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영국 맨체스터에서 개최되었으며, 2019년에 열린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이다. 총 125개국, 78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4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영국과 중국이 그 뒤를 이었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1위, 러시아가 2위, 중국이 3위를 차지했고,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영국 순으로 팀 순위가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맨체스터의 스포츠 - 2008년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는 2008년 4월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FINA 주관의 국제 수영 대회이며, 25m 쇼트 코스 수영장에서 남자 및 여자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개인 혼영, 계영, 혼계영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 2019년 영국 - 201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201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클럽에서 개최된 133번째 대회로, 남자 단식에서 노바크 조코비치, 여자 단식에서 시모나 할레프가 우승했으며 마지막 세트 12-12 상황에서 7점 타이브레이크를 실시하는 규정이 처음 도입되었다. - 2019년 영국 - 2019년 영국 산불
2019년 영국 산불은 기록적인 고온과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화재로, 특히 5월에 큰 피해를 야기하며 생태계 파괴와 탄소 배출 증가를 초래했다. - 영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1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태권도는 엑셀 런던 경기장에서 63개국 128명의 선수가 참여하여 남녀 4체급씩 총 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페인이 최다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 황경선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영국 아론 쿡 선수의 출전 과정 논란도 있었다. - 영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1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1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은 엑셀 런던에서 개최되어 유리 알베아르가 금메달, 아나스타샤 바리쉬니코바가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황경선, 누르 타타르, 페이지 맥퍼슨, 헬레나 프롬이 동메달을 획득한 토너먼트 방식의 경기이다.
201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명칭 | 201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현지 대회 명칭 | 2019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
횟수 | 제24회 |
개최지 | 맨체스터 |
경기장 | 맨체스터 아레나 |
날짜 | 2019년 5월 15일~5월 19일 |
참가국 | 139개국 |
참가 선수 | 872명 |
세부 종목 | 16개 (남자 8, 여자 8) |
메달 집계 |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7년 무주 |
다음 대회 | 2022 우시 |
2. 역대 대회
세계 태권도 연맹이 주관하는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1973년 서울특별시에서 첫 대회가 열린 이래로, 현재까지 총 24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연도 | 개최지 |
---|---|
1973년 | 서울특별시 |
1975년 | 서울특별시 |
1977년 | 시카고 |
1979년 | 슈투트가르트 |
1982년 | 과야킬 |
1983년 | 쾨벤하운 |
1985년 | 서울특별시 |
1987년 | 바르셀로나 |
1989년 | 서울특별시 |
1991년 | 아테네 |
1993년 | 뉴욕 |
1995년 | 마닐라 |
1997년 | 홍콩 |
1999년 | 에드먼턴 |
2001년 | 제주시 |
2003년 |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2005년 | 마드리드 |
2007년 | 베이징 |
2009년 | 쾨벤하운 |
2011년 | 경주시 |
2013년 | 푸에블라 |
2015년 | 첼랴빈스크 |
2017년 | 무주군 |
2019년 | 맨체스터 |
2021년 | 우시 |
201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영국 맨체스터에서 개최되었으며, 남녀 각 8체급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2. 1. 남자부
2019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남자부 경기에서는 8개의 체급에서 메달 결정전이 진행되었다.[1]체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핀급 (−54 kg) | 배준서 (대한민국) | 게오르기 포포프 (러시아) | 파울로 멜로 (브라질) 아르민 하디푸르 (이란) |
플라이급 (−58 kg) | 장준 (대한민국) | 브랜든 플라자 (멕시코) | 루이 브라간사 (포르투갈) 루카스 구즈만 (아르헨티나) |
밴텀급 (−63 kg) | 자오 슈아이 (중국) | 소루쉬 아흐마디 (이란) | 이오르다니스 콘스탄티니디스 (독일) 자우아드 아찹 (벨기에) |
페더급 (−68 kg) | 브래들리 신덴 (영국) | 하비에르 페레스 (스페인) | 이대훈 (대한민국) 알렉세이 데니센코 (러시아) |
라이트급 (−74 kg) | 시모네 알레시오 (이탈리아) | 아흐마드 아부가우쉬 (요르단) | 다니엘 케사다 (스페인) 카이라트 사림사코프 (카자흐스탄) |
웰터급 (−80 kg) | 밀라드 베이기 (아제르바이잔) | 아포스톨로스 텔리코스토글루 (그리스) | 모이세스 에르난데스 (도미니카 공화국) 박우혁 (대한민국) |
미들급 (−87 kg) | 블라디슬라프 라린 (러시아) | 이카로 소아레스 (브라질) | 송자오샹 (중국) 이반 샤피나 (크로아티아) |
헤비급 (+87 kg) | 라파엘 알바 (쿠바) | 카를로스 산소레스 (멕시코) | 마이콘 안드라데 (브라질) 함자 카탄 (요르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