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8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수에 따라 순위를 매긴 표를 제공한다. 금, 은, 동메달 수가 같을 경우, IPC 국가 부호의 알파벳 순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미국이 금메달 13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8개로 총 3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패럴림픽 -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은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대한민국 휠체어 합창단이 애국가를 부르고 서울시립교향악단이 패럴림픽 찬가를 연주했다.
  • 2018년 동계 패럴림픽 - 수호랑과 반다비
    수호랑과 반다비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각각 흰 호랑이와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하여 올림픽과 패럴림픽 참가 선수와 관람객을 보호하고 평화와 화합의 정신을 상징한다.
  •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 2010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2010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가 참가 국가들의 메달 획득 현황을 금, 은, 동메달 순으로 집계한 것으로, 독일이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 2014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2014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의 정보를 바탕으로 금, 은, 동메달 순으로 국가별 순위를 나타내며, 동률일 경우 IPC 국가 코드 알파벳 순서에 따라 결정되고, 주최국 러시아가 1위를 차지했다.
  • 패럴림픽 메달 집계 - 2016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2016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는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에서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각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가 획득한 메달 수에 따라 순위를 나타낸 표이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유도와 수영 종목에서 메달 수여에 특이 사항이 발생했다.
  • 패럴림픽 메달 집계 - 2020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2020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에서 중국이 1위, 영국과 미국이 그 뒤를 이었으며 대한민국은 41위를 기록했고, 일부 종목에서는 공동 순위 발생 또는 실격으로 메달 수여에 변동이 있었다.
2018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 [상(Prize)]에 관한 문서
2018년 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위치평창군, 대한민국
최다 금메달미국 (13개)
최다 메달 합계미국 (36개)
이전 대회2014년
다음 대회2022년

2. 메달 집계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의 메달 집계표를 작성하였다. 순위는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수 순서로 결정되며, 금메달 수가 같을 경우 은메달 수, 은메달 수도 같을 경우 동메달 수로 순위를 정한다. 금, 은, 동메달 수가 모두 같으면 같은 순위로 표시하고, IPC 국가 부호의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3]

캐나다 하원에 있는 캐나다 패럴림픽 및 올림픽 선수들

2. 1. 국가별 메달 순위

IPC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순으로 순위를 매긴 표이다. 금, 은, 동메달 수가 모두 같을 경우, 같은 순위가 되고 IPC 국가 부호의 알파벳 순으로 목록에 표시한다.[3]

순위국가합계
1USA영어 미국 선수단1315836
2NPA영어 중립 패럴림픽 선수단810624
3CAN영어 캐나다 선수단841628
4FRA프랑스어 프랑스 선수단78520
5GERde 독일 선수단78419
6UKRuk 우크라이나 선수단77822
7SVKsk 슬로바키아 선수단64111
8BLRbe 벨라루스 선수단44412
9JPN일본어 일본 선수단34310
10NEDnl 네덜란드 선수단3317
11SUIde 스위스 선수단3003
12ITAit 이탈리아 선수단2215
13GBR영어 영국 선수단1427
14NORno 노르웨이 선수단1348
15AUS영어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1034
16KOR한국어 대한민국 선수단1023
16FINfi 핀란드 선수단1023
16NZL영어 뉴질랜드 선수단1023
19CROhr 크로아티아 선수단1012
20CHN중국어 중국 선수단1001
20KAZkk 카자흐스탄 선수단1001
22AUTde 오스트리아 선수단0257
23ESPes 스페인 선수단0112
24SWEsv 스웨덴 선수단0101
25BELnl 벨기에 선수단0011
25POLpl 폴란드 선수단0011
합계808081241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연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4][7]

참조

[1] 웹사이트 Cross-Country Skiing - Men's 1.5km Sprint Classic, Standing https://web.archive.[...] Atos 2018-03-18
[2] 웹사이트 PyeongChang 2018: China to face Norway in wheelchair curling final https://www.paralymp[...] 2018-03-16
[3] 웹사이트 Winter Olympics: Big air, mixed curling among new 2018 events https://www.bbc.com/[...] 2015-06-08
[4] 웹사이트 Medal Standings https://web.archive.[...] 2018-03-09
[5] 웹사이트 Cross-Country Skiing - Men's 1.5km Sprint Classic, Standing https://web.archive.[...] Atos 2018-03-18
[6] 웹사이트 PyeongChang 2018: China to face Norway in wheelchair curling final https://www.paralymp[...] 2018-03-18
[7] 웹사이트 Medal Standings https://web.archive.[...] 2018-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