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는 삿포로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었다. 남자부에서는 카자흐스탄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카자흐스탄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종목은 18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일본 삿포로에서 개최되어 카자흐스탄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여자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여자 경기는 2017년 2월 18일부터 23일까지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는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되어 남자부는 처음으로 두 디비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남자부에서는 카자흐스탄, 일본, 대한민국이, 여자부에서는 카자흐스탄, 일본, 중국이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는 1999년 1월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는 카자흐스탄이, 여자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 |
---|---|
대회 개요 | |
종목 | 아이스하키 |
대회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
image_file | Ice hockey pictogram.svg |
image_size | 100px |
개최지 | 미카호 체육관 쓰키사무 체육관 호시오키 스케이팅 링크 |
기간 | 2017년 2월 18일–26일 |
참가 선수 | 515 |
참가 국가 | 18 |
이전 대회 | 2011 |
다음 대회 | 2025 |
남자 아이스하키 | |
득점왕 | 콘스탄틴・사벤코프 |
관련 문서 | |
이전 대회 (아시아 동계 경기 대회) | 2011 |
다음 대회 (아시아 동계 경기 대회) | 2021 |
2. 경기장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경기는 삿포로시에 있는 세 곳의 경기장(쓰키사무 체육관, 미카호 체육관, 호시오키 스케이트 링크)에서 진행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에는 당초 남자 20개국, 여자 17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바레인이 기권하고 이란은 선수 참가 자격 문제로 실격되어, 남자 18개국, 여자 15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2016년 IIHF 아시아 챌린지컵을 기준으로 최상위 디비전, 1부 리그, 2부 리그로 나누어 배정되었다.
3. 참가국
3. 1. 남자부 참가국
2016년 IIHF 아시아 챌린지컵을 기준으로 최상위 디비전 4개 팀, 1부 리그 6개 팀, 2부 리그 팀으로 나누어졌다. 당초 20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바레인이 기권하고 이란은 선수 참가 자격 문제로 실격되어 18개국이 겨뤘다.[5][6][7]
최상위 디비전 | 1부 리그 | 2부 리그 A조 | 2부 리그 B조 |
---|---|---|---|
3. 2. 여자부 참가국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여자부에는 총 17개국이 참가했다. 최상위 디비전에는 다음 4개 팀이 편성되었다.- 카자흐스탄
- 일본
- 대한민국
- 중국
1부 리그에는 2016년 IIHF 아시아 챌린지컵 및 IIHF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다음 6개 팀이 등록되었다.
- 홍콩
- 아랍에미리트
- 중화 타이베이
- 몽골
- 태국
- 싱가포르
나머지 팀들은 2부 리그에 참가했다.
A조 | B조 |
---|---|
바레인은 기권했고, 이란은 출전 자격이 있는 선수가 부족하여 토너먼트에 참가하지 않았다.[4] 홍콩과 태국은 이번 대회가 첫 출전이다.[4]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연장 승 | 연장 패 | 패 | 득실차 | 승점 |
---|---|---|---|---|---|---|---|---|
1. | 일본 | 5 | 5 | 0 | 0 | 0 | 98:1 | 15 |
2. | 중국 | 5 | 3 | 0 | 1 | 1 | 46:12 | 10 |
3. | 카자흐스탄 | 5 | 3 | 0 | 0 | 2 | 31:14 | 9 |
4. | 대한민국 | 5 | 2 | 1 | 0 | 2 | 37:6 | 8 |
5. | 태국 | 5 | 1 | 0 | 0 | 4 | 5:84 | 3 |
6. | 홍콩 | 5 | 0 | 0 | 0 | 5 | 4:104 | 0 |
4. 경기 방식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남자부는 3개 디비전으로, 여자부는 참가국 전체가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 1. 남자부 경기 방식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남자부는 3개 디비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4. 2. 여자부 경기 방식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여자부는 참가국 전체가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5. 경기 일정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