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60년은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당나라가 고구려를 공격한 해이다.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과 관창이 전사했으며,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은 백제군을 격파했다. 백제는 677년 만에 멸망하고, 부여풍이 백제 부흥군의 왕으로 즉위했다. 또한, 우마이야 왕조가 시작되었고, 측천무후가 당나라의 권력을 잡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덴지 천황이 물시계를 만들고, 백제 멸망 후 야마토 정부가 중국에 사신을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660년 | |
---|---|
개요 | |
기원 | 기원후 660년 |
간지 | 경신년(庚申年) |
역사적 사건 | |
주요 사건 | 백제 멸망 당나라의 소정방이 백제를 공격, 신라의 김유신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킴 황산벌 전투 기벌포 해전 백강 전투 |
정치 및 사회 | |
국가 | 백제 (멸망) 신라 당나라 고구려 일본 |
문화 | |
문화적 영향 |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침 (특히 한반도) |
탄생 | |
인물 | (자료 없음) |
사망 | |
인물 | 계백: 백제의 장군. 황산벌 전투에서 전사. |
2. 주요 사건
660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일어났다.
- 신라와 당의 백제 정벌로 백제가 멸망하였다.
- 황산벌 전투에서 관창, 계백이 전사하였다.
- 백제 부흥군에 의해 부여풍이 왕위에 올랐다.
- 당나라 군대가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 첫 번째 이슬람 칼리파 왕조인 우마이야 왕조가 시작되었다.
- 아흐마드 이븐 알-아시가 이집트를 정복하였다.
-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이 우마이야 왕조에 정복되었다.
- 제6차 국교 회의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렸다.
- 찬드라바르만이 동인도에서 사사 왕조와 동맹을 맺었다.
- 파라오 니네르케트가 이집트의 제3왕조를 시작하였다.
-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스 2세는 동생 테오도시우스를 살해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의 미움을 사 시라쿠사로 거처를 옮겼다.
- 슬라브인의 카란타니아가 독립을 유지하며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했다.(카란타니아 (오스트리아))[1]
- 펠릭스는 바스코니아 공작과 아키텐 공작 칭호를 얻고, 프랑크 왕국의 봉신이었지만 사실상 독립적으로 통치했다.[1]
- 웨섹스의 왕 켄왈흐는 웨섹스의 주교 관구를 둘로 나누고, 와인은 윈체스터의 초대 주교가 된다. 에질베르트는 이에 항의하며 사임하고 노섬브리아로 떠났다.[1]
- 에식스의 왕 시게르트 2세가 살해당하고, 스위텔름이 왕위를 계승, 스위스프리트는 얼마 동안 공동 군주가 되었다(추정).[1]
- 달 리아다(현대 스코틀랜드)의 왕 코날 크란도므나가 사망하고, 그의 조카 도망가르트 막 돔나일이 왕위를 계승한다.[1]
2. 1. 동아시아
660년 동아시아에서는 신라와 당의 백제 정벌로 백제가 멸망하고, 일본에서는 나카노오에 황자가 처음으로 일본 시계를 만드는 등 여러 사건이 일어났다. 당나라에서는 당 고종이 질병에 시달렸고, 그의 아내 측천무후가 권력을 잡기 시작했다.[3]2. 1. 1. 한반도
신라와 당의 백제 정벌로 660년 8월 29일(음력 7월 18일) 백제가 31대 677년 만에 멸망하였다.[3] 백제에는 음력 2월부터 음력 6월까지 불길한 기운이 여러 번 나타났다.7월 9일 - 황산벌 전투: 김유신이 이끄는 5만 신라군이 논산에서 계백 장군이 이끄는 백제군을 격파하였다.
소정방 장군과 신라 문무왕이 이끄는 당나라와 신라의 군사 동맹에 의해 한국 남서부에 위치한 백제가 멸망하였다.
백제 부흥군에 의해 부여풍이 32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당나라 군대가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2. 1. 2. 일본
- 나카노오에 황자가 아스카에서 처음으로 일본 시계를 만들어 백성들이 시간을 알게 했다.[3]
- 사비가 신라에 의해 멸망한 후, 야마토 정부는 처음으로 직접 중국 조정에 사신을 보냈다.
- 백제·당 전쟁이 시작되었고, 야마토 군은 백제와 고구려를 지원했다.
- 아베노 히라후의 지휘하에 일본군은 홋카이도에서 미시하세족을 학살했다.
- 일본의 수도는 아스카 (오카모토 궁 또는 노치노 아스카-오카모토노미야)에서 아사쿠라로 이전했다.
- 5월 - 나카노오에 황자가 아스카에 누각대를 만들었다.[3]
2. 1. 3. 중국
- 음력 2월부터 음력 6월까지 백제에는 불길한 기운이 여러 번 나타났다. (→ 신라의 백제 정벌)
- 황산벌 전투에서 관창, 계백 전사.
- 7월 9일(음력 5월 26일) 신라 군대가 출진하여 신라와 당이 백제를 정벌, 8월 29일(음력 7월 18일) 백제는 31대 677년 만에 멸망하였다.
- 백제 부흥군에 의해 32대 왕 부여풍 즉위.
- 당나라 군대가 고구려를 공격하다.
- 당나라와 신라의 군사 동맹에 의해 한국 남서부에 위치한 백제가 멸망하였다. 장군 소정방과 신라 문무왕이 이 동맹을 이끌었다. 장안에 억류되어 있던 일본 사신들이 풀려났다.
- 당 고종이 질병(아마도 서서히 진행되는 독 중독)에 시달렸다. 그의 아내 측천무후가 중국사를 통치하기 시작하였다.
- 7월 - 신라의 구원 요청을 받은 당이 군사를 일으켜 백제가 당·신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다.[3] 당은 백제의 옛 영토를 군현 지배하에 두었지만, 곧 백제 유민에 의한 반항 운동이 일어났다.
- 당나라에서 고종을 대신하여 측천무후가 권력을 잡기 시작하였다.
2. 2. 서아시아
2. 3. 유럽
-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스 2세는 동생 테오도시우스의 야심을 의심하여 그를 살해한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의 미움을 산 콘스탄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를 떠나 시라쿠사로 거처를 옮기기로 결정한다.
- 현재의 클라겐푸르트 북쪽에 위치한 슬라브인의 카란타니아는 독립을 유지하며, 역사적 기록에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이 지역은 카란타니아 (오스트리아)로 알려져 있다.[1]
- 펠릭스는 툴루즈의 귀족으로, 바스코니아 공작과 아키텐 공작의 칭호를 얻는다. 그는 형식적으로는 프랑크 왕국의 봉신이었지만, "사실상" 독립적으로 통치했다.[1]
- 웨섹스의 왕 켄왈흐는 현지 주교인 에질베르트가 서부 삭슨어를 하지 못한다며 불만을 품는다. 켄왈흐는 웨섹스의 주교 관구를 둘로 나눈다. 와인은 색슨족이 "윈타체스터"라고 부르는 윈체스터의 초대 주교가 된다. 에질베르트는 이에 항의하며 사임하고 북쪽 노섬브리아로 여행을 떠난다.[1]
- 에식스의 왕 시게르트 2세는 형제인 스위텔름과 스위스프리트, 그리고 다른 친족들에게 "너무 관대하게 적을 용서했다"는 이유로 살해당한다. 여기서 "적"이란 기독교인을 의미한다. 스위텔름은 에식스의 왕이 되었고, 스위스프리트는 얼마 동안 공동 군주가 되었다(추정).[1]
- 달 리아다(현대 스코틀랜드)의 왕 코날 크란도므나가 사망하고, 그의 조카 도망가르트 막 돔나일이 왕위를 계승한다.[1]
3. 탄생
4. 사망
- 의자왕, 백제의 마지막 왕 (* 599년 출생)[1]
- 계백, 백제 장군
- 상영, 백제의 문신[3]
- 관창, 신라의 화랑
- 반굴, 신라의 화랑
- 금강, 신라의 문신
- 12월 1일 – 엘리지우스, 주교이자 성인
- 보기스, 아키텐 공작 (추정 날짜)
- 코날 크란돔나, 스코틀랜드의 달 리어다 국왕
- 마그누스, 아비뇽의 주교이자 총독
- 지게베르트 3세, 오스트라시아 국왕 (또는 656년)
- 시게베르트 2세, 에식스 국왕 (추정 날짜)
- 신모장, 당나라 재상
4. 1. 한반도
- 7월 9일 - 황산벌 전투: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 5만 명이 논산에서 백제군을 격파하였다. 이 전투에서 백제의 무신 계백 장군이 전사하였다.
- 당나라와 신라의 군사 동맹에 의해 한국 남서부에 위치한 백제(남부여)가 멸망하였다. 소정방 장군과 신라 문무왕이 이 동맹을 이끌었다. 장안에 억류되어 있던 일본 사신들이 풀려났다.
- 백제 마지막 국왕인 의자왕.[1]
- 백제의 문신 상영.[3]
- 신라의 화랑 관창.
- 신라의 화랑 반굴.
- 신라의 문신 금강.
4. 2. 중국
5. 연호
6. 기년
참조
[1]
웹사이트
Palaces of the Asuka Period
http://www.asukanet.[...]
Asuka Historical Museum
2011-11-25
[2]
서적
The Imperial Family of Japan
1915
[3]
웹사이트
亡命王族の寺 復元進む 百済寺跡・禁野本町遺跡(もっと関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