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번가의 기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4번가의 기적은 1947년 개봉한 미국의 크리스마스 영화이다. 메이시스 백화점의 산타클로스 배우가 술에 취하자, 크리스 크링글이라는 노인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그는 자신이 진짜 산타클로스라고 주장하며, 백화점과 법정에서 벌어지는 소동을 겪는다. 결국 크리스는 자신이 산타클로스임을 인정받고, 주변 사람들에게 믿음과 희망을 선사한다. 이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아카데미상과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했다. 또한, 여러 차례 리메이크되었고, 미국 국립 영화 등기부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타클로스를 소재로 한 영화 - 나쁜 산타
알코올 중독에 여성 혐오적인 전과자 윌리 T. 소크가 크리스마스마다 쇼핑몰 산타로 위장해 금고를 털다 순수한 소년 서먼을 만나 감정적 변화를 겪는 코미디 영화 《나쁜 산타》는 코엔 형제 제작, 테리 즈위고프 감독, 빌리 밥 손턴 주연으로 캐스팅 논란과 블랙 코미디, 흥행으로 주목받았다. - 산타클로스를 소재로 한 영화 - 그린치 (2000년 영화)
닥터 수스의 동화를 원작으로 론 하워드 감독이 연출하고 짐 캐리가 그린치 역을 맡은 2000년 영화 그린치는, 크리스마스를 싫어하는 그린치가 크리스마스를 망치려다 따뜻한 마음의 소녀를 만나 변화하는 크리스마스 코미디 영화이다. - 1947년 영화 - 도망자 (1947년 영화)
1947년 존 포드 감독, 헨리 폰다 주연의 영화 도망자는 1930년대 멕시코를 배경으로 종교 탄압을 피해 도망치는 사제의 이야기를 그린 미국과 멕시코 합작 드라마 영화이며, 그레이엄 그린의 소설 《힘과 영광》을 원작으로 한다. - 1947년 영화 - 신사협정 (영화)
《신사협정》은 반유대주의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고발하기 위해 유대인으로 위장한 저널리스트의 이야기를 그린 1947년 영화이다. - 변호사를 소재로 한 영화 - 사계절의 사나이
사계절의 사나이는 1966년 프레드 진네만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토머스 모어의 삶을 다루며, 헨리 8세의 이혼과 잉글랜드 국교회 설립에 대한 모어의 저항과 순교를 통해 권력과 양심의 갈등을 그린다. - 변호사를 소재로 한 영화 - 미스컨덕트
《미스컨덕트》는 거대 제약회사 CEO의 부정행위를 폭로하려는 변호사를 중심으로 음모와 배신을 그린 영화로, 예상치 못한 반전과 미스터리가 긴장감을 고조시키지만 비평가로부터 혹평을 받고 흥행에 실패했다.
34번가의 기적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Miracle on 34th Street |
한국어 제목 | 34번가의 기적 |
감독 | 조지 시튼 |
각본 | 조지 시튼 |
원작 | 발렌타인 데이비스 |
제작 | 윌리엄 펄버그 |
음악 | 시릴 모크리지 |
촬영 | 찰스 G. 클라크 로이드 아헌 |
편집 | 로버트 심슨 |
출연 | 모린 오하라 존 페인 에드먼드 그웬 진 록하트 나탈리 우드 포터 홀 윌리엄 프롤리 제롬 코원 필립 통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개봉일 | 1947년 6월 11일 |
상영 시간 | 96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색채 | 흑백 |
제작비 | |
비용 | 248,000 달러 |
흥행 | |
수익 | 270만 달러 (미국 내 렌탈 수익) |
일본 정보 | |
일본어 제목 | 三十四丁目の奇蹟 (산쥬욘쵸메노 키세키) |
일본 개봉일 | 1948년 11월 30일 |
일본 배급사 | 센트럴 영화사 |
2. 줄거리
이 영화는 뉴욕 맨해튼 34번가에 위치한 메이시스 백화점을 주요 무대로, 크리스마스 시즌에 일어나는 사건들을 다룬다. 이야기는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 준비 중, 본래 산타클로스 역할을 맡기로 한 배우가 술에 취하자 우연히 그 자리에 있던 노인 크리스 크링글이 대역을 맡게 되면서 시작된다. 크리스는 실제 산타클로스와 흡사한 외모와 따뜻한 마음씨로 큰 인기를 얻어 메이시스 백화점의 정식 산타로 고용된다.
하지만 크리스는 자신이 진짜 산타클로스라고 주장하고, 이로 인해 백화점 이벤트 감독인 도리스 워커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과 갈등을 겪는다. 특히 동화나 상상을 믿지 않도록 교육받은 도리스의 딸 수잔과, 도리스에게 호감을 느끼며 크리스를 돕는 변호사 프레드 게일리 등 주요 인물들과 얽히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크리스의 주장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그의 정신 상태에 대한 의문과 법적 문제로까지 비화되며, 결국 그의 정체성을 증명하기 위한 재판이 열리게 된다. 영화는 이 과정을 통해 상업화된 크리스마스 속에서 믿음, 동심, 그리고 기적의 의미를 탐구한다.
2. 1. 1947년 원작 줄거리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가 열리는 날 아침, 산타클로스 역할을 맡기로 한 배우가 술에 취해 있는 것을 크리스 크링글이라는 노인이 발견하고 이벤트 감독 도리스 워커에게 항의한다. 도리스는 크리스가 산타클로스와 매우 닮았음을 보고 그에게 퍼레이드 산타 대역을 맡아달라고 설득한다. 크리스는 퍼레이드에서 큰 호응을 얻고, 이후 메이시스 뉴욕 34번가 지점에서 계속 산타 역할을 맡게 된다.장난감 부서 책임자인 셸해머 씨는 크리스에게 재고가 많은 특정 장난감을 아이들에게 추천하라고 지시한다. 하지만 크리스는 아들이 원하는 특정 선물을 찾는 고객에게 경쟁사 매장을 포함하여 구매할 수 있는 다른 가게를 알려준다. 이에 감명받은 고객은 셸해머에게 메이시스의 진정성 있는 고객 서비스에 감동했다며 앞으로 충성 고객이 되겠다고 말한다.
도리스의 이웃이자 그녀에게 호감을 가진 변호사 프레드 게일리는 도리스의 딸 수잔을 데리고 크리스를 만나러 간다. 현실적인 교육을 받아 동화나 산타클로스를 믿지 않는 수잔은, 크리스가 네덜란드에서 온 고아 소녀에게 네덜란드어로 다정하게 말을 거는 모습을 보고 놀라워한다. 도리스는 크리스에게 수잔에게 그가 진짜 산타가 아니라는 '진실'을 말해달라고 요청하지만, 크리스는 자신이 진짜 산타클로스라고 침착하게 주장한다.
크리스의 정신 상태를 우려한 도리스는 그를 해고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백화점 주인 R. H. 메이시는 크리스 덕분에 백화점의 이미지가 크게 좋아지고 매출도 늘었다며, 오히려 도리스와 셸해머에게 보너스를 약속하며 크리스의 고용 유지를 지시한다. 도리스를 안심시키기 위해 셸해머는 백화점의 상담사인 그랜빌 소여에게 크리스의 "심리 평가"를 의뢰한다. 소여는 크리스와의 상담 중 자신의 사생활(아내와의 불화 등)을 지적받자 불쾌감을 느끼고, 크리스가 과대망상에 시달리고 있다고 확신하며 즉시 해고하고 정신 병원에 입원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수잔은 크리스에게 잡지에서 오려낸 꿈의 집 사진을 보여주며 크리스마스 선물로 받고 싶다고 말하고, 크리스는 최선을 다해보겠다고 약속한다.
백화점 카페테리아에서 젊은 직원 알프레드는 소여가 자신에게 단지 아이들에게 친절하다는 이유만으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몰아붙였다고 크리스에게 하소연한다. 부당한 평가에 분노한 크리스는 즉시 소여와 대면하여 그의 태도를 비판하다가 결국 우산으로 소여의 머리를 가볍게 친다. 소여는 이를 과장하여 크리스를 위험인물로 몰아 벨뷰 병원으로 보낸다. 자신이 속았다고 생각하고 도리스마저 자신을 속였다고 오해한 크리스는 일부러 정신 검사에 불성실하게 응하여 영구적인 수용이 필요하다는 권고를 받는다. 하지만 프레드는 크리스에게 희망을 잃지 말라고 설득하며, 법정에서 그를 변호하기로 결심한다.
헨리 X. 하퍼 판사 앞에서 열린 심리에서, 지방 검사 토마스 마라는 크리스가 스스로 산타클로스라고 주장하도록 유도한 뒤, 산타클로스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건을 기각해 달라고 판사에게 요청한다. 그러나 하퍼 판사의 정치 고문 찰리 핼로런은 만약 판사가 산타클로스의 존재를 부정하는 판결을 내린다면 다가오는 재선에서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에 하퍼 판사는 추가 증거를 심리하겠다며 시간을 번다. 프레드는 R. H. 메이시를 증인으로 불러, 그가 사업적 성공을 위해 크리스를 고용했지만 결국 산타클로스의 존재를 믿는다는 증언을 받아낸다. 메이시는 이 과정에서 소여를 해고한다. 다음으로 프레드는 마라 검사의 어린 아들을 증인으로 신청하여, 아들이 아버지로부터 산타가 진짜라는 말을 들었다고 증언하게 한다. 궁지에 몰린 마라 검사는 프레드에게 다음 날까지 크리스가 '유일한' 산타클로스임을 권위 있는 기관의 증거를 통해 증명하라고 요구한다.
한편, 수잔은 크리스를 격려하기 위해 진심을 담아 편지를 쓰고, 도리스도 감동하여 편지에 함께 서명한다. 뉴욕 법원에 있는 크리스에게 보내진 이 편지를 본 미국 우체국의 한 우편 분류 직원은, 창고 공간을 확보할 겸 산타클로스 앞으로 온 수많은 미배달 우편들을 모두 크리스에게 배달하자고 제안한다. 재판이 재개되자 프레드는 우체국 직원들이 법정으로 배달한 산타클로스 앞 편지 자루들을 증거로 제시한다. 그는 공신력 있는 정부 기관인 미국 우체국이 이 편지들을 크리스에게 배달했다는 사실 자체가, 우체국이 크리스를 산타클로스로 인정한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한다. 산더미처럼 쌓인 편지 자루들을 본 하퍼 판사는 미국 우체국의 권위를 인정하여 크리스가 산타클로스임을 인정하고 사건을 기각한다.
크리스마스 날, 크리스는 프레드, 도리스, 수잔을 자신이 머무는 브룩스 노인 요양원에서 열리는 축하 행사에 초대한다. 하지만 수잔은 자신이 크리스마스 선물로 원했던 꿈의 집이 트리 아래에 없자 크게 실망하며 크리스가 진짜 산타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크리스 역시 수잔의 선물을 구하지 못했음을 인정하며 미안해한다. 도리스는 실망한 수잔에게,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더라도 누군가를 믿는 마음 자체가 소중하다고 위로한다. 파티가 끝나고 돌아가는 길, 크리스가 알려준 지름길을 따라가던 프레드와 도리스, 수잔은 우연히 길가에서 '매물(For Sale)' 표지판이 붙어 있는 수잔의 꿈의 집을 발견한다. 수잔은 기뻐하며 집 안으로 뛰어 들어가고, 프레드는 도리스에게 청혼하며 함께 이 집을 사서 가정을 이루자고 제안한다. 도리스는 이를 받아들인다. 집 안 벽난로 옆에서 그들은 크리스가 평소 사용하던 지팡이(혹은 우산)가 놓여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가 정말로 산타클로스였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2. 2. 1994년 리메이크작 줄거리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가 열리는 날 아침, 산타클로스 역할을 맡기로 한 배우가 술에 취해 있는 것을 크리스 크링글이라는 노인이 발견한다. 크리스는 이벤트 감독인 도리스 워커에게 항의하고, 도리스는 산타와 닮은 크리스에게 퍼레이드 산타 대역을 부탁한다. 크리스는 성공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이후 메이시스 34번가 지점에서 계속 산타 역할을 맡게 된다.[1]크리스는 장난감 부서 책임자 셸해머 씨의 지시와 달리, 고객에게 원하는 장난감을 사기 위해 다른 가게로 가라고 안내한다. 이에 감명받은 고객은 메이시스의 충성 고객이 되겠다고 말한다.[1] 도리스의 이웃인 변호사 프레드 게일리는 도리스의 딸 수잔을 데리고 크리스를 만나러 간다. 수잔은 크리스가 네덜란드 출신 고아 소녀에게 네덜란드어로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놀란다. 동화를 믿지 않도록 교육받은 수잔에게 크리스는 자신이 진짜 산타클로스라고 주장하고, 도리스는 이를 걱정한다.[1]
백화점 주인 R. H. 메이시는 크리스 덕분에 백화점 홍보 효과가 커지자 도리스와 셸해머에게 보너스를 약속한다. 도리스의 걱정을 덜기 위해 셸해머는 크리스에게 심리 평가를 받도록 주선한다. 평가를 맡은 그랜빌 소여는 크리스가 과대망상에 빠졌다고 판단하고 해고와 정신 병원 입원을 주장한다. 한편, 수잔은 크리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잡지에 나온 집을 갖고 싶다고 말하고, 크리스는 노력하겠다고 답한다.[1]
크리스는 젊은 직원 알프레드로부터 소여가 자신을 불안정한 사람으로 몰아간다는 이야기를 듣고 소여와 대면한다. 격분한 크리스는 우산으로 소여의 머리를 치고, 이 일로 벨뷰 병원으로 보내진다. 속았다고 생각한 크리스는 일부러 정신 검사에 실패하여 영구 수용될 위기에 처하지만, 프레드가 변호를 맡기로 한다.[1]
헨리 X. 하퍼 판사 앞에서 열린 심리에서 지방 검사 토마스 마라는 크리스가 스스로 산타클로스라고 주장하게 한 뒤, 산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요구한다. 그러나 하퍼 판사는 정치적 부담 때문에 판결을 미루고 추가 증거 심리를 결정한다. 프레드는 메이시를 증인으로 내세워 그가 산타의 존재를 믿는다는 증언을 받아내고, 메이시는 소여를 해고한다. 다음으로 프레드는 마라 검사의 어린 아들을 증인으로 신청하여 아버지가 산타가 진짜라고 말했다는 증언을 얻어낸다. 궁지에 몰린 마라는 프레드에게 다음 날까지 크리스가 '유일한' 산타클로스임을 권위 있는 기관의 증거로 증명하라고 요구한다.[1]
한편, 수잔은 크리스를 응원하는 편지를 쓰고 도리스도 서명한다. 이 편지를 본 미국 우체국 분류 직원은 산타클로스 앞으로 온 모든 미배달 우편을 법원의 크리스에게 배달하자고 제안한다. 재판이 다시 열리자 프레드는 우체국 직원들이 가져온 산타 앞으로 온 수많은 편지들을 증거로 제시하며, 미국 우체국이라는 공신력 있는 기관이 편지를 배달함으로써 크리스를 산타클로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퍼 판사는 이를 받아들여 사건을 기각한다.[1]
크리스마스 날, 크리스는 프레드, 도리스, 수잔을 자신이 머무는 브룩스 노인 요양소 축하 행사에 초대한다. 수잔은 원했던 집 선물이 없자 실망하고 크리스에 대한 믿음을 잃는다. 하지만 크리스가 알려준 귀갓길에서 수잔은 꿈에 그리던 집이 매물로 나온 것을 발견하고 기뻐한다. 프레드는 도리스에게 결혼하여 이 집을 사자고 제안한다. 집 안에서 프레드와 도리스는 크리스의 것과 비슷한 지팡이를 발견하고, 그가 정말 산타클로스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된다.[1]
3. 등장인물
영화는 뉴욕 맨해튼 34번가에 위치한 메이시스 백화점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메이시스 백화점의 행사 책임자인 도리스 워커(모린 오하라 분)와 그녀의 딸 수잔 워커(나탈리 우드 분), 그리고 자신을 진짜 산타클로스라고 믿는 노인 크리스 크링글(에드먼드 그웬 분)이 있다. 크리스는 우연히 백화점 산타 대역을 맡게 되면서 도리스, 수잔과 인연을 맺는다. 도리스에게 호감을 가진 이웃 변호사 프레드 게일리(존 페인 분)는 크리스가 법적 문제에 휘말리자 그의 변호를 맡게 되며, 헨리 X. 하퍼 판사(진 록하트 분)가 재판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조연들이 등장하여 극을 풍성하게 만든다.
3. 1. 주요 등장인물
이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42]배역 | 배우 |
---|---|
도리스 워커 | 모린 오하라 |
프레드 게일리 | 존 페인 |
크리스 크링글 | 에드먼드 그웬 |
헨리 X. 하퍼 판사 | 진 록하트 |
수잔 워커 | 나탈리 우드 |
그랜빌 소여 | 포터 홀 |
찰리 할로란 | 윌리엄 프롤리 |
토마스 마라 검사 | 제롬 코완 |
줄리안 쉘해머 | 필립 통 |
- 크리스 크링글 (에드먼드 그웬 분): 자신을 진짜 산타클로스라고 믿는 노인. 메이시스 백화점 퍼레이드에서 산타 대역을 맡으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유머와 배려심으로 아이들의 인기를 얻지만, 망상증 환자로 오해받아 정신 이상자 취급을 받고 재판에 회부된다.
- 도리스 워커 (모린 오하라 분): 메이시스 백화점 행사 책임자이자 수잔의 어머니.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성격 탓에 처음에는 크리스를 믿지 않지만, 점차 그와 딸 수잔에게 크리스가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는다.
- 프레드 게일리 (존 페인 분): 도리스의 이웃 변호사. 도리스에게 호감을 느끼며, 곤경에 처한 크리스 크링글의 변호를 맡아 법정에서 그의 정신 상태가 정상이며 산타클로스가 실존함을 증명하려 애쓴다.
- 수잔 워커 (나탈리 우드 분): 도리스의 딸. 어머니의 영향으로 산타클로스를 믿지 않는 현실적인 아이였으나, 크리스 크링글을 만나면서 점차 동심을 되찾고 그를 믿게 된다. 크리스는 수잔이 자신을 믿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 헨리 X. 하퍼 판사 (진 록하트 분): 크리스 크링글의 재판을 담당한다. 법과 현실 사이에서 고뇌하지만, 프레드 게일리가 제시한 증거를 받아들여 크리스의 손을 들어준다.
3. 2. 조연
- 진 록하트 - 헨리 X. 하퍼 판사 역
- 포터 홀 - 그랜빌 소여 역
- 윌리엄 프롤리 - 찰리 할로란 역
- 제롬 코완 - 토마스 마라 검사 역
- 필립 통 - 줄리안 쉘해머 역
- 잭 앨버트슨 - 우체국 소포 분류원 "알" 역
- 해리 앤트림 - R. H. 메이시 역
- 레라 블리스 - 쉘해머 부인 역
- 제프 코리 - 기자 역
- 메리 필드 - 네덜란드 소녀의 양어머니 역
- 윌리엄 포레스트 - 벨뷰 병원의 로저스 박사 역
- 앨빈 그린먼 - 앨프리드 역
- 테레사 해리스 - 워커 부부의 하녀/가정부 클레오 역
- 퍼시 헬튼 - 술 취한 산타클로스 역
- 허버트 헤이스 - 김벨 씨 역
- 로버트 카네스 - 벨뷰 인턴 2 역
- 스너브 폴라드 - 우편물을 든 법원 직원 역
- 델마 리터 - 피터의 어머니 역
- 제임스 세이 - 브룩스 노인 요양원의 피어스 박사 역
4. 제작 과정
이 영화는 조지 시톤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고, Valentine Davieseng의 원안을 바탕으로 William Perlbergeng가 제작했다. 음악은 Cyril J. Mockridgeeng가 담당했으며, 알프레드 뉴먼이 음악 감독을 맡았다. 촬영은 Charles G. Clarkeeng와 Lloyd Aherneng이, 편집은 Robert Simpson (film editor)|Robert Simpsoneng이 담당했다.
제작 과정에서 영화 제목은 여러 차례 변경되는 우여곡절을 겪었으며[6], 주연 배우 모린 오하라와 존 페인, 그리고 산타클로스 역의 에드먼드 궨의 캐스팅에도 각기 다른 사연이 있었다.[7][1][8] 특히 뉴욕시 현지 촬영이 이루어졌는데, 1946년 메이시스 백화점 추수감사절 퍼레이드 장면은 실제 퍼레이드 진행 중에 촬영되었다.[9][10] 영화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스튜디오 대표 데릴 F. 자눅의 결정에 따라 이례적으로 이듬해 5월에 개봉되었고, 이에 맞춰 홍보 전략도 수정되었다.[11][1][12]
4. 1. 제목 변경 과정
이 영화는 PCA의 스크립트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제목 변경을 거쳤다. 처음에는 "My Heart Tells Me"였고, 그 다음 "The Big Heart", "It's Only Human", "Meet Me at Dawn"으로 바뀌어 최종적으로 "34번가의 기적"이라는 제목으로 정해졌다. 이 모든 제목 변경은 4개월 안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제목 변경은 영화 제작자들이 PCA가 영화 제작 시작 전에 수정하도록 요구한 다른 불일치 사항을 수정하는 동안 발생했다.[6]4. 2. 캐스팅 비화
영화는 제작 코드 관리국(PCA)의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제목이 바뀌었다. 처음에는 'My Heart Tells Me'였으나, 'The Big Heart', 'It's Only Human', 'Meet Me at Dawn'을 거쳐 최종적으로 '34번가의 기적'으로 결정되었다. 이 모든 변경은 4개월 안에 이루어졌으며, 제작자들이 PCA의 수정 요구 사항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6]도리스 워커 역의 모린 오하라는 처음에는 출연을 망설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고향인 아일랜드로 돌아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본을 읽고 마음을 바꿔[7] 영화 촬영을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다.
프레드 게일리 역의 존 페인은 당시 폭스 스튜디오로부터 정직 처분을 받은 상태였다. 그는 일자리를 되찾기 위해 이 역할을 수락했지만, 이 영화는 그가 폭스와 함께한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1]
크리스 크링글 역은 원래 배우 세실 켈러웨이에게 제안되었으나 그가 거절했다. 결국 그의 사촌인 에드먼드 궨이 이 역할을 맡게 되었다.[8]
영화의 주요 장면 중 하나인 메이시스 백화점 추수감사절 퍼레이드는 1946년 실제 퍼레이드가 진행되는 동안 뉴욕 현지에서 촬영되었다.[9] 모린 오하라는 당시를 회상하며 "필요한 장면을 찍기 위해 정신없이 서둘렀고, 각 장면은 단 한 번의 기회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또한 "날씨가 매우 추웠는데, 창문 안에서 퍼레이드를 구경하는 나탈리 우드와 존 페인이 부러웠다"고 덧붙였다.[9] 부감독 아서 제이콥슨은 추수감사절 아침, 9대의 카메라를 동원해 퍼레이드를 촬영했다. 그는 배우 에드먼드 궨과 나탈리 우드를 평일 점심시간에 백화점 구내식당 줄에 세우기도 했다. 모린 오하라가 메이시스 백화점에서 쇼핑 장면 촬영을 위해 경찰 호위를 요청하자, 제이콥슨은 "뉴요커들은 당신에게 별 관심 없을 것이다. 머리에 스카프를 두르거나 선글라스를 쓰지 말고 평범하게 행동하라"고 조언했다.[10]
영화는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하지만, 당시 스튜디오 사장이었던 데릴 F. 자눅은 따뜻한 날씨에 관객이 더 많이 극장을 찾는다는 이유로 영화를 5월에 개봉하도록 했다. 자눅은 이 영화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 이 때문에 스튜디오는 영화의 크리스마스 배경을 숨긴 채 홍보를 진행해야 했다. 영화 예고편에는 가상의 제작자가 렉스 해리슨, 앤 백스터, 페기 앤 가너, 딕 헤임즈 등 다른 유명 배우들을 찾아가 영화를 칭찬하는 내용이 담겼다. 초기 영화 포스터 역시 모린 오하라와 존 페인을 전면에 내세우고, 에드먼드 궨이 연기한 크리스 크링글은 작게 표현되었다. 영화는 1947년 6월 4일 뉴욕의 록시 극장에서 개봉했다.[12] 하지만 오늘날 홈 비디오 표지나 DVD 표지에는 에드먼드 궨과 나탈리 우드가 중심 인물로 등장하며, 특히 궨은 산타클로스 복장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4. 3. 촬영
이 영화는 PCA의 스크립트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제목 변경을 거쳤다. 처음 제안된 제목은 "My Heart Tells Me"였으며, 이후 "The Big Heart", "It's Only Human", "Meet Me at Dawn"으로 바뀌었다가 최종적으로 "34번가의 기적"으로 확정되었다. 이 모든 제목 변경은 4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안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영화 제작자들이 PCA가 요구한 다른 불일치 사항들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6]
주연 배우 모린 오하라는 처음에는 이 역할을 맡는 것을 주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고향인 아일랜드로 막 돌아간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본을 읽고 난 후 즉시 마음을 바꿔 영화 촬영을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다.[7] 존 페인은 당시 스튜디오로부터 정직 처분을 받은 상태였는데, 일자리를 되찾기 위해 이 역할을 수락했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가 폭스 스튜디오에서 출연한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1] 한편, 크리스 킹글 역할은 원래 세실 켈러웨이에게 제안되었으나 그가 거절하면서 그의 사촌인 에드먼드 궨이 최종적으로 캐스팅되었다.[8]
"34번가의 기적"은 뉴욕시에서 현지 촬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유명한 메이시스 백화점 추수감사절 퍼레이드 장면은 1946년 실제 퍼레이드가 열리는 동안 촬영되었다.[9] 모린 오하라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필요한 모든 장면을 찍기 위해 정신없이 서둘러야 했고, 각 장면은 단 한 번의 기회밖에 없었다." 그녀는 또한 "그날 날씨가 몹시 추웠는데, 에드먼드와 나는 창문 너머로 퍼레이드를 구경하던 나탈리 우드와 존 페인이 부러웠다"고 덧붙였다.[9]
부감독이었던 아서 제이콥슨은 추수감사절 아침에 9대의 카메라를 동원하여 메이시스 퍼레이드를 촬영했다. 그는 평일 점심시간에는 배우 에드먼드 궨과 나탈리 우드를 실제 백화점 구내식당 줄에 세우기도 했다. 모린 오하라가 메이시스 백화점에서 크리스마스 쇼핑 장면 촬영을 위해 특별 경찰 호위를 요청했을 때, 제이콥슨은 "나는 뉴요커들을 안다. 그들은 당신에게 아무런 관심도 없을 것이다. 머리에 반다나를 쓰거나 선글라스를 쓰지 말고 그냥 평범하게 행동하라"고 조언했다고 한다.[10]
영화의 배경은 크리스마스 시즌이지만, 스튜디오 대표였던 데릴 F. 자눅은 영화 개봉 시기를 5월로 결정했다. 그는 따뜻한 날씨에 더 많은 관객이 영화를 보러 올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그가 영화 자체를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11][1] 이 때문에 스튜디오는 영화의 크리스마스 배경 설정을 비밀에 부치며 홍보 활동을 벌여야 했다. 폭스사의 홍보 영화 예고편에는 가상의 제작자가 스튜디오 부지를 돌아다니며 렉스 해리슨, 앤 팩스터, 페기 앤 가너, 딕 헤임즈와 같은 유명 스타들을 만나 영화의 장점을 칭찬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영화 포스터에서는 오하라와 페인이 전면에 부각된 반면, 궨이 연기한 크리스 킹글 캐릭터는 상대적으로 작게 표현되었다. 영화는 1947년 6월 4일 뉴욕시의 록시 극장에서 개봉했다.[12] 그러나 현대의 홈 비디오 패키지에서는 궨과 우드가 중심 인물로 등장하며, DVD 표지에는 킹글이 산타클로스 복장을 한 모습이 담겨 있다.
5. 평가 및 반응
이 영화는 개봉 이후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주요 영화 시상식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크리스마스 영화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며 오늘날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와 메타크리틱에서도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비평가들의 호평을 확인할 수 있다.[43][44]
5. 1. 비평가들의 평가
''34번가의 기적''은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뉴욕 타임스의 보즐리 크로더는 "산타클로스를 믿지 않는 냉소적인 회의론자들과 뉴욕에 염증을 느낀 모든 사람, 그리고 무엇보다도 스크린의 단조로움에 지친 관람객들을 위해" 이 영화를 적극 추천하며, "오랫동안 보아온 영화 중 가장 신선하고, 어쩌면 올해 최고의 코미디"라고 극찬했다.[13] BBC의 한 평론가는 "영리하고 독창적인 이야기로, 연출에 있어 진실되고 자신감을 유지하면서 상당한 매력을 선사한다"고 평가했다.[14]이 영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1947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여겨지며,[15][16] 여러 언론 매체에서 "크리스마스 명작"으로 칭송받았다.[17][18][19]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47건의 평론 중 96%에 해당하는 45건이 긍정적인 평가를 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8.31점을 기록했다.[43]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합의는 "부드러운 감상주의가 훌륭한 영화의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반박할 수 없는 증거인 ''34번가의 기적''은 끈적한 감상에 의존하지 않고 따뜻한 휴일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요약했다.[20] 메타크리틱에서는 10건의 평론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했으며, 100점 만점에 평균 88점을 부여했다.[44]
한편, 전미 가톨릭 영화 협회는 이 영화에 "B" 등급, 즉 "부분적으로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평가를 내렸는데, 이는 주로 주인공 도리스 워커(모린 오하라 분)가 이혼녀로 설정되었기 때문이었다.[21]
영화제・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제20회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작품상 | 후보 | |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 에드먼드 그웬 | 수상 | |
아카데미 각색상 | 조지 시톤 | ||
아카데미 원작상 | Valentine Davies|발렌타인 데이비스영어 | ||
제5회 골든 글로브상 |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 | 조지 시톤 | 수상 |
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 | 에드먼드 그웬 |
5. 2. 대중의 반응
wikitext영화제・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제20회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작품상 | 후보 | |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 에드먼드 그웬 | rowspan="3" 수상 | |
아카데미 각색상 | 조지 시톤 | ||
아카데미 원작상 | Valentine Davies|발렌타인 데이비스eng | ||
제5회 골든 글로브상 |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 | 조지 시톤 | rowspan="2" 수상 |
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 | 에드먼드 그웬 |
5. 3. 수상 내역
에드먼드 그웬은 아카데미상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발렌타인 데이비스는 각본상 - 오리지널 스토리 부문에서, 조지 시톤은 각색상 - 각본 부문에서 수상했다. 이 영화는 작품상 후보에도 올랐으나, ''신사협정''에 밀려 수상하지는 못했다.'''미국 영화 협회 선정 목록'''
2005년, ''34번가의 기적''은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화로 인정받아 미국 의회 도서관의 미국 국립 영화 등기부에 보존 영화로 선정되었다.[25][26]
영화제・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작품상 | 34번가의 기적 | 후보 |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 에드먼드 그웬 | 수상 | |
아카데미 각색상 | 조지 시톤 | ||
아카데미 원작상 | 발렌타인 데이비스 | ||
골든 글로브상 |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 | 조지 시톤 | 수상 |
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 | 에드먼드 그웬 |
6. 사회 문화적 영향
''34번가의 기적''은 시간이 흘러도 꾸준히 사랑받으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재생산되었다. 1987년 VHS와 레이저디스크로 처음 출시된 이후,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로운 포맷으로 관객들을 만나왔다.
특히 1985년에는 Color Systems Technology, Inc.에 의해 4개월 반에 걸쳐 필름 컬러화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장편 흑백 영화를 컬러로 복원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된다.[27][28] 이 컬러 버전은 1993년 VHS와 레이저디스크로 출시되었고, 1997년에는 THX가 리마스터링한 "50주년 기념판"이 나오기도 했다.
1999년에는 첫 DVD가 출시되었으며, 2006년에는 오리지널 흑백 버전과 Legend Films가 제작한 새로운 컬러 버전, 그리고 ''20세기 폭스 아워''의 1955년 TV 리메이크 등 다양한 부가 영상을 포함한 2 디스크 "스페셜 에디션" DVD가 출시되었다. 두 디스크 모두 주연 배우 모린 오하라의 오디오 해설을 담았다.
2009년에는 20세기 폭스가 오리지널 흑백 버전을 블루레이로 출시했으며,[29] 2017년에는 4K 해상도로 복원되어 DCP 형태로 제공되는 등,[30] 고전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최신 기술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재출시와 기술적 복원은 ''34번가의 기적''이 여러 세대에 걸쳐 여전히 사랑받는 크리스마스 고전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영화 보존 및 재해석 방식의 변화를 반영하는 사례이기도 하다.
6. 1. 리메이크 및 각색
영화 ''34번가의 기적''은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뮤지컬, 연극 등 다양한 형태로 리메이크되거나 각색되었다.=== 라디오 각색 ===
- ''럭스 라디오 극장''(Lux Radio Theatre)은 여러 차례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하여 방송했다.
- 1947년 12월 22일: 나탈리 우드를 포함한 원작 영화 출연진이 참여한 1시간 분량.[31]
- 1948년 12월 20일: 나탈리 우드 없이 각색.[32]
- 1954년 12월 21일: 다시 방송.[33]
- ''스크린 디렉터스 플레이하우스''(Screen Directors Playhouse)에서도 두 차례 방송되었다.
- 1949년 12월 23일: 30분 분량.[34]
- 1950년 12월 21일: 1시간 분량.[35]
- 위 라디오 각색 버전들 모두 에드먼드 그웬이 영화에서 맡았던 크리스 크링글 역을 다시 연기했다.
- 1954년에는 호주 라디오를 위해 모리스 웨스트의 각본으로 ''산타클로스가 있다''(There is a Santa Claus)라는 제목으로 각색되었다.
=== 텔레비전 각색 ===
여러 차례 텔레비전 드라마 또는 영화로 각색되었다.
- 1955년: 20세기 폭스 아워의 에피소드로 1시간 분량의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토머스 미첼이 크리스 역, 맥도널드 캐리가 프레드 역, 테레사 라이트가 도리스 역, 샌디 데셔가 수잔 역을 맡았다. 이 버전에서는 원작과 달리 술에 취한 산타클로스가 등장하지 않았으며, 나중에 "미스터 크링글을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재방송되었다.
- 1959년: NBC에서 추수감사절 다음 날 컬러로 생방송된 버전이다. 에드 윈이 크리스 역을 맡았고, 올슨 빈도 출연했다. 이 방송의 키네스코프 녹화본이 미국 의회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 1973년: 제인 알렉산더, 데이비드 하트만, 로디 맥도웰, 세바스찬 캐벗(크리스 역), 짐 배커스, 데이비드 도일, 톰 보슬리 등이 출연한 텔레비전 영화이다. 조지 시튼의 원작 각본을 제브 로즈브룩이 각색하고 필더 쿡이 연출했다. 이 버전에서는 도리스 워커의 이름이 '카렌 워커'로 변경되었으며, 실제 메이시스 백화점이 등장하는 마지막 각색 작품이다. R. H. 메이시 역을 맡은 데이비드 도일은 10년 전 브로드웨이 뮤지컬 ''Here's Love''에서 소여 씨 역을 연기한 바 있다.
=== 뮤지컬 각색 ===
- 1963년, 메러디스 윌슨이 각본, 음악, 가사를 쓴 브로드웨이 뮤지컬 ''여기에 사랑이''(Here's Love)가 공연되었다.
=== 1994년 영화 리메이크 ===
1994년에는 존 휴스가 제작과 각본을 맡고 레즈 메이필드가 감독한 새로운 영화 버전이 제작되었다. 리처드 아텐보로가 크리스 크링글 역을 맡았으며, 엘리자베스 퍼킨스, 딜런 맥더모트, 마라 윌슨 등이 출연했다.
이 리메이크에서는 메이시스 백화점 측이 이름 사용을 허가하지 않아 가상의 백화점 "콜스"(Cole's)로 대체되었다. 당시 메이시스 대변인은 "원작이 그 자체로 훌륭하며 개선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경쟁 백화점인 짐벨(Gimbels) 역시 1994년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상의 "쇼퍼스 익스프레스"(Shopper's Express)로 대체되었다. 원작 영화에서 알프레드 역을 맡았던 앨빈 그린먼이 이 영화에서는 문지기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1994년 리메이크는 원작보다 더 진지한 분위기를 가지며, 종교적 믿음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등 줄거리의 일부가 수정되었지만 기본적인 줄거리와 등장인물은 대부분 유지되었다.
=== 연극 각색 ===
- 2000년, 윌 세베린, 패트리샤 디 베네데토 스나이더, 존 브리크에 의해 연극으로 각색되었다. 이 버전은 크리스마스 시즌 동안 미국의 많은 지역 극장과 커뮤니티 극장에서 인기리에 공연된다.[36] 등장인물 이름은 원작 소설을 따르며, 무대 배경은 1940년대 후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공연권은 새뮤얼 프렌치 사가 가지고 있다.[37]
=== 인형극 각색 ===
7. 기타
- 의상 담당은 케이 넬슨이었다.
참조
[1]
간행물
Colorful Christmas 'Miracle'
1985-11-27
[2]
간행물
Top Grossers of 1947
https://archive.org/[...]
1948-01-07
[3]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1947)
http://explore.bfi.o[...]
British Film Institute
2012-12-22
[4]
웹사이트
The Big Heart Poster
http://www.moviepost[...]
2017-12-21
[5]
웹사이트
Preserved Projects
http://www.oscars.or[...]
[6]
웹사이트
CONTENTdm
https://digitalcolle[...]
2021-10-21
[7]
서적
'Tis herself: a memoir'
Pocket
[8]
뉴스
Philip French's screen legends
https://www.theguard[...]
2009-12-20
[9]
서적
Tis Herself: An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9-12-09
[10]
뉴스
Arthur Jacobson – New York to Hollywood
https://www.dga.org/[...]
2020-03-31
[11]
웹사이트
A Weird Thing You Didn't Know About Your Favorite Classic Christmas Films
https://www.huffpost[...]
2019-12-09
[12]
서적
Movie Time: A Chronology of Hollywood and the Movie Industry from Its Beginnings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Macmillan
[13]
뉴스
"Movie Review: ' Miracle on 34th Street,' With Edmund Gwenn in the Role of Santa Claus, at Roxy -- 'Web' at Loew's Criterion"
https://www.nytimes.[...]
2017-08-22
[14]
웹사이트
BBC - Films - review - Miracle on 34th Street
https://www.bbc.co.u[...]
2022-12-26
[15]
웹사이트
Greatest Films of 1947
http://www.filmsite.[...]
2010-05-31
[16]
웹사이트
The Best Movies of 1947 by Rank
http://www.films101.[...]
2010-05-31
[17]
뉴스
"'Miracle on 34th Street': A Christmas classic turns 75 - The Boston Globe"
https://www.bostongl[...]
2022-12-26
[18]
뉴스
The retail world at the heart of 'Miracle on 34th Street' no longer exists
https://www.washingt[...]
[19]
웹사이트
What Makes MIRACLE ON 34TH STREET a Christmas Classic?
https://nerdist.com/[...]
2022-12-26
[20]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https://www.rottento[...]
[21]
뉴스
"12 Awesome Facts You Didn't Know About The Original ''Miracle On 34th Street''"
http://www.viralnova[...]
2015-05-27
[22]
뉴스
AFI Crowns Top 10 Films in 10 Classic Genres
http://www.comingsoo[...]
2008-06-18
[23]
웹사이트
Top 10 Fantasy
http://www.afi.com/1[...]
American Film Institute
2008-06-18
[24]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Cheers
http://www.afi.com/1[...]
American Film Institute
2017-08-22
[25]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http://www.screentou[...]
On Location Tours
2017-08-22
[26]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1947): Awards"
https://www.imdb.com[...]
IMDb
2017-08-22
[27]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1947)"
http://www.tcm.com/t[...]
2018-01-26
[28]
서적
"Nitrate Won't Wait: A History of Film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29]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Blu-ray"
http://www.blu-ray.c[...]
Blu-ray.com
2010-05-31
[30]
웹사이트
Restored Christmas Classics
https://www.parkcirc[...]
Park Circus
[31]
뉴스
Arion Chorus Sings at 10; Yule Music Dominates Air
https://news.google.[...]
2021-06-01
[32]
뉴스
MIRACLE ON 34TH ST. on Lux Theatre Tonite (KSL advertisement)
https://news.google.[...]
2021-06-01
[33]
뉴스
Radio Tonight
https://news.google.[...]
2021-06-01
[34]
뉴스
Friday Selections
https://news.google.[...]
2021-06-01
[35]
뉴스
Thursday Selections
https://news.google.[...]
2021-06-01
[36]
웹사이트
Rancho Cucamonga Community Theatre Presents Miracle on 34th Street
https://www.lewisfam[...]
Lewis Family Playhouse
2017-08-22
[37]
서적
Miracle on 34th Street: A Play from the Novel by Valentine Davies
Samuel French, Inc.
[38]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at Macy's Puppet Theatre
https://www.timeout.[...]
2012-03-15
[39]
웹사이트
映画 三十四丁目の奇蹟 (1947)について
https://www.allcinem[...]
allcinema
2020-04-12
[40]
뉴스
Top Grossers of 1947
https://archive.org/[...]
1948-01-07
[41]
문서
戦後まもない日本で公開されたが、「きらびやかなデパートの飾り付けやパレードはもちろん、女性の役割や家族観の違いも当時の日本人には驚きだったようだ」(「余録」毎日新聞2014年11月24日)。
[42]
웹사이트
三十四丁目の奇蹟
http://video.foxjapa[...]
20世紀フォックス ホーム エンターテイメント ジャパン
2024-12-25
[43]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1947)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0-04-12
[44]
웹사이트
Miracle on 34th Street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0-04-12
[45]
웹사이트
BFI: Miracle on 34th Street
http://explore.bfi.o[...]
2012-12-22
[46]
웹인용
Miracle on 34th Street, Release Info, Also Known As
https://www.imdb.com[...]
2017-12-21
[47]
웹인용
The Big Heart Poster
http://www.moviepost[...]
2017-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