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은 2022년 아시안 게임의 종목으로,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진행되었다. 개인전은 각국에서 2명까지 출전하여 스위스 시스템 토너먼트와 결승 토너먼트로 진행되었고, 단체전은 남자 5인 1팀, 여자 3인 1팀으로 구성되어 스위스 시스템 토너먼트와 결승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중국,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일본 등 10개국에서 83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남자 개인전에서는 쉬하오훙(중화 타이베이), 남자 단체전에서는 대한민국, 여자 단체전에서는 중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22년 아시안 게임 야구
    2022년 아시안 게임 야구는 항저우 아시안 게임의 야구 종목으로, 9개국이 참가하여 사오싱 야구-소프트볼 스포츠 문화 센터에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는 2023년 9월 24일부터 10월 2일까지 7개의 정식 종목과 2개의 시범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금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로 2위를 기록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
대회 개요
종목바둑
대회2022년 아시안 게임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 로고
개최지항저우 체스 아카데미
날짜2023년 9월 24일 – 2023년 10월 3일
참가 선수83명
참가 국가10개국
이전 대회2010년
다음 대회없음

2. 경기 방식

덤은 7집 반이다.

제한 시간은 각 1시간이며, 30초 초읽기 3회이다.

2. 1. 개인전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에는 각국에서 2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예선은 A조와 B조로 나뉘어 스위스 시스템 토너먼트 6라운드로 진행되며, 각 조 상위 4명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결승 토너먼트는 일반적인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2. 2. 단체전

남자 단체전은 5인 1팀(엔트리는 최대 6명), 여자 단체전은 3인 1팀(엔트리는 최대 4명)으로 구성된다. 최대 인원 엔트리 시 1명이 후보가 된다. 예선은 스위스 시스템 토너먼트(남자는 6라운드, 여자는 5라운드)로 진행되며, 상위 4팀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결승 토너먼트는 일반적인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3. 참가국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에는 총 10개국에서 83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1]

4. 경기 일정

일25일
월26일
화27일
수28일
목29일
금30일
토1일
일2일
월3일
화남자 개인전●●●●●●¼½F남자 단체전|colspan=2|●●●●●●½F여자 단체전colspan=2|●●●●●½F


5. 경기 결과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개인전쉬하오훙/許皓鋐중국어 (중화 타이베이)커제/柯洁중국어 (중국)신진서 (대한민국)
남자 단체전대한민국 (변상일, 김명훈, 박정환, 신진서, 신민준, 이동훈)중국 (리친청, 자오천위, 미위팅, 양딩신, 커제, 양카이원)일본 (세키 고타로, 시바노 토라마루, 이치리키 료, 사다 아츠시, 이야마 유타)
여자 단체전중국 (우이밍, 위즈잉, 리허, 왕위보)대한민국 (김은지, 오유진, 최정, 김채영)일본 (우에노 아사미, 우에노 리사, 후지사와 리나)


5. 1. 남자 개인전

2022년 아시안 게임 남자 개인전에는 중화 타이베이, 대한민국, 중국, 홍콩, 마카오, 일본,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각 2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 예선 리그 ==

예선 리그는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었다.

'''A조'''

순위출전 선수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6회전승패
1신진서 (대한민국)○2○5a○3○4○7○5b6-0
2양딩신 (중국)×1○5b○5a○3○4○85-1
3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9○8×1×2○5a○44-2
4시노 토라마루 (일본)-○7○9×1×2×33-3
5aChan C-H (홍콩)○5b×1×2-×3○93-3
5bKaruehawanit W (태국)×5a×2○7○8-×13-3
7Kwa J-H (싱가포르)○8×4×5b○9×1-3-3
8Sam I-H (마카오)×7×3-×5b○9×22-4
9리송카이 (말레이시아)×3-×4×7×8×5a1-5



'''B조'''

순위출전 선수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6회전승패
1커제 (중국)○2○4○3○6○7○56-0
2박정환 (대한민국)×1-○6○3○4○85-1
3이치리키 료 (일본)○8○5×1×2○9○74-2
4라이쥔푸 (중화 타이베이)○5×1○8○7×2-4-2
5Chan N-S (홍콩)×4×3○9○8○6×13-3
6Kang Z-B (싱가포르)-○7×2×1×5○93-3
7Sornarra P (태국)○9×6-×4×1×32-4
8쩡푸캉 (말레이시아)×3○9×4×5-×22-4
9루환추 (마카오)×7×8×5-×3×61-5



== 본선 토너먼트 ==

본선 토너먼트는 9월 27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었다.

신진서 (대한민국)1라이쥔푸 (중화 타이베이)0
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1박정환 (대한민국)0
양딩신 (중국)0이치리키 료 (일본)1
시노 토라마루 (일본)0커제 (중국)1
신진서 (대한민국)0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1
이치리키 료 (일본)0커제 (중국)1
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1커제 (중국)0
신진서 (대한민국)1이치리키 료 (일본)0



결승에서 쉬하오훙커제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신진서이치리키 료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5. 1. 1. 예선 리그

wikitext

순위출전 선수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6회전승패
1신진서 (대한민국)○2○5a○3○4○7○5b6-0
2양딩신 (중국)×1○5b○5a○3○4○85-1
3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9○8×1×2○5a○44-2
4시노 토라마루 (일본)-○7○9×1×2×33-3
5aChan C-H (홍콩)○5b×1×2-×3○93-3
5bKaruehawanit W (태국)×5a×2○7○8-×13-3
7Kwa J-H (싱가포르)○8×4×5b○9×1-3-3
8Sam I-H (마카오)×7×3-×5b○9×22-4
9리송카이 (말레이시아)×3-×4×7×8×5a1-5



순위출전 선수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6회전승패
1커제 (중국)○2○4○3○6○7○56-0
2박정환 (대한민국)×1-○6○3○4○85-1
3이치리키 료 (일본)○8○5×1×2○9○74-2
4라이쥔푸 (중화 타이베이)○5×1○8○7×2-4-2
5Chan N-S (홍콩)×4×3○9○8○6×13-3
6Kang Z-B (싱가포르)-○7×2×1×5○93-3
7Sornarra P (태국)○9×6-×4×1×32-4
8쩡푸캉 (말레이시아)×3○9×4×5-×22-4
9루환추 (마카오)×7×8×5-×3×61-5


5. 1. 2. 본선 토너먼트

wikitext

신진서 (대한민국)1라이쥔푸 (중화 타이베이)0
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1박정환 (대한민국)0
양딩신 (중국)0이치리키 료 (일본)1
시노 토라마루 (일본)0커제 (중국)1
신진서 (대한민국)0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1
이치리키 료 (일본)0커제 (중국)1
쉬하오훙 (중화 타이베이)1커제 (중국)0
신진서 (대한민국)1이치리키 료 (일본)0


5. 2. 남자 단체전

예선 리그는 2022년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중국, 타이완, 일본, 홍콩,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몽골 총 9개국이 참가하였다.

순위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6회전승패
1대한민국○3(5-0)○5(5-0)○4(5-0)○2(4-1)○6b(5-0)○6a(5-0)6-0
2중국○6a(5-0)○6b(5-0)○5(5-0)×1(1-4)○8(5-0)○3(4-1)5-1
3타이완×1(0-5)○9(5-0)○8(5-0)○6a(5-0)○4(4-1)×2(1-4)4-2
4일본○8(5-0)○6a(5-0)×1(0-5)○6a(5-0)×3(1-4)-4-2
5홍콩○9(5-0)×1(0-5)×2(0-5)○8(5-0)-○6b(5-0)4-2
6a태국×2(0-5)×4(0-5)-×3(0-5)○9(5-0)×1(0-5)2-4
6b싱가포르-×2(0-5)○9(5-0)×4(0-5)×1(0-5)×5(0-5)2-4
8말레이시아×4(0-5)-×3(0-5)×5(0-5)×2(0-5)○9(5-0)2-4
9몽골×5(0-5)×3(0-5)×6b(0-5)-×6a(0-5)×8(0-5)1-5



본선 토너먼트는 10월 2일 준결승, 10월 3일 결승 및 3위 결정전으로 진행되었다.

준결승에서 대한민국은 일본을 5: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신진서는 일본의 사다 아츠시를 꺾으며 대한민국 승리에 기여했다.

대한민국50일본
변상일×관항타로
김명훈×시노바 호타로
박정환×이치리키 료
신진서×사다 아츠시
신민준×이야마 유타



중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4: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중국41중화 타이베이
리친청×쉬하오훙
자오천위×라이쥔푸
미위팅×린쥔옌
양딩신×왕위안쥔
커제×쉬자위안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중국을 4: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신진서양딩신을 상대로 승리하며 대한민국의 우승을 이끌었다.

대한민국41중국
변상일×리친청
김명훈×자오천위
박정환×미위팅
신진서×양딩신
신민준×커제



3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 중화 타이베이를 4:1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일본41중화 타이베이
관항타로×쉬하오훙
시노바 호타로×라이쥔푸
이치리키 료×왕위안쥔
사다 아츠시×쉬자위안
이야마 유타×쉬징언


5. 2. 1. 예선 리그

wikitable

순위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6회전승패
1대한민국○3(5-0)○5(5-0)○4(5-0)○2(4-1)○6b(5-0)○6a(5-0)6-0
2중국○6a(5-0)○6b(5-0)○5(5-0)×1(1-4)○8(5-0)○3(4-1)5-1
3타이완×1(0-5)○9(5-0)○8(5-0)○6a(5-0)○4(4-1)×2(1-4)4-2
4일본○8(5-0)○6a(5-0)×1(0-5)○6a(5-0)×3(1-4)-4-2
5홍콩○9(5-0)×1(0-5)×2(0-5)○8(5-0)-○6b(5-0)4-2
6a태국×2(0-5)×4(0-5)-×3(0-5)○9(5-0)×1(0-5)2-4
6b싱가포르-×2(0-5)○9(5-0)×4(0-5)×1(0-5)×5(0-5)2-4
8말레이시아×4(0-5)-×3(0-5)×5(0-5)×2(0-5)○9(5-0)2-4
9몽골×5(0-5)×3(0-5)×6b(0-5)-×6a(0-5)×8(0-5)1-5


5. 2. 2. 본선 토너먼트

wikitext

대한민국50일본
변상일×관항타로
김명훈×시노바 호타로
박정환×이치리키 료
신진서×사다 아츠시
신민준×이야마 유타



중국41중화 타이베이
리친청×쉬하오훙
자오천위×라이쥔푸
미위팅×린쥔옌
양딩신×왕위안쥔
커제×쉬자위안



대한민국41중국
변상일×리친청
김명훈×자오천위
박정환×미위팅
신진서×양딩신
신민준×커제



일본41중화 타이베이
관항타로×쉬하오훙
시노바 호타로×라이쥔푸
이치리키 료×왕위안쥔
사다 아츠시×쉬자위안
이야마 유타×쉬징언


5. 3. 여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은 중국, 중화 타이베이, 말레이시아,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 몽골이 참가했다. 예선 리그는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순위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승패
1대한민국○5(3-0)○4(3-0)○2(2-1)○3(2-1)○6(3-0)5-0
2중국○8(3-0)○3(2-1)×1(1-2)○4(3-0)○5(2-1)4-1
3일본○6(3-0)×2(1-2)○5(3-0)×1(1-2)○7(3-0)3-2
4홍콩, 중국○7(3-0)×1(0-3)○6(2-1)×2(0-3)○8(3-0)3-2
5중화 타이베이×1(0-3)○7(3-0)×3(0-3)○8(3-0)×2(1-2)2-3
6태국×3(0-3)○8(3-0)×4(1-2)○7(2-1)×1(0-3)2-3
7말레이시아×4(0-3)×5(0-3)○8(3-0)×6(1-2)×3(0-3)1-4
8몽골×2(0-3)×6(0-3)×7(0-3)×5(0-3)×4(0-3)0-5



준결승전은 10월 2일에, 결승전은 10월 3일에 열렸다.

준결승 (10월 2일)

중국21일본
우이밍×우에노 아사미
위즈잉×우에노 리사
리허×후지사와 리나



대한민국30홍콩, 중국
김은지×간잉
오유진×류위신
김채영×리러이



결승전 (10월 3일)

중국21대한민국
우이밍×김은지
위즈잉×오유진
리허×최정



3위 결정전 (10월 2일)

일본30홍콩, 중국
우에노 아사미×간잉
우에노 리사×류위신
후지사와 리나×리러이



결승전에서 중국이 대한민국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은메달, 일본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5. 3. 1. 예선 리그

순위1회전2회전3회전4회전5회전승패
1대한민국○5(3-0)○4(3-0)○2(2-1)○3(2-1)○6(3-0)5-0
2중국○8(3-0)○3(2-1)×1(1-2)○4(3-0)○5(2-1)4-1
3일본○6(3-0)×2(1-2)○5(3-0)×1(1-2)○7(3-0)3-2
4홍콩, 중국○7(3-0)×1(0-3)○6(2-1)×2(0-3)○8(3-0)3-2
5중화 타이베이×1(0-3)○7(3-0)×3(0-3)○8(3-0)×2(1-2)2-3
6태국×3(0-3)○8(3-0)×4(1-2)○7(2-1)×1(0-3)2-3
7말레이시아×4(0-3)×5(0-3)○8(3-0)×6(1-2)×3(0-3)1-4
8몽골×2(0-3)×6(0-3)×7(0-3)×5(0-3)×4(0-3)0-5


5. 3. 2. 본선 토너먼트

wikitext

준결승 (10월 2일)

중국21일본
우이밍×우에노 아사미
위즈잉×우에노 리사
리허×후지사와 리나



대한민국30홍콩, 중국
김은지×간잉
오유진×류위신
김채영×리러이



결승전 (10월 3일)

중국21대한민국
우이밍×김은지
위즈잉×오유진
리허×최정



3위 결정전 (10월 2일)

일본30홍콩, 중국
우에노 아사미×간잉
우에노 리사×류위신
후지사와 리나×리러이



6. 메달 집계

순위나라합계
1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1001
2중국/中国중국어1203
3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1113
4일본/日本일본어0022


7.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11203
21113
31001
40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