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대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대등은 신라 귀족 사회에서 진골 출신 남성들이 맡았던 최고위직 중 하나이다. 화백 회의를 주재하며 왕위 계승, 전쟁 선포 등 국가 중요 사안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신라 중대 이후 집사부의 시중에게 권력이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권한이 축소되었지만, 신라 말까지 왕 다음으로 높은 권위를 유지했다.

2. 상대등의 선출과 역할

'''상대등'''은 신라 골품제의 진골 혈통 남성 중에서 선출되었다. 상대등은 화백 회의를 주재했으며, 화백 회의는 '''대등''' 직위 관료들로 구성된 자문 및 의사 결정 위원회였다. 화백 회의는 왕위 계승, 전쟁 선포 등 중요한 국가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렸다.[1] 상대등과 화백 회의는 초기 신라 시대부터 존재하여 부족적 기원을 반영하며, 국왕 권위에 대한 견제 역할을 했다.

2. 1. 집사부와의 관계

신라 중대에는 한반도 통일 이후 정부 권한의 초점이 화백 회의와 ''상대등''에서 집사부(執事部)와 그 수장인 시중(侍中, 또는 중시, 中侍)으로 옮겨갔으며, 이 직위는 651년 신라에서 중앙 정부 기구의 최고 기관으로 설치되었다.[1] 이는 고대 귀족 및 씨족 특권에 기반한 화백 회의보다는 중국식 ''집사부''에 의존하여 독립적인 귀족의 권력을 억제하려는 군주의 노력을 반영하였다. 신문왕은 그의 권위에 대한 여러 도전 이후, 681년 김흠돌의 반란에 연루된 ''상대등'' 궁관을 처형하기까지 했다.

2. 2. 신라 말 상대등의 역할 변화

신라 중대에는 삼국통일 이후 정부 권한의 초점이 화백 회의와 상대등에서 집사부와 그 수장인 시중으로 옮겨갔다. 집사부는 651년 신라에서 중앙 정부 기구의 최고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이는 고대 귀족 및 씨족 특권에 기반한 화백 회의보다는 중국식 ''집사부''에 의존하여 독립적인 귀족의 권력을 억제하려는 군주의 노력을 반영했다.[1] 신문왕은 그의 권위에 대한 여러 도전 이후, 681년 김흠돌의 반란에 연루된 상대등 궁관을 처형하기까지 했다.[1]

이러한 권력 제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상대등 직위는 신라 말까지 왕위 다음으로 가장 높고 권위 있는 직위로 남아 있었다. 신라 후기에는 왕위 계승 다툼이 끊이지 않았으며, 여러 군주가 상대등 직위에서 배출되었다.[1]

3. 역대 상대등

상대등 제도는 신라의 정치, 사회적 변화와 함께 그 역할이 변화해왔다. 신라 중대에는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화에 기여하며 왕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하대에 이르러서는 귀족 세력 간의 권력 투쟁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왕권 약화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역대 상대등의 재임 기간, 이름, 한자, 참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역대 상대등 목록
시기국왕이름재임 기간참고
로마자 표기한글한자
초기법흥왕철부(Ch'ŏlbu)철부哲夫531–534[2]
법흥왕/진흥왕?김구해김구해金仇亥532?–576?[4]
진지왕거칠부(Geochilbu)거칠부居柒夫576–?[5]
진평왕노리부(Noribu)노리부弩里夫579–588?[6][7]
수을부(Sueulbu)수을부首乙夫588?–?[7]
선덕여왕을제(Eulje)을제乙祭632–636[8]
중대수품(Sup'um)수품水品636–645?[9]
비담비담(Bidam)비담毗曇645?–647[10]
진덕여왕알천(Alcheon)알천閼川647–654[11]
무열왕금강(Kŭm Kang)금강金剛655–660[12]
무열왕/문무왕김유신(Kim Yu-sin)김유신金庾信660–673[13]
문무왕김군관(Kim Gungwan)김군관金軍官680?–681[14]
신문왕/효소왕?진복(Chin Pok)진복眞福681–694?[15]
효소왕문영(Munyŏng)문영文穎694–695[16]
개원(Kaewŏn)개원愷元695–?[16]
성덕왕인품(Inp'um)인품仁品706–720[17]
배부(Pae Pu)배부裵賦720–728[17]
김사공(Kim Sagong)김사공金思恭728–?[18]
정종(Chŏng Chong)정종貞宗737–?[19]
경덕왕김사인(Kim Sain)김사인金思仁745–757[20]
신충(Sinch'ung)신충信忠757–764[21][22]
만종(Manjong)만종萬宗764–768?[23]
혜공왕신유(Sin Yu)신유神猷768–?[23]
김양상김양상(Kim Yang-sang)김양상金良相774–780[24]
하대선덕왕김경신(Kim Kyŏngsin)김경신金敬信780?–785[25]
원성왕충렴(Ch'ungnyŏm)충렴忠廉785–792[26]
세강(Segang)세강世強792–?[26]
헌덕왕김언승(Kim Ŏnsŭng)김언승金彦昇801–809
김숭빈김숭빈(Kim Sungpin)김숭빈金崇斌809–819
흥덕왕김수종(Kim Suchong)김수종金秀宗819–?
김균정김균정(Kim Kyunchŏng)김균정金均貞835–836
민애왕김명(Kim Myŏng)김명金明837–838
김귀김귀(Kim Kwi)김귀金貴838–?
장보고장보고(Jang Bogo)장보고張保皐839–?
예징예징(Yejing)예징禮徵840–849
헌안왕김의정(Kim Ŭichŏng)김의정金義正849–?
김안김안(Kim An)김안金安857–?
김정김정(Kim Chŏng)김정金正862–874
위진위진(Wijin)위진魏珍874–?
김위홍김위홍(Kim Wihong)김위홍金魏弘875–?
준흥준흥(Chunhŭng)준흥俊興898–?
김성김성(Kim Sŏng)김성金成906–919?
계강계강(Kyegang)계강繼康912–?
경애왕위응(Wiŭng)위응魏鷹917–924


3. 1. 신라 중대 이전

법흥왕 때인 531년에 철부가 상대등에 임명된 것이 상대등 제도의 시작으로 보인다.[2] 이후 진흥왕 시기인 532년에는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김구해가 항복한 뒤 상등(上等) 벼슬을 받았는데, 이 상등이 상대등과 같은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명예직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3][4]

진지왕 시기인 576년에는 거칠부가 상대등에 임명되었고,[5] 진평왕 시기인 579년과 588년에는 각각 노리부[6][7] 수을부가[7]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선덕여왕 시기에는 을제(632년),[8] 수품(636년),[9] 비담(645년)[10]이 차례로 상대등을 역임했다. 진덕여왕 시기인 647년에는 알천이 상대등에 임명되어 654년까지 재임했다.[11]

무열왕 시기인 655년에는 김강이 상대등에 임명되었고,[12] 660년부터는 김유신이 상대등을 맡아 673년까지 재임했다.[13]

3. 2. 신라 중대

법흥왕철부가 531년부터 534년까지 상대등을 역임했다.[2] 진흥왕 시기에는 금관가야의 왕족 출신 김구해가 532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7] 진지왕 시기에는 거칠부가 576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28] 진평왕 시기에는 노리부가 579년부터 588년까지, 수을부가 588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7]

선덕여왕 시기에는 을제가 632년부터 636년까지, 수품이 636년부터, 비담이 645년부터 647년까지 상대등을 역임했다.[10] 진덕여왕 시기에는 알천이 647년부터 654년까지 상대등을 역임했다.[11] 무열왕 시기에는 김강이 655년부터 660년까지, 김유신이 660년부터 673년까지 상대등을 역임했다.[13]

문무왕 시기에는 김군관이 679년부터 681년까지, 진복이 681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15] 효소왕 시기에는 문영이 694년부터 695년까지, 개원이 695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16] 성덕왕 시기에는 인품이 706년부터 720년까지, 배부가 720년부터 728년까지, 사공이 728년부터, 정종이 737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19]

경덕왕 시기에는 김사인이 745년부터 757년까지, 신충이 757년부터 763년까지, 만종이 763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23] 혜공왕 시기에는 신유가 768년부터, 김양상이 774년부터 780년까지 상대등을 역임했다.[24] 선덕왕 시기에는 김경신이 780년부터 785년까지 상대등을 역임했다.[25]

원성왕 시기에는 충렴이 785년부터 792년까지, 세강이 792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26] 이후 헌덕왕 시기 김언승이 801년부터, 김숭빈이 809년부터, 흥덕왕 시기 김수종이 819년부터, 김균정이 835년부터, 민애왕 시기 김명이 837년부터, 김귀가 838년부터, 장보고가 839년부터, 예징이 840년부터, 헌안왕 시기 김의정이 849년부터, 김안이 857년부터, 김정이 862년부터, 위진이 874년부터, 김위홍이 875년부터, 준흥이 898년부터, 김성이 906년부터, 계강이 912년부터, 경애왕 시기 위응이 917년부터 상대등을 역임했다.

신라 중대 상대등 목록
국왕이름재임 기간참고
로마자 표기한글한자
법흥왕철부(Ch'ŏlbu)철부哲夫531–534[2]
법흥왕/진흥왕?김구해김구해金仇亥532?–576?[4]
진지왕거칠부(Geochilbu)거칠부居柒夫576–?[5]
진평왕노리부(Noribu)노리부弩里夫579–588?[6][7]
수을부(Sueulbu)수을부首乙夫588?–?[7]
선덕여왕을제(Eulje)을제乙祭632–636[8]
수품(Sup'um)수품水品636–645?[9]
비담비담(Bidam)비담毗曇645?–647[10]
진덕여왕알천(Alcheon)알천閼川647–654[11]
무열왕금강(Kŭm Kang)금강金剛655–660[12]
무열왕/문무왕김유신(Kim Yu-sin)김유신金庾信660–673[13]
문무왕김군관(Kim Gungwan)김군관金軍官680?–681[14]
신문왕/효소왕?진복(Chin Pok)진복眞福681–694?[15]
효소왕문영(Munyŏng)문영文穎694–695[16]
개원(Kaewŏn)개원愷元695–?[16]
성덕왕인품(Inp'um)인품仁品706–720[17]
배부(Pae Pu)배부裵賦720–728[17]
김사공(Kim Sagong)김사공金思恭728–?[18]
정종(Chŏng Chong)정종貞宗737–?[19]
경덕왕김사인(Kim Sain)김사인金思仁745–757[20]
신충(Sinch'ung)신충信忠757–764[21][22]
만종(Manjong)만종萬宗764–768?[23]
혜공왕신유(Sin Yu)신유神猷768–?[23]
김양상김양상(Kim Yang-sang)김양상金良相774–780[24]
선덕왕김경신(Kim Kyŏngsin)김경신金敬信780?–785[25]
원성왕충렴(Ch'ungnyŏm)충렴忠廉785–792[26]
세강(Segang)세강世強792–?[26]
헌덕왕김언승(Kim Ŏnsŭng)김언승金彦昇801–809
김숭빈김숭빈(Kim Sungpin)김숭빈金崇斌809–819
흥덕왕김수종(Kim Suchong)김수종金秀宗819–?
김균정김균정(Kim Kyunchŏng)김균정金均貞835–836
민애왕김명(Kim Myŏng)김명金明837–838
김귀김귀(Kim Kwi)김귀金貴838–?
장보고장보고(Jang Bogo)장보고張保皐839–?
예징예징(Yejing)예징禮徵840–849
헌안왕김의정(Kim Ŭichŏng)김의정金義正849–?
김안김안(Kim An)김안金安857–?
김정김정(Kim Chŏng)김정金正862–874
위진위진(Wijin)위진魏珍874–?
김위홍김위홍(Kim Wihong)김위홍金魏弘875–?
준흥준흥(Chunhŭng)준흥俊興898–?
김성김성(Kim Sŏng)김성金成906–919?
계강계강(Kyegang)계강繼康912–?
경애왕위응(Wiŭng)위응魏鷹917–924


3. 3. 신라 하대

신라한국어 하대에는 귀족 간의 권력 다툼이 치열해지면서 상대등의 역할과 권한도 변화를 겪었다.

  • 김양상(774년~780년): 혜공왕 대에 상대등을 역임했다.[24]
  • 김경신(780년~785년): 선덕왕 대에 상대등을 역임했다.[25]
  • 충렴(785년~792년): 원성왕 대에 상대등을 역임했다.[26]
  • 세강(792년~?): 원성왕 대에 상대등을 역임했다.[26]
  • 김언승(801년~809년)
  • 김숭빈(809년~819년)
  • 김수종(819년~?)
  • 김균정(835년~836년)
  • 김명(837년~838년)
  • 김귀(838년~?)
  • 장보고(839년~?)
  • 예징(840년~849년)
  • 김의정(849년~?)
  • 김안(857년~?)
  • 김정(862년~874년)
  • 위진(874년~?)
  • 김위홍(875년~?)
  • 준흥(898년~?)
  • 김성(906년~919년?)
  • 계강(912년~?)
  • 위응(917년~924년)


다음은 신라 하대 상대등 표이다.

신라 하대 상대등
재임 기간이름한자비고
774년~780년김양상金良相혜공왕 대 상대등[24]
780년~785년김경신金敬信선덕왕 대 상대등[25]
785년~792년충렴忠廉원성왕 대 상대등[26]
792년~?세강世強원성왕 대 상대등[26]
801년~809년김언승金彦昇
809년~819년김숭빈金崇斌
819년~?김수종金秀宗
835년~836년김균정金均貞
837년~838년김명金明
838년~?김귀金貴
839년~?장보고張保皐
840년~849년예징禮徵
849년~?김의정金義正
857년~?김안金安
862년~874년김정金正
874년~?위진魏珍
875년~?김위홍金魏弘
898년~?준흥俊興
906년~919년?김성金成
912년~?계강繼康
917년~924년위응魏鷹


참조

[1]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철부 (哲夫)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3] 백과사전 상등 (上等) https://encykorea.ak[...] 2024-10-15
[4] 백과사전 구형왕 (仇衡王)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5] 백과사전 거칠부 (居柒夫)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6] 백과사전 노리부 (弩里夫)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7]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 상대등 노리부가 죽다 https://db.history.g[...] 2024-10-15
[8] 백과사전 을제 (乙祭)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9] 백과사전 수품 (水品)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10] 백과사전 비담 (毗曇)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11] 백과사전 알천 (閼川)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12] 백과사전 금강 (金剛)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13]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4-10-15
[14] 백과사전 김군관 (金軍官)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15] 백과사전 진복 (眞福)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15
[16]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 문영을 상대등으로 삼다 https://db.history.g[...] 2024-10-26
[17]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 배부를 상대등으로 삼다 https://db.history.g[...] 2024-10-26
[18] 백과사전 김사공 (金思恭)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26
[19] 웹사이트 한국 고대 사료 DB https://db.history.g[...] 2024-10-26
[20] 백과사전 김사인 (金思仁)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26
[21] 위키소스 삼국사기/신라본기/제9권/경덕왕
[22]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 상대등 신충과 시중 김옹이 관직에서 물러나다 https://db.history.g[...] 2024-10-26
[23]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 > 만종을 상대등으로 삼고 김양상을 시중으로 삼다 https://db.history.g[...] 2024-10-26
[24] 백과사전 선덕왕 (宣德王)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0-26
[25] 웹사이트 3) 하대의 개막과 원성왕계의 성립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6] 웹사이트 한국 고대 사료 DB https://db.history.g[...] 2024-10-26
[27] 문서 삼국사기 기록에 대한 설명
[28] 문서 진지왕 폐위와 거칠부 사망에 대한 추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