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 통합되어 진행되었으며, 1차, 2차, 3차 예선과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1차 예선은 FIFA 랭킹이 낮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6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고,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 통과팀과 FIFA 랭킹 상위 34개 팀이 참가하여 각 조 1위와 2위 중 상위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를 통해 3차 예선 진출팀을 가렸으며, 3차 예선에서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참가하여 최종적으로 24개 팀이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 통합되어 진행된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되었다.[3]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한 46개국 모두가 예선에 참가한다.[47] 북마리아나 제도는 AFC 준회원이지만 FIFA 회원이 아니어서 AFC 아시안컵에는 참가할 수 있지만, FIFA 월드컵에는 참가할 수 없다.
대한민국은 2차 예선에서 레바논, 투르크메니스탄, 스리랑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함께 H조에 편성되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중도 기권하면서, 대한민국은 H조 1위를 차지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2] 손흥민은 2차 예선에서 3골을 기록하며 대표팀의 공격을 이끌었다.[3]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 일정은 다음과 같다.[35][36][37][38][39][40]
(몰수)
2. 예선 형식
중국은 2023년 AFC 아시안컵의 당초 개최 예정국이었기 때문에 자동으로 아시안컵에 출전할 수 있었지만, 2022년 월드컵 예선도 겸하는 2차 예선부터 출전했다. 카타르는 2022년 월드컵 개최국이므로 2023년 아시안컵 예선으로만 참가했다. 동티모르는 2019년 아시안컵 예선에서 발생한 문제로 인해 2023년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
3. 참가국
2019년 4월 FIFA 랭킹 기준으로 상위 34개국은 2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12개국은 1차 예선부터 참가한다.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와 2023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개최권 반납) 중국은 모두 2차 예선부터 참가한다.[47]
동티모르는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켜 2023년 AFC 아시안컵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지만,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참가했다.[48]
2019년 4월 FIFA 랭킹에 따른 참가국 목록은 다음과 같다.[49][50]
{| class="wikitable"
|-
! 2차 예선 직행 국가 (1~34위)
! 1차 예선 참가 국가 (35~46위)
|-
|이란 (21위) 일본 (26위) 한국 (37위) 오스트레일리아 (41위) 카타르 (55위) 아랍에미리트 (67위) 사우디아라비아 (72위) 중국 (74위) 이라크 (76위) 시리아 (83위) 우즈베키스탄 (85위) 레바논 (86위) 오만 (86위) 키르기스스탄 (95위) 요르단 (97위) 베트남 (98위) 팔레스타인 (99위) 인도 (101위) 바레인 (111위) 태국 (114위) 타지키스탄 (120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1위) 필리핀 (124위) 중화 타이베이 (125위) 투르크메니스탄 (136위) 미얀마 (140위) 홍콩 (141위) 예멘 (146위) 아프가니스탄 (149위) 몰디브 (151위) 쿠웨이트 (156위) 인도네시아 (159위) 싱가포르 (160위) 네팔 (161위)
|말레이시아 (168위) 캄보디아 (173위) 마카오 (183위) 라오스 (184위) 부탄 (186위) 몽골 (187위) 방글라데시 (188위) 괌 (193위) 브루나이 (194위) 동티모르 (195위) 파키스탄 (200위) 스리랑카 (202위)
|}
4. 2차 예선 (대한민국 중심)
경기일 상대팀 결과 득점 선수 2019년 9월 10일 투르크메니스탄 2 - 0 (승) 나상호, 정우영 2019년 10월 10일 스리랑카 8 - 0 (승) 김신욱 (4골), 손흥민 (2골), 황희찬, 권창훈 2019년 11월 14일 레바논 0 - 0 (무) 2021년 6월 9일 투르크메니스탄 5 - 0 (승) 황의조 (2골), 남태희, 김영권, 권창훈 2021년 6월 13일 레바논 2 - 1 (승) 송민규, 손흥민 (PK)
5. 일정
라운드 절 날짜 1차 예선 제1전 2019년 6월 6일 제2전 2019년 6월 11일 2차 예선 제1절 2019년 9월 5일 제2절 2019년 9월 10일 제3절 2019년 10월 10일 제4절 2019년 10월 15일 제5절 2019년 11월 14일 제6절 2019년 11월 19일 제7절 2021년 3월 25일, 5월 28일, 6월 3일 제8절 2020년 12월 4일, 2021년 3월 30일, 6월 7일, 6월 9일 제9절 2021년 3월 30일, 5월 30일, 6월 11일 제10절 2021년 6월 13일, 6월 15일 플레이오프 제1전 2021년 10월 7일 제2전 2021년 10월 12일 3차 예선 제1절 2022년 6월 8일 제2절 2022년 6월 11일 제3절 2022년 6월 14일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차 예선의 일부 경기와 3차 예선 전체 일정이 연기되었다.[8][9][10][11]
6. 1차 예선 결과
라오스 0 - 1 방글라데시 0 - 1 0 - 0 말레이시아 12 - 2 동티모르 7 - 1 5 - 1 캄보디아 4 - 1 파키스탄 2 - 0 2 - 1 부탄 1 - 5 괌 1 - 0 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