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FIFA 클럽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FIFA 클럽 월드컵은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2015년 12월 1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대회 유치 경쟁에는 인도와 일본이 참여했으며, 일본이 최종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경기는 오사카의 나가이 육상 경기장과 요코하마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열렸다. FC 바르셀로나가 결승전에서 리버 플레이트를 꺾고 우승했으며, 루이스 수아레스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15년 FIFA U-20 월드컵
2015년 FIFA U-20 월드컵은 FIFA 주관으로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24개국이 참가, 세르비아가 우승했으며, 7개 도시에서 진행, 울리엄을 마스코트로 사용했다.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15년 FIFA U-17 월드컵
2015년 FIFA U-17 월드컵은 2015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칠레에서 개최된 FIFA U-17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로, 칠레가 러시아, 튀니지, 웨일스와의 경쟁 끝에 개최지로 선정되어 총 24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나이지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 2015년 12월 - 파리 협정 (2015년)
파리 협정은 지구 온도 상승을 2℃ 이하, 더 나아가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각국이 스스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하고 이행하며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검증하는 국제 협약이다. - 2015년 12월 - 제66회 NHK 홍백가합전
2015년 NHK에서 "That's, 일본! That's, 홍백!"을 테마로 방송된 연말 음악 프로그램인 제66회 NHK 홍백가합전은 아야세 하루카, 이노하라 요시히코, 구로야나기 테츠코, 우도 유미코의 사회로 51팀의 가수가 출연, SMAP의 해산 전 마지막 출연과 모리 신이치의 은퇴 무대, 젊은층 참여 유도를 위한 인터넷 연계 강화가 특징이다. - 2015년 일본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2015년 WBSC 프리미어 12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이 주최하고 일본과 중화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김현수가 MVP를 수상했다. - 2015년 일본 -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아베 신조가 재선 후 출범한 제3차 아베 신조 내각은 아베노믹스 심화와 헌법 개정을 주요 목표로 정책 변화를 모색하며 경제, 외교,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들을 추진했으나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2015년 FIFA 클럽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FIFA 클럽 월드컵 |
연도 | 2015년 |
다른 명칭 | FIFA 클럽 월드컵 일본 2015 Alibaba E-Auto プレゼンツ FIFAクラブワールドカップ ジャパン2015 Alibaba E-Auto가 제공하는 FIFA 클럽 월드컵 일본 2015 |
![]() | |
개최국 | 일본 |
개최 기간 | 12월 10일 – 12월 20일 |
참가 팀 수 | 7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2 |
개최 도시 수 | 2 |
결과 | |
우승 | FC 바르셀로나 (스페인) |
우승 횟수 | 3회 |
준우승 | CA 리버 플레이트 (아르헨티나) |
3위 | 산프레체 히로시마 (일본) |
4위 | 광저우 헝다 (중국) |
통계 | |
총 경기 수 | 8 |
총 득점 수 | 21 |
총 관중 수 | 272312 |
경기당 평균 관중 수 | 34039 |
득점왕 | 루이스 수아레스 (FC 바르셀로나) |
득점왕 득점 수 | 5골 |
최우수 선수 | 루이스 수아레스 (FC 바르셀로나) |
페어플레이 상 | FC 바르셀로나 |
대회 기록 | |
이전 대회 |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
다음 대회 | 2016년 FIFA 클럽 월드컵 |
2. 대회 유치 신청
2015-2016년 및 2017-2018년 대회, 즉 각 2년씩 두 번의 대회를 유치하기 위한 신청 절차는 2014년 2월에 시작되었다.[4] 유치를 희망하는 회원 협회는 2014년 3월 30일까지 유치 의향서를 제출하고, 2014년 8월 25일까지 입찰 서류 전체를 제출해야 했다.[5] FIFA 집행위원회는 2014년 12월 모로코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개최국을 선정할 예정이었다.[6] 그러나 2015년까지 2015-2016년 개최국에 대한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
다음 국가들이 대회 유치 의사를 표명했다.[7]
일본은 2015년 4월 23일 2015년 및 2016년 대회의 공식 개최국으로 확정되었다.[3]
3. 경기장
2015년 5월 22일, 오사카시의 나가이 육상 경기장과 요코하마시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이 2015년 FIFA 클럽 월드컵 경기를 개최할 두 경기장으로 지정되었다.[10] 간사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클럽 월드컵이 개최되었다.[32]
4. 출전 팀
2015년 FIFA 클럽 월드컵에는 7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은 소속 대륙 연맹의 클럽 대항전에서 우승하여 출전 자격을 얻었다. 개최국 일본의 산프레체 히로시마는 J1 리그 2015 우승팀 자격으로, 오클랜드 시티는 2014-15년 O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하여 7번째로 이 대회에 참가했다. 아메리카는 2014-15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TP 마젬베는 2015년 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여 3번째로 출전했다. 광저우 헝다는 2015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2번째 출전 자격을 얻었다. 리버 플레이트는 201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우승하여 처음으로 출전했으며, 바르셀로나는 2014-1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하여 4번째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팀명 | 소속 연맹 | 자격 | 출전 횟수 (이전 참가 대회) |
---|---|---|---|
리버 플레이트/CA 리버 플레이트es | CONMEBOL | 201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1번째 출전 |
바르셀로나/FC 바르셀로나es | UEFA | 2014-15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4번째 출전 (2006년, 2009년, 2011년)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중국어 | AFC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2번째 출전 (2013년)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CAF | 2015년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3번째 출전 (2009년, 2010년) |
아메리카/클루브 아메리카es | CONCACAF | 2014-15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2번째 출전 (2006년) |
오클랜드 시티/오클랜드 시티 FC영어 | OFC | 2014-15년 O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7번째 출전 (2006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
산프레체 히로시마/산프레체 히로시마일본어 | AFC (개최국) | 2015년 J1리그 시즌 우승 | 2번째 출전 (2012년) |
5. 대회 형식 변경 제안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도하여 새로운 대회 형식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 8강전과 플레이오프 라운드의 토너먼트 라운드를 없애고, 개최국에서 온 두 팀과 AFC, CAF, CONCACAF, OFC의 챔피언으로 구성된 세 팀의 두 라운드 로빈 그룹으로 대체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9] 각 조의 우승팀은 준결승에 진출하여 CONMEBOL과 UEFA의 챔피언과 경기를 치르게 된다.[9] 이로 인해 모든 팀이 최소 두 경기를 치르게 되어, 현재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패배한 팀이 단 한 경기만 치르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된다.[9] 그러나 이 제안은 실행되지 않았다.[3]
6. 심판
배정된 경기 심판진은 다음과 같다.[11][12] 2015년 11월 10일에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심판이 발표되었다.[33][34]
연맹 | 주심 | 부심 |
---|---|---|
AFC | 알리레자 파가니(이란) | 레자 소크한다(이란) 모하마드레자 만수리(이란) |
CAF | 시디 알리움(카메룬) | 에바리스트 멩쿠안데(카메룬) 엘비스 가이 누푸에 응구에구에(카메룬) |
CONCACAF | 조엘 아길라르(엘살바도르) | 후안 프란시스코 줌바(엘살바도르) 마빈 세사르 토렌테라(멕시코) |
CONMEBOL | 윌마르 롤단(콜롬비아) | 알렉산데르 구스만(콜롬비아) 크리스티안 자이로 데 라 크루스(콜롬비아) |
OFC | 매튜 콩거(뉴질랜드) | 사이먼 라운트(뉴질랜드) 테비타 마카시니(통가) |
UEFA | 요나스 에릭손(스웨덴) | 마티아스 클라세니우스(스웨덴) 다니엘 뫼른마르크(스웨덴) |
개최국 (지원) | 사토 류지(일본) | 야기 아카네(일본) |
7. 선수 명단
각 팀은 FIFA가 정한 2015년 11월 30일까지 23명의 선수(골키퍼 3명 포함)로 구성된 선수 명단을 제출해야 했다.[13][14] 7개 팀 중 6개 팀의 명단은 2015년 12월 3일에 FIFA에 의해 공개되었다(2015년 12월 5일에 대회 참가 자격을 얻은 산프레체 히로시마 제외).[13][14] 부상으로 인한 선수 교체는 팀의 첫 경기가 시작되기 24시간 전까지 허용되었다.[2]
8. 경기 결과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따라 승부를 결정한다.
- 플레이오프, 준준결승전, 준결승전, 결승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을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연장전에서도 양 팀이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 5·6위전, 3·4위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일시 | 경기장 | 팀 1 | 결과 | 팀 2 |
---|---|---|---|---|
12월 10일 | 요코하마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 - 0 | 오클랜드 시티 |
12월 13일 | 오사카 | TP 마젬베 | 0 - 3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2월 13일 | 오사카 | 아메리카 | 1 - 2 | 광저우 헝다 |
12월 16일 | 오사카 | 산프레체 히로시마 | 0 - 1 | 리버 플레이트 |
12월 16일 | 오사카 | 아메리카 | 2 - 1 | TP 마젬베 |
12월 17일 | 요코하마 | 광저우 헝다 | 0 - 3 | 바르셀로나 |
12월 20일 | 요코하마 | 리버 플레이트 | 0 - 3 | 바르셀로나 |
12월 20일 | 요코하마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 - 1 | 광저우 헝다 |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9)을 따름.
8. 1. 경기 일정
토너먼트 일정은 2015년 8월 24일에 엠블럼과 함께 공개되었다.[15][16] 조 추첨은 2015년 9월 23일 14:00 CEST (UTC+2)에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FIFA 본부에서 열렸으며, 8강전에 진출하는 세 팀의 대진표 위치를 결정했다.[17][18]정규 시간 종료 후 경기가 동점일 경우,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는 연장전이 진행되었다. 연장전까지 동점일 경우, 승리팀을 결정하기 위해 승부차기가 진행되었다.[2] 5위 결정전과 3위 결정전에서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통해 승리팀을 결정했다.[2]
12월 10일 요코하마에서 열린 8강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는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오클랜드 시티를 2-0으로 이겼다.[19] 12월 13일 오사카에서 열린 8강전에서는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TP 마젬베를 3-0으로, 광저우 헝다가 아메리카를 2-1로 이겼다.[19]
12월 16일 오사카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리버 플레이트에 0-1로 졌고,[19] 같은 날 열린 5위 결정전에서는 아메리카가 TP 마젬베를 2-1로 이겼다.[19] 12월 17일 요코하마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바르셀로나가 광저우 헝다를 3-0으로 이겼다.[19]
12월 20일 요코하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바르셀로나가 리버 플레이트를 3-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고,[19] 같은 날 열린 3위 결정전에서는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광저우 헝다를 2-1로 이겼다.[19]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JST (UTC+9)이다.[19]
8. 2. 플레이오프
2015년 12월 10일 19시 45분,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요코하마)에서 산프레체 히로시마(일본)와 오클랜드 시티 FC(뉴질랜드)의 경기가 열렸다.[20] 미나가와가 전반 9분에, 시오타니가 후반 70분에 득점하여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2-0으로 승리했다.[20] 이 경기의 관중은 19,421명이었으며, 시디 알리움(카메룬)이 주심을 맡았다.[20]8. 3. 준준결승전
2015년 12월 13일, 나가이 육상 경기장(오사카)에서 두 경기가 진행되었다.[21][22]첫 번째 경기는 16시에 시작된 클루브 아메리카(멕시코)와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중국)의 경기였다. 클루브 아메리카의 페랄타가 55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광저우 헝다의 정룽이 80분에 동점골을, 파울리뉴가 90+3분에 결승골을 넣어 2-1로 광저우 헝다가 승리하였다.[21] 이 경기의 관중 수는 18,772명이었고, 요나스 에릭손(스웨덴)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두 번째 경기는 19시 30분에 시작된 TP 마젬베(콩고 민주 공화국)와 산프레체 히로시마(일본)의 경기였다.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시오타니가 44분에, 치바가 56분에, 아사노가 78분에 득점을 하여 3-0으로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승리하였다.[22] 이 경기의 관중 수는 23,609명이었고, 윌마르 롤단(콜롬비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8. 4. 5·6위전
2015년 12월 16일 16시 30분에 나가이 육상 경기장(오사카)에서 열린 클루브 아메리카(멕시코)와 TP 마젬베(콩고 민주 공화국)의 5·6위전 경기는 아메리카가 2-1로 승리했다.[23] 아메리카의 베네데토가 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수니가가 전반 28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23] 마젬베의 칼라바는 전반 43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23]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11,686명이었으며, 주심은 이란의 알리레자 파가니가 맡았다.[23]8. 5. 준결승전
2015년 12월 16일, 나가이 육상 경기장(오사카)에서 열린 산프레체 히로시마와 리버 플레이트의 경기에서는 리버 플레이트가 루카스 알라리오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24] 관중 수는 20,133명이었고, 요나스 에릭손이 주심을 맡았다.[24]12월 17일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열린 바르셀로나와 광저우 헝다의 경기에서는 수아레스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바르셀로나가 3-0으로 승리했다.[25] 관중 수는 63,870명이었고, 주심은 호엘 아길라르였다.[25]
8. 6. 3·4위전
2015년 12월 20일 16시,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요코하마)에서 산프레체 히로시마(일본)와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중국)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26] 파울리뉴가 전반 4분만에 골을 기록하였으나, 도글라스가 후반 70분과 83분에 득점하여 최종 스코어 2-1로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승리하였다.[26] 이 경기의 관중 수는 47,968명이었으며, 매슈 콩거(뉴질랜드)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26]8. 7. 결승전
2015년 12월 20일,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열린 2015년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에서 바르셀로나가 리버 플레이트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7] 리오넬 메시가 전반 3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루이스 수아레스가 후반 49분과 68분에 두 골을 추가하며 바르셀로나의 승리를 이끌었다.[27] 경기는 알리레자 파가니 심판이 주관했으며, 66,853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27]바르셀로나는 리버 플레이트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통산 3번째 FIFA 클럽 월드컵 우승을 달성했다.
9. 우승
3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