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협력 사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국 협력 사무국(TCS)은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2011년 9월 서울에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1999년 아세안+3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작된 3국 협력은 2010년 상설 사무국 설립 합의를 통해 구체화되었다. TCS는 협의이사회와 4개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소년 교류, 3국 협력 증진 사업, 연구 및 간행물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중일 -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는 아세안 10개국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는 연례 회의로, 경제 협력 및 지역 안보 현안을 논의하며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목표로 하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 및 협력 구도의 복잡성으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한중일 - 동아시아
동아시아는 중국, 일본, 한국, 몽골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정의가 다양하며, 지리적으로 복잡한 지형과 다양한 기후대를 가지고 있고, 역사적으로 문화 교류가 활발했으나 근대에는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경제적 통합과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중국 부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촉발되어 사드 1개 포대의 성주 배치로 이어진 정치·외교·안보적 갈등을 의미하며, 배치 완료 후에도 안보,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과 과제를 남기고 있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페스카마 15호 사건
페스카마 15호 사건은 1996년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참치잡이 원양어선 선상 살인 사건으로, 조선족 선원들이 선상 생활의 어려움과 귀국 요구 거절에 불만을 품고 한국인 선원 등을 살해한 후 대한민국으로 인도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당시 열악한 원양어선 선원들의 노동 환경과 외국인 선원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일본-중국 관계 -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국가적 위기와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A급 전범을 포함한 전쟁 관련 인물들의 합사로 인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일으키며 과거사 논쟁의 중심에 있는 신사이다. - 일본-중국 관계 - 민생단 사건
민생단 사건은 1930년대 만주에서 일본 제국의 이간책으로 만들어진 친일 조직을 구실로 중국 공산당이 항일 무장 투쟁을 하던 조선인들을 숙청한 사건으로, 무고한 희생과 조선인-중국인 간 불신 심화, 항일 연대 약화를 초래했으며 김일성이 이 사건 수습 과정에서 지도력을 강화했다.
3국 협력 사무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본부 | 대한민국 서울 좌표: |
공식 언어 | 영어 (절차상) 실무 언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
회원국 | |
설립일 | 2011년 9월 1일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사무총장 | 이희섭 |
사무차장 | 옌 량 즈시 슈우지 |
2. 배경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 간의 협력은 1999년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들의 첫 조찬 회동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이후 매년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되었고, 2008년 일본 후쿠오카시에서 최초의 공식적인 한일중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2009년 중국 베이징시에서 개최된 제2차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3국 협력 사무국(TCS) 설립 논의가 시작되었으며,[21] 2010년 5월 대한민국 제주시에서 개최된 제3차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3국 정상은 3국 협력 사무국을 대한민국에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21]
2. 1. 3국 협력의 발전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 간의 협력은 1999년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들의 첫 조찬 회동을 계기로 시작되었다.[19] 이후 매년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몇 년 간의 협상을 거쳐, 2007년에 3국은 아세안+3와 독립된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하였고, 2008년 일본 후쿠오카시에서 최초의 공식적인 한일중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20]2. 2.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TCS) 설립
3국 협력 사무국(TCS) 설립 논의는 2009년 중국 베이징시에서 개최된 제2차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시작됐다.[21] 2010년 5월 대한민국 제주시에서 개최된 제3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은 3국 협력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발전을 위한 상설 사무국을 대한민국에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21] 이후 2010년 사무국 설립 [https://tcs-asia.org/pdf/Agreement%20on%20the%20Establishment%20of%20the%20Trilateral%20Coopera.pdf 협정]이 체결되고[7][21], 2011년 협정 발효 등 준비과정을 거쳐 2011년 9월에 3국협력사무국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공식 출범하였다.[8][14][21]3. 조직
3국 협력 사무국(TCS)은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협의 이사회와 산하 4개 부서(정무부, 경제부, 사회문화부, 행정조정부)로 구성되어 있다.[22][9] 각 부서에는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일본 3국 정부에서 파견된 공무원들과 공개 채용을 통해 선발된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3. 1. 협의 이사회
협의이사회는 3국 협력 사무국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각국이 2년마다 윤번제로 임명하는 1명의 사무총장과 2명의 사무차장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한중일 외교부에서 파견된 외교관들이다.[1] 사무총장은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순으로 2년 임기를 순환하며, 나머지 두 나라는 각각 사무차장을 지명한다.[2]대수 | 기간 | 사무총장 | 사무차장 | |
---|---|---|---|---|
제1대 | 2011년 9월 ~ 2013년 8월 | 신봉길 | 마쓰카와 루이 | 마오닝 |
제2대 | 2013년 9월 ~ 2015년 8월 | 이와타니 시게오 | 천펑 | 이종헌 |
제3대 | 2015년 9월 ~ 2017년 8월 | 양허우란 | 이종헌 | 우메자와 아키마 |
제4대 | 2017년 9월 ~ 2019년 8월 | 이종헌 | 야마모토 야스시 | 한메이 |
제5대 | 2019년 9월 ~ 2021년 8월 | 미치가미 히사시 | 차오징 | 강도호 |
제6대 | 2021년 9월 ~ 2023년 8월 | 어우보첸 | 백범흠 | 사카타 나츠코 |
제7대 | 2023년 9월 ~ 2025년 8월 | 이희섭 | 즈시 슈우지 | 옌량 |
3. 2. 부서
3국 협력 사무국(TCS)의 부서는 정무부, 경제부, 사회문화부, 행정조정부 총 4개로 구성된다. 각 부서에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 정부에서 파견된 공무원들과 공개 채용을 통해 선발된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1]4. 기능 및 역할
3국 협력 사무국(TCS)은 '지속적 평화, 공동 번영, 공통 문화'라는 목표 아래,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의 광범위한 이해관계를 아우르는 협력의 구심점으로서 3국 협력의 역동성과 미래지향성 유지를 목표로 한다.[23] 2010년에 서명된 「일본국 정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및 대한민국 정부 간의 3자간 협력 사무국 설립에 관한 협정」에 임무가 명시되어 있다.[16]
3국 협력 사무국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기능 및 역할 |
---|
3국 정부 간 협의 틀 지원 |
3국 협력에 대한 이해 증진 |
3국 협력 관련 사업의 실시 |
타 기관과의 협력 |
연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5. 프로젝트
3국 협력 사무국은 청소년 교류, 3국 협력 증진, 연구 및 간행물 발간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청소년 교류 분야에서는 3국 청소년 교류 네트워크, 영 앰배서더 프로그램, 3국 청소년 서밋, 3국 청소년 스피치 콘테스트, CAMPUS Asia 동문 네트워크 및 워크숍, 중일한 어린이 이야기 교류 동문 프로그램, 영 스칼라 포럼, 영 리더스 교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3국 협력 증진을 위해서는 3국 협력 국제 포럼, 3국 기업가 포럼, 3국 언론인 교류 프로그램, 중일한 가상 마라톤, 지역 협력을 위한 지역 간 대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연구 및 간행물로는 3국 통계 허브, "진화하는 3국 협력: 현실과 전망" 보고서, 3국 경제 보고서, 3국 공통 어휘 사전, 3국 모범 사례: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재해 위험 감소를 위한 기술 적용, 연례 보고서, 정치·경제·사회 문화 협력 관련 기타 간행물, 3국 협력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 편찬 등이 있다.[11]
5. 1. 청년 교류
3국 협력 사무국은 청년 교류 증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3국 청소년 교류 네트워크 (TYEN): 바로 가기
- 청년 대사 프로그램 (YAP): 바로 가기
- 한중일 청년 스피치 콘테스트 (TYSC): 바로 가기
- 한중일 청년 모의정상회의 (TYS): 바로 가기
- 캠퍼스 아시아 동문 교류 프로그램: 바로 가기
- 어린이 동화교류 프로그램 동문 교류 프로그램: 바로 가기
- 한중일 청년 농촌 지도자 교류 프로그램
- SNS 서포터즈 프로그램
5. 2. 3국 협력 증진 사업
3국 협력 사무국은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3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3국 협력 국제 포럼(International Forum for Trilateral Cooperation, IFTC): 3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포럼이다. https://iftc.tcs-asia.org/forum/main/
- 3국 기업가 포럼(Trilateral Entrepreneurs Forum, TEF): 3국 기업가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포럼이다. https://tcs-asia.org/ko/programs/overview.php?forums=F1560230836
- 3국 언론인 교류 프로그램(Trilateral Journalist Exchange Program, TJEP): 3국 언론인 간의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https://tcs-asia.org/ko/programs/overview.php?forums=F1553833258
- 중일한 가상 마라톤(CJK Virtual Marathon): 3국 국민 간의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가상 마라톤 대회이다. https://tcs-marathon.com/ko/
- 지역 협력을 위한 지역 간 대화(Inter-regional Dialogue for Regional Cooperation)
5. 3. 연구 및 간행물
- 3국 통계 허브(Trilateral Statistics Hub)
- 보고서 "진화하는 3국 협력: 현실과 전망"(Report “An Evolving Trilateral Cooperation: Reality and Outlook”)
- 3국 경제 보고서(Trilateral Economic Report)
- 3국 공통 어휘 사전(Trilateral Common Vocabulary Dictionary, TCVD)
- 3국 모범 사례: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재해 위험 감소를 위한 기술 적용(Trilateral Best Practices: Application of Technology for Reducing Disaster Risks in China, Japan and Korea)
- 연례 보고서(Annual Reports)
- 정치, 경제 및 사회 문화 협력 관련 기타 간행물
- 3국 협력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 편찬[11]
참조
[1]
Google maps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maps.google.[...]
2021-05-03
[2]
웹사이트
Overview of TCS
http://www.tcs-asia.[...]
[3]
뉴스
Trilateral secretariat officially opens in Seoul
http://www.koreahera[...]
2011-09-27
[4]
간행물
Kim Dae Jung's Initiative for the East Asian Community and Korea-Japan-China Trilateral Cooperation
https://core.ac.uk/d[...]
2019-03
[5]
웹사이트
China-Japan-ROK Cooperation (1999-2012)
http://www.gov.cn/e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6]
웹사이트
Japan-China-ROK Trilateral Summit Meeting (What's up around the Prime Minister)
https://japan.kantei[...]
2022-10-17
[7]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8]
뉴스
Trilateral secretariat officially opens in Seoul
https://www.koreaher[...]
2011-09-27
[9]
웹사이트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17
[10]
웹사이트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17
[11]
웹사이트
TCS Research and Publications
http://www.tcs-asia.[...]
[12]
웹사이트
Japan-China-ROK Trilateral Summit Meeting (What's up around the Prime Minister)
https://japan.kantei[...]
2022-10-24
[13]
웹사이트
Japan-China-ROK Trilateral Summit Meeting (What's up around the Prime Minister)
https://japan.kantei[...]
2022-10-24
[14]
웹사이트
Trilateral secretariat officially opens in Seoul
https://www.koreaher[...]
2011-09-27
[15]
웹사이트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24
[16]
웹사이트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24
[17]
웹사이트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24
[18]
웹인용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18
[19]
저널 인용
Kim Dae Jung's Initiative for the East Asian Community and Korea-Japan-China Trilateral Cooperation
https://core.ac.uk/d[...]
2019-03
[20]
웹인용
Japan-China-ROK Trilateral Summit Meeting (What's up around the Prime Minister)
https://japan.kantei[...]
2022-10-18
[21]
웹인용
Trilateral secretariat officially opens in Seoul
https://www.koreaher[...]
2022-10-18
[22]
웹인용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18
[23]
웹인용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18
[24]
웹인용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https://tcs-asia.org[...]
2022-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