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의 승인을 받아 미주,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는 피겨스케이팅 대회이다. 15세 이상 선수들이 출전 가능하며,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종목으로 나뉘어 각국 최대 3명(팀)까지 출전할 수 있다. 1999년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었으며, 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역대 대회에서 일본이 여자 싱글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페어 종목에서는 중국이 강세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9년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9년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4대륙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여 김연아, 패트릭 챈 등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밴쿠버에서 개최되었고 좁은 링크 폭이 특징이었다. -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7년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7년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18 동계 올림픽 테스트 이벤트로 대한민국 강릉에서 개최되었으며, 유럽을 제외한 4개 대륙 선수들이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싱 종목에서 기량을 겨루어 일본의 우노 쇼마, 미야하라 사토코, 수이원징/한총 조,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조가 각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다.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스포츠 이벤트 |
상태 | 진행 중 |
빈도 | 연간 |
첫 대회 | 1999년 |
주최 | 국제 스케이트 연맹 |
대회 정보 | |
대회 종류 | ISU 챔피언십 |
우승 포인트 | 840 |
남자 최다 우승 | 3회 패트릭 챈(캐나다) |
여자 최다 우승 | 3회 무라주치 후미에(일본) 3회 아사다 마오(일본) |
페어 여자 최다 우승 | 6회 수이원징(중국) |
페어 남자 최다 우승 | 6회 한총(중국) |
아이스 댄스 여자 최다 우승 | 3회 셰린 본(캐나다) 3회 타니스 벨빈(미국) 3회 메릴 데이비스(미국) 3회 테사 버추(캐나다) |
아이스 댄스 남자 최다 우승 | 3회 빅토르 크라츠(캐나다) 3회 벤자민 아고스토(미국) 3회 찰리 화이트(미국) 3회 스콧 모이어(캐나다) |
최근 대회 결과 | |
남자 싱글 우승자 | 가기야마 유마 |
여자 싱글 우승자 | 지바 모네 |
페어 우승자 (여자) | 디아나 스텔라토-듀덱 |
페어 우승자 (남자) | 마크심 데샹 |
아이스 댄스 우승자 (여자) | 파이퍼 길레스 |
아이스 댄스 우승자 (남자) | 폴 푸아리에 |
최신 대회 | 2024년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다음 대회 | 2025년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 출전 규정
국제 빙상 연맹(ISU)의 승인을 받은 미주,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국가 선수여야 한다.[1] 각 나라당 싱글 종목에는 최대 세 명, 페어와 아이스 댄스에는 최대 세 팀씩 출전할 수 있다.[1] 선수는 4대륙 선수권이 개최되는 년도의 7월 1일 이전까지 만 15세 이상이 되어야 하며, 대회에 제시되는 최소 기술점 기준을 통과해야 출전할 수 있다.[1]
### 남자 싱글
스케이터는 유럽을 제외한 ISU 회원국에 소속되어야 하며, 각 회원국은 최소 기술 점수(TES)를 현재 시즌 또는 이전 시즌에 획득한 경우 각 종목에 최대 3명의 스케이터 또는 팀을 출전시킬 수 있다.[1] 각 국가의 경기 단체는 자체 기준에 따라 출전 선수를 선발한다.[1] 다른 ISU 시니어 선수권 대회와 마찬가지로, 출전 자격을 갖춘 스케이터는 이전 해 7월 1일 이전에 만 17세 이상이어야 한다.[1]
2018년 선수권 대회를 기준으로,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캄보디아, 캐나다,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말레이시아, 멕시코, 몽골, 뉴질랜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필리핀,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태국, 아랍에미리트, 미국, 우즈베키스탄 등이 이 대회에 스케이터를 보낼 자격이 있다.[1]
전년도 성적에 따라 참가 쿼터가 변동되는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나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는 달리, 4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참가 쿼터는 각 종목별로 각국 최대 3명 및 3조까지 출전이 허용된다.
3. 역대 메달리스트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남자 싱글 종목에서는 여러 선수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 캐나다 핼리팩스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혼다 다케시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엘비스 스토이코(캐나다), 리청장(중국), 제프리 버틀(캐나다) 등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2005년 대한민국 강릉에서 개최된 대회에서는 에반 라이사첵(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오다 노부나리(일본), 다카하시 다이스케(일본), 패트릭 챈(캐나다) 등도 금메달을 차지한 선수들이다. 2010년 대한민국 전주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애덤 리펀(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하뉴 유즈루(일본)는 2011년, 2013년, 2017년에 은메달을 획득했고, 2020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우노 쇼마(일본), 무라 다카히토(일본), 데니스 텐(카자흐스탄) 등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대회부터는 패트릭 챈(캐나다), 네이든 첸(미국), 진보양(중국)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2022년에는 대한민국의 차준환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남자 선수 최초로 우승을 기록했다.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다.연도 개최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1999 핼리팩스 혼다 다케시 리청장 엘비스 스토이코 2000 오사카 엘비스 스토이코 리청장 장민 2001 솔트레이크시티 리청장 혼다 다케시 마이클 와이스 2002 전주 제프리 버틀 혼다 다케시 가오송 2003 베이징 혼다 다케시 장민 리청장 2004 해밀턴 제프리 버틀 이매뉴얼 산두 에반 라이사첵 2005 강릉 에반 라이사첵 리청장 다카하시 다이스케 2006 콜로라도스프링스 오다 노부나리 크리스토퍼 매비 매슈 서보이 2007 콜로라도스프링스 에반 라이사첵 제프리 버틀 제레미 애봇 2008 고양 다카하시 다이스케 제프리 버틀 에반 라이사첵 2009 밴쿠버 패트릭 챈 에반 라이사첵 고즈카 다카히코 2010 전주 애덤 리펀 마치다 다쓰키 케빈 레이놀즈 2011 타이베이 다카하시 다이스케 하뉴 유즈루 제레미 애봇 2012 콜로라도스프링스 패트릭 챈 다카하시 다이스케 로스 마이너 2013 오사카 케빈 레이놀즈 하뉴 유즈루 얀 한 2014 타이베이 무라 다카히토 고즈카 다카히코 쑹난 2015 서울 데니스 텐 조슈아 페리스 얀한 2016 타이베이 패트릭 챈 진보양 얀한 2017 강릉 네이든 첸 하뉴 유즈루 우노 쇼마 2018 타이베이 진보양 우노 쇼마 제이슨 브라운 2019 애너하임 우노 쇼마 진보양 빈센트 저우 2020 서울 하뉴 유즈루 제이슨 브라운 카기야마 유마 2021 시드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 취소 2022 탈린 차준환 토모노 가오키 미우라 가오 2023 콜로라도스프링스 미우라 가오 키건 메싱 사토 슌 2024 상하이 가기야마 유마 사토 슌 차준환
### 여자 싱글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여자 싱글 종목에서는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메달을 획득했다.연도 개최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1999 핼리팩스 타티아나 말리니나 앰버 코윈 앤젤라 니코디노프 2000 오사카 앤젤라 니코디노프 스테이시 펜스겐 애니 벨르마르 2001 솔트레이크시티 수구리 후미에 앤젤라 니코디노프 온다 요시에 2002 전주 제니퍼 커크 아라카와 시즈카 온다 요시에 2003 베이징 수구리 후미에 아라카와 시즈카 나카노 유카리 2004 해밀턴 오타 유키나 신시아 파네프 앰버 코윈 2005 강릉 수구리 후미에 온다 요시에 제니퍼 커크 2006 콜로라도스프링스 케이티 테일러 나카노 유카리 비아트리사 리앙 2007 콜로라도스프링스 키미 마이즈너 에밀리 휴즈 조애니 로셰트 2008 고양 아사다 마오 조애니 로셰트 안도 미키 2009 밴쿠버 김연아 조애니 로셰트 아사다 마오 2010 전주 아사다 마오 스즈키 아키코 캐롤라인 장 2011 타이베이 안도 미키 아사다 마오 미라이 나가수 2012 콜로라도스프링스 애슐리 와그너 아사다 마오 캐롤라인 장 2013 오사카 아사다 마오 스즈키 아키코 무라카미 가나코 2014 타이베이 무라카미 가나코 미야하라 사토코 리지준 2015 서울 폴리나 애드먼즈 미야하라 사토코 홍고 리카 2016 타이베이 미야하라 사토코 미라이 나가수 홍고 리카 2017 강릉 미하라 마이 가브리엘 데일먼 미라이 나가수 2018 타이베이 사카모토 카오리 미하라 마이 미야하라 사토코 2019 애너하임 키히라 리카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미하라 마이 2020 서울 키히라 리카 유영 브레디 테넬 2021 시드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 취소 2022 탈린 미하라 마이 이해인 김예림 2023 콜로라도스프링스 이해인 김예림 지바 모네 2024 상하이 지바 모네 김채연 와타나베 린카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일본은 4대륙 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종목에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12개로 총 39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미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5개, 동메달 9개로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2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총 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기록했다.
### 페어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페어 종목은 1999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9
| 핼리팩스
| 선쉐 / 자오훙보
| 크리스티 사전트 / 크리스 워츠
| 대니엘 하트셀 / 스티브 하트셀
|-
| 2000
| 오사카
| Jamie Salé / David Pelletier
| 이나 교코 / 존 지머먼
| 티퍼니 스콧 / Philip Dulebohn
|-
| 2001
| 솔트레이크시티
| Jamie Salé / David Pelletier
| 선쉐 / 자오훙보
| 이나 교코 / 존 지머먼
|-
| 2002
| 전주
| 팡칭 / 퉁젠
| Anabelle Langlois / Patrice Archetto
| 장단 / 장하오
|-
| 2003
| 베이징
| 선쉐 / 자오훙보
| 팡칭 / 퉁젠
| 장단 / 장하오
|-
| 2004
| 해밀턴
| 팡칭 / 퉁젠
| 장단 / 장하오
| Valerie Marcoux / 크레이그 번틴
|-
| 2005
| 강릉
| 장단 / 장하오
| 팡칭 / 퉁젠
| Kathryn Orscher / Garrett Lucash
|-
| 2006
| 콜로라도스프링스
| Rena Inoue / 존 볼드윈
| Utako Wakamatsu / Jean-Sebastien Fecteau
| Elizabeth Putnam / Sean Wirtz
|-
| 2007
| 콜로라도스프링스
| 선쉐 / 자오훙보
| 팡칭 / 퉁젠
| Rena Inoue / 존 볼드윈
|-
| 2008
| 고양
| 팡칭 / 퉁젠
| 장단 / 장하오
| Brooke Castile / Benjamin Okolski
|-
| 2009
| 밴쿠버
| 팡칭 / 퉁젠
| Jessica Dubé / 브라이스 데이비슨
| 장단 / 장하오
|-
| 2010
| 전주
| 장단 / 장하오
| Keauna McLaughlin / 로크니 브루베이커
| 메건 듀하멜 / 크레이그 번틴
|-
| 2011
| 타이베이
| 팡칭 / 퉁젠
| 메건 듀하멜 / 에릭 래드퍼드
| 페이지 로런스 / 루디 스위거스
|-
| 2012
| 콜로라도스프링스
| 쑤이원징 /
3. 1. 남자 싱글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남자 싱글 종목에서는 여러 선수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 캐나다 핼리팩스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혼다 다케시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엘비스 스토이코(캐나다), 리청장(중국), 제프리 버틀(캐나다) 등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2005년 대한민국 강릉에서 개최된 대회에서는 에반 라이사첵(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오다 노부나리(일본), 다카하시 다이스케(일본), 패트릭 챈(캐나다) 등도 금메달을 차지한 선수들이다. 2010년 대한민국 전주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애덤 리펀(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하뉴 유즈루(일본)는 2011년, 2013년, 2017년에 은메달을 획득했고, 2020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우노 쇼마(일본), 무라 다카히토(일본), 데니스 텐(카자흐스탄) 등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대회부터는 패트릭 챈(캐나다), 네이든 첸(미국), 진보양(중국)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2022년에는 대한민국의 차준환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남자 선수 최초로 우승을 기록했다.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9 | 핼리팩스 | 혼다 다케시 | 리청장 | 엘비스 스토이코 |
2000 | 오사카 | 엘비스 스토이코 | 리청장 | 장민 |
2001 | 솔트레이크시티 | 리청장 | 혼다 다케시 | 마이클 와이스 |
2002 | 전주 | 제프리 버틀 | 혼다 다케시 | 가오송 |
2003 | 베이징 | 혼다 다케시 | 장민 | 리청장 |
2004 | 해밀턴 | 제프리 버틀 | 이매뉴얼 산두 | 에반 라이사첵 |
2005 | 강릉 | 에반 라이사첵 | 리청장 | 다카하시 다이스케 |
2006 | 콜로라도스프링스 | 오다 노부나리 | 크리스토퍼 매비 | 매슈 서보이 |
2007 | 콜로라도스프링스 | 에반 라이사첵 | 제프리 버틀 | 제레미 애봇 |
2008 | 고양 | 다카하시 다이스케 | 제프리 버틀 | 에반 라이사첵 |
2009 | 밴쿠버 | 패트릭 챈 | 에반 라이사첵 | 고즈카 다카히코 |
2010 | 전주 | 애덤 리펀 | 마치다 다쓰키 | 케빈 레이놀즈 |
2011 | 타이베이 | 다카하시 다이스케 | 하뉴 유즈루 | 제레미 애봇 |
2012 | 콜로라도스프링스 | 패트릭 챈 | 다카하시 다이스케 | 로스 마이너 |
2013 | 오사카 | 케빈 레이놀즈 | 하뉴 유즈루 | 얀 한 |
2014 | 타이베이 | 무라 다카히토 | 고즈카 다카히코 | 쑹난 |
2015 | 서울 | 데니스 텐 | 조슈아 페리스 | 얀한 |
2016 | 타이베이 | 패트릭 챈 | 진보양 | 얀한 |
2017 | 강릉 | 네이든 첸 | 하뉴 유즈루 | 우노 쇼마 |
2018 | 타이베이 | 진보양 | 우노 쇼마 | 제이슨 브라운 |
2019 | 애너하임 | 우노 쇼마 | 진보양 | 빈센트 저우 |
2020 | 서울 | 하뉴 유즈루 | 제이슨 브라운 | 카기야마 유마 |
2021 | 시드니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 취소 | ||
2022 | 탈린 | 차준환 | 토모노 가오키 | 미우라 가오 |
2023 | 콜로라도스프링스 | 미우라 가오 | 키건 메싱 | 사토 슌 |
2024 | 상하이 | 가기야마 유마 | 사토 슌 | 차준환 |
3. 2. 여자 싱글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여자 싱글 종목에서는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메달을 획득했다.연도 | 개최지 | 금 | 은 | 동 |
1999 | 핼리팩스 | 타티아나 말리니나 | 앰버 코윈 | 앤젤라 니코디노프 |
2000 | 오사카 | 앤젤라 니코디노프 | 스테이시 펜스겐 | 애니 벨르마르 |
2001 | 솔트레이크시티 | 수구리 후미에 | 앤젤라 니코디노프 | 온다 요시에 |
2002 | 전주 | 제니퍼 커크 | 아라카와 시즈카 | 온다 요시에 |
2003 | 베이징 | 수구리 후미에 | 아라카와 시즈카 | 나카노 유카리 |
2004 | 해밀턴 | 오타 유키나 | 신시아 파네프 | 앰버 코윈 |
2005 | 강릉 | 수구리 후미에 | 온다 요시에 | 제니퍼 커크 |
2006 | 콜로라도스프링스 | 케이티 테일러 | 나카노 유카리 | 비아트리사 리앙 |
2007 | 콜로라도스프링스 | 키미 마이즈너 | 에밀리 휴즈 | 조애니 로셰트 |
2008 | 고양 | 아사다 마오 | 조애니 로셰트 | 안도 미키 |
2009 | 밴쿠버 | 김연아 | 조애니 로셰트 | 아사다 마오 |
2010 | 전주 | 아사다 마오 | 스즈키 아키코 | 캐롤라인 장 |
2011 | 타이베이 | 안도 미키 | 아사다 마오 | 미라이 나가수 |
2012 | 콜로라도스프링스 | 애슐리 와그너 | 아사다 마오 | 캐롤라인 장 |
2013 | 오사카 | 아사다 마오 | 스즈키 아키코 | 무라카미 가나코 |
2014 | 타이베이 | 무라카미 가나코 | 미야하라 사토코 | 리지준 |
2015 | 서울 | 폴리나 애드먼즈 | 미야하라 사토코 | 홍고 리카 |
2016 | 타이베이 | 미야하라 사토코 | 미라이 나가수 | 홍고 리카 |
2017 | 강릉 | 미하라 마이 | 가브리엘 데일먼 | 미라이 나가수 |
2018 | 타이베이 | 사카모토 카오리 | 미하라 마이 | 미야하라 사토코 |
2019 | 애너하임 | 키히라 리카 |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 미하라 마이 |
2020 | 서울 | 키히라 리카 | 유영 | 브레디 테넬 |
2021 | 시드니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대회 취소 | ||
2022 | 탈린 | 미하라 마이 | 이해인 | 김예림 |
2023 | 콜로라도스프링스 | 이해인 | 김예림 | 지바 모네 |
2024 | 상하이 | 지바 모네 | 김채연 | 와타나베 린카 |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일본은 4대륙 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종목에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12개로 총 39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미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5개, 동메달 9개로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2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총 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기록했다.
3. 3. 페어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페어 종목은 1999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다.연도 | 개최지 | 금 | 은 | 동 |
1999 | 핼리팩스 | 선쉐 / 자오훙보 | 크리스티 사전트 / 크리스 워츠 | 대니엘 하트셀 / 스티브 하트셀 |
2000 | 오사카 | Jamie Salé / David Pelletier | 이나 교코 / 존 지머먼 | 티퍼니 스콧 / Philip Dulebohn |
2001 | 솔트레이크시티 | Jamie Salé / David Pelletier | 선쉐 / 자오훙보 | 이나 교코 / 존 지머먼 |
2002 | 전주 | 팡칭 / 퉁젠 | Anabelle Langlois / Patrice Archetto | 장단 / 장하오 |
2003 | 베이징 | 선쉐 / 자오훙보 | 팡칭 / 퉁젠 | 장단 / 장하오 |
2004 | 해밀턴 | 팡칭 / 퉁젠 | 장단 / 장하오 | Valerie Marcoux / 크레이그 번틴 |
2005 | 강릉 | 장단 / 장하오 | 팡칭 / 퉁젠 | Kathryn Orscher / Garrett Lucash |
2006 | 콜로라도스프링스 | Rena Inoue / 존 볼드윈 | Utako Wakamatsu / Jean-Sebastien Fecteau | Elizabeth Putnam / Sean Wirtz |
2007 | 콜로라도스프링스 | 선쉐 / 자오훙보 | 팡칭 / 퉁젠 | Rena Inoue / 존 볼드윈 |
2008 | 고양 | 팡칭 / 퉁젠 | 장단 / 장하오 | Brooke Castile / Benjamin Okolski |
2009 | 밴쿠버 | 팡칭 / 퉁젠 | Jessica Dubé / 브라이스 데이비슨 | 장단 / 장하오 |
2010 | 전주 | 장단 / 장하오 | Keauna McLaughlin / 로크니 브루베이커 | 메건 듀하멜 / 크레이그 번틴 |
2011 | 타이베이 | 팡칭 / 퉁젠 | 메건 듀하멜 / 에릭 래드퍼드 | 페이지 로런스 / 루디 스위거스 |
2012 | 콜로라도스프링스 | 쑤이원징 / | 케이디 데니 / John Coughlin | 메리 베스 말리 / 로크니 브루베이커 |
2013 | 오사카 | 메건 듀하멜 / 에릭 래드퍼드 | 커스틴 무어타워스 / 딜런 모스코비치 | Marissa Castelli / Simon Shnapir |
2014 | 타이베이 | 쑤이원징 / 한충 | Tarah Kayne / Daniel OShea | 알렉사 시메카 / 크리스 크니에림 |
2015 | 서울 | 메건 듀하멜 / 에릭 래드퍼드 | 펑청 / 장하오 | 팡칭 / 퉁젠 |
2016 | 타이베이 | 쑤이원징 / 한충 | 알렉사 시메카 / 크리스 크니에림 | 위샤오위 / 진양 |
2017 | 강릉 | 쑤이원징 / 한충 | 메건 듀하멜 / 에릭 래드퍼드 | 일루쉐키나 / 모스코비치 |
2018 | 타이베이 | 타라 케인 / Daniel OShea | 애슐리 케인-그리블 / 티모시 르두크 | 렴태옥 / 김주식 |
2019 | 애너하임 | 쑤이원징 / 한충 | 커스틴 무어-타워스 / 마이클 마리나로 | 펑청 / 진양 |
2020 | 서울 | 쑤이원징 / 한충 | 펑청 / 진양 | 커스틴 무어-타워스 / 마이클 마리나로 |
2021 | 시드니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 취소 | ||
2022 | 탈린 |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 에밀리 찬 / 스펜서 아키라 하우 |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 |
2023 | 콜로라도스프링스 |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 에밀리 찬 / 스펜서 아키라 하우 | 디앤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
2024 | 상하이 | 디앤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 엘리 캄 / Daniel OShea |
2018년 대회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렴태옥/김주식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로 ISU 선수권 대회 페어 종목 메달을 획득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