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47년은 당나라 정관 21년, 신라 인평 14년/태화 원년, 일본 다이카 3년에 해당하며, 신라의 선덕여왕이 사망하고 진덕여왕이 즉위한 해이다. 백제는 신라를 공격했으나 김유신에 의해 격퇴되었고, 이슬람은 동로마 제국의 카르타고 총독을 격파하고 카이사레아를 점령했다. 당 태종은 인도의 설탕 제조 기술을 연구하고, 설연타의 옛 영토에 중국 무관 통치를 설립했다. 북 인도의 하르샤 황제가 사망했으며, 경주에 첨성대가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647년 | |
---|---|
기본 정보 | |
그레고리력 | 647년 |
간지 | 정미년 |
발생 | |
사건 | 당나라에서 왕현책이 중천축을 정벌함. |
2. 연호
3. 기년
4. 사건
1월 8일 - 비담의 난으로 반란이 일어났고, 선덕여왕이 죽음을 맞이하였다.[2] 선덕여왕의 사촌동생인 진덕여왕이 1월에 즉위하였다. 648년에는 비담의 반란군을 크게 물리쳤다.
음력 10월, 백제의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 3천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김유신이 친히 병사를 권면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의 말을 타고 홀로 돌아왔다.
이슬람, 동로마 제국의 카르타고 총독 그레고리우스가 이끄는 12만 대군을 격파하다.
이슬람, 동로마 제국의 카이사레아(현재의 카이세리)를 점령하다.
4. 1. 신라
1월 8일 - 비담의 난으로 반란이 일어났고, 선덕여왕이 죽음을 맞이하였다.[2] 선덕여왕의 사촌동생인 진덕여왕이 1월에 즉위하였다. 648년에는 비담의 반란군을 크게 물리쳤다.음력 10월, 백제의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 3천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김유신이 친히 병사를 권면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의 말을 타고 홀로 돌아왔다.
4. 2. 백제
음력 10월, 백제의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 3천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에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김유신이 친히 병사를 권면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의 말을 타고 홀로 돌아왔다.4. 3. 고구려
1월 8일 비담의 난으로 선덕여왕이 죽고, 사촌동생인 진덕여왕이 1월에 즉위하였다.[2] 648년에는 비담의 난에 가담한 비담의 반란군을 크게 물리쳤다. 음력 10월, 백제의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 3천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김유신이 친히 병사를 권면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의 말을 타고 홀로 돌아왔다.4. 4. 당나라
당 태종은 당나라의 황제이며, 중국 사절단을 파견하여 갠지스 강 유역의 비하르에서 인도의 설탕 제조 기술을 연구하게 하였다.[1] 태종은 설연타의 옛 영토를 안정시키기 위해 중국 무관 통치를 설립하고, 이 지역은 서쪽으로 알타이 산맥까지 뻗어 있었다.4. 5. 동로마 제국
이슬람이 동로마 제국의 카르타고 총독 그레고리우스가 이끄는 12만 대군을 격파하고, 카이사레아(현재의 카이세리)를 점령했다. 아랍-비잔틴 전쟁에서 아랍군 2만명이 압둘라 이븐 사드의 지휘 하에 비잔틴 아프리카 엑사르키를 침공하여 트리폴리타니아와 수페툴라를 정복했다. 자칭 황제 그레고리우스 파트리키는 아랍 침공 중 수페툴라에서 사망했으며, 이후 아프리카는 제국에 대한 충성을 회복했지만, 비잔틴 통치의 기반은 크게 약화되었다.4. 6. 기타 지역
- 1월 8일 - 비담의 난으로 반란을 일으켜 647년 정월에 신라 제27대 임금인 선덕여왕이 사망하자 선덕여왕의 사촌동생인 신라 제28대 임금인 진덕여왕이 1월에 즉위하였다.[2] 648년에는 진덕여왕 (즉위 원년)에 비담의 난에 가담한 비담의 반란군을 크게 물리쳤다.
- 음력 10월, 백제의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 3천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김유신이 친히 병사를 권면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의 말을 타고 홀로 돌아왔다.
- 이슬람은 동로마 제국의 카르타고 총독 그레고리우스가 이끄는 12만 대군을 격파하고, 동로마 제국의 카이사레아(현재의 카이세리)를 점령하였다.
- 당 태종은 당나라의 황제이며, 중국 사절단을 파견하여 갠지스 강 유역의 비하르에서 인도의 설탕 제조 기술을 연구하게 하였다.[1]
- 당 태종은 설연타의 옛 영토를 안정시키기 위해 중국 무관 통치를 설립하고, 이 지역은 서쪽으로 알타이 산맥까지 뻗어 있었다.
- 북 인도의 통치자였던 하르샤 황제가 41년간의 통치를 마치고 사망하였다. 그의 왕국은 작은 국가들로 분열되었다.
5. 문화
6. 탄생
- 알압바스 이븐 알리/العباس بن عليar]], 이슬람교 순교자 (680년 사망)
- 이참나아흐 발람 2세, 야슈칠란의 통치자 (742년 사망)
- 압드 알-말리크/عبد الملك بن مروانar, 우마이야 왕조의 제5대 칼리프 (705년 사망)
7. 사망
참조
[1]
서적
The Impact of Buddhism on Chinese Material Cul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List of Rulers of Korea
https://www.metmuseu[...]
2019-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