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82고지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82고지 전투는 1950년 9월 23일, 한국 전쟁 중 영국군 제1대대가 성주군 근처의 282고지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투이다. 영국군은 고지를 점령했으나, 북한군의 반격과 미 공군의 오폭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고 철수했다. 특히 미 공군의 오폭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케네스 뮤어 소령이 전사했다. 이 전투는 영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으며, 미 공군의 오폭으로 인해 전술적 교훈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군의 역사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중국 부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촉발되어 사드 1개 포대의 성주 배치로 이어진 정치·외교·안보적 갈등을 의미하며, 배치 완료 후에도 안보,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과 과제를 남기고 있다.
  • 성주군의 역사 - 성산가야
    성산가야는 4세기 말 이후 신라에 편입되어 6세기 초에 신라에 병합된 옛 가야의 소국이며, 수도는 경상북도 성주였고, 삼국유사에서는 벽진가야로 기록되었다.
  • 1950년 9월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50년 9월 - 영천 전투
    영천 전투는 6.25 전쟁 중 조선인민군이 영천을 점령한 후 대한민국 국군과 벌인 치열한 전투로, 국군의 반격과 미군의 지원으로 북한군을 섬멸하며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영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영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282고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한국 전쟁
전투명282 고지 전투
다른 이름Battle of Hill 282
로마자 표기282 goji jeontu
장소경상북도 성주군 부근 282 고지
날짜1950년 9월 23일
결과교착 상태
교전 세력
연합군UN
연합군 참가국영국
미국
북한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정보 없음)
북한군 지휘관(정보 없음)
병력 규모
연합군 병력(정보 없음)
북한군 병력(정보 없음)
사상자 규모
영국군 사상자17명 전사/실종, 79명 부상 (아군 오사 포함)
북한군 사상자불명
추가 정보
오사미국 P-51 무스탕 전투기가 아군인 영국군을 북한군으로 오인하여 네이팜탄과 .50 BMG 기관총 사격으로 17명 사망, 79명 부상
관련 전투
캠페인 정보한국 전쟁 캠페인

2. 전투 배경

1950년 9월 22일, 제1대대는 성주군 근처의 282고지 부근을 공격하기 위해 전진을 시작했다. 9월 23일 새벽, 제1대대 B중대 및 C중대가 282고지를 올라 아침 식사를 하던 조선인민군(북한군) 부대를 기습 공격하여 정상을 제압했다.[6] 282고지에서 안부를 넘어 남서쪽으로 약 1.61km 정도 떨어진 지점에는, 더 표고가 높고 아직 북한군 세력 하에 있는 388고지가 있었다. C중대는 388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전진했다.

한편, 388고지를 지키고 있던 북한군은 282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이동을 시작하고 있었다. 북한군은 포와 박격포를 사용하여 영국군에게 포격을 가했다. 이 공격은 아침 내내 점차 규모가 커졌다. 정오 직전, 미군의 포격 지원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거부되었고, 원호에 할당되었던 5대의 미군 전차대는 지형 문제로 전진이 불가능하게 되자, 제1대대는 388고지에 대한 공습을 요청했다.[6]

3. 전투 전개

1950년 9월 22일, 영국군 제1대대는 성주군 근처의 282고지 부근을 공격하기 위해 전진했다. 다음날 새벽, B중대와 C중대가 기습 공격으로 282고지를 점령하고, C중대는 388고지를 향해 전진했다. 한편, 388고지의 조선인민군은 282고지를 탈환하려 포와 박격포로 영국군을 공격했고, 이 공격은 아침 내내 이어졌다. 정오 직전, 미군의 포격 지원은 거부되었고, 전차 지원도 불가능해지자, 제1대대는 공습을 요청했다.

정오가 지나, 미 공군 제18전투폭격항공단 소속 F-51 머스탱 3대가 도착했지만, 영국군과 조선인민군 모두 흰색 식별 패널을 설치하여 혼란이 발생했다. 통신 문제까지 겹쳐, 12시 15분, 머스탱은 영국군을 오인하여 네이팜탄을 투하하고 기관총을 사격했다.[6]

2분간의 공격으로 영국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케네스 뮤어 소령은 병사들을 구출하려다 전사했다.[7] 남은 병력은 브렌 경기관총 3정뿐이었고 탄약도 부족하여, 결국 15시에 고지에서 철수했다. 다음 날, 영국군의 총 사상자는 89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중 약 60명은 오폭 피해였다.[8]

3. 1. 영국군의 초기 공격 및 고지 점령

1950년 9월 23일 새벽, 영국군 제1대대 B중대와 C중대는 282고지를 기습 공격하여 아침 식사를 하던 조선인민군 부대를 제압하고 정상을 점령했다.[6] 282고지에서 남서쪽으로 약 1.6km 떨어진 곳에는 더 높은 388고지가 있었고, C중대는 이 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전진했다.

한편, 388고지를 지키던 조선인민군은 282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이동하며 포와 박격포로 영국군에게 포격을 가했다. 이 공격은 아침 내내 계속되었다. 정오 직전, 미군의 포격 지원이 거부되고 지형 문제로 원호 전차 5대의 전진이 불가능해지자, 제1대대는 388고지에 대한 공습을 요청했다.

정오를 조금 넘어서, 미 공군 제18전투폭격항공단 소속 F-51 머스탱 공격기 3대가 282고지에 도착했다. 영국군은 아군 식별을 위해 흰색 패널을 설치했지만, 조선인민군도 같은 패널을 설치하면서 혼란이 발생했다. 전술 항공 통제반의 라드클리프 대위는 머스탱과의 통신에 실패했고, 12시 15분, 머스탱은 오인하여 영국군에게 네이팜탄을 투하하고 기관총을 사격했다.[6]

2분간의 공격으로 생존자들은 네이팜 화염을 피해 약 15.24m 언덕을 굴러 떨어졌다. 케네스 뮤어 소령은 고립된 병사들을 구출하기 위해 30여 명의 병사를 이끌고 정상으로 향했다. 뮤어 소령은 B중대장 고든-잉그램 소령과 함께 박격포반을 지휘했지만, 총격으로 전사했다. 그의 마지막 말은 "구크 놈들은 아가일의 병사들을 이 고지에서 몰아낼 수 없을 것이다"였다.[7]

그러나 전황은 절망적이었다. 전투 가능 인원은 고든-잉그램 소령을 포함해 10명뿐이었고, 브렌 경기관총 3정의 탄약도 거의 고갈되었다. 15시, 생존한 영국군 병사들은 걸어서 고지에서 철수했다.[6]

다음 날 피해 집계 결과, 장교 2명, 부사관 및 병사 11명이 전사, 장교 4명, 부사관 및 병사 70명이 부상, 부사관 및 병사 2명이 실종되어 총 사상자는 89명이었다. 이 중 약 60명은 오폭으로 인한 피해로 추정된다.[8]

3. 2. 조선인민군의 반격과 포격

1950년 9월 23일, 388고지를 지키고 있던 조선인민군은 282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이동하면서 포와 박격포를 사용하여 영국군에게 포격을 가했다. 이 공격은 아침 내내 서서히 규모가 커졌다. 정오 직전, 미군의 포격 지원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거부되었고, 원호에 할당되었던 미군 전차 5대는 지형 문제로 전진이 불가능하게 되자, 제1대대는 388고지에 대한 공습을 요청했다.[6]

3. 3. 미 공군의 오폭 사건

1950년 9월 23일 정오 무렵, 미 공군 F-51 머스탱 공격기 3대가 282고지에 대한 공습을 요청받고 출격했다. 그러나 북한군도 아군과 동일하게 흰색 식별 패널을 설치해 미 공군 조종사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6] 전술 항공 통제반(tactical air control party)의 라드클리프 대위(Radcliff)는 머스탱과의 통신에 실패했고, 12시 15분, 머스탱은 영국군을 오인하여 네이팜탄을 투하하고 50구경 기관총으로 공격했다.[6]

2분간의 공격으로 영국군 병사들은 네이팜탄 화염을 피하기 위해 50피트 언덕을 굴러 떨어져야 했다. 이 오폭으로 인해 장교 2명, 하사관 및 병사 11명이 전사하고, 장교 4명, 하사관 및 병사 70명이 부상당했으며, 하사관 및 병사 2명이 실종되는 등 총 8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중 약 60명은 오폭으로 인한 피해였다.[8]

4. 주요 참전자

현재 해당 문서에는 주요 참전자에 대한 내용이 작성되어 있지 않다.

4. 1. 케네스 뮤어 소령

1950년 9월 23일 정오까지 282고지 정상에서 탄약 수송 및 부상자 후송을 지휘했던 케네스 뮤어 소령은 몇몇 병사가 정상에 고립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뮤어 소령은 북한군의 손에 넘어가기 전에 그들을 구출하기 위해 30명 정도의 병사를 모아 정상으로 향했다.[7]

정상에 도달한 후, B중대장 A. I. 고든-잉그램 소령과 함께 박격포반을 지휘했지만, 이때 받은 2발의 총격이 치명상이 되어 전사했다. 뮤어 소령의 마지막 말은 "구크 놈들은 아가일의 병사들을 이 고지에서 몰아낼 수 없을 것이다"(The Gooks will never drive the Argylls off this hill.)였다.[7]

5. 전투 결과 및 영향

1950년 9월 23일, 조선인민군(북한군)과 영국군 제1대대 사이에 벌어진 282고지 전투는 미 공군 F-51 머스탱 공격기의 오폭으로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다.[6] 이 사건은 한국 전쟁에서 발생한 여러 오폭 사건 중 하나로, 전쟁의 비극성과 아군 간 오인 사격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케네스 뮤어 소령은 부상병 구출 중 전사하여 그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7]

5. 1. 영국군 피해 규모

이 전투에서 영국군 제1대대는 장교 2명, 하사관 및 병사 11명이 전사하고, 장교 4명, 하사관 및 병사 7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하사관 및 병사 2명이 행방불명되어 총 8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8] 이 중 약 60명은 F-51 머스탱 공격기의 오폭으로 인한 피해로 추정된다.[8]

6. 역사적 평가 및 의의

282고지 전투와 오폭 사건은 한국 전쟁에서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며, 그 역사적 평가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 전략적 중요성: 282고지 전투는 낙동강 방어선 돌파를 위한 중요한 작전이었다. 미군과 영국군의 협동 작전은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오폭 사건의 비극성: 전투 중 발생한 오폭 사건은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아군 사상자가 발생한 이 사건은 전쟁의 참혹함과 우발적 사고의 위험성을 상기시킨다.

  • 한미 관계에 미친 영향: 오폭 사건은 당시 한미 관계에 긴장을 초래했다. 그러나 양국은 이 사건을 통해 상호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군사 작전에서의 조율과 정보 공유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았다.

  • 전쟁의 교훈: 282고지 전투와 오폭 사건은 전쟁에서의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연합 작전에서의 긴밀한 협력과 오해 방지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282고지 전투는 전략적 중요성과 함께 전쟁의 비극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건이다. 이 전투는 한미 관계의 발전과 군사 작전의 개선에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참조

[1] 서적 New Zealand and the Korean War: Combat oper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 뉴스 U.S. Planes Bomb British Units by Mistake http://nla.gov.au/nl[...] 1950-09-25
[3] 서적 The Argylls in Korea Thomas Nelson and Sons Ltd 1952
[4] 간행물 London Gazette 1951-01-05
[5] 웹사이트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www.kmike.com[...]
[6] 뉴스 U.S. Planes Bomb British Units by Mistake http://trove.nla.gov[...] 1950-09-25
[7] 서적 The Argylls in Korea Thomas Nelson and Sons Ltd 1952
[8] 웹사이트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www.kmik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