 요구하고 있다"고 적었다.[303]

국제앰네스티는 최소 37명의 중국 본토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홍콩 시위대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구금되었다고 밝혔다. 일부는 온라인에 사진과 메시지를 게시했고, 다른 이들은 시위대에 합류하기 위해 홍콩으로 여행할 계획이었다. 10월 2일 베이징 쑹좡 예술촌에서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기 위해 계획된 시 낭송회가 방해받았고, 총 8명이 구금되었다. 또한 60명이 경찰에 의해 심문을 받았다.[304][305] 앰네스티는 2015년 2월에 체포된 사람들 중 최소 두 명이 고문을 받았고, 9명은 변호사 선임을 거부당했으며, 한 명은 5일 동안 수면 부족과 고문을 당한 후에야 변호사 접견을 허용받았다고 보고했다. 4명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306]
기타 반응

  • 언론: 시위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고 광범위한 세계 언론의 보도를 얻었다.[346] 학생 지도자 조슈아 웡은 18번째 생일을 맞이한 주에 ''타임'' 잡지 아시아판 표지에 실렸고,[347] 그 다음 주에는 이 운동에 대한 기사가 표지 기사로 실렸다.[348] 현지 범민주 진영과 서방 언론의 대다수는 시위대의 보통 선거에 대한 열망을 지지했지만,[346] ''가디언''에 기고한 마틴 자크는 중화인민공화국이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 원칙에 대한 약속을 압도적으로 존중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소요의 원인이 1997년 이후 "홍콩 인구의 일부에서 커져가는 소외감" 때문이라고 믿었다.[349] CNN에 기고한 팀 서머스는 시위가 홍콩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촉발되었지만, 그 촉매제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서머스는 정치인과 언론의 중화인민공화국의 합의 및 약속에 대한 해석을 비판하며 "공동 선언은 단지 행정 장관이 '홍콩에서 실시될 선거 또는 협의의 결과에 따라 중앙 인민 정부에 의해 임명될 것'이라고 명시했을 뿐이다. 그 협정의 공동 서명자로서 영국의 역할은 이 특정 지점에 대해 불만을 제기할 법적 근거가 없으며, 1997년 이전 홍콩 총독에게 민주주의가 부재한 점은 도덕적인 우위를 거의 갖지 못하게 한다."[350] 홍콩의 친민주파 신문사인 빈과일보에는 10월 11일 밤부터 폭한들이 잇따라 빈과일보 사무실을 포위하고 사원을 위협하거나 신문 배송을 방해하는 일이 확인되었다. 10월 13일 새벽에는 정문을 막는 형태로 트레일러를 세워 배송용 트럭이 나갈 수 없게 했다. 같은 회사의 사원은 뒷문에 붙인 다른 트럭에 크레인으로 신문을 다시 싣고, 매점에는 통상보다 약 6시간 늦게 도착했다. 홍콩 고등법원이 10월 14일, 폭한들에게 떠나라고 명령했지만, 그들은 밤이 되어서도 빈과일보 정문 근처에 머물렀고, 경찰이 개입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폭한들은, 가두를 점거하고 있는 학생 주도의 민주화 운동을 같은 신문이 지지하고 있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보통의 시위로는 보이지 않고, 오히려 고용된 폭도에 의한 위협 행위쪽에 가깝다. 현장에서는 시위 참가자는 전세 버스로 함께 이동하고, 낯선 지역의 억양으로 말하며, 똑같은 새 텐트를 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실력 행사는 처음이 아니고, 작년에는 빈과일보 트럭이 습격당해 다수의 신문이 빼앗겨 불태워졌다. 또한, 이치미디어를 이끄는 지미 라이의 자택 정문에 차가 돌진하는 사건도 있었다. 2014년 6월에는 빈과일보가 고도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기업의 광고 게재 중단으로 인해, 재무 상황도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495] 또한, 2015년 1월 12일에는 오너 자택과 본사에 화염병이 투척되는 사건도 일어났다.[496] 홍콩 무선 텔레비전 TVB 뉴스 캐스터 12명은 공동 명의로, 15일에 일어난 점거자에 대한 경찰의 폭력 뉴스 편집 문제를 제기한 TVB 보도부 기자에 대한 지원을 표명했다.[494] 둥팡 바오예 집단은 유튜브에서 이번 시위 상황을 동영상으로 방송하고 있다.[492] 또한, 빈과일보는 이번 시위에 관한 특설 페이지를 설치했다.[493]
  • 홍콩 내 반응:
  • 학계: 10월 4일에는 8개 대학 총장이 학생들에게 해산을 요구했다. 홍콩 중문대학 총장인 션줘야오(沈祖堯)는 9월 28일, 학생들의 행동에 이해를 표하며 정부와 학생 간의 대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480] 홍콩 대학교 총장인 피터 매티슨(Peter Mathieson)은 시위 진압에 최루탄이 사용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481]
  • 문화계: 가수 데니스 호는 이번 시위에 나타나 "학생들의 행위는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홍콩을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라고 찬성 의사를 표명했다.[482] 이후 호는 황야오밍과 공동으로 이번 시위를 응원하기 위해 신곡 '우산을 들어올려'(撑起雨傘zho)를 작곡했다. 또한 호와 황은 홍콩 정부에 폭력을 행사하지 않도록 50명의 문화인으로 결성된 조직 '문화계 감찰 폭력 행동조'(文化界监察暴力行动组zho)에 소속되어 있다. 호는 12월 11일 강제 퇴거 시 체포되었다.[483] 성룡은 홍콩에서 계속되는 대규모 시위에 대해 "경제 손실이 3500억 홍콩 달러(약 4조 9천억 원)라는 뉴스를 접하고 매우 걱정하고 있다"며 시위대를 비판했다. 웨이보에서는 "강한 나라가 없으면 풍요로운 집도 없다"는 애국적인 노래 가사를 인용하며 "이성에 돌아와 우리의 나라와 홍콩을 사랑하자"고 호소했다.[484] 11월 초 개봉한 홍콩 갱스터 보스를 주인공으로 한 홍콩 영화 '대차반'은 중국 본토에서도 '잠룡풍운'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될 예정이었지만, 중국 본토의 일부 영화관은 갑자기 상영을 보류했다. 베이징의 한 극장 입구에는 "(홍콩 민주파를 지지하는) 황추생이 주연을 맡아 상영을 중단한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중국 본토용으로 준비된 영화의

6. 한국의 반응

2014년 10월 2일, 미국, 영국, 대만 등에서 홍콩의 우산혁명을 지지하는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536]

10월 4일에는 8개 대학 총장이 학생들에게 해산을 요구했다. 홍콩 중문대학 총장인 션줘야오(沈祖堯)는 9월 28일, 학생들의 행동에 이해를 표하며 정부와 학생 간의 대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480]

홍콩 대학교 총장인 피터 매티슨(Peter Mathieson)은 시위 진압에 최루탄이 사용된 것에 대해 비난을 표명했다.[481]

가수 데니스 호는 시위에 참여하여 "학생들의 행위는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홍콩을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라고 지지 의사를 밝혔다.[482] 이후 호는 황야오밍과 공동으로 시위를 응원하기 위해 신곡 '우산을 들어올려'()를 작곡했다. 또한 호와 황은 홍콩 정부에 폭력을 행사하지 않도록 촉구하는 50명의 문화인으로 결성된 조직 '문화계 감찰 폭력 행동조'()에 소속되어 있다. 호는 12월 11일 강제 퇴거 과정에서 체포되었다.[483]

성룡은 홍콩 시위에 대해 "경제 손실이 3500억 홍콩 달러(약 4조 9천억 원)라는 뉴스를 접하고 매우 걱정하고 있다"며 시위대를 비판했다. 웨이보에서는 "강한 나라가 없으면 풍요로운 집도 없다"는 애국적인 노래 가사를 인용하며 "이성으로 돌아와 우리의 나라와 홍콩을 사랑하자"고 호소했다.[484]

11월 초 개봉 예정이었던 홍콩 영화 '대차반'은 중국 본토에서 '잠룡풍운'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될 예정이었으나, 일부 영화관에서 갑자기 상영이 보류되었다. 베이징의 한 극장 입구에는 "(홍콩 민주파를 지지하는) 황추생이 주연을 맡아 상영을 중단한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중국 본토용 선전 포스터에서는 당초 주연 배우 황추생이 중앙에 배치되었으나, 여배우가 중심인 새로운 포스터로 교체되었고 황추생의 모습과 이름은 삭제되었다.[485]

홍콩의 교회는 시위 참가자에게 식사나 숙박 장소를 제공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시위 주최자나 지지자 중 일부는 운동의 영감으로 기독교적 가치관을 언급하기도 했다. 가톨릭 홍콩 교구의 진르쥔 추기경은 10월 24일, 홍콩 정부 청사 앞에서 민주화를 위한 투쟁은 "우리 사회의 문화 전체, 삶의 방식 그 자체의 문제다"라고 시위 참가자들에게 말했다.

홍콩의 주요 교회 조직은 '오큐파이 센트럴 운동'에 대해 대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가톨릭 교회의 주교인 탕한 추기경은 9월 29일 성명을 통해 홍콩 정부가 "기동대에 의한 실력 행사에 관해 자제심을" 발휘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시위 참가자에게는 항의 표명 시 "침착할" 것을 호소했다. 진르쥔 추기경은 12월 3일 공동 발기인 3명과 함께 홍콩 경찰에 출두했다.

홍콩 소매 관리 협회는 10월 6일, 상업 지구인 퉁뤄완, 정부 본부 청사가 있는 [금종](금종), 금융가인 [센트럴](센트럴)의 소매 체인점 매출이 1일부터 5일까지 30~45% 감소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대로라면 성수기인 10월 소매 매출액이 2003년 SARS 사태 이후 처음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표명하며 조속한 사태 수습을 촉구했다.

둥팡 바오예 집단(東方報業集團)은 유튜브에서 시위 상황을 동영상으로 방송하고 있다.[492] 또한, 빈과일보는 시위에 관한 특설 페이지를 개설했다.[493]

홍콩 무선 텔레비전(TVB) 뉴스 캐스터 12명은 공동 명의로, 10월 15일 발생한 점거자에 대한 경찰의 폭력 뉴스 편집 문제를 제기한 TVB 보도부 기자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494]

친민주파 신문사인 빈과일보에는 10월 11일 밤부터 폭력배들이 잇따라 사무실을 포위하고 직원을 위협하거나 신문 배송을 방해하는 일이 발생했다. 10월 13일 새벽에는 정문을 트레일러로 막아 배송용 트럭이 나가지 못하게 했다. 회사 측은 뒷문에 다른 트럭을 대고 크레인으로 신문을 옮겨 실어 평소보다 약 6시간 늦게 매점에 신문을 배송했다. 홍콩 고등법원이 10월 14일 폭력배들에게 해산을 명령했지만, 이들은 밤늦게까지 빈과일보 정문 근처에 머물렀고 경찰이 개입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들은 빈과일보가 학생 주도의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것에 항의한다고 주장했지만, 고용된 폭도에 의한 위협 행위로 보였다. 현장에서는 시위 참가자들이 전세 버스로 이동하고, 낯선 억양을 사용하며, 동일한 새 텐트를 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이러한 실력 행사는 이전에도 있었으며, 작년에는 빈과일보 트럭이 습격당해 다수의 신문이 불태워졌고, 이치미디어를 이끄는 리즈잉의 자택 정문에 차가 돌진하는 사건도 있었다. 2014년 6월에는 빈과일보가 고도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최근 몇 년간 일부 기업의 광고 게재 중단으로 재무 상황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495] 2015년 1월 12일에는 리즈잉의 자택과 본사에 화염병이 투척되는 사건도 발생했다.[496]

어나니머스는 10월 11일 중국 정부 서버에 DDoS 공격을 가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중국이여,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홍콩 시민에게 권력을 남용하기 전에 우리의 공격을 예상했어야 했다"고 밝히며, 홍콩에서의 민주적인 선거 요구 시위가 공격의 이유임을 시사했다. 중앙 정부 주 홍콩 연락 판공실은 웹사이트가 8일과 9일에 공격을 받아 일시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했다고 밝혔다.[497]

홍콩의 장강실업 그룹 총수인 리자청은 10월 15일, 민주파 시위 참가자들에게 해산하고 가족 곁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498] 또한 "법치라는 둑의 붕괴는 홍콩 최대의 비애"라고 말했다.[499]

재무장관 증준화는 10월 3일, 금융 시스템은 정상이지만 시위 장기화에 따른 위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500]

정무사장 캐리 람은 10월 3일, 현지 충돌 발생에 우려를 표하며 점거 철수를 촉구했다.[501]

홍콩 고급 공무원 협회는 10월 6일, 각 공무원에게 시민의 영향에 흔들리지 않고 이성적으로 행동할 것을 요구했다.[502]

노동당 당수인 리줘런은 산케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홍콩인들이 침묵하면 중국 중앙 정부는 홍콩의 자유로운 공간을 점점 좁히려 할 것이다. 경제 문제 등 단기적인 시각보다 중장기적인 위기를 지금이야말로 인식하고 일어나야 한다. 영국 통치 하로 돌아가고 싶은 것도, 홍콩 독립을 원하는 것도 아니다. 젊은 홍콩인의 미래를 위해 '일국양제' 하에 자치와 언론의 자유가 있는 민주 사회를 요구하고 있을 뿐이다. (구 종주국인) 영국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지원을 기대하지 않았다. 영국은 중국 측을 중시하고 있다"며 시위에 대한 찬성 입장을 보였다.

한편, 친중 단체인 애호홍콩역량 대표 리자자는 "가두 시위는 처음에는 금융가 센트럴(중환) 점거를 계획했으나, 몽콕(왕자오) 등 시내 도로 점거로 변질되었다. 시위가 압력을 가하는 상대는 정부나 금융계가 아닌 일반 시민이 되었다. 구급차 등 긴급 차량도 통행할 수 없다. 상업과 관광업 등 경제에도 그림자를 드리운다. 시위에 일반 시민의 반발이 강해진 것은 당연하다. 민주파에는 미국으로부터 자금이 제공되고 있다. 미국식 민주주의를 강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홍콩에는 홍콩에 적합한 중국식 민주 사회가 이미 있다. 국제 금융 센터로서의 지위도 확립되어 있다. 이상론보다 경제 등 현실이 중요하다.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하에서 '일국양제'로 민주 사회가 보장되고 있다는 것은, 시위가 허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도 명백하며, 더 공산당 정권을 신뢰해야 한다. 2003년 신종 폐렴 (SARS) 유행이나 2008년 금융 위기에서도 베이징의 지원 없이는 홍콩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었을 것이다. 홍콩의 수장은 '나라를 사랑하고, 홍콩을 사랑하는' 것이 조건이지만, 민주파는 나라를 사랑하지 않는 '홍콩 독립'도 노린 선거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시위대는 점거를 계속해도 반발이 커질 뿐이다. 경찰은 앞으로 여론이 높아짐에 따라 강제 배제에 나설 타이밍을 모색할 것이다"라고 말했다.[503]

은행 휴업은 24개 은행 47개 지점으로 확대되어 금융 서비스가 일부 중단되었다. 홍콩 정부는 10월 1일 국경절 기념 불꽃놀이를 중단했으며, 29일에는 차기 행정장관 선거 제도 개혁안 작성을 위한 시민 청문회 연기를 결정했다.[504]

2015년 6월, 보통 선거화를 내걸었지만 피선거권을 제한하는 선거 개혁 법안이 홍콩 입법회에 상정되자, 홍콩 시민들이 다시 모여 "가짜 보통 선거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활동을 전개했고[505], 홍콩 입법회는 6월 18일 표결에서 제한 선거 법안을 8 대 28의 압도적인 다수로 부결시켰다. 이를 우산 혁명 운동의 승리로 보는 시각도 있는 한편[506], 니케이 신문은 "민주파의 보통 선거를 요구하는 운동은 재검토가 불가피하게 되었다"고 보도하는 등[507], 민주화로 가는 길이 멀어졌다는 평가도 있다.

2015년 9월 28일, 홍콩에서 운동 개시 1주년 기념 집회가 열렸지만, 1,000명 정도만 모여 운동 초기의 열기는 식어가는 경향을 보였다. 원인으로는 젊은이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운동이라 통제가 어려워 내분이 발생하고 탈퇴하는 멤버가 잇따랐다는 점, 중국 본토인이나 정부에 대한 폭력을 긍정하는 과격한 사람들이 눈에 띄어 지지자들 사이에서 실망감이 확산되었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508] 이러한 우산 운동의 경험은 2019년-2020년 홍콩 민주화 시위에서 리더 부재, 의견 차이가 있더라도 내분을 일으키지 않고 상대를 존중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 EU 외교부 대변인은 시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주의 깊게 조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509]
  • UN의 반기문 사무총장은 시위가 중국 국내 문제임을 이해한다면서도 민주주의 원칙 존중을 촉구했다.[510]
  • 캐나다 외무장관 존 베어드(John Baird)는 시위를 지지하며 "보통 선거를 위한 홍콩 주민의 민주적인 소망이 평화적으로 달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야당인 신민주당도 지지를 표명했다.[511]
  • 호주 정부는 안전 대책을 요구했다. 줄리 비숍 외무장관은 중국 정부에 대해 홍콩인이 2017년 행정 장관 선거에서 "진정한 발언권"을 가질 수 있도록 촉구한다고 발언했다.[512]
  • 영국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시위에 대해 "깊이 우려하며 (일국양제에 대해) 깊은 의무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513] 영국 외무성도 정세를 우려하며 항의할 권리는 지켜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 프랑스 외무성은 시위에 대해 "평화적으로 항의할 권리"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514][515]
  • 독일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독일을 방문 중인 리커창 총리에게 시위가 평화롭게 해결되도록 요청했다.[516]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은 독일 통일의 날 행사에서 이번 시위와 24년 전 독일 통일 시위의 유사점을 지적하며 시위대는 "자유에 대한 갈망이 컸기 때문에 억압자로부터의 공포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517]
  •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29일 베이징 기자 회견에서 "홍콩 문제는 순수한 내정 문제다. 타국이 점거라는 위법 활동을 지지하는 행위에 강하게 반대한다"고 경고했다.[518]
  • 러시아 국영 언론은 홍콩 민주화 시위를 미국의 음모라고 보도했다. 30일 각 국영 TV는 홍콩 시위 참가자가 키예프 시위대와 마찬가지로 미국이 조작한 폭동의 하청업자라고 보도했다. 제1채널 앵커는 미국이 배후에서 민주화 운동을 조종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중국 정부는 시위 주최자들이 미국 국무부와 관련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 정부는 명확하게 그렇게 밝히지는 않았다.[519]
  • 대만마잉주 총통은 "(중국 정부는) 홍콩 사람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0일 쌍십절 연설에서도 "대만은 홍콩의 민주적인 선거 제도가 실현되기를 바란다"며 홍콩 학생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자세를 강조했다.[520] 타이베이시중정기념당 앞에서 열린 지지 집회에는 6·4 천안문 사건의 리더였던 왕단과 우얼카이시가 참여했다. 왕단은 "홍콩은 전초전이며, 언젠가 대만에도 닥칠 것", "지금 중공은 규모를 확대하고 있으며, 홍콩뿐 아니라 대만에도 (이번 위기가) 닥칠 것이다. 홍콩을 지키는 것은 즉 우리들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우얼카이시는 천안문 사건 당시 홍콩과 대만의 성원을 언급하며 "우리는 공통의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 민주를 지지하고, 스스로의 운명을 컨트롤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521] 민주진보당차이잉원 주석도 9월 28일 시위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522]
  • 마카오에서는 10월 1일 밤 우의 광장에서 "마카오 홍콩 보통 선거 쟁취 집회(澳門聲援香港爭普選集會)"가 열려 약 800명이 모였다.[523]
  • 싱가포르에서는 10월 1일 팡린 공원에서 학생 활동을 지지하는 집회가 열려 약 300명이 모였다.[524] 리센룽 총리는 10월 3일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강연에서 "홍콩은 국가가 아니고, 일국양제를 준수해야 하며, 여러 외국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525]
  • 필리핀 외무성은 홍콩 체류 필리핀인에게 시위에 참가하지 않도록 촉구했다.[526]
  • 미국 백악관의 조시 어니스트(Josh Earnest) 대변인은 29일 "미국은 홍콩 당국에 자제를, 시위대에 평화적인 수단으로 스스로의 견해를 표명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527] 미국 의회 중국 특별 위원회는 연례 보고서에서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에 우려를 표하며, 미국 정부에 중국 측과의 회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고 홍콩의 민주 선거 지지를 강화하도록 요구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워싱턴을 방문한 중국의 왕이 외교부 장관에게 "미국은 직접 선거와 홍콩 주민의 소원을 일관되게 지지한다"고 말하며 사태의 평화적인 해결을 요구했다.[528]
  • 일본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종래와 같이 일국양제 하에서 자유롭고 열린 체제가 유지되고, 우리나라와의 밀접한 교류 관계가 유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529] 와세다 대학 오쿠마 강당에서는 약 300명의 홍콩인 유학생들이 홍콩 학생들의 활동을 지지하는 집회를 열었다.[530] 2014년 신어·유행어 대상 후보 50개 단어에 "우산 혁명"이 선정되었다.[531][532]
  • 베트남 외무부 대변인은 "중국의 내정 문제"라고 말했다.[533]
  • 바티칸의 전 가톨릭 홍콩 교구 주교 진르쥔은 2014년 10월, 교황에게 소년 다윗이 거인 골리앗에게 맞섰던 성경 이야기를 인용하며 폭력에 굴하지 않도록 격려했다.[534][535]

7. 평가 및 논란

시위로 인해 센트럴, 애드미럴티, 코즈웨이 베이, 몽콕 등 주요 도심 지역의 지상 교통이 마비되어 홍콩 섬과 빅토리아 항을 가로지르는 광범위한 교통 체증이 발생했다.[205][206] 퀸즈웨이, 글로스터 로드, 코노트 로드 등 애드미럴티 봉쇄 지역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에서 극심한 정체가 보고되었다.[61] 100개 이상의 버스 노선과 트램 노선이 운행을 중단하거나 우회 경로로 변경되었고,[217] 애드미럴티역 등 일부 지하철역에서는 승객 대기 줄이 역 밖 거리까지 이어지기도 했다.[205] 반면, 도시 철도 운영사인 MTR은 이용객이 늘어 일부 노선에서 승객 수가 20% 증가하는 등 반사 이익을 얻었다.[207][208] 일부 시민들은 차량 대신 도보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했다.[209] 택시 기사들은 교통 체증과 도로 봉쇄로 인해 승객들에게 MTR 이용을 권유해야 했고, 이는 수입 감소로 이어졌다고 보고했다.[210] 홍콩 택시 소유주 협회는 시위 시작 후 회원들의 수입이 30% 감소했다고 주장했다.[211] 한편, 시위로 차량 통행이 줄면서 센트럴, 코즈웨이 베이, 몽콕 세 지역의 PM2.5 미세먼지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안전 수준 이내로 감소하는 등 대기 질이 눈에 띄게 개선되기도 했다.[351][352]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사설에서 NO2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대기 오염 위험이 평소의 '높음' 수준에서 '낮음'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지적하며, 정책 변화 없이는 시위 종료 후 깨끗한 대기 질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212]

2014년 9월 30일 센트럴의 코노트 로드에서 우회되는 차량


시위의 영향으로 센트럴 및 서부 지역의 유치원과 초·중등학교가 9월 29일부터 휴교에 들어갔다가 10월 7일과 9일에 각각 수업을 재개했다.[213][214][215][207] 홍콩 소매 관리 협회는 국경절 황금연휴 기간(10월 1일~5일) 동안 애드미럴티, 센트럴, 코즈웨이 베이 지역 체인점 매출이 30~45% 감소했다고 보고했다.[216] 시위 지역의 일부 상점과 은행도 영업을 중단했다.[217]

세계 은행은 시위가 홍콩 경제에 타격을 주었지만 중국 본토 경제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고 분석했다.[205] 홍콩 항셍 지수는 국경절 연휴 기간 동안 2.59% 하락했지만 이후 회복세를 보였고 거래량은 오히려 증가했다.[218] 중국 관영 ''상하이 데일리''는 10월 4일 시위로 인해 홍콩이 400억홍콩 달러(52억달러)의 손실을 입었으며 특히 관광 및 소매업 타격이 크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홍콩 관광청에 따르면 해당 기간 홍콩 방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4.83% 증가했으며, 일부 매장에서는 오히려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보고하는 등[218] 경제적 영향은 예상보다 국지적이거나 일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위로 인해 수입이 40% 감소한 것으로 알려진 삼합회 조직이 폭력 사태가 가장 심했던 몽콕 지역의 시위대 공격에 연루되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219][220][221][222][223] 홍콩 트램 회사는 100만달러의 수입 감소를 보고하는 등 일부 업종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다.[224][225] 한 경제학자는 홍콩의 미래 안정은 소득 격차 및 정치 개혁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여부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222]

시위 진압 과정에서 경찰의 과잉 대응 논란이 크게 불거졌다. 특히 9월 28일 저녁, 경찰이 애드미럴티 등지에서 시위대를 향해 87발의 최루 가스를 발사한 사건은 국내외적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65][66][67][78] 경찰은 시위대가 해산을 거부하고 "폭력적으로 돌격"했기 때문에 "최대한의 관용"을 발휘하며 최루 가스를 사용했다고 해명했지만,[80][81] 평화적인 시위대에 대한 강경 진압이라는 비판이 거셌고, 이는 오히려 더 많은 시민들이 시위에 참여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83][88][73][233][74][75]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경찰관들이 여성 시위자를 공격하는 모습을 보도하기도 했다.[82] 홍콩 경찰이 마지막으로 최루 가스를 사용한 것은 2005년 세계 무역 기구 각료 회의 당시 한국 시위대를 진압할 때였다.[67][80]

수갑을 찬 시위자를 폭행하는 사복 경찰관 7명의 스틸 프레임. 논란이 된 제목(拳打腳踢)은 자막으로 처리되었다.


10월 15일 새벽에는 룽워 로드에서 시위대를 진압하던 중 사복 경찰관 7명이 수갑을 찬 시위자(시민당 당원 쳰 쳉)를 어두운 곳으로 끌고 가 집단 구타하는 영상이 공개되어 파문이 일었다.[243] 홍콩의 주요 방송사인 TVB는 처음 이 영상을 보도하면서 "주먹질과 발길질"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나, 이후 내부 논란 끝에 "과도한 무력을 사용한 혐의"로 표현을 수정하여 재녹음했다.[244] 이 사건은 TVB 내부 언론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80명 이상의 직원들이 방송 처리 방식에 항의하는 청원서에 서명했다.[243][245] 해당 영상은 이후 2015년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에서 최우수 TV 뉴스 아이템으로 선정되는 등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246] 국제 사면 위원회는 경찰이 "시위대를 공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고 비난하며, 경찰이 지켜보는 가운데 여성들이 공격받고 성폭행 위협을 당했다고 밝혔다.[233] 홍콩 인권 감시단의 로 유카이 국장 역시 경찰의 불필요한 폭력 사용에 불만을 표하며, 평화적인 연좌 농성을 하던 학생들에게 진압 경찰과 곤봉을 과도하게 사용했다고 비판했다.[309]

10월 12일, 코즈웨이 베이의 반 점령 시위대


시위 기간 동안 점거 반대 시위대의 폭력과 삼합회 연루 의혹도 끊이지 않았다. 10월 3일 몽콕과 코즈웨이 베이에서는 점거 반대자들이 시위대의 텐트와 바리케이드를 철거하며 폭력을 행사했고, 이 과정에서 학생과 언론인들이 부상을 입었다.[91][97][92][93][94][95] 홍콩 외국 특파원 클럽은 경찰이 공격 용의자를 체포했다가 즉시 석방하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비난했다.[96] 일부 입법회 의원들과 시위대는 정부가 시위 현장 정리를 위해 삼합회를 동원했다고 주장했다.[97][105] 민주당의 앨버트 호 의원은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삼합회나 친정부 폭도들을 이용해 시위대를 공격하게 하는 것은 중국 본토 공산당이 사용하는 전술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311] 몽콕 지역 사업체 상당수를 장악하고 있는 삼합회가 시위로 인한 영업 손실 때문에 시위대를 공격할 동기가 있었다는 분석도 나왔다.[75][88] 체포된 반대 시위자 중 일부는 삼합회 조직원으로 밝혀졌으나 보석으로 풀려났다.[97][219]

영국 방송 공사(BBC)는 '반 점령 시위대'가 돈을 받고 고용되어 시위 현장으로 이송되는 듯한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버스 안에서 조직책이 돈을 나눠주는 모습이 담겼으며, 일부 '시위대'는 자신들이 무엇 때문에 돈을 받는지 모르는 상태였다고 BBC는 보도했다.[233]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역시 빈곤 지역 주민들에게 왓츠앱 메시지를 통해 하루 최대 800HKD를 제안하며 반 점령 시위 참여를 독려했다는 주장을 보도했다.[233][234] 경찰 고위 관계자는 BBC에 폭력 사태 당시 "지원이 이상하게 미흡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233] 홍콩 경찰은 두 개의 주요 삼합회 조직원 최대 200명이 시위대 캠프에 잠입했을 가능성을 인정했지만, 정확한 동기는 불분명하다고 밝혔다.[235] 대만의 ''타이페이 타임스''는 2013년 사설에서 사랑의 홍콩의 목소리, 케어링 홍콩 파워, 홍콩 청년 케어 협회 등 친중 단체들이 문화 대혁명 방식의 언어와 행동으로 범민주 진영을 공격하며 량춘잉 행정부의 "고용된 폭력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묘사한 바 있다.[236]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는 시위의 배후에 외부 세력이 있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 결정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홍콩을 방문한 리페이 부비서장은 민주주의 옹호자들이 서방 세력에 의해 공산당 권위를 훼손하려는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고 비난했다.[46] 관영 ''인민일보''는 시위 주최 측이 대만의 해바라기 학생 운동 지지자들에게서 전술을 배웠으며 영국과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구했다고 주장했고,[267][268] 학민사조를 극단주의 단체로, 황즈펑을 "미국 세력"이 키운 인물로 묘사하는 등 친중 매체들의 공세도 이어졌다.[269] ''인민일보''는 사설에서 "미국은 다른 나라 내정 간섭의 달콤함을 즐길 수 있지만, 홍콩 문제에 있어서는 안정과 번영을 유지하려는 중국 정부의 결의를 이길 기회가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 미국 전미 민주주의 기금(NED)이 시위 배후에 있다고 지목했다.[270][271] 량춘잉 행정장관 역시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외부 세력 개입설에 동조했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적절한 시기"가 올 때까지 밝히지 않겠다고 했고,[270][273] 이후 3년이 지나도록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275]

미국 국무부는 이러한 주장이 "보편적 선거권을 바라는 사람들의 열망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려는 시도"라며 강력히 부인했다.[276]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외세 개입 주장을 "과장된 것"으로 평가했고,[277] 홍콩 민주화 운동의 원로인 마틴 리는 "베이징이 약속했던 진정한 민주주의를 부여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덮기 위한 '편리한 변명'"이라고 비판했다.[278] 홍콩대학교 중국 미디어 프로젝트는 중국 당국이 사용하는 "적대 세력"이라는 표현이 강경한 스탈린주의 용어이며, 외부 세력 선동 음모론에 자주 사용된다고 지적했다.[279] 분석가들은 중국의 외부 개입 주장이 비난 회피 목적 외에도,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나 "자발성은 불가능하다"는 권위주의적 믿음에 기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325][280]

중국 본토에서는 시위에 대한 정보가 엄격히 통제되었다. 당국은 웹사이트들에 홍콩 시위 관련 정보 삭제 지침을 내렸고,[255][256][257] "홍콩", "바리케이드", "센트럴 점령", "우산" 등의 키워드가 포함된 인터넷 게시물은 신속히 삭제되었다.[258][259] CNN 등 외신 보도 일부가 차단되었고,[258] 인스타그램 역시 시위 사진 공유가 확산되자 차단되었다.[259][264] 중국 언론들은 시위에 대한 비판적인 사설이나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는 기사 외에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258][260][261] 경찰의 시위자 폭행 영상을 게재한 BBC 중국어 웹사이트는 해당 영상이 퍼지면서 완전히 차단되었다.[262]

홍콩 내 언론 환경도 영향을 받았다. 중국 본토와 사업 관계가 깊은 재벌들이 소유한 다수 언론 매체는 자율 검열을 통해 시위에 대해 보수적인 편집 노선을 유지했다.[241] 유일하게 공개적으로 친민주 성향을 보여온 넥스트 미디어 그룹(빈과일보 발행사)은 반점령 시위대의 봉쇄, 사이버 공격, 배송 트럭 납치 등 지속적인 공격 대상이 되었다.[123][124][125] 이러한 주류 언론의 편향된 보도 환경 속에서 젊은 세대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접했으며, 시위 현장에서는 기존 언론에서 다루지 않는 관점을 보도하는 대안 미디어들이 부상했다.[241][242]

중국 정부는 시위 내내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시위 44일째 되던 날 량춘잉 행정장관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시위가 "홍콩 특별행정구와 그 통치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일 뿐만 아니라 베이징에 대한 도전"이라고 규정하고 법치주의 수호와 사회 질서 유지를 강조했다.[254] 관영 매체들은 연일 시위를 비판하며 "상상할 수 없는 결과"를 경고했고,[281][284][91][285] "모든 국민이 사회에서 반 오큐파이 센트럴 분위기를 조성"할 것을 촉구했다.[286][287] 중국 당국은 시위를 지지한 홍콩 연예인 47명의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며,[297] 배우 주윤발, 황추생, 가수 데니스 호, 차프만 토 등은 관영 매체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298] 영국 의회가 홍콩 문제 토론을 계획하자 관련 의원에게 비자 발급을 거부하여 영국 의회 대표단의 방중 계획이 무산되기도 했다.[300] 또한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메시지를 온라인에 게시하거나 시위 참여를 계획했다는 이유로 최소 37명의 중국 본토인이 구금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고문이나 변호사 접견 거부 등 인권 침해를 겪었다고 보고되었다.[304][305][306]

홍콩 내에서도 시위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전 정무사장 안손 찬은 영국의 침묵에 실망감을 표하며 홍콩에 대한 법적, 도덕적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307] 반면, 전 입법회 의장 리타 판은 시위 배후에 외세가 있으며, 다른 사람의 생계에 영향을 미치면서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것은 "민주적 독재"라고 비판했다.[308] 전 행정장관 퉁치화는 학생들의 민주주의 추구 노력을 칭찬하면서도 법치 준수를 강조하며 점거 중단을 촉구했다.[312] 금융 서비스 개발 위원회 의장 로라 차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 해방 후 투표권 획득까지 107년이 걸렸다. 그렇다면 홍콩은 잠시 기다릴 수 없는가?"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고, 결국 유감을 표명했다.[313][314][315][316]

''경제일보''는 시위 이후 정부의 정당성이 크게 훼손되었고, 경찰의 명성과 시민과의 관계 악화, 사법부에 대한 불신 등이 초래되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법원 금지 명령을 이용한 시위대 해산 시도는 사법부를 정치적 도구로 이용한 위험한 선례라고 비판했다.[370] ''월스트리트 저널''은 홍콩에 대한 진정한 위협은 시위대가 아니라 베이징에 굴복하는 기득권 세력에게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며, 중국과 그 대리인들이 홍콩의 안정과 번영을 지탱해 온 제도들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371] ''워싱턴 포스트''는 중국의 경직된 대응이 오히려 홍콩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정치적 자유 요구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372] ''가디언''은 중국의 통제 강화가 홍콩의 소외감을 깊게 할 것이며, 일국양제 원칙에 대한 신뢰를 거의 완전히 잃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373] ''비즈니스 스펙테이터''는 시위를 통해 청소년들의 정치 참여와 시민 의식이 높아졌지만, 사회 분열 심화와 언론 및 학문의 자유 침식 가능성이라는 복합적인 유산을 남겼다고 분석했다. 또한 정부가 민사 금지 명령을 통해 법원 시스템을 정치화했다고 비판했다.[20]

8. 이후 경과

교통이 재개되자, 도로변의 PM2.5 수치가 다시 WHO가 권장하는 안전 수준인 25 μg/m³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클린 에어 네트워크에 따르면, 애드미럴티의 PM2.5 수치는 33 μg/m³로 시위 기간 동안보다 83% 증가했으며, 코즈웨이 베이는 31 μg/m³로 55% 증가, 몽콕은 37 μg/m³로 42% 증가했다.[351][352]

전 정부 기록 보관소장인 추시먼은 시위 운동과 관련된 공식 문서 보존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정부에 대한 금지 명령을 신청할 대리인을 찾고 있었다. 그는 홍콩에 공식 기록에 관한 법률이 부재하여 고위 정부 관계자들이 시위가 진행되는 동안의 심의, 결정, 조치와 관련된 모든 문서를 파기하려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353]

행정 장관 렁춘잉은 시위자들이 어떤 종류의 민주주의를 추구할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354] 그는 점거의 종료를 환영하며 "경제적 손실 외에도, 홍콩 사회가 입은 가장 큰 손실은 소수의 사람들에 의한 법치주의 훼손이라고 생각합니다... 법치주의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고 민주주의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민주주의가 아니라 무정부 상태입니다."라고 말했다.[355] 렁춘잉은 점거 시위 이후 지지율이 39.7%로 하락하며 순 -37%를 기록,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렁춘잉이 상처를 치유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고 사회의 잘못에 대한 책임을 반대자들에게 돌린다는 대중의 인식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렁춘잉은 또한 증거 없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장했고, 그의 주장은 공식 수치와 모순되었다.[356] 2014년 12월 19일, 마카오 반환 15주년을 앞두고, 마카오 당국은 중국 지도자 시진핑의 도착을 취재하는 기자들이 비가 올 때 우산을 드는 것을 금지했다.[357]

경찰청장 앤디 쩡은 점거로 인해 경찰이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했음을 확인했으며, 12월 15일 현재 총 955명이 체포되었고,[354][358] 221명의 활동가가 부상을 입었으며, 130명의 경찰관이 경상을 입었다고 밝혔다.[358] 동시에 쩡웨이슝은 점거 운동에 대한 3개월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추가 체포를 예상했다.[358] 체포된 후 출두하라는 통보를 받은 대부분의 활동가들은 아직 정식 기소되지 않았으며, 경찰은 기소할 권리를 유보한다고 밝혔지만, 친민주주의 입법자들은 불확실한 기소가 피의자들에게 임박해 있다는 것이 위협 행위라고 불만을 제기했다.[359]

점거가 종료되었음에도, 평화 시위에 대한 공식적인 반감을 보여주는 특징이었던 공격적인 경찰 행위는 계속되었다. 이는 2014년 12월 두 명의 젊은 여성 참정권 운동가에 대한 경찰의 보호 및 관리 명령(CPO) 신청으로 나타났다.[361] 일반적으로, CPO는 심각한 청소년 비행의 경우에만 사용되며, 미성년자를 소년원에 보내고 부모의 보호에서 격리시킬 수 있다.[361] 경찰은 몽콕 철거 과정에서 법정 모독 혐의로 14세 남성을 체포하고 CPO를 신청했다.[361][360] 검찰청이 기소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CPO는 4주 후에 취소되었다.[361]

두 번째 사건에서, 2014년 12월 23일 레논 벽에 분필로 꽃을 그린 14세 여학생은 형사 손괴 혐의로 체포되어 17시간 동안 경찰에 구금된 후, 20일 동안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소년원에 구금되었지만 어떤 범죄로도 기소되지 않았다.[362] 치안 판사는 경찰의 신청에 따라 CPO를 승인하며 이를 "더 안전하다"고 판단했다. 이 사건은 그녀가 청각 장애가 있는 아버지로부터 떨어져 학교에 갈 수 없게 되면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63][364][365] 1월 19일, 다른 치안 판사는 이 소녀, 즉 일반적으로 "분필 소녀" (粉筆少女)로 알려진 소녀에 대한 보호 명령을 취소했지만, 경찰과 정부 관계자의 전반적인 상황 처리는 광범위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적절한 절차가 준수되지 않은 이유나, 규정에 따라 사회 복지사가 명령을 신청하기 전에 한 번도 상담을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은 없다.[367] 이 논란은 국제적인 관심을 받았으며, 가디언지는 그녀의 이야기를 담은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악명 높은 분필 소녀"를 제작하여 2017년에 공개했다.[368][369] 우산 혁명에 연루된 미성년자에 대한 보호 명령 사용은 젊은이들의 시위를 억제하기 위한 "백색 테러"로 여겨졌다.[361]

황지봉은 다른 두 명의 저명한 홍콩 친 민주 학생 지도자인 로언, 조테우와 함께 2017년 8월 17일, 불법 집회(황지봉과 로언) 및 불법 집회 선동(조테우) 혐의로 6개월에서 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들은 시위 당시 홍콩 정부 청사의 시민 광장에서 집회를 벌였다. 형량은 5년 동안 공직 출마를 금지하여 그들의 정치 경력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높았다.[375] 앞서 2017년 8월 15일, 13명의 동료 시위대가 불법 집회 혐의로 8개월에서 13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76]

2017년 10월 5일, 미국 의회-행정부 중국 위원회(CECC) 의장인 미국 상원 의원 마르코 루비오와 공동 의장인 미국 하원 의원 크리스 스미스는 조슈아 웡, 나단 로, 알렉스 차우와 우산 혁명 전체를 "정치 개혁을 가져오고 중영 공동 선언에서 홍콩에 보장된 자율성과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평화로운 노력"으로 2018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의사를 발표했다.[377]

둥팡 바오예 집단은 유튜브에서 이번 시위 상황을 동영상으로 방송하고 있다.[492] 또한, 빈과일보는 이번 시위에 관한 특설 페이지를 설치했다.[493]

또한, 홍콩 무선 텔레비전 TVB 뉴스 캐스터 12명은 공동 명의로, 15일에 일어난 점거자에 대한 경찰의 폭력 뉴스 편집 문제를 제기한 TVB 보도부 기자에 대한 지원을 표명했다.[494]

게다가, 친민주파 신문사인 빈과일보에는 10월 11일 밤부터 괴한들이 잇따라 빈과일보 사무실을 포위하고 사원을 위협하거나 신문 배송을 방해하는 일이 확인되었다. 10월 13일 새벽에는 정문을 막는 형태로 트레일러를 세워 배송용 트럭이 나갈 수 없게 했다. 같은 회사의 사원은 뒷문에 붙인 다른 트럭에 크레인으로 신문을 다시 싣고, 매점에는 통상보다 약 6시간 늦게 도착했다. 홍콩 고등법원이 10월 14일, 괴한들에게 떠나라고 명령했지만, 그들은 밤이 되어서도 빈과일보 정문 근처에 머물렀고, 경찰이 개입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괴한들은, 가두를 점거하고 있는 학생 주도의 민주화 운동을 같은 신문이 지지하고 있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보통의 시위로는 보이지 않고, 오히려 고용된 괴한에 의한 위협 행위쪽에 가깝다. 현장에서는 시위 참가자는 전세 버스로 함께 이동하고, 낯선 지역의 억양으로 말하며, 똑같은 새 텐트를 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실력 행사는 처음이 아니고, 작년에는 빈과일보 트럭이 습격당해 다수의 신문이 빼앗겨 불태워졌다. 또한, 이치미디어를 이끄는 리즈잉의 자택 정문에 차가 돌진하는 사건도 있었다. 2014년 6월에는 빈과일보가 고도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기업의 광고 게재 중단으로 인해, 재무 상황도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495] 또한, 2015년 1월 12일에는 오너 자택과 본사에 화염병이 투척되는 사건도 일어났다.[496]

익명은 11일에 중국 정부의 서버에 대해 DDoS (분산 서비스 거부)라고 불리는 공격을 가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중국이여,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홍콩 시민에게 권력을 남용하기 전에 우리의 공격을 예상했어야 했다"고 밝히며, 홍콩에서의 민주적인 선거를 요구하는 시위가 공격의 이유임을 시사했다.

또한, 중앙 정부 주 홍콩 연락 판공실은 웹사이트가 이번 주 8일, 9일에 공격을 받아 열람이 잠시 불가능했었다고 밝혔다.[497]

홍콩의 장강실업 그룹 총수인 리자청은 15일, 민주파 시위 참가자들에게 해산하고 가족 곁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498] 또한 "법치라는 둑의 붕괴는 홍콩 최대의 비애"라고 말했다.[499]

이번 시위를 상징하는 많은 응원가, 풍자화, 조각이 있다. 응원가 중에는 6.4 천안문 사건 때 만들어진 《자유를 위하여》도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뉴스 What Next for Hong Kong? https://www.nytimes.[...] 2014-12-25
[2]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ers reach new heights with democracy banner on Lion Rock http://www.dw.de/hon[...] Deutsche Welle
[3] 뉴스 Hong Kong group launches civil disobedience campaign https://www.cnbc.com[...] CNBC 2014-12-25
[4] 웹사이트 Beijing fears compromise with Hong Kong protesters: US scholar http://www.wantchina[...] 2014-12-07
[5] 웹사이트 Young Hong Kongers seek new path in democracy battle https://nz.news.yaho[...] Yahoo!
[6] 뉴스 New Occupy report to Beijing promised http://www.thestanda[...] 2014-12-17
[7] 웹사이트 Hong Kong cyber attacks spiked during Occupy Central, academic's study finds http://www.scmp.com/[...] 2015-02-26
[8] 뉴스 Hackers Attack Hong Kong Pro-Democracy Websites https://www.thedaily[...] 2014-06-18
[9] 뉴스 Hong Kong Government Accused of Using Triads to Attack Student Protesters https://time.com/346[...] 2014-10-04
[10] 웹사이트 高永文:因佔領而求診逾470宗急症室有壓力 http://hk.apple.next[...] 2014-12-15
[11] 웹사이트 955 arrested for Occupy offences http://www.news.gov.[...] Government of Hong Kong 2014-12-15
[12] 뉴스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 the Guardian briefing https://www.theguard[...] 2015-03-07
[13] 간행물 6 Questions You Might Have About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https://time.com/347[...] 2015-03-07
[14] 뉴스 Hong Kong's candidate nominating system out of balance, says Beijing scholar http://www.scmp.com/[...] 2014-08-31
[15] 뉴스 Thousands of Hong Kong students start week-long boycott https://www.bbc.com/[...] 2014-09-29
[16] 뉴스 Hong Kong police clear pro-democracy protesters https://www.bbc.com/[...] 2014-10-03
[17] 웹사이트 Full text of NPC decision on universal suffrage for HKSAR chief selection http://news.xinhuane[...] 2014-08-31
[18] 웹사이트 HSBC's Laura Cha sparks outrage comparing wait for Hong Kong voting rights to that of U.S. slaves http://www.nydailyne[...] 2014-11-04
[19] 웹사이트 Hong Kong: Massive anti-government protests after attempted police crackdown http://chinaworker.i[...] 2014-09-30
[20] 웹사이트 Mixed legacy for Hong Kong's Umbrella Movement http://www.businesss[...] 2014-12-15
[21] 웹사이트 Hong Kong police charge leaves protesters injured http://www.businessi[...] 2014-10-18
[22] 웹사이트 Hong Kong police to remove protesters from streets after court order https://www.latimes.[...] 2014-12-09
[23] 웹사이트 Hong Kong Police's Use of Tear Gas During Protests Hurts Reputation of 'Asia's Finest' https://www.wsj.com/[...] 2014-10-04
[24] 뉴스 Hong Kong Creates Cadets Modeled After PLA, China Daily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5-01-19
[25] 문서 Leung denies torpedoing uni selection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5-02-13
[26] 웹사이트 傳政府阻港大陳文敏升職 羅范:點會重蹈覆轍 http://hk.apple.next[...]
[27] 웹사이트 Basic Law, Chapter IV, Section 4 http://www.basiclaw.[...] Basic Law Promotion Steering Committee
[28] 서적 Judicial Independence in the Age of Democracy: Critical Perspectives from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9] 웹사이트 The UK's relations with Hong Kong: 30 years after Joint Declaration http://www.parliamen[...] UK Parliament
[30] 서적 Autonomy and Ethnicity: Negotiating Competing Claims in Multi-ethnic Stat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Basic Law, Chapter VIII http://www.basiclaw.[...] Basic Law Promotion Steering Committee 2009-11-10
[32] 서적 Hong Kong's Constitutional Debate: Conflict Over Interpretation Hong Kong University Press
[33] 문서 HK basic law http://www.info.gov.[...] The Basic Law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7-01-08
[34] 서적 Methods for Selecting the Chief Executive in 2017 and for Forming the Legislative Council in 2016 Consultation Document http://www.legco.gov[...]
[35] 뉴스 LC: Statement by CS on "Consultation Document on the Methods for Selecting the Chief Executive in 2017 and for Forming the Legislative Council in 2016" http://www.info.gov.[...]
[36] 웹사이트 公民抗命的最大殺傷力武器 https://web.archive.[...] 2013-03-27
[37] 웹사이트 2016 Legislative Council Election http://www.elections[...] Electoral Affairs Commission, Hong Kong Government 2017-10-08
[38] 뉴스 China Reminds Hong Kong of Its Control https://online.wsj.c[...] The Wall Street Journal 2014-06-10
[39] 뉴스 Hong Kong's unofficial pro-democracy referendum irks Beijing https://www.theguard[...] 2014-06-25
[40] 웹사이트 Pro-Democracy Protests Erupt in Hong Kong Over Controversial Electoral Decision https://web.archive.[...] 2014-09-01
[41] 웹사이트 Public Opinion & Political Development in Hong Kong Survey Results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6-09-05
[42] 뉴스 Hong Kong braces for big democracy rally opposing China's limits on vote https://www.theglobe[...] 2014-08-19
[43] 웹사이트 H.K. Police Clear Protesters After Decade's Biggest Rally https://www.bloomber[...] 2014-10-14
[44] 뉴스 Hong Kong police arrest democracy protesters at sit-in https://www.bbc.co.u[...] BBC 2014-07-02
[45]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ers Agitating Against China's Volte-Face Arrested http://www.ibtimes.c[...] 2014-09-02
[46] 뉴스 China Restricts Voting Reforms for Hong Kong https://www.nytimes.[...] 2014-08-31
[47] 뉴스 Scholarism will organise a one-day class boycot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on September 26 http://yp.scmp.com/n[...] 2017-10-12
[48] 웹사이트 'Snitch line' in operation against school boycotters in H.K. https://web.archive.[...]
[49] 뉴스 Hong Kong Students to Boycott Classes If Democracy Demands Aren't Met https://www.wsj.com/[...] 2014-08-21
[50] 뉴스 The Boycott Begins: thousands of students stage classroom walkout over Beijing's reform plan 2017-09-22
[51] 서적 Umbrella: a Political Tale from Hong Kong Pema Press 2017
[52] 웹사이트 Letter of No Objection from the Central District Police https://web.archive.[...] dbc
[53] 뉴스 REPORT: Hong Kong's 17-Year-Old 'Extremist' Student Leader Arrested During Massive Democracy Protest http://www.businessi[...] 2014-09-27
[54] 뉴스 Class Boycott turned violent, Joshua Wong arrested https://web.archive.[...] 2014-09-27
[55] 뉴스 Pro-Democracy Students Storm Government Square in Hong Kong https://time.com/343[...] Time 2014-09-27
[56] 뉴스 Meet the 17-year-old face of Hong Kong's protests https://www.usatoday[...] 2014-10-02
[57] 웹사이트 Police arrest 61 people for unlawful assembly http://7thspace.com/[...] 7thspace
[58] 뉴스 Hong Kong protest leaders: Who are the people behind the movement? https://www.thestar.[...]
[59] 뉴스 Hong Kong pro-democracy protesters jam city streets http://edition.cnn.c[...] CNN 2014-09-28
[60] 웹사이트 Occupy Central Begins, Chief Executive Silent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Hong Kong 'Occupy' leader Benny Tai admits protest out of control amid traffic paralysis http://www.straitsti[...] 2014-09-28
[62] 뉴스 Occupy Central Launches Hong Kong Protest Campaign https://www.wsj.com/[...] 2014-09-27
[63] 웹사이트 Protesters gather at Admiralty http://orientaldaily[...] 2014-09-29
[64] 서적 Umbrella; A Political Tale from Hong Kong Pema Press 2017
[65] 웹사이트 First night of Occupy Central: My six hours in Admiralty http://www.scmp.com/[...] 2014-09-29
[66] 웹사이트 Police fired at least 3 teargas canisters http://hk.apple.next[...]
[67] 웹사이트 Police fire tear gas and baton charge thousands of Occupy Central protesters http://www.scmp.com/[...] 2014-09-29
[68] 뉴스 罕有使用真汽油彈 防暴演練 警隨時向示威者開槍 https://hk.news.appl[...] Apple Daily 2014-07-26
[69] 뉴스 博訊:港特首等5人策劃開槍 準備死500人 http://www.appledail[...] 2014-09-30
[70] 뉴스 19:00 警員在夏慤道出示開槍警告 https://www.facebook[...] 2014-09-28
[71] 웹사이트 香港警方向市民放催淚彈, 舉起長槍(雷明登870霰彈槍)指向民眾 0:52 https://www.youtube.[...] TVB News 2014-09-29
[72] 웹사이트 行政長官向全港巿民發表談話 https://www.info.gov[...] 2014-09-29
[73] 뉴스 'Umbrella Revolution' brings Hong Kong to a halt in push for democracy https://www.theglobe[...]
[74] 뉴스 Hong Kong: Protesters defiant amid stand-off https://www.bbc.com/[...] 2014-09-29
[75] 뉴스 Hong Kong protests: 'People will be asking in 10 years, 20 years, where were you?'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4-10-09
[76] 뉴스 Hong Kong protest spreads to new site across harbour, Mongkok in Kowloon http://www.straitsti[...] 2014-09-29
[77] 뉴스 Hong Kong protests spread as 80,000 take to streets https://www.telegrap[...] 2014-09-29
[78]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TWO:]] Full coverage (5.19 pm)
[79] 뉴스 At least 34 injured as police and protesters clash in Hong Kong http://www.cnn.com/2[...] CNN 2014-09-28
[80] 뉴스 Hong Kong police: 'We have exercised maximum tolerance' https://www.latimes.[...] 2014-10-05
[81] 뉴스 How Tear Gas Attack Ignited Hong Kong Democracy Protest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4-10-09
[82] 뉴스 Umbrella Revolution: more designs on Hong Kong's protest movement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09-29
[83] 뉴스 Hong Kong Police Use of Tear Gas on Pro-Democracy Protesters Is Questioned https://www.wsj.com/[...] 2014-10-03
[84] 뉴스 Carrie Lam: Hong Kong to Delay Discussions on Political Reform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4-09-29
[85] 뉴스 Paul Zimmerman: 'Why I took umbrella to China National Day in HK' https://www.bbc.com/[...]
[86] 웹사이트 Hong Kong lawmaker Paul Zimmerman talks to the media while holding a yellow umbrella, a symbol of the Hong Kong pro-democracy movement, at the reception to mark China's National Day in Hong Kong on October 1, 2014 https://news.yahoo.c[...] 2014-10-06
[87] 뉴스 Hong Kong students vow stronger protests if leader stays https://www.bbc.com/[...] 2014-10-01
[88] 웹사이트 HKPF report card: Occupy Central term http://harbourtimes.[...] 2014-10-31
[89]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FIVE:]] Full coverage (4.45 pm)
[90] 뉴스 Hong Kong Leader Offers Talks With Protesters https://www.wsj.com/[...] 2014-10-04
[91] 뉴스 Violence Erupts in Hong Kong as Protesters Are Assaulted https://www.nytimes.[...] 2014-10-03
[92]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IX:]] Full coverage (6.05 pm)
[93] 뉴스 Hong Kong clashes continue in Mong Kok http://edition.cnn.c[...] CNN 2014-10-03
[94]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IX:]] Full coverage (8.50 pm)
[95] 웹사이트 Rival protesters face off in gritty Hong Kong neighbourhood http://www.timesofma[...] 2014-10-05
[96]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3.10 am)
[97] 뉴스 Hong Kong legislator says government using triads against protesters https://www.theguard[...] 2016-09-05
[98] 뉴스 Hong Kong protests: Student leaders postpone talks https://www.bbc.com/[...] BBC 2014-10-03
[99]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10 am)
[100]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5.45 pm)
[101] 뉴스 Hong Kong government may resume on Monday, but protests go on http://uk.reuters.co[...] 2014-10-04
[102]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5.05 pm)
[103]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4.25 pm)
[104]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1.15 pm)
[105] 뉴스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EVEN:]] Full coverage (2.15 pm)
[106] 뉴스 As Hong Kong protests turn violent, rival camps square off in gritty Mong Kok neighborhood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4-10-04
[107] 웹사이트 Former US diplomats warn of Hong Kong 'erosion' over crisis in open letter to CY http://www.scmp.com/[...] 2014-10-07
[108] 웹사이트 Legal and political heavyweights unite in call for end to protests http://www.scmp.com/[...] 2014-10-12
[109] 뉴스 Hong Kong protests: civil servants allowed to return to work but activists remain https://www.theguard[...] 2016-09-05
[110] 뉴스 Hong Kong 'calls off student talks' https://www.bbc.co.u[...] BBC News 2014-10-09
[111] 뉴스 Hong Kong government backs out of talks; students vow new protests https://www.washingt[...] 2014-10-09
[112] 뉴스 Pitching tents, Hong Kong democracy protesters dig in for long haul https://web.archive.[...] Reuters 2016-09-05
[113] 뉴스 Hong Kong Protesters Appeal to Xi Jinping in Open Let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12
[114] 웹사이트 CY Leung: 'Occupy Central is out of control. I may clear them out.' https://archive.toda[...] 2014-10-12
[115] 웹사이트 Leung: Not resigning, resigning cannot break up an 'out of control' Occupy movement; Occupy Central: Government out of control https://web.archive.[...] 2014-10-12
[116] 뉴스 Hong Kong Protest Leaders, Authorities Trade Barbs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4-10-12
[117] 웹사이트 CY Leung retorts accusations of his evading media questions as 'Inconsistent with facts' http://www.bbc.co.uk[...] 2014-10-12
[118] 웹사이트 Protests have 'spun out of control' https://web.archive.[...] 2014-10-13
[119] 뉴스 Hong Kong pro-democracy activists reinforce barricades at protest site https://www.theguard[...] 2016-09-05
[120]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IXTEEN:
[121]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SIXTEEN:
[122] 뉴스 Hong Kong police make fresh attempt to clear barricaded roads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9-05
[123] 웹사이트 Apple gets taste of own medicine http://www.thestanda[...] 2014-10-14
[124] 웹사이트 Apple Daily and The New York Times blocked http://hk.apple.next[...] 2014-10-13
[125] 웹사이트 High Court accepts injunction plea from Apple Daily to ban blocking passageways http://news.now.com/[...] 2014-10-13
[126] 뉴스 Hundreds of HK police use sledgehammers and chainsaws to dismantle protest barriers https://www.reuters.[...] Reuters 2014-10-13
[127]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 LIVE
[128] 뉴스 Hong Kong Students Ready Return of Police With Chain Saw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4-10-14
[129] 뉴스 Hong Kong police beat protester in violent crackdown on demonstrations https://www.theguard[...] 2016-09-05
[130] 뉴스 Hong Kong Melee Fuels Public Outc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9-05
[131] 웹사이트 The casual chat room comment that sparked 45 arrests and allegations of police brutality http://www.scmp.com/[...] 2014-10-16
[132] 웹사이트 Hong Kong police in violent clashes with protesters http://www.digitaljo[...] 2014-10-16
[133] 뉴스 Hong Kong authorities vow to probe alleged police beating at protest http://edition.cnn.c[...] CNN 2014-10-15
[134] 간행물 Claims of Police Brutality Threaten to Escalate the Hong Kong Protests https://time.com/350[...] 2014-10-15
[135] 뉴스 Activist Ken Tsang sues for punitive damages from police chief over Umbrella Movement assault https://www.hongkong[...] 2017-10-14
[136] 뉴스 Hong Kong Protesters Reclaim Mongkok District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4-10-18
[137] 웹사이트 Chaos in Mong Kok as police use batons, pepper spray to repel surge of protesters http://www.scmp.com/[...] 2014-10-18
[138] 뉴스 Hong Kong Protesters Return to Mong Kok District, Vow to Hold Ground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4-10-18
[139] 뉴스 'Triads' behind spike in Hong Kong protest violence, activist claims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4-10-19
[140] 뉴스 Hong Kong Protest Leaders Call for Calm Ahead of Talks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4-10-20
[141] 뉴스 Court outlaws Mong Kok, Admiralty protests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1
[142] 뉴스 Hong Kong Leader Reaffirms Unbending Stance on Elections https://www.nytimes.[...] 2016-09-05
[143] 웹사이트 Hong Kong 'lucky' China has not stopped protests, says CY Leung http://www.ft.com/cm[...] 2016-09-05
[144] 간행물 CY Leung shows how not to talk to the world's media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10-22
[145] 뉴스 Middle man vows fairness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0
[146] 웹사이트 Government and Students Federation in dialogue together https://hk.news.yaho[...] 2014-10-19
[147] 뉴스 Hong Kong protest talks agree little http://edition.cnn.c[...] CNN 2014-10-25
[148] 뉴스 Patience is virtue for Lam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2
[149] 뉴스 No breakthrough as Hong Kong officials open talks with students https://www.latimes.[...] 2014-10-23
[150] 웹사이트 Government's response to dialogue with HKFS http://www.info.gov.[...] Government of Hong Kong 2014-10-23
[151] 뉴스 Hong Kong protests: Activists march to CY Leung's house https://www.bbc.co.u[...] BBC 2016-09-05
[152] 뉴스 Injunction sparks barricade violence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3
[153] 웹사이트 Spiders get Lion's share of exposure http://www.thestanda[...] 2014-10-23
[154] 뉴스 Pro-Democracy Banner Occupies Hong Kong's Iconic Lion Rock, Spawns Memes https://blogs.wsj.co[...] 2014-10-25
[155]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ers reach new heights with democracy banner on Lion Rock http://www.dw.de/hon[...] Deutsche Welle 2014-10-25
[156] 간행물 Giant pro-democracy banner removed from Hong Kong's famous Lion Rock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10-24
[157] 웹사이트 Brawl—Four journalists assaulted during anti-Occupy efforts http://www2.hkej.com[...] 2014-10-26
[158] 뉴스 Anti-Occupy mob roughs up Hong Kong journalists https://www.reuters.[...] 2016-09-05
[159] 웹사이트 Anti-Occupy Central group storms Mong Kok protest site http://www.scmp.com/[...] 2014-10-25
[160] 웹사이트 Occupy students call for pan-democrats' resignation to trigger referendum http://www.scmp.com/[...] 2014-10-25
[161] 웹사이트 Alex Chow: Voting is not paving a way to a referendum http://www2.hkej.com[...] 2014-10-25
[162] 웹사이트 Federation of Students sends a letter naming two prerequisites http://www2.hkej.com[...] 2014-10-31
[163]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ers hush for 87 secs to remember tear gas police fired 2014-10-29
[164] 뉴스 Pro-Beijing lawmaker urges hong kong leader to consider quitting https://www.nytimes.[...] 2014-10-26
[165] 뉴스 Tien's head rolls as Beijing waves stick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9
[166] 뉴스 Hong Kong chief faces new calls to step down as protests continue https://www.latimes.[...] 2014-10-31
[167] 뉴스 Politician Who Called for Hong Kong Leader's Resignation Is Formally Penalized https://www.nytimes.[...] 2014-10-31
[168] 뉴스 Student leader in clear after he rejects bail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9
[169] 뉴스 Petition against democracy movement in Hong Kong collects more than 1.8 million signatures http://www.straitsti[...] 2014-11-12
[170] 뉴스 Questions raised over credibility of planned anti-Occupy signature campaign http://www.scmp.com/[...] 2014-09-30
[171] 뉴스 Hong Kong protesters face arrest after court rules on evictions https://www.theguard[...] 2014-11-11
[172] 뉴스 Top court judge questions 'odd' injunction http://www.scmp.com/[...] 2014-11-30
[173] 뉴스 Hong Kong protesters carry out 'yellow ribbon' march https://www.bbc.com/[...] 2014-11-09
[174] 웹사이트 Occupy supporters march to liaison office http://www.scmp.com/[...] 2014-11-10
[175] 뉴스 Hong Kong Students Consider Taking Protest to Beijing https://www.wsj.com/[...] 2016-09-05
[176] 뉴스 Hong Kong protest leaders denied Beijing flight https://www.bbc.co.u[...] BBC 2014-11-15
[177] 웹사이트 Beijing bans student leaders from taking trip to mainland to press for democracy http://www.scmp.com/[...] 2014-11-15
[178] 뉴스 Offal attack on Lai as trio pelt tycoon with pig guts http://www.thestanda[...] 2014-11-13
[179] 뉴스 Rotten offal hits HK media tycoon http://www.bangkokpo[...] 2014-11-12
[180] 웹사이트 Occupy marshals arrested after restraining Jimmy Lai attackers join protest march http://www.scmp.com/[...] 2014-11-13
[181] 뉴스 Hong Kong protesters show little resistance as bailiffs remove barriers in Admiralty http://www.scmp.com/[...] 2014-11-18
[182] 뉴스 Radical mob splits Occupy http://thestandard.c[...] 2014-11-20
[183] 웹사이트 Protesters clash with police at Hong Kong legislature https://www.bbc.com/[...] BBC 2014-11-19
[184] 뉴스 Rioters linked to Mad Dog follower http://thestandard.c[...] 2014-11-20
[185] 뉴스 Hong Kong democracy activists protest outside British consulate https://news.yahoo.c[...] 2014-11-21
[186] 뉴스 Hong Kong student leaders arrested as police attempt to clear protest zone https://www.theguard[...] 2014-11-26
[187] 뉴스 Banned from Monk Kok http://www.thestanda[...] 2014-11-28
[188] 웹사이트 Scolarism's Joshua Wong released at High Court's judge instruction http://www.scmp.com/[...] 2014-09-28
[189] 뉴스 Hong Kong Clashes Flare as Protesters Return to Camp https://www.nytimes.[...] 2014-11-28
[190] 뉴스 Hong Kong protesters clash with police after new clampdown http://uk.reuters.co[...] 2014-11-29
[191] 뉴스 OCCUPY CENTRAL – DAY 64: Joshua Wong announces hunger strike to call for talks with government http://www.scmp.com/[...] 2014-11-30
[192] 뉴스 Hong Kong protest leader Joshua Wong goes on hunger strik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12-01
[193] 뉴스 Police let Occupy organisers walk away without charge after they turn themselves in http://www.scmp.com/[...] 2014-12-04
[194] 웹사이트 Occupy Central Trio's Letter to the Hong Kong People http://oclp.hk/index[...] Occupy Central with Love and Peace 2014-12-02
[195] 웹사이트 Occupy protesters in Mong Kok take to the 'shopping tour' http://www.scmp.com/[...] 2014-12-04
[196] 웹사이트 Mong Kok minibus group faces backlash after anti-Occupy move http://www.ejinsight[...] 2014-12-08
[197]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64:
[198]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64:
[199] 웹사이트 【金鐘清場】警方共拘209人 籲佔銅者盡快離開 http://hk.apple.next[...] 2014-12-11
[200] 뉴스 Hong Kong protests: Arrests as Admiralty site is cleared https://www.bbc.com/[...] BBC 2014-12-11
[201]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 DAY 64:
[202] 뉴스 Hong Kong protesters will be arrested if they have not left Admiralty Occupy site by 11 am http://www.scmp.com/[...] 2014-12-11
[203] 뉴스 Police clear final Hong Kong protest site at Causeway Bay https://www.bbc.com/[...] 2014-12-15
[204] 뉴스 Hong Kong Police Clear Last Protest Site https://www.wsj.com/[...] 2014-12-15
[205] 뉴스 Hong Kong protests at crossroads, talks to start on Friday http://uk.reuters.co[...] 2014-10-07
[206] 문서 More traffic mayhem ahead https://web.archive.[...] The Standard 2014-10-12
[207] 문서 Prepare for traffic delays, kindy parents told https://web.archive.[...] The Standard 2014-10-14
[208] 문서 Protests a rail coup for MTR https://web.archive.[...] The Standard 2014-10-18
[209] 뉴스 Movie Stars Swap Limos for Subway in Hong Kong Protest https://www.bloomber[...] 2014-10-13
[210] 웹사이트 Hong Kong residents slowly losing patience with protests http://america.aljaz[...]
[211] 뉴스 Hong Kong Court Bans Occupations as Police Warn of Riot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4-10-20
[212] 뉴스 Protesters who blocked roads also cleared Hong Kong's polluted air http://www.scmp.com/[...] 2014-10-09
[213]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214]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DAY NINE:"
[215] 뉴스 Back to school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08
[216] 뉴스 Hong Kong protests at crossroads https://lfpress.com/[...] 2014-10-07
[217] 웹사이트 How Hong Kong protests are affecting travel http://www.ktuu.com/[...] KTUU.com 2014-10-08
[218] 웹사이트 Tourism is actually up during Hong Kong's protests, and other economic surprises http://qz.com/275559[...] 2014-10-08
[219] 뉴스 Triads See Underworld Business Hurt by Hong Kong Protest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4-10-10
[220] 뉴스 Thousands of Hong Kong protesters regroup after government rejects talks https://www.reuters.[...] 2014-10-10
[221] 웹사이트 國安策劃反佔中上海仔頭馬搞亂旺角 http://hk.apple.next[...] 2014-10-07
[222] 뉴스 Occupy protests had little impact on HK economy: report http://www.ejinsight[...] ejinsight.com 2014-12-16
[223] 뉴스 Hired thugs attack Hong Kong democracy protesters http://www.thetimes.[...] 2014-10-11
[224] 뉴스 Tramways loses HK$7.8 million revenue after being stopped in its tracks http://www.scmp.com/[...] 2014-11-29
[225] 뉴스 These businesses really got creamed during Hong Kong's Umbrella Movement http://qz.com/314976[...] 2014-12-19
[226] 뉴스 Zen 'unfriends' Lai ...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09
[227] 뉴스 Who's who in the Hong Kong protests? http://edition.cnn.c[...] CNN 2014-10-07
[228] 뉴스 Hong Kong protests: Police officers upset at being 'un-friended' on Facebook https://www.independ[...] 2014-10-10
[229] 문서 Emotional Toll Police Handling Occupy Protests Psychologists Say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10-10
[230] 뉴스 Top cop tells of stress in line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0
[231] 뉴스 Tear Gas Erodes Hong Kong Police Force's Hard-Won Reputation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4-10-03
[232] 뉴스 The waiting game https://www.economis[...] 2014-10-11
[233] 뉴스 The end of trust? Hong Kong sees police force in a new light http://www.cnn.com/2[...] CNN 2014-10-07
[234] 웹사이트 I wasn't scared of tear gas but I was when I was groped, 'Christine' says http://www.scmp.com/[...] 2014-10-05
[235] 웹사이트 Triads infiltrated camps of Occupy supporters and detractors, say police http://www.scmp.com/[...] 2014-10-12
[236] 웹사이트 Cultural revolution replayed in HK http://www.taipeitim[...] 2013-09-09
[237] 웹사이트 國安策劃反佔中 上海仔頭馬搞亂旺角 http://hk.apple.next[...] 2014-10-07
[238] 웹사이트 大陆派便衣入港曝光:组织黑道攻击"占中" http://www.rfa.org/m[...] Radio Free Asia 2014-10-08
[239]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s: Who are behind Friday's triad attacks on protesters? http://www.straitsti[...] 2014-10-04
[240] 뉴스 Hong Kong: Triad gangs accused of intimidating protesters https://www.bbc.co.u[...] BBC 2014-10-07
[241] 뉴스 Hong Kong's 'Alternative' Revolution: Facebook, House News, and Passion Times https://www.huffingt[...] 2014-10-22
[242] 뉴스 Hong Kong protests bring crisis of confidence for traditional media https://www.theguard[...] 2014-10-29
[243] 뉴스 Reporters voice anger at TVB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16
[244] 웹사이트 TVB boss backs news chief's handling of police 'beating' http://www.scmp.com/[...] 2014-10-18
[245] 웹사이트 「TVB新聞女神」驚傳要走人 網友揣測是「被辭職」 http://news.ltn.com.[...] 2014-10-18
[246] 웹사이트 TVB footage of 'police beating protester' wins journalism award http://www.ejinsight[...] 2015-06-23
[247] 뉴스 The Largest Cyber Attack in History Has Been Hitting Hong Kong Sites https://www.forbes.c[...] Forbes 2014-11-20
[248] 뉴스 Protesters in Hong Kong to vote on government proposals https://www.reuters.[...] 2016-09-05
[249] 뉴스 China won't cede to HK protests, army used only as last resort-sources https://www.reuters.[...] 2016-09-05
[250] 뉴스 Beijing Is Directing Hong Kong Strateg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18
[251] 웹사이트 Has Leung really secured Beijing's blessing to seek second term? http://www.ejinsight[...] 2015-03-27
[252] 웹사이트 Students urge NPC deputies to intercede http://www.thestanda[...] 2014-11-10
[253] 뉴스 Ex-Hong Kong Chief Exec Tung Chee Hwa says China won't change mind on democracy: Paper http://www.straitsti[...] The Straits Times 2014-11-09
[254] 뉴스 Occupy Central 'is challenging Beijing'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1-10
[255] 웹사이트 Minitrue: Delete Harmful Information on Hong Kong http://chinadigitalt[...] 2014-10-03
[256] 웹사이트 'Doomed' protests will not change Beijing's decision on political reform, warns Chinese state paper http://www.scmp.com/[...] 2014-10-03
[257] 뉴스 China censors try to blunt Hong Kong protests, don't always succeed https://www.reuters.[...] 2014-10-03
[258] 뉴스 Chinese Web Censors Struggle With Hong Kong Prote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9-30
[259] 뉴스 Instagram appears blocked in China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9-29
[260] 뉴스 Opinion: How China controls Hong Kong protest coverage http://edition.cnn.c[...] CNN 2014-10-12
[261] 웹사이트 The media war for Hong Kong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4-10-31
[262] 뉴스 Hong Kong protests: China blocks BBC website after police brutality video goes viral http://www.straitsti[...] 2014-10-16
[263] 웹사이트 China: Detained For Supporting Hong Kong Protest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6-09-05
[264] 뉴스 Why are Hong Kong's protesters rallying around the number 689? https://www.theguard[...] 2014-10-00
[265] 뉴스 HK protests' 'Umbrella Revolution' tag escapes China's censors – so far https://www.reuters.[...] 2014-10-31
[266] 웹사이트 VOA, RFA Evade Chinese Government Censors, Cover Hong Kong Protests http://www.bbg.gov/b[...] 2016-07-06
[267] 웹사이트 China blames Sunflower Student Movement for Occupy Central http://news.ltn.com.[...] 2014-10-05
[268] 웹사이트 Nobody cares about Hong Kong's destiny more than all Chinese nationals http://opinion.peopl[...] 2014-10-05
[269] 뉴스 Joshua Wong: the teenager who is the public face of the Hong Kong protests https://www.theguard[...] 2014-10-12
[270] 웹사이트 The US is no role model in Hong Kong's democracy fight http://qz.com/281933[...] 2014-11-30
[271] 웹사이트 Why is the US so keen on 'Color Revolutions'? http://english.peopl[...] 2014-10-11
[272] 뉴스 China asks foreign media to report Hong Kong unrest "objectively" https://www.reuters.[...] 2016-09-05
[273] 뉴스 Foreign countries backing Occupy: Leung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0-20
[274] 웹사이트 Transcript of remarks by CE at media session http://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15-04-22
[275] 웹사이트 After 1,103 days we're still waiting: Where is CY Leung's 'Occupy was a foreign plot' evidence? https://www.hongkong[...] 2017-10-30
[276] 뉴스 Chinese state-run paper blames US for Hong Kong democracy protests https://www.theguard[...] 2014-10-11
[277] 웹사이트 Beijing's problem in Hong Kong is not foreign interference but Western ideas http://www.scmp.com/[...] 2014-12-10
[278] 뉴스 Hong Kong democracy stalwart says 'foreign forces' not behind protests https://www.latimes.[...] 2016-09-05
[279] 웹사이트 The 'black hands' of Occupy Central http://cmp.hku.hk/20[...] 2014-10-12
[280] 웹사이트 Chinese media blames foreigners over Occupy protests http://www.scmp.com/[...] 2016-09-05
[281] 웹사이트 http://paper.people.[...] 2014-10-01
[282] 웹사이트 Beijing just sent a chilling message to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http://qz.com/274141[...] 2014-10
[283] 뉴스 Hong Kong protests: Echoes of Tiananmen https://www.bbc.co.u[...] BBC 2014-10-02
[284] 뉴스 Hong Kong protesters poised to occupy buildings if leader won't budge http://www.cbc.ca/n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0-01
[285] 웹사이트 http://news.xinhuane[...] 2014-10-03
[286] 뉴스 China media: 'Harmonious environment' absent for Hong Kong talks https://www.bbc.co.u[...] BBC 2014-10-06
[287] 웹사이트 http://hk.crntt.com/[...] 中國評論通訊社 2014-10-06
[288] 뉴스 Hong Kong protests: 'external forces' blamed by chief executive https://www.theguard[...] 2014-10-19
[289] 뉴스 China media defend Hong Kong chief executive https://www.bbc.com/[...] 2014-10-02
[290] 뉴스 Amid Clamor Over Democracy, Hong Kong's Tycoons Keep Silen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22
[291] 웹사이트 Hong Kong's tycoons silent on democracy protests http://www.todayonli[...]
[292] 뉴스 Great divide between Hong Kong's haves and have nots fuels anger http://www.theaustra[...] 2014-10-21
[293] 웹사이트 http://www.881903.co[...] Commercial Radio Hong Kong 2014-10-25
[294] 뉴스 Hong Kong Tycoons Pressed on Protests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4-10-28
[295] 뉴스 Hong Kong protests approach potential National Day flashpoint https://www.reuters.[...] 2014-09-30
[296] 뉴스 Hong Kong Democracy Standoff, Circa 1960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27
[297] 뉴스 Chow Yun-Fat Beats Jackie Chan https://www.wsj.com/[...] 2014-10-29
[298] 뉴스 Hong Kong Stars Face Mainland Backlash Over Support For Protes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25
[299] 웹사이트 Minitrue: Chow Yun-fat Banned from Mainland http://chinadigitalt[...] 2014-10-28
[300] 뉴스 MPs' trip to China cancelled after row over Hong Kong protests debate https://www.theguard[...] 2014-11-24
[301] 웹사이트 http://www.bbc.co.uk[...] 2014-10-05
[302] 웹사이트 http://www2.hkej.com[...] 2014-10-06
[303] 뉴스 Head Off a Tiananmen Massacre in Hong Kong https://www.wsj.com/[...] 2014-09-30
[304] 웹사이트 8 Detained in China Before Hong Kong Poetry Event https://abcnews.go.c[...]
[305] 뉴스 Mainland activists held for backing HK protesters http://www.ejinsight[...] 2014-10-05
[306] 웹사이트 Amnesty: Hong Kong Protest Supporters Tortured in China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15-02-12
[307] 웹사이트 Former Hong Kong Chief Secretary Anson Chan Demands Britain Act Over Hong Kong http://www.huffingto[...] 2014-10-03
[308] 웹사이트 http://news.now.com/[...] Now TV 2014-10-11
[309] 웹사이트 http://www.orientald[...] 2014-09-09
[310] 웹사이트 No foreign forces behind Hong Kong protests: Senior lawmaker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311]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s: Police remove more barricades https://www.bbc.com/[...] 2014-10-13
[312] 웹사이트 We've heard your demands, Tung Chee-hwa tells HK protesters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14-10-05
[313] 뉴스 Thousands denounce HSBC board member's likening of Hong Kong people to freed slaves https://www.reuters.[...] 2014-10-31
[314] 웹사이트 Don't be a slave to reform, says finance figure http://www.thestanda[...]
[315] 뉴스 Hong Kong Politician Likens Protesters to African-American Slaves http://sinosphere.bl[...] 2014-10-31
[316] 웹사이트 Laura Cha plays 'black slave' card against protesters http://www.ejinsight[...] 2014-10-30
[317] 웹사이트 HK business leaders: Occupy Movement damages economy, social order https://web.archive.[...] 2014-10-31
[318] 웹사이트 How to Save Occupy Central https://thediplomat.[...] 2014-10-31
[319] 웹사이트 http://www1.hkej.com[...] 2014-10-31
[320] 웹사이트 【佔中局勢】呂志和:年青人不應受有心人唆擺,盡早離開佔領區 http://www.etnet.com[...] ET Net 2014-10-31
[321]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panel chides China over Hong Kong http://www.dw.de/un-[...] Deutsche Welle 2014-10-23
[322] 뉴스 U.N. Human Rights Panel Urges China To Allow Free Elections in Hong Kong https://www.nytimes.[...] 2014-10-23
[323] 뉴스 U.N. rights watchdog calls for open elections in Hong Kong https://web.archive.[...] 2014-10-23
[324] 뉴스 China says U.N. rights covenant no measure for Hong Kong reform https://www.reuters.[...] 2016-09-05
[325] 뉴스 China's explanation for the Hong Kong protests? Blame America. https://www.washingt[...] 2014-10-03
[326] 뉴스 Russian State Media Portray Hong Kong Protests as U.S. Plot https://www.wsj.com/[...] 2014-10-03
[327] 뉴스 Russian state television says Britain and US provoked Hong Kong protests https://www.telegrap[...] 2014-09-30
[328] 웹사이트 Sea of candles marks 'magical' rally that shook Berlin Wall https://web.archive.[...] 2014-11-08
[329] 뉴스 Hong Kong: China Warns UK Not To 'Interfere' http://news.sky.com/[...] Sky News 2014-09-29
[330] 뉴스 Cameron says deeply concerned about Hong Kong clashes https://web.archive.[...] 2014-09-30
[331] 뉴스 PM Cameron says Britain should stand up for Hong Kong rights https://web.archive.[...] 2014-10-15
[332] 뉴스 Hong Kong protests: UK 'concerned' about situation https://www.bbc.com/[...] 2014-09-30
[333] 웹사이트 Foreign Office monitoring events in Hong Kong https://www.gov.uk/g[...] 2014-09-30
[334] 웹사이트 Chris Patten accepts umbrella, and reportedly praises democracy protesters http://www.scmp.com/[...] 2014-11-00
[335] 뉴스 What China promised Hong Kong https://www.washingt[...] 2014-10-07
[336] 뉴스 Last Hong Kong Governor Urges Concessions to Protesters https://www.bloomber[...] 2014-11-05
[337] 뉴스 Britain soft on China over Hong Kong crisis, says Chris Patten https://www.theguard[...] 2014-11-05
[338] 뉴스 'Times have changed' China tells Chris Patten, Hong Kong's last British governor http://www.straitsti[...] 2014-11-05
[339] 웹사이트 北京駁斥彭定康促停慫恿佔中言行 http://www.881903.co[...] Commercial Radio Hong Kong
[340] 뉴스 British MP attacks 'confrontational' China as Hong Kong protests escalate https://www.telegrap[...] 2014-11-30
[341] 뉴스 Why Taiwan is watching Hong Kong protests https://www.bbc.com/[...] BBC 2014-10-26
[342] 뉴스 Ma Ying-jeou: 'One country, one system'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4-09-30
[343] 뉴스 Ma urges Beijing to listen to Hong Kongers' voices http://focustaiwan.t[...] 2014-09-29
[344] 뉴스 Taiwan urges China to let Hong Kong 'go democratic' https://www.theguard[...] 2016-09-05
[345] 뉴스 Taiwan hopes China sees good will in 10/10 address http://www.chinapost[...] 2014-10-26
[346] 웹사이트 Beijing pleased at end of HK protest but angry over its legacy http://www.ejinsight[...] 2014-12-12
[347] 간행물 Hong Kong's Protest: Meet the Voice of a Generation https://time.com/348[...] 2014-10-08
[348] 간행물 Hong Kong Protests: Why Democracy Fight Is a Challenge for China https://time.com/345[...] 2014-10-01
[349] 뉴스 China is Hong Kong's future – not its enemy https://www.theguard[...] 2014-09-30
[350] 뉴스 Hong Kong in crisis: Role of the UK http://edition.cnn.c[...] CNN 2014-10-09
[351] 웹사이트 3佔領區「回復正常」 空氣懸浮粒子勁超標 http://hk.apple.next[...] 2014-12-16
[352] 웹사이트 Hong Kong's air quality falls after Occupy clearance puts traffic back on the roads http://www.scmp.com/[...] 2014-12-17
[353] 웹사이트 前檔案處長擬申請禁制令 阻特首銷佔領公文 http://www.hkbc.tv/a[...] hkbc.tv
[354] 웹사이트 Police to probe instigators of Occupy movement http://rthk.hk/rthk/[...] RTHK English News
[355] 웹인용 HK leader declares Occupy protest 'over' as last site cleared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14-12-15
[356] 뉴스 As Occupy ends, CY Leung performance rating falls http://www.ejinsight[...] ejinsight.com 2014-12-25
[357] 뉴스 Journalists barred from holding umbrellas http://rthk.hk/rthk/[...] 2014-12-25
[358] 웹인용 Protest probe: top cop speaks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12-16
[359] 웹인용 Pro-democracy lawmakers condemn police intimidation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5-03-02
[360] 뉴스 Schoolboy May Lose Parents as Repercussions Dawn in Hong Kong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4-12-18
[361] 웹사이트 Police won't seek protection order for Hong Kong teen arrested during Occupy clearance http://www.scmp.com/[...] 2015-01-12
[362] 웹사이트 Teen arrested for drawing with chalk on wall at Hong Kong protest site https://edition.cnn.[...] CNN 2019-07-12
[363] 웹사이트 Girl, 14 who drew flower on Hong Kong's 'Lennon Wall' sent to Children's Home http://www.scmp.com/[...] 2014-12-31
[364] 뉴스 Teen arrested for drawing with chalk on wall at Hong Kong protest site http://edition.cnn.c[...] CNN 2015-01-12
[365] 웹사이트 Girl sent to children's home for drawing flowers on Occupy's 'Lennon Wall' freed after outcry http://www.scmp.com/[...] 2015-01-01
[366]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 'graffiti teen' allowed to stay with family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367] 웹사이트 Chalk Girl who drew on Occupy 'Lennon Wall' released as court refuses to put her in children's home http://www.scmp.com/[...] 2015-01-19
[368] 뉴스 The Infamous Chalk Girl https://www.theguard[...] 2019-07-10
[369] 웹사이트 The Infamous Chalk Girl https://vimeo.com/21[...] 2019-07-10
[370] 웹사이트 Umbrella Movement: Who are the winners and losers? http://www.ejinsight[...] 2014-12-15
[371] 뉴스 Strangling Free Hong Kong https://www.wsj.com/[...] 2014-12-12
[372] 뉴스 China's crackdown in Hong Kong may fuel a long-term democracy movement https://www.washingt[...] 2014-11-27
[373] 뉴스 The Guardian view on the continuing protests in Hong Kong https://www.theguard[...] 2014-12-01
[374] 간행물 Defending China's National Image and 'Defensive Soft Power': the Case of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2017-03-01
[375] 뉴스 Joshua Wong and other jailed Hong Kong student leaders see political careers halted http://www.scmp.com/[...] 2017-08-17
[376] 뉴스 Why were 13 Hong Kong protesters jailed, and what does this mean for future demonstrations? http://www.scmp.com/[...] 2017-10-07
[377] 뉴스 Chairs Release 2017 Annual Report—Announce New Initiatives on Hong Kong & Commemoration of Liu Xiaobo https://www.cecc.gov[...] 2017-10-07
[378] 뉴스 江湖人爆料 上海仔頭馬搞亂旺角 http://hk.apple.next[...] 2014-10-07
[379] 뉴스 江湖人士:黑幫收錢輪流上 http://hk.apple.next[...] 2014-10-05
[380] 뉴스 兩黑幫參與佔中反佔中 警鎖定黑道人物拘捕20人 http://www.singpao.c[...] 2014-10-05
[381] 뉴스 鬧場一次1千2?反佔中人士挑釁 黑幫疑僱用走路工 http://www.setnews.n[...] 2014-10-04
[382] 뉴스 中大民調:120萬港人曾參與佔領運動;過半數市民認為政府應作具體讓步 http://hkdash.com/?p[...] 破折號 2014-12-19
[383] 뉴스 反佔中旺角日打到夜 37人傷 集會者批警不執法 http://news1.mingpao[...] 2014-10-04
[384] 뉴스 高永文:因佔領而求診逾470宗急症室有壓力 http://hk.apple.next[...]
[385] 웹사이트 Hong Kong says riot police have pulled back as protesters jam city streets https://edition.cnn.[...] Cable News Network 2014-09-29
[386] 웹사이트 記協代發:《六傳媒工會及組織致警務處處長曾偉雄先生的公開信》 https://www.facebook[...] 2014-10-26
[387] 뉴스 【雨傘革命】警方終拘捕渉打曾健超7警 http://hk.apple.next[...]
[388] 뉴스 彩虹傘海擋港警胡椒水 外媒命佔中爭普選「雨傘革命」 http://www.ettoday.n[...]
[389] 뉴스 香港の民主派、繁華街でも座り込み 香港株急落 https://www.nikkei.c[...]
[390] 뉴스 Hong Kong students to boycott class to protest China curbs on democracy http://www.reuters.c[...]
[391] 뉴스 香港で普通選挙めぐり学生デモ-大半の学生は平和的でSNSを駆使してオーガナイズ http://hongkong.keiz[...] 2015-01-09
[392] 뉴스 香港警方:应对“占中”行动共使用了87枚催泪烟 http://www.mm111.net[...]
[393] 뉴스 香港政府、学生との対話表明 行政長官が会見 https://www.nikkei.c[...]
[394] 뉴스 香港 急速に対立深まり混乱拡大も http://www3.nhk.or.j[...]
[395] 뉴스 警方證實:旺角反佔中衝突 有黑社會非法集會 http://news2.mingpao[...]
[396] 뉴스 尖沙咀のデモ隊は解散=香港 http://www.jiji.com/[...]
[397] 뉴스 普選爭議:廣東道清場近尾聲 僅一示威者拒離開 http://m.on.cc/nc/hk[...]
[398] 뉴스 五間大學校長金鐘探學生 http://news2.mingpao[...]
[399] 뉴스 高官通知八大校長 稱昨「清場機會高」 http://news2.mingpao[...]
[400] 뉴스 香港 学生側が対話の条件を提示 http://www3.nhk.or.j[...]
[401] 뉴스 香港、10日の対話見送り 政府と学生団体折り合えず https://www.nikkei.c[...]
[402] 뉴스 香港抗議活動 学生の反発 再び拡大も http://www3.nhk.or.j[...]
[403] 뉴스 香港の政府庁舎近くに1万5000人、抗議行動 長期化の様相 https://www.afpbb.co[...] 2023-02-20
[404] 뉴스 胡漢清倡叫停政改重啓對話 http://news2.mingpao[...]
[405] 뉴스 香港学民思潮発言人周庭辞職 称身心疲累 http://news.ifeng.co[...]
[406] 뉴스 十多人突在遮打道設路障遭警方清除 http://news.now.com/[...] 2014-10-15
[407] 뉴스 數百警正攻破龍和道 制服多人 http://news2.mingpao[...] 2014-10-15
[408] 뉴스 警方驅散龍和道示威者 http://news.now.com/[...] 2014-10-15
[409] 뉴스 警方拘45人4名警員受傷 http://news.now.com/[...] 2014-10-15
[410] 뉴스 警驅散龍和道示威者拘捕多人 http://news.now.com/[...] 2014-10-15
[411] 뉴스 龍和道驅散行動 警方拘捕37男8女 http://gbcode.rthk.o[...] 2014-10-15
[412] 뉴스 香港警方凌晨驅散特首辦外示威者 拘捕45人 http://news.163.com/[...] 2014-10-15
[413] 뉴스 龍和道四條行車線已開通 http://news.now.com/[...] 2014-10-15
[414] 뉴스 Hong Kong police use pepper spray in Lung Wo Road clear-out operation http://www.scmp.com/[...] 2014-10-15
[415] 뉴스 Reporter ‘beaten’, Hong Kong police and protestors in violent clashes https://coconuts.co/[...] 2023-02-20
[416] 뉴스 警察抬示威人士到暗角並拳打腳踢 https://www.youtube.[...] 2014-10-15
[417] 뉴스 一群無綫新聞部記者的公開信 https://www.facebook[...] 2014-10-15
[418] 뉴스 香港行政長官「来週にも対話」 学生団体受け入れ https://www.nikkei.c[...]
[419] 뉴스 香港行政長官「選挙を民主化すれば貧困層に決定権」 http://jp.wsj.com/ne[...]
[420] 뉴스 香港政府、候補者制限の撤廃を拒否-学生団体と初対話 http://jp.wsj.com/ne[...]
[421] 뉴스 香港对话:官员强调共同点 学联表失望 http://www.bbc.co.uk[...]
[422] 뉴스 香港、28メートルの垂れ幕で「普通選挙」をアピール https://www.afpbb.co[...]
[423] 문서 '[:zh]'
[424] 뉴스 香港占拠学生が「広場投票」実施へ 政府からの提案巡り http://digital.asahi[...]
[425] 뉴스 香港:民主派団体が市民投票棚上げ-上海との証取接続に遅れ http://www.bloomberg[...]
[426] 뉴스 中国の国政助言機関、香港の親中派党首を解任 長官辞任要求で https://www.nikkei.c[...]
[427] 뉴스 “政協常委将表決撤田北俊政協委員職位” http://www.bbc.co.uk[...]
[428] 뉴스 駐英大使劉曉明晤香港財政司司長曾俊華 http://www.bbc.co.uk[...]
[429] 뉴스 劉曉明称已敦促英国不要介入香港内部事務 http://news.stnn.cc/[...]
[430] 뉴스 香港学生団体、北京政府に民主化の直訴を検討 http://jp.wsj.com/ar[...]
[431] 뉴스 香港占拠の学生団体メンバー、中国本土への入境拒まれる http://www.asahi.com[...]
[432] 뉴스 【大帽山再掛】「我要真普選」吶喊 衝上全港最高 http://hk.apple.next[...]
[433] 뉴스 【雨傘革命】大東山青山再現「我要真普選」標語 http://hk.apple.appl[...]
[434] 뉴스 金鐘出現風力發電裝置 http://news.mingpao.[...]
[435] Twitter 遮打自修室開始試驗風力發電 Admiralty study area starts experimenting wind power https://twitter.com/[...] HKDemoNow 2014-11-04
[436] 뉴스 【佔領旺角】警一句「推過去」 女記者倒地2分鐘實錄 http://hk.apple.next[...]
[437] 뉴스 香港「雨傘革命」に賛同、中国で94人拘束 http://www.asahi.com[...]
[438] 뉴스 村上春樹さん、香港デモの学生らにエール https://web.archive.[...]
[439] 뉴스 違法性認め、自首を表明 金融街占拠を計画した香港大准教授 https://web.archive.[...]
[440] 뉴스 習主席、香港行政長官と面会 民主派要求改めて拒否姿勢 http://www.asahi.com[...]
[441] 뉴스 學聯三子回郷證被注銷 http://news.mingpao.[...]
[442] 뉴스 香港学生代表、北京へ直訴の旅が頓挫 搭乗拒否される http://www.asahi.com[...]
[443] 뉴스 美聯社:原定學聯機上座位 貼上「不要坐」標誌 http://news.mingpao.[...]
[444] 뉴스 香港当局、学生占拠の道路でバリケード撤去開始 https://web.archive.[...]
[445] 뉴스 香港 学生と警察衝突 一部デモ隊が議会に侵入 http://www.zakzak.co[...]
[446] 뉴스 蒙面6暴徒身份曝光 http://the-sun.on.cc[...] 2014-11-20
[447] 뉴스 【學聯學民:不理解昨晩衝擊意義】 https://www.facebook[...]
[448] 뉴스 香港 バリケード撤去で衝突懸念 http://www3.nhk.or.j[...]
[449] 뉴스 最後の英香港総督がメッセージ http://dmm-news.com/[...]
[450] 뉴스 最後の香港総督 学生たちに呼びかけ http://www3.nhk.or.j[...]
[451] 뉴스 英領館外60人示威 促介入政改 http://hk.apple.next[...]
[452] 뉴스 香港、強制撤去でデモ隊80人以上逮捕 衝突相次ぎ混乱続 https://www.nikkei.c[...]
[453] 뉴스 香港:デモ隊強制排除で衝突 逮捕者最大の80人 https://web.archive.[...]
[454] 뉴스 “佔中三子”密商如何收拾残局 擬下月初自首 http://news.ifeng.co[...]
[455] 뉴스 香港警察が民主派デモ隊を強制排除、学生リーダー2人逮捕 https://web.archive.[...]
[456] 뉴스 【即時1150】社民連副主席黄浩銘在Facebook,指他與黄之鋒因渉嫌「藐視法庭」被捕,目前均被送往葵涌警署 https://www.facebook[...]
[457] 뉴스 香港・旺角でデモ隊と警官隊衝突、28人逮捕 http://www.yomiuri.c[...]
[458] 뉴스 デモ隊「買い物に来た」コール、梁長官に当てつけ 衝突で28人逮捕 https://web.archive.[...]
[459] 뉴스 香港デモ隊、警官隊と断続的に衝突…50人逮捕 https://web.archive.[...]
[460] 뉴스 香港デモ、民主派が政府庁舎を包囲「抗議活動をエスカレートさせる」 警官隊と大規模衝突 https://www.huffingt[...]
[461] 뉴스 佔中三子告市民書 http://oclp.hk/index[...]
[462] 뉴스 香港デモ、発起人が「降伏」 学生リーダーは「絶食宣言」でハンガーストライキを開始【雨傘革命】 https://www.huffingt[...]
[463] 뉴스 Hong Kong protest leader Joshua Wong says hunger strike 'only way' https://edition.cnn.[...]
[464] Facebook 絕食宣言 https://www.facebook[...]
[465] 뉴스 雙學認圍政總失敗致歉 學民3人絶食 佔中擬今交代最新計劃 http://news.mingpao.[...]
[466] 뉴스 香港民主派団体発起人ら、警察出頭…占拠で責任 https://web.archive.[...]
[467] 뉴스 英議員団の香港訪問 中国側が入国拒否 http://www3.nhk.or.j[...]
[468] 뉴스 香港自治の共同宣言「無効」…中国側が英に伝達 https://web.archive.[...]
[469] 뉴스 卡梅倫批華拒英議員來港 京外交部:誰可入境是主權 http://news.mingpao.[...]
[470] 뉴스 香港、幹線道のバリケード強制撤去は10日以降 https://www.nikkei.c[...]
[471] 뉴스 香港デモ:最大拠点のバリケード撤去へ 高裁命令 https://web.archive.[...]
[472] Facebook 學民思潮下午宣布,召集人黃之鋒在中午12時停止絕食,已經回家休息 https://www.facebook[...]
[473] 뉴스 黄之鋒已停止絶食 另一絶食学生入院 http://www.bbc.co.uk[...]
[474] 뉴스 最大拠点の金鐘、強制排除が完了 150人逮捕 学生代表「抵抗は続く」 https://web.archive.[...]
[475] 뉴스 学生2団体「再占拠の計画なし」 強制排除受け入れ https://web.archive.[...]
[476] 뉴스 岑敖暉談佔領運動:學生沒有輸 政府也沒贏 http://www.appledail[...]
[477] 뉴스 香港・銅鑼湾のデモ隊を強制排除…道路占拠終結 https://web.archive.[...]
[478] 뉴스 更新版 1-香港社会:铜锣湾完成清场道路重开,逾两个半月占领运动终落幕 http://cn.reuters.co[...]
[479] 뉴스 香港行政長官、デモ終了宣言-警察が最後の拠点を強制排除 http://www.bloomberg[...]
[480] 뉴스 沈祖堯籲政府學生對話 為赤子心淌涙 http://www2.hkej.com[...]
[481] 뉴스 港大校長馬斐森 譴責警暴力 http://hk.apple.next[...]
[482] 뉴스 「佔領」添美道 分發口罩保鮮紙 http://news2.mingpao[...]
[483] 뉴스 歌手何韻詩阻撓警方清場被拘捕 http://news.wenweipo[...]
[484] 뉴스 ジャッキー・チェンさんがデモ批判「経済損失、国愛そう」 https://web.archive.[...]
[485] 뉴스 デモ支持するなら上映中止 中国、香港映画スターに圧力 https://www.nikkei.c[...]
[486] WSJ 香港の民主化運動の底流にあるキリスト教価値観 http://jp.wsj.com/ne[...]
[487] 뉴스 香港デモ 陳枢機卿と発起人3人、警察に出頭 http://www.christian[...]
[488] 뉴스 香港デモは小売り業界などへの影響顕在化、激しい反発の恐れも https://www.reuters.[...] 2014-10-07
[489] PDF 香港警方在 2014 年 9 月 28 日對集結於夏慤道之示威人士使用武力 http://www.hkba.org/[...]
[490] 뉴스 【佔領金鐘】500律師燭光集會轟警催淚彈鎮壓 http://hk.apple.next[...]
[491] 뉴스 李國能懇請同學撤離保人身安全 http://news2.mingpao[...]
[492] 웹사이트 東網直播 https://www.youtube.[...] 2023-02-20
[493] 웹사이트 雨傘運動一周年 http://umbrella.appl[...] 蘋果日報 2023-02-20
[494] Facebook 無綫新聞12名主播聲援聯署信 https://www.facebook[...]
[495] 뉴스 【社説】脅かされる香港の自由、報道機関に暴力行為 http://jp.wsj.com/ar[...]
[496] 뉴스 香港:蘋果日報本社やオーナー宅に火炎瓶 https://web.archive.[...] 2015-01-12
[497] 뉴스 中国・香港にサイバー攻撃、ハッカー集団「アノニマス」予告 https://jp.reuters.c[...]
[498] 뉴스 香港富豪の李嘉誠氏、民主派デモ隊に解散呼び掛け https://jp.reuters.c[...]
[499] 뉴스 李嘉誠:法治決堤将会是香港最大的悲哀 http://news.xinhuane[...]
[500] 뉴스 曾俊華:経済未受佔中影響 http://news2.mingpao[...]
[501] 뉴스 林鄭憂衝突持續 盼讓警專業執法 http://news2.mingpao[...]
[502] 뉴스 高級公務員協會籲各方理性磋商 https://news.now.com[...] 2023-02-20
[503] 뉴스 民主派VS親中派「誰が命じても解散はしない」「共産党政権信頼すべきだ」 https://www.sankei.c[...]
[504] 뉴스 香港デモは「雨傘革命」 占拠、金融街にも 観光業に影響懸念 https://web.archive.[...]
[505] 뉴스 香港議会、選挙制度改革案を否決 「ニセの普通選挙は受け入れられない」 https://www.huffingt[...] 2023-02-20
[506] 뉴스 香港選挙制度改革案否決 香港の前途は http://business.nikk[...] 2015-10-01
[507] 뉴스 雨傘運動1年、香港民主派の閉塞感強まる https://www.nikkei.c[...] 2023-02-20
[508] 뉴스 反政府デモの「正しい負け方」とは何か? http://www.newsweekj[...] 2015-10-03
[509] 뉴스 Hong Kong protests; EU 'concerned', urges restraint http://www.straitsti[...]
[510] 뉴스 U.N. chief urges respect for democratic principles in Hong Kong http://www.trust.org[...]
[511] 뉴스 Ottawa ‘supportive’ of demonstrations in Hong Kong https://www.theglobe[...]
[512] 뉴스 澳洲外長呼籲讓香港「真普選」 http://news.singtao.[...]
[513] 뉴스 Cameron says deeply concerned about Hong Kong clashes http://uk.reuters.co[...]
[514] 뉴스 Hong Kong protests: France 'closely following' situation, stresses right to protest peacefully http://www.straitsti[...]
[515] 뉴스 法國政府挺民主 開腔談香港佔中 http://www.ntdtv.com[...]
[516] 뉴스 Germany’s Merkel Offers Limited Support for Hong Kong Protesters http://online.wsj.co[...]
[517] 웹사이트 German president honors peaceful protests of 1989 http://www.sacbee.co[...] 2014-10-09
[518] 뉴스 香港民主派、道路占拠を拡大 中国は静観 https://www.nikkei.c[...]
[519] 뉴스 香港の民主化デモは米国の陰謀=ロシア国営メディア http://jp.wsj.com/ne[...]
[520] 뉴스 台湾総統 香港学生を支持する姿勢強調 http://www3.nhk.or.j[...]
[521] 뉴스 聲援香港佔中  王丹:保護香港就是保護自由 http://www.appledail[...] 2014-09-30
[522] 뉴스 香港佔中一觸即發 蔡英文:為香港加油! http://news.ltn.com.[...]
[523] 뉴스 普選爭議:澳門800人集會聲援港人佔中 http://www.epaper.on[...]
[524] 뉴스 新加坡芳林公园300多人声援“占中” http://origin-realti[...]
[525] 뉴스 李显龙:香港须遵守一国两制 外人不应干涉 http://news.ifeng.co[...]
[526] 뉴스 Pinoys told to stay clear of HK protest http://manilastandar[...]
[527] 뉴스 香港の民主派デモは主要地区で道路占拠続ける、各国も情勢注視 https://web.archive.[...]
[528] 뉴스 香港の抗議活動 米議会「支持強化を」 http://www3.nhk.or.j[...]
[529] 뉴스 岸田外相、香港「自由な体制の維持期待 https://www.nikkei.c[...]
[530] 뉴스 日本媒体关注香港“戒严下的国庆节” http://www.bbc.co.uk[...]
[531] 뉴스 2014年ユーキャン新語・流行語大賞の候補語50語 http://singo.jiyu.co[...] 2014-11-20
[532] 뉴스 流行語大賞の候補50語発表「ありのままで」「ダメよ~ダメダメ」など https://www.sponichi[...] 2014-11-20
[533] 뉴스 Vietnamese advised to avoid protest sites in Hong Kong http://news.chinhphu[...]
[534] 뉴스 我為這一句鼓勵的話來了羅馬也很值得 http://oldyosef.hkda[...]
[535] 뉴스 教宗以「大衛挑戰歌利亞」形容香港 http://www.post852.c[...]
[536] 웹인용 홍콩 우산혁명, 세계 각지에서 집회 열려…"홍콩 힘내라" http://pop.heraldcor[...] 헤럴드POP 2014-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