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은 모로코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2021년 1월 모로코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카사블랑카와 라바트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한 12개 팀이 참가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결승에서 모로코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잠비아는 3위를 기록했으며, 우승팀을 포함한 4개 팀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모로코 - 서사하라 충돌 (2020년~현재)
서사하라 충돌 (2020년~현재)은 서사하라 지역의 영유권을 두고 모로코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간에 발생한 분쟁으로, 2020년 모로코군의 군사 행동으로 격화되었으며, 양측의 군사적 충돌과 외교적, 경제적 조치 속에 국제 사회의 평화적 해결 촉구가 이어지고 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십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십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과 2024년 파리 올림픽 예선을 겸해 멕시코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캐나다를 꺾고 우승하여 파리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아이티, 포르투갈, 파나마가 사상 첫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룬 토너먼트이다. - 모로코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원래 기니 개최 예정이었으나 준비 부족으로 모로코로 변경되었고, 6개 도시에서 24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릴 예정이다. - 모로코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30년 FIFA 월드컵
2030년 FIFA 월드컵은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가 공동 개최하고,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가 100주년 기념 경기를 개최하며, 총 48개 팀이 참가하여 각 대륙별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결정한다.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대회 명칭 |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다른 명칭 | 아랍: كأس الأمم الإفريقية للسيدات 2022 프랑스어: Coupe d'Afrique des nations féminine 2022 |
![]() | |
개최국 | 모로코 |
개최 기간 | 7월 2일 - 7월 23일 |
참가 팀 수 | 12 |
경기장 수 | 3 |
개최 도시 수 | 2 |
우승 | 남아프리카 공화국 (1회 우승) |
준우승 | 모로코 |
3위 | 잠비아 |
4위 | 나이지리아 |
총 경기 수 | 28 |
총 득점 | 63 |
최다 득점자 | 셰바크(모로코): 3골 아지바데(나이지리아): 3골 마가이아(남아프리카 공화국): 3골 |
최우수 선수 | 셰바크(모로코) |
최우수 골키퍼 | 들라미니(남아프리카 공화국) |
페어플레이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이전 대회 | 2018 |
다음 대회 | 2024 |
기타 정보 | |
관중 기록 | 나이지리아/모로코 경기, 아프리카 기록 갱신 |
2. 대회 준비
2. 1. 개최국 선정
2021년 1월 15일, 모로코가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발표되었다.[2][18] 이는 북아프리카 국가에서 열리는 첫 번째 여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이다.2. 2. 마스코트
대회 공식 마스코트는 "티트릿(TITRIT)"이며, 모로코 베르베르어로 "별" 또는 "유명인"을 의미한다.[19] 티트릿은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유니폼을 입고 전통적인 모로코 티아라를 착용한 어린 암사자로 표현되었다.[19]2. 3. 경기장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은 카사블랑카와 라바트에서 개최되었다.
2. 3. 1. 경기장 목록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은 카사블랑카와 라바트에서 개최되었다.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개최국 모로코는 자동 진출했고, 나머지 11개 팀은 예선을 통과했다.
3. 예선
팀 진출 횟수 마지막 진출 예선 통과 날짜 이전 최고 성적 이전 월드컵
출전 횟수FIFA 랭킹 (대회 시작 시점) (개최국) 3회 2000 2021년 1월 15일 조별 리그 (1998, 2000) 0 77 2회 2000 2022년 1월 28일 조별 리그 (2000) 0 156 1회 — 2022년 2월 21일 데뷔 0 169 4회 2018 2022년 2월 22일 8강 (1995) 0 103 2회 2012 2022년 2월 22일 조별 리그 (2012) 0 89 1회 — 2022년 2월 23일 데뷔 0 118 14회 2018 2022년 2월 23일 우승 (1991, 1995, 1998, 2000, 2002, 2004, 2006, 2010, 2014, 2016, 2018) 8 39 2회 2008 2022년 2월 23일 조별 리그 (2008) 0 72 1회 — 2022년 2월 23일 데뷔 0 138 1회 — 2022년 2월 23일 데뷔 0 152 13회 2018 2022년 2월 23일 준우승 (1991, 2004, 2014, 2016) 2 54 13회 2018 2022년 2월 23일 준우승 (1995, 2000, 2008, 2012, 2018) 1 58
3. 1. 본선 진출팀
개최국 모로코와 예선을 통과한 11개 팀, 총 12개 팀이 본 대회에 출전한다.
팀 | 진출 횟수 | 마지막 진출 | 예선 통과 날짜 | 이전 최고 성적 | 이전 월드컵 출전 횟수 | FIFA 랭킹 (대회 시작 시점) |
---|---|---|---|---|---|---|
(개최국) | 3회 | 2000 | 2021년 1월 15일 | 조별 리그 (1998, 2000) | 0 | 77 |
2회 | 2000 | 2022년 1월 28일 | 조별 리그 (2000) | 0 | 156 | |
1회 | — | 2022년 2월 21일 | 데뷔 | 0 | 169 | |
4회 | 2018 | 2022년 2월 22일 | 8강 (1995) | 0 | 103 | |
2회 | 2012 | 2022년 2월 22일 | 조별 리그 (2012) | 0 | 89 | |
1회 | — | 2022년 2월 23일 | 데뷔 | 0 | 118 | |
14회 | 2018 | 2022년 2월 23일 | 우승 (1991, 1995, 1998, 2000, 2002, 2004, 2006, 2010, 2014, 2016, 2018) | 8 | 39 | |
2회 | 2008 | 2022년 2월 23일 | 조별 리그 (2008) | 0 | 72 | |
1회 | — | 2022년 2월 23일 | 데뷔 | 0 | 138 | |
1회 | — | 2022년 2월 23일 | 데뷔 | 0 | 152 | |
13회 | 2018 | 2022년 2월 23일 | 준우승 (1991, 2004, 2014, 2016) | 2 | 54 | |
13회 | 2018 | 2022년 2월 23일 | 준우승 (1995, 2000, 2008, 2012, 2018) | 1 | 58 |
4. 선수 명단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2년 여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심판진
총 16명의 주심, 16명의 부심, 8명의 비디오 보조 심판이 토너먼트에 배정되었다.[6][7]
원래 모로코의 파티마 엘 아자니(Fatima El Ajjani)는 비디오 보조 심판으로만 배정되었다. 하지만 모리타니의 아이사타 부디 람(Aïssata Boudy Lam)이 부상을 입은 후 토너먼트 기간 동안 주심으로 배정되었다.
'''주심'''
- 수아비스 이라퉁가/Suavis Iratunga프랑스어 (부룬디)
- 조마드레 코레/Zomadre Kore프랑스어 (코트디부아르)
- 샤헨다 엘-마그라비/Shahenda El-Maghrabiar (이집트)
- 레티시아 비아나/Letticia Viana영어 (에스와티니)
- 리디아 타페세 (에티오피아)
- 마리아 리베/Maria Rivet프랑스어 (모리셔스)
- 아이사타 부디 람/Aïssata Boudy Lam프랑스어 (모리타니)
- 파티마 엘 아자니/Fatima El Ajjani프랑스어 (모로코)
- 부슈라 카르부비/Bouchra Karboubi프랑스어 (모로코)
- 안치노 트와냐뉴크와 (나미비아)
- 은디디 패이션스 마두/Ndidi Patience Madu영어 (나이지리아)
- 살리마 무칸상가 (르완다)
- 메임 페이/Mame Faye프랑스어 (세네갈)
- 아코나 마칼리마 (남아프리카 공화국)
- 빈센티아 아메돔/Vincentia Amedome프랑스어 (토고)
- 도르사프 가누아티 (튀니지)
- 샤미라 나바다/Shamira Nabadda영어 (우간다)
'''부심'''
- 아스마 와합/Asma Ouahab프랑스어 (알제리)
- 나피사투 예키니/Nafissatou Yekini프랑스어 (베냉)
- 카린 아테잠봉/Carine Atezambong프랑스어 (카메룬)
- 칸징가 무자나이/Kanjinga Mujanayi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
- 야라 압델파타/Yara Abdelfattahar (이집트)
- 모나 아탈라/Mona Atallahar (이집트)
- 리드윈 라코토자피노로/Lidwine Rakotozafinoro프랑스어 (마다가스카르)
- 버나데타 킴비라/Bernadettar Kwimbira영어 (말라위)
- 판타 코네/Fanta Kone프랑스어 (말리)
- 퀸시 빅투아르/Queency Victoire프랑스어 (모리셔스)
- 마리엠 체다드 (모리타니)
- 수카이나 함디/Soukaina Hamdi프랑스어 (모로코)
- 파티하 제르무미/Fatiha Jermoumi프랑스어 (모로코)
- 미미센 이요르헤/Mimisen Iyorhe영어 (나이지리아)
- 아핀 호다/Afine Houdaar (튀니지)
- 다이아나 치코테샤/Diana Chikotesha영어 (잠비아)
'''비디오 보조 심판'''
- 라흘루 벤브라함/Lahlou Benbraham프랑스어 (알제리)
- 아흐메드 엘-간두르/Ahmed El-Ghandourar (이집트)
- 아흐메드 이브라힘/Ahmed Ibrahimar (이집트)
- 아흐마드 헤랄랄/Ahmad Heerallal프랑스어 (모리셔스)
- 자카리아 브린디시/Zakaria Brindisi프랑스어 (모로코)
- 사미르 게자즈/Samir Guezzaz프랑스어 (모로코)
- 하이템 기라트/Haythem Guiratar (튀니지)
5. 1. 주심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토너먼트에는 총 16명의 주심, 16명의 부심, 8명의 VAR 심판이 배정되었다.[6][7] 원래 모로코의 파티마 엘 아자니(Fatima El Ajjani)는 비디오 보조 심판으로만 배정되었으나, 모리타니의 아이사타 부디 람(Aïssata Boudy Lam)이 부상을 입어 주심으로 변경되었다.[20][21]'''주심'''
- 수아비스 이라퉁가(Suavis Iratunga)
- 조마드레 코레(Zomadre Kore)
- 샤헨다 엘-마그라비(Shahenda El-Maghrabi)
- 레티시아 비아나(Letticia Viana)
- 리디아 타페세(Lidya Tafesse)
- 마리아 리베(Maria Rivet)
- 아이사타 부디 람(Aïssata Boudy Lam)
- 파티마 엘 아자니(Fatima El Ajjani)
- 부슈라 카르부비(Bouchra Karboubi)
- 안치노 트와냐뉴크와(Antsino Twanyanyukwa)
- 은디디 패이션스 마두(Ndidi Patience Madu)
- 살리마 무칸상가(Salima Mukansanga)
- 메임 페이(Mame Faye)
- 아코나 마칼리마(Akhona Makalima)
- 빈센티아 아메돔(Vincentia Amedome)
- 도르사프 가누아티(Dorsaf Ganouati)
- 샤미라 나바다(Shamira Nabadda)
'''부심'''
- 아스마 와합(Asma Ouahab)
- 나피사투 예키니(Nafissatou Yekini)
- 카린 아테잠봉(Carine Atezambong)
- 칸징가 무자나이(Kanjinga Mujanayi)
- 야라 압델파타(Yara Abdelfattah)
- 모나 아탈라(Mona Atallah)
- 리드윈 라코토자피노로(Lidwine Rakotozafinoro)
- 버나데타 킴비라(Bernadettar Kwimbira)
- 판타 코네(Fanta Kone)
- 퀸시 빅투아르(Queency Victoire)
- 마리엠 체다드(Mariem Chedad)
- 수카이나 함디(Soukaina Hamdi)
- 파티하 제르무미(Fatiha Jermoumi)
- 미미센 이요르헤(Mimisen Iyorhe)
- 아핀 호다(Afine Houda)
- 다이아나 치코테샤(Diana Chikotesha)
'''비디오 보조 심판'''
- 라흘루 벤브라함(Lahlou Benbraham)
- 아흐메드 엘-간두르(Ahmed El-Ghandour)
- 아흐메드 이브라힘(Ahmed Ibrahim)
- 아흐마드 헤랄랄(Ahmad Heerallal)
- 자카리아 브린디시(Zakaria Brindisi)
- 사미르 게자즈(Samir Guezzaz)
- 하이템 기라트(Haythem Guirat)
5. 2. 부심
총 16명의 주심, 16명의 부심, 8명의 VAR 심판이 토너먼트에 배정되었다.[6][7] 원래 모로코의 파티마 엘 아자니는 비디오 보조 심판으로만 배정되었으나, 모리타니의 아이사타 부디 람이 부상을 입은 후 주심으로 배정되었다.부심 명단은 다음과 같다:[20][21]
- 아스마 와합/Asma Ouahab프랑스어 (알제리)
- 나피사투 예키니/Nafissatou Yekini프랑스어 (베냉)
- 카린 아테잠봉/Carine Atezambong프랑스어 (카메룬)
- 칸징가 무자나이/Kanjinga Mujanayi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
- 야라 압델파타 (이집트)
- 모나 아탈라 (이집트)
- 리드윈 라코토자피노로/Lidwine Rakotozafinoro프랑스어 (마다가스카르)
- 버나데타 킴비라/Bernadettar Kwimbira영어 (말라위)
- 판타 코네/Fanta Kone프랑스어 (말리)
- 퀸시 빅투아르/Queency Victoire프랑스어 (모리셔스)
- 마리엠 체다드 (모리타니)
- 수카이나 함디 (모로코)
- 파티하 제르무미 (모로코)
- 미미센 이요르헤/Mimisen Iyorhe영어 (나이지리아)
- 아핀 호다 (튀니지)
- 다이아나 치코테샤/Diana Chikotesha영어 (잠비아)
5. 3. 비디오 보조 심판 (VAR)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는 총 16명의 주심, 16명의 부심, 8명의 비디오 보조 심판(VAR)이 배정되었다.[6][7] 당초 모로코의 파티마 엘 아자니(Fatima El Ajjani)는 비디오 보조 심판으로만 배정되었으나, 모리타니의 아이사타 부디 람(Aïssata Boudy Lam)이 부상으로 인해 주심으로 변경되었다.[20][21]6.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을 따른다.
최종 조 추첨은 2022년 4월 29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GMT (UTC±00:00) 20:30에 열렸다.[8] 12개 팀은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었으며, 개최국 모로코, 전 대회 우승팀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랭킹이 높은 카메룬이 각각 A1, C1, B1에 배정되었다.[9]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는 2022년 4월 29일 대회 공식 경기 일정을 발표했다.[10] 각 조 상위 두 팀과, 3위 팀 중 상위 두 팀이 8강에 진출했다.
;순위 결정 방식
팀 순위는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결정되었다.[11]
두 팀이 승점이 동률일 경우,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 순위 결정 기준이 적용되었다 (규정 제74조):[11]
# 동률 팀 간의 승자승 경기 승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추첨.
세 팀 이상이 동률일 경우, 대신 다음 기준이 적용되었다.
# 동률 팀 간의 경기 승점;
# 동률 팀 간의 경기 골 득실차;
# 동률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위의 모든 기준을 적용한 후에도 두 팀이 동률일 경우, 위의 기준을 문제의 두 팀 간의 경기에 다시 적용했다. 그래도 동률이 유지될 경우, 다음 세 가지 기준이 적용되었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추첨.
;A조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A조에서는 모로코, 세네갈, 부르키나파소, 우간다가 경쟁했다. 모로코는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세네갈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부르키나파소와 우간다는 각각 1무 2패로 3, 4위에 그쳤다.
조별 리그는 2022년 7월 2일부터 7월 8일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 모로코는 부르키나파소, 우간다, 세네갈을 차례로 꺾고 3연승을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특히, 기즐란 셰박은 부르키나파소전, 우간다전, 세네갈전에서 모두 득점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세네갈은 우간다와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승리하였지만, 모로코에 패하면서 조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부르키나파소와 우간다는 승리 없이 조별 리그를 마감했다.
;B조
'''B조'''에서는 잠비아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28] 카메룬은 1승 2무로 2위, 튀니지는 1승 2패로 3위를 기록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8] 토고는 1무 2패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022년 7월 3일, 스타드 무함마드 5세에서 열린 카메룬과 잠비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28] 같은 날 튀니지는 토고를 4-1로 꺾었다. 튀니지의 후이즈가 전반 1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엘루지가 전반 12분과 후반 15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토고의 넁테그마는 전반 22분에 페널티킥으로 만회골을 넣었지만, 후반 26분에 튀니지의 아무클루가 자책골을 기록하며 튀니지가 승리했다.
7월 6일에는 잠비아가 튀니지를 1-0으로 꺾었다. 잠비아의 치툰두가 후반 추가시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토고와 카메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토고의 웨디쿠가 전반 28분에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카메룬의 존슨이 전반 38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7월 9일, 카메룬은 튀니지를 2-0으로 꺾었다. 잠비아는 토고를 4-1로 꺾었다.
;C조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C조의 경기는 2022년 7월 4일부터 2022년 7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승으로 1위, 나이지리아가 2승 1패로 2위, 보츠와나가 1승 2패로 3위를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부룬디는 3패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월 4일,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부룬디와 보츠와나의 경기에서는 보츠와나가 4-2로 승리했다.
7월 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부룬디를 3-1로 꺾었다. 같은 날 보츠와나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
7월 1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보츠와나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나이지리아는 부룬디를 4-0으로 대파했다.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순위 | 조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B조 | 튀니지/Tunisie프랑스어 | 3 | 3 | 1 | 0 | 2 | 4 | 4 | 0 |
2 | C조 | 보츠와나/Botswana영어 | 3 | 3 | 1 | 0 | 2 | 4 | 5 | -1 |
3 | A조 |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프랑스어 | 1 | 3 | 0 | 1 | 2 | 2 | 4 | -2 |
B조 튀니지/Tunisie프랑스어와 C조 보츠와나/Botswana영어가 승점 3점으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6. 1. 순위 결정 방식
팀 순위는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결정된다.[11]두 팀이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위 결정 기준이 순서대로 적용된다 (규정 제74조):[11]
# 동률 팀 간의 승자승 경기 승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추첨.
세 팀 이상이 승점이 같은 경우에는 승자승 원칙 대신 다음 기준이 적용된다.
# 동률 팀 간의 경기 승점;
# 동률 팀 간의 경기 골 득실차;
# 동률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위의 모든 기준을 적용한 후에도 두 팀이 동률일 경우, 위의 기준을 문제의 두 팀 간의 경기에 다시 적용한다. 그래도 동률이 유지될 경우, 다음 세 가지 기준이 적용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추첨.
6. 2. A조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A조에서는 모로코, 세네갈, 부르키나파소, 우간다가 경쟁했다. 모로코는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세네갈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부르키나파소와 우간다는 각각 1무 2패로 3, 4위에 그쳤다.
조별 리그는 2022년 7월 2일부터 7월 8일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 모로코는 부르키나파소, 우간다, 세네갈을 차례로 꺾고 3연승을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특히, 기즐란 셰박은 부르키나파소전, 우간다전, 세네갈전에서 모두 득점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세네갈은 우간다와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승리하였지만, 모로코에 패하면서 조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부르키나파소와 우간다는 승리 없이 조별 리그를 마감했다.
6. 3. B조
'''B조'''에서는 잠비아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28] 카메룬은 1승 2무로 2위, 튀니지는 1승 2패로 3위를 기록하며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8] 토고는 1무 2패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022년 7월 3일, 스타드 무함마드 5세에서 열린 카메룬과 잠비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28] 같은 날 튀니지는 토고를 4-1로 꺾었다. 튀니지의 후이즈가 전반 1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엘루지가 전반 12분과 후반 15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토고의 넁테그마는 전반 22분에 페널티킥으로 만회골을 넣었지만, 후반 26분에 튀니지의 아무클루가 자책골을 기록하며 튀니지가 승리했다.
7월 6일에는 잠비아가 튀니지를 1-0으로 꺾었다. 잠비아의 치툰두가 후반 추가시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토고와 카메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토고의 웨디쿠가 전반 28분에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카메룬의 존슨이 전반 38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7월 9일, 카메룬은 튀니지를 2-0으로 꺾었다. 잠비아는 토고를 4-1로 꺾었다.
6. 4. C조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C조의 경기는 2022년 7월 4일부터 2022년 7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승으로 1위, 나이지리아가 2승 1패로 2위, 보츠와나가 1승 2패로 3위를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부룬디는 3패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월 4일,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부룬디와 보츠와나의 경기에서는 보츠와나가 4-2로 승리했다.
7월 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부룬디를 3-1로 꺾었다. 같은 날 보츠와나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
7월 1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보츠와나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나이지리아는 부룬디를 4-0으로 대파했다.
6. 5.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wikitable순위 | 조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B조 | 튀니지/Tunisie프랑스어 | 3 | 3 | 1 | 0 | 2 | 4 | 4 | 0 |
2 | C조 | 보츠와나/Botswana영어 | 3 | 3 | 1 | 0 | 2 | 4 | 5 | -1 |
3 | A조 |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프랑스어 | 1 | 3 | 0 | 1 | 2 | 2 | 4 | -2 |
B조 튀니지/Tunisie프랑스어와 C조 보츠와나/Botswana영어가 승점 3점으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7. 결선 토너먼트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토너먼트
8강전에서 승리한 팀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패배한 팀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기회를 얻었다.
'''8강전'''
- 2022년 7월 13일 라바트 : '''모로코''' 2 - 1 보츠와나
- 2022년 7월 14일 카사블랑카 : 카메룬 0 - 1 '''나이지리아'''
- 2022년 7월 13일 카사블랑카 : '''잠비아''' 1 (4) - 1 (2) 세네갈 (승부차기)
- 2022년 7월 14일 라바트 : '''남아프리카 공화국''' 1 - 0 튀니지
'''준결승전'''
- 2022년 7월 18일 라바트 : '''모로코''' 1 (5) - 1 (4) 나이지리아 (승부차기)
- 2022년 7월 18일 카사블랑카 : 잠비아 0 - 1 '''남아프리카 공화국'''
'''3-4위전'''
- 2022년 7월 22일 카사블랑카 : 나이지리아 0 - '''1 잠비아'''
'''결승전'''
- 2022년 7월 23일 라바트 : 모로코 1 - '''2 남아프리카 공화국'''
'''패자부활전'''
7. 1. 대진표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의 8강전은 7월 13일과 14일에 진행되었다. 모로코는 보츠와나를 2-1로 이겼고, 나이지리아는 카메룬을 1-0으로 이겼다. 잠비아는 세네갈과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끝에 4-2로 승리했고(1-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튀니지를 1-0으로 이겼다.준결승전은 7월 18일에 열렸다. 모로코는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끝에 5-4로 승리했고(1-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잠비아를 1-0으로 이겼다.
결승전은 7월 23일 라바트에서 열렸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모로코를 2-1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3위 결정전에서는 잠비아가 나이지리아를 1-0으로 이겼다.
패자 부활전에서는 카메룬이 보츠와나를 1-0으로 이겼고, 세네갈은 튀니지와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끝에 4-2로 승리했다(0-0).
7. 2. 8강전
2022년 7월 13일부터 14일까지 8강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 승리한 팀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고, 패배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7월 13일 카사블랑카의 스타드 모하메드 5세에서 열린 잠비아와 세네갈의 경기는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잠비아가 4-2로 승리했다. 잠비아는 아벨 치툰투가 후반 25분에 득점하였고, 세네갈은 응게나르 은디아예가 후반 16분에 득점하였다. 승부차기에서는 잠비아의 찬다, 줄루, I. 룽구, 날리가 득점에 성공하였고, 므웸바는 실축하였다. 세네갈은 팔과 디아카테가 실축하였다. 같은 날 라바트의 물레 압델라 왕자 경기장에서 열린 모로코와 보츠와나의 경기는 모로코가 2-1로 승리했다. 모로코는 전반 3분 사나아 음수디, 후반 14분 야스민 음라벳이 득점하였고, 보츠와나는 전반 7분 케이투메치 디테비가 득점하였다.
7월 14일 카사블랑카의 스타드 모하메드 5세에서 열린 카메룬과 나이지리아의 경기는 나이지리아가 1-0으로 승리했다. 나이지리아는 후반 11분 라시닷 아지바디가 득점하였다. 같은 날 라바트의 물레 압델라 왕자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튀니지의 경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전반 14분 저메인 시오포센위가 득점하였다.
7. 3. 패자부활전
패자부활전에서 승리한 2팀은 2023년 2월 뉴질랜드에서 시행될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2022년 7월 17일 18시(현지 시각)에 세네갈은 모하메드 V 스타디움(카사블랑카)에서 튀니지를 상대로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였다. 디오프, 소우, N. 은디아예, 팔이 세네갈을 위해 득점하였고, 엘루지와 아우니는 튀니지를 위해 득점하였다. 디알로는 세네갈에서, 후이와 아야디는 튀니지에서 실축하였다.
같은 날 21시(현지 시각) 물레이 하산 경기장(라바트)에서 열린 카메룬과 보츠와나의 경기에서는 은추트의 골로 카메룬이 1-0으로 승리했다.
7. 4. 준결승전
2022년 7월 18일, 스타드 모하메드 V에서 열린 잠비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후반 추가 시간 린다 모틀할로의 페널티킥 골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심판은 에티오피아의 리디아 타페세가 맡았다.같은 날 스타드 물레이 압달라에서 열린 모로코와 나이지리아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모로코가 5-4로 승리했다. 모로코는 사나아 음수디가 후반 66분에 득점했고, 나이지리아는 후반 62분 야스민 음라벳의 자책골로 득점했다. 승부차기에서는 모로코의 음라벳, 셰바크, 레두아니, 엘 샤드, 아야네가 모두 성공했고, 나이지리아는 치크웰루, 오투, 플럼프레, 먼데이가 성공했으나 오누모누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모리셔스의 마리아 리베가 맡았으며, 관중 수는 45,562명이었다.
7. 5. 3-4위전
2022년 7월 22일 21시(현지 시각), 카사블랑카의 스타드 모하메드 V에서 3-4위전이 열렸다. 나이지리아와 잠비아의 경기에서, 잠비아가 전반 29분 치아마카 은나도지에의 자책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며 3위를 차지했다. 심판은 토고의 뱅상티아 아메돔이 맡았다.7. 6. 결승전
2022년 7월 23일 21시(현지 시각), 라바트의 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모로코를 2-1로 꺾고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힐다 마가이아가 두 골을 넣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승리를 이끌었고, 모로코는 로젤라 아얀이 한 골을 만회했다. 주심은 르완다 출신의 살리마 무칸상가가 맡았다.
8. 우승
남아프리카 공화국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