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7·26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26 운동은 1953년 7월 26일 몬카다 병영 습격 사건 실패를 계기로 시작된 쿠바의 혁명 운동이다. 피델 카스트로가 이끌었으며,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을 전복하고 쿠바 혁명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7·26 운동은 멕시코에서 재조직되어 게릴라 부대를 형성하고, 쿠바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혁명 이후에는 쿠바 사회주의 혁명 통일당을 거쳐 쿠바 공산당으로 발전했으며, 쿠바의 사회주의화와 미국의 반발을 초래했다. 7·26 운동은 여성과 소수 민족의 참여를 강조했으며, 쿠바의 국경일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 공산당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 (쿠바)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쿠바)은 체 게바라가 주최한 창립대회를 통해 1962년 설립된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의 청년 조직으로, 호세 마르티 피오네르 조직을 소속 단체로 두고 쿠바 사회 건설 및 국제 청년 운동 연대 강화에 기여하는 세계민주청년연맹 회원 단체이다.
  • 쿠바 공산당 - 그란마 (신문)
    그란마는 쿠바 공산당의 기관지로서 쿠바 혁명과 당의 원칙을 선전하며 다국어로 발행되고 디지털 전환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독자들의 비판을 수용하는 코너를 운영하며 정부와 국민 간 소통을 위해 노력한다.
  • 쿠바의 정치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 (쿠바)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쿠바)은 체 게바라가 주최한 창립대회를 통해 1962년 설립된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의 청년 조직으로, 호세 마르티 피오네르 조직을 소속 단체로 두고 쿠바 사회 건설 및 국제 청년 운동 연대 강화에 기여하는 세계민주청년연맹 회원 단체이다.
  • 쿠바의 정치 - 카스트로주의
    카스트로주의는 호세 마르티의 민족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하여 쿠바 혁명 이후 쿠바의 정치, 경제, 사회 체제를 형성한 이념으로, 쿠바 민족주의, 라틴 아메리카 연대, 사회주의적 통치, 혁명 수출을 강조한다.
7·26 운동
개요
7월 26일 운동의 깃발 중 하나의 현대적 인상
7월 26일 운동의 깃발 중 하나의 현대적 인상
원어 이름Movimiento 26 de julio
로마자 표기Mobimento icheuksimyuk de julio
활동 기간1955년 – 1962년
이념전위주의
정치적 다원주의
좌익 포퓰리즘
좌익 민족주의
반제국주의
정치 성향좌익 정치에서 극좌 정치
지도자체 게바라
알베르토 바요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프랑크 파이스
셀리아 산체스
본부최초: 멕시코, 베라크루스, 툭스판
최종: 쿠바, 아바나
활동 지역쿠바
적대 세력풀헨시오 바티스타 정부, 쿠바군
후신쿠바 사회주의 혁명 연합당
주요 전투베라노 작전
라플라타 전투
라스메르세데스 전투
야과하이 전투
산타클라라 전투
산티아고 데 쿠바 봉기
쿠바 혁명 당시의 7월 26일 운동
1959년 1월 1일, 군중을 태운 트럭
1959년, 군사 차량을 타고 아바나로 향하는 피델 카스트로와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아바나로 향하는 반군 군인들과 피델 카스트로
혁명 승리 후 아바나 공항에서 귀환을 기다리는 바티스타 정권 박해자 가족들

2. 기원

7·26 운동이라는 명칭은 1953년 7월 26일, 산티아고 데 쿠바 시의 군사 시설인 몬카다 병영을 습격했던 사건에서 유래했다.[6] 이 공격은 당시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의해 취소된 자유 선거의 입법 후보였던 젊은 피델 카스트로가 주도했으며,[7] 혁명의 시작을 알리려는 의도였으나 실패로 끝났다.

습격 실패 후 체포되었다가 사면된 카스트로는 1955년 멕시코로 망명하여, 동생 라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등 여러 동지들과 함께 바티스타 정권 전복을 목표로 7·26 운동을 공식적으로 결성하고 재조직했다. 카스트로는 이 운동을 10년 전쟁쿠바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쿠바의 오랜 탈식민화 투쟁의 연장선상에 놓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8]

2. 1. 결성 배경

7·26 운동이라는 명칭은 1953년 7월 26일, 산티아고 데 쿠바 시의 군사 시설인 몬카다 병영을 습격했다가 실패한 사건에서 유래했다.[6] 이 공격은 당시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의해 취소된 자유 선거의 입법 후보였던 젊은 피델 카스트로가 주도했다.[7] 공격의 목적은 쿠바 민중에게 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습격 실패 후 카스트로는 체포되어 15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정치적 운동의 결과로 2년 만에 동료들과 함께 사면되었다. 1955년, 카스트로는 멕시코망명하여 여러 혁명가 동지들과 함께 운동을 재조직했다. 여기에는 그의 동생 라울 카스트로,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그리고 체 게바라 등이 포함되었다. 이들의 목표는 바티스타 독재 정권을 전복하기 위한 훈련된 게릴라 부대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멕시코에서 이들은 82명의 핵심 멤버로 조직을 재결성했다.

운동의 초기 핵심 그룹은 몬카다 병영 습격 사건의 생존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라파엘 가르시아 바르세나가 이끄는 국민 혁명 운동(Movimiento Nacional Revolucionario)과 다수의 정통주의 청년 조직(Juventud Ortodoxa)이 합류했다. 곧이어 프랭크 파이스가 이끄는 국민 혁명 행동(Acción Nacional Revolucionaria)도 동참했다. 이처럼 7·26 운동은 바티스타 정권 타도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젊은이들이 모여 빠르게 세력을 확장했다. 카스트로는 이 운동을 10년 전쟁쿠바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쿠바의 오랜 탈식민화 투쟁의 연장선상에 놓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8]

3. 쿠바 혁명에서의 역할

1956년 12월 2일,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82명의 혁명군은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툭스판에서 그란마 호를 타고 쿠바에 상륙하며 쿠바 혁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들은 1953년 7월 26일 몬카다 병영 습격 실패 후 멕시코로 망명했던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 형제, 체 게바라,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등이 1955년 바티스타 독재 정권 타도를 목표로 재결성한 조직이었다.

그러나 상륙 초기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대낮에 이루어진 상륙은 쿠바 공군의 공격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부대는 흩어졌다. 설상가상으로 길 안내를 맡았던 현지 농민의 배신으로 매복 공격까지 당하면서 초기 병력 손실은 더욱 컸다. 당시 바티스타 정권은 피델 카스트로가 사망했다고 잘못 발표하기도 했다.[9]

초기의 큰 타격에도 불구하고, 그란마 호에 탔던 82명 중 피델 카스트로를 포함한 22명의 생존자들은 쿠바 동부의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으로 들어가 재집결에 성공했다.[9] 이들은 산악 지대를 거점으로 삼아 본격적인 게릴라전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산악 게릴라 활동과 병행하여, 도시 지역에서는 "시민 저항" 단체들이 조직되어 바티스타 정권에 대한 압박을 가했다. 바티스타 정권의 부패에 염증을 느낀 농민, 노동자뿐만 아니라 많은 중산층과 전문직 종사자들이 혁명 운동에 동조하며 지지 기반이 확대되었다.[10]

시에라 마에스트라의 게릴라 부대는 점차 세력을 확장하며 수백 명의 쿠바 자원병들을 받아들였고, 정부군과의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혁명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에르네스토 "체" 게바라는 전투 중 목과 가슴에 총상을 입기도 했으나, 의사로서의 지식을 활용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부상당한 동료들을 치료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게릴라전과 도시에서의 저항 활동은 약 2년간 지속되었다. 결국 7·26 운동이 이끄는 혁명군은 바티스타 군대를 격파했고, 1959년 1월 1일 새해 첫날, 바티스타는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망명했다. 혁명군은 수도 아바나에 입성하며 쿠바 혁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혁명 이후 7·26 운동은 다른 정치 조직과 통합하여 현재의 쿠바 공산당의 전신인 쿠바 사회주의 혁명 연합당(Partido Unido de la Revolución Socialista de Cuba|파르티도 우니도 데 라 레볼루시온 소시알리스타 데 쿠바es, PURSC)을 형성했다.

3. 1. 도시 및 농촌 활동

7·26 운동은 작전을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 진행했다. 하나는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에 기반을 둔 농촌 게릴라였고, 다른 하나는 마을과 도시에 거주하는 중산층 및 전문직 쿠바인들로 구성된 도시 지하 조직이었다.[18] 카스트로는 주로 농촌 지역에 집중하여 바티스타의 군대와 싸우고, 바티스타의 통제에서 벗어난 영토를 해방하며 통치하는 데 힘썼다.

7·26 운동은 이 과정에서 많은 농민 남녀를 대열에 합류시켰다. 이들은 바티스타 정권에 맞서는 군인이자 협력자, 정보 제공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많은 농민 지도자들 또한 PSP와의 연계를 통해 7·26 운동에 대한 지지를 넓혀나갔다. 특히 1934년부터 활동해 온 공산주의 조직인 캄페시노 협회는 7·26 운동이 농민 정치 조직망에 접근하고 이를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 진정당(PA)과 정통당의 지도자들 및 그 구성원인 소규모, 중규모, 부유한 토지 소유주들도 자금 지원과 바티스타 군대로부터의 보호를 통해 7·26 운동을 지원했다. 그러나 카스트로가 내건 농지 개혁 공약은 결국 부유한 농부 및 토지 소유주들과 7·26 운동 사이의 관계가 멀어지는 결과를 낳았다.[19]

7·26 운동은 농촌 지역에서 점령지를 점차 넓혀가면서, 해당 지역 농민들에게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했다. 여기에는 초등 교육 및 문맹 퇴치 교육 실시, 병원 및 의료 서비스 설립, 유료 도로 유지 보수, 강도로부터의 보호, 자체적인 법률 및 법령 제정 등이 포함되었다. 그 대가로 7·26 운동은 통제 하에 있는 농민들에게 세금을 부과했으며, 탈세뿐만 아니라 강도질, 마리화나 재배·소지·사용, 투계와 같은 범죄에 대해서는 징역형이나 벌금을 부과하며 질서를 유지했다.[19][20]

카스트로는 반군 통제 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료 조직을 설립했다. 1958년 8월 3일에는 오리엔테 주를 감독하기 위한 농업국이 만들어졌고, 이어 1958년 9월에는 시에라 마에스트라 지역을 관리하는 테리토리오스 리베라도스 행정청(ACTL)이 설립되었다.[19]

3. 2. 도시 활동

1955년, 카스트로는 프랭크 파이스를 오리엔테 주의 행동 책임자로 임명했다. 이는 파이스가 자신의 조직인 오리엔테 혁명 행동(ARO)을 7·26 운동(M-26-7)과 통합한 후의 일이었다.[21] 파이스는 M-26-7의 도시 지하 조직을 이끌면서 전국 지도부 아래에서 활동을 집중시켰고, 조직의 본부를 아바나에서 산티아고로 옮겼다. 그는 조직, 노동자 지원, 중산층 시민 저항, 파괴 활동, 도시 민병대, 선전, 자금 모금을 위한 재무부 등 6개 부서를 만들어 조직을 체계화했다.[22]

파이스는 1956년 11월 30일 산티아고 데 쿠바에서 무장 봉기를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카스트로와 살아남은 게릴라들이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에서 재정비하는 동안, 도시 지하 조직은 이들에게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의약품, 무기, 탄약, 식량, 장비, 의류, 자금뿐만 아니라 선전물 제작과 국내외 홍보까지 도시 조직에 의존했다.[23] 또한, 도시 지하 조직은 미국에 있는 쿠바 망명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자 파업을 조직하고 애국 클럽을 결성하여 무기와 탄약 구매 자금을 마련했다.[24]

M-26-7은 인민사회당(PSP), 학생혁명위원회(DRE), 오르가니사시온 아우텐티카(OA) 등 다른 도시 기반의 반 바티스타 단체들과 협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7년 5월경, DRE와 OA의 주요 인물들이 대거 체포되거나 살해당하고, PSP가 과거 바티스타 정권과 협력했던 전력 때문에 M-26-7이 도시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 바티스타 세력으로 부상했다.[25]

1957년 7월, 프랭크 파이스가 산티아고 경찰에게 암살당하자 도시에서는 대규모 시위와 노동자 파업이 일어났다. 이 저항은 쿠바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1957년 8월 5일에는 전국적인 총파업으로 이어졌다.[26] 이 파업은 제한적인 성공에 그쳤지만, M-26-7은 파업의 빠른 확산 속도와 대중적 지지를 통해 미래의 전국 파업이 바티스타 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1958년 4월 9일에 시도된 다음 전국 파업은 실패했다. 바티스타 군대가 미리 대비하고 있었고, 파업 시점에 대해 M-26-7과 노동 단체 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많은 M-26-7 회원들이 혼란 속에서 무장 봉기를 시도하다가 경찰 및 군대와의 교전으로 목숨을 잃었다.[27]

3. 3. 군사 작전

1958년 2월, M-26-7 게릴라군은 병력을 400명으로 늘렸다.[11] 이에 비해 바티스타 정권의 군대는 50,000명에 달했지만, 게릴라군에 맞서 한 번에 투입할 수 있는 병력은 10,000명에 불과했다.

바티스타 정권은 1958년 4월부터 8월까지 시에라 마에스트라에 은신한 게릴라군을 소탕하기 위해 공군과 육군의 지원을 받아 10,000명의 병력을 투입하는 대규모 공세를 펼쳤으나, 이 작전은 결정적인 실패로 끝나 분쟁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12]

결국 2년간의 전쟁 끝에 반군은 바티스타 군대를 격파했다. 바티스타는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도주했으며, 반군은 1959년 1월 1일 쿠바의 정권을 장악했다. 당시 게릴라군의 규모는 약 20,000명에서 30,000명으로 증가했으며, 전쟁 기간 동안 1,000명에서 2,500명 사이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M-26-7의 전략에서 파괴 공작과 선전 활동은 도시와 농촌 작전 지역 모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바티스타 정권의 공공 질서와 경제 질서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위기감을 조성하는 데 사용되었다.[13] 농촌 지역에서는 게릴라군이 사탕수수 밭과 정유 공장에 불을 지르고, 다리와 기차 운행을 방해했으며, 바티스타 군을 공격했다. 반면 도시 지역에서는 M-26-7 조직원들이 전화선을 끊고, 파업을 조직했으며, 공인을 납치하고, 정부 건물을 폭격하고, 정부 관리를 암살했다.[14]

M-26-7은 자신들의 행위가 갖는 폭력성을 긍정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선전 활동을 펼쳤다. 주목할 만한 활동으로는 1958년 2월 24일부터 라디오 레벨데 방송을 시작한 것과, 뉴욕 타임스의 전쟁 특파원 허버트 매튜스, 미국 군사 정보 요원 앤드루 세인트 조지와 같은 외국 기자와 리포터들을 초청한 것이 있다.[15][16] 국내 및 국제적인 선전 활동은 모두 M-26-7의 목표와 정책을 대중에게 알리고, 게릴라 전사들의 삶과 업적을 미화하여 운동에 대한 동정심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17]

3. 4. 정치 및 선전 활동

파괴 공작과 선전 활동은 M-26-7 전략의 핵심 요소였다. 이는 도시와 농촌 지역 모두에서 바티스타 정권의 공공 질서와 경제 기반을 흔들고 사회적 위기감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13] 농촌 지역의 게릴라군은 사탕수수 밭과 정유 공장에 불을 지르고, 다리와 기찻길을 막았으며, 바티스타 군대를 직접 공격했다. 도시 지역의 M-26-7 조직원들은 전화선을 끊고, 노동자 파업을 조직했으며, 공인을 납치하거나 정부 건물을 폭격하고 정부 관리를 암살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14]

M-26-7은 이러한 활동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적극적인 선전 활동을 펼쳤다. 대표적인 예로는 1958년 2월 24일부터 시작된 라디오 레벨데 방송이 있다. 또한, 뉴욕 타임스의 전쟁 특파원 허버트 매튜스나 미국 군사 정보 요원 앤드루 세인트 조지와 같은 외국 언론인 및 정보원을 초청하여 국제적인 관심을 유도했다.[15][16] 이러한 국내외 선전 활동은 M-26-7의 목표와 정책을 알리고, 게릴라 전사들의 활동과 삶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여 운동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17]

1955년, 피델 카스트로는 프랭크 파이스가 이끌던 조직 '오리엔테 혁명 행동'(ARO)이 M-26-7과 통합된 후, 파이스를 오리엔테 주의 행동 책임자로 임명했다.[21] 파이스는 M-26-7 도시 지하 조직의 수장으로서 활동을 체계화하고, 운동의 중심지를 아바나에서 산티아고 데 쿠바로 옮겼다. 그는 조직, 노동자 지원, 중산층 시민 저항, 파괴 활동, 도시 민병대, 선전, 그리고 자금 모금을 위한 재무부 등 6개의 부서를 만들어 조직을 운영했다.[22] 파이스는 1956년 11월 30일 산티아고 데 쿠바에서 무장 봉기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카스트로와 생존자들이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에서 재정비하는 동안, 게릴라 부대는 의약품, 무기, 탄약, 식량, 장비, 의류, 자금 지원과 선전물 제작, 국내외 홍보 등 여러 면에서 도시 조직의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23] 도시 지하 조직은 미국에 있는 쿠바 망명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자 파업을 조직하고 애국 클럽을 결성하여 무기와 탄약 구매 자금을 마련하기도 했다.[24]

M-26-7은 인민사회당(PSP), 학생혁명위원회(DRE), 오르가니사시온 아우텐티카(OA) 등 다른 도시 기반 반(反)바티스타 단체들과 협력하기도 했으나, 1957년 5월경 DRE와 OA 조직원 다수가 체포되거나 살해당하고, PSP가 바티스타 정권과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M-26-7은 도시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정부 세력으로 부상했다.[25]

1957년 7월, 프랭크 파이스가 산티아고 경찰에게 암살당하자 도시에서는 대규모 시위와 노동자 파업이 일어났고, 이는 곧 쿠바 전역으로 확산되어 1957년 8월 5일 전국적인 총파업으로 이어졌다.[26] 이 파업은 제한적인 성공에 그쳤지만, M-26-7은 파업의 빠른 확산 속도와 대중적 참여를 통해 향후 전국적인 파업이 바티스타 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1958년 4월 9일에 시도된 후속 전국 파업은 바티스타 군대의 철저한 대비와 M-26-7과 노동 단체 간의 소통 부족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많은 M-26-7 회원들이 무장 봉기를 시도하다 경찰 및 군대와의 충돌로 목숨을 잃었다.[27]

4. 혁명 이후

쿠바 혁명으로 바티스타 정권을 무너뜨리고 쿠바를 장악한 이후, 7·26 운동은 반(反)바티스타 세력, 자유주의자, 도시 노동자, 농민, 이상주의자 등 다양한 지지 세력을 기반으로 삼았다. 이 운동은 다른 혁명 조직들과 통합하여 쿠바 사회주의 혁명 통일당(Partido Unido de la Revolución Socialista de Cuba, PURSC)을 결성했으며, 이 당은 1965년 현재의 쿠바 공산당으로 발전했다.

7·26 운동의 상징인 깃발은 오늘날에도 쿠바 혁명군 군복 어깨에 부착되어 쿠바 혁명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4. 1. 쿠바의 사회주의화와 미국의 반응

쿠바를 장악한 이후, 7·26 운동은 다른 단체들과 합쳐 쿠바 사회주의 혁명 통일당을 결성했고, 이 당은 1965년 쿠바 공산당으로 발전했다. 쿠바는 바르샤바 조약을 맺은 동유럽 국가들을 모델로 삼아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사회주의 정부가 되었다. 쿠바가 엄격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을 채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미국 등 외부뿐 아니라 당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왔다.[28] 피델 카스트로 정부는 사유지를 몰수하고, 미국의 여러 기업 자회사를 포함한 수백 개의 민간 기업을 국유화했다. 또한 미국 제품에 높은 세금을 부과하여 미국의 대(對)쿠바 수출은 불과 2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다. 이에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식량과 의료 물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 대한 무역 제한 조치를 단행했다. 그 결과 쿠바는 소련과의 무역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미국은 쿠바와의 모든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이후 양국 관계는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해 왔다.[29] 1961년 4월,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훈련을 받은 쿠바 망명자와 반체제 인사들(일부는 과거 7·26 운동 지지자)로 구성된 부대가 카스트로가 혁명을 사회주의로 선언한 직후 쿠바를 상대로 실패한 피그스 만 침공을 감행했다. 침공 이후, 카스트로는 공식적으로 자신을 공산주의자라고 선언했다.

4. 2.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

7·26 운동이 바티스타 정권에 맞서 싸우는 동안 많은 가톨릭 학생들과 사제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30] 그러나 1959년 혁명 성공 이후, 운동과 가톨릭 교회 사이에는 분열이 발생했다. 교회는 카스트로 정부의 농지 개혁 프로그램에 저항했으며, 교회 구성원들은 카스트로가 소련공산주의 노선으로 기울고 있다고 보았다.[30]

전국 가톨릭 회의가 7·26 운동의 정책에 가톨릭적 가치가 부족하다고 항의한 후, 1959년 7월 17일 아바나 대성당 앞에서는 가톨릭 교회 대표들과 친(親)카스트로 시위대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이어 8월 12일, 카스트로는 로마 가톨릭교회 지도부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30]

1960년 1월 6일, 7·26 운동의 무장 세력은 쿠바 전역의 가톨릭 신학교, 교회, 학교 등을 점거하고 젊은 가톨릭 노동자(JOC)의 지도자들을 체포했다. 피그스 만 침공 사건 이후 갈등은 더욱 격화되어, 7·26 운동은 더 많은 교회를 폐쇄하고 1961년 4월 17일에는 다수의 사제와 주교를 구금했다. 결국 모든 사립 대학이 국유화되고 외국인 사제들이 추방된 후, 1961년 5월 1일 가톨릭 교회는 쿠바에서 사실상 추방되었다.[30]

5. 유산

1959년 이후 매년 7월 26일쿠바의 국경일로 기념되고 있다. 이날에는 몬카다 병영 공격과 바티스타 정권 타도에 기여한 7·26 운동의 역할을 기리기 위해 전국적으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35] 또한, 몬카다 병영 습격과 7·26 운동의 활동을 기념하는 박물관 세 곳이 1967년부터 1973년 사이에 산티아고, 빌라 블랑카, 몬카다에 각각 문을 열었다.[36]

7·26 운동의 깃발은 현재 쿠바군 군복 어깨에 부착되어 쿠바 혁명의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5. 1. 여성과 소수 민족의 역할

바티스타 정권과의 투쟁 기간 동안 7·26 운동은 바티스타 타도 이후 모든 쿠바인을 위한 통합 운동으로 자신들을 묘사했다. 특히 민주주의사회 정의, 여성과 아프리카계 쿠바 소수 민족의 권익 향상을 강조했다.[31] 당시 쿠바 노동력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불과했지만, 여성들은 선전물 제작, 시위, 피켓팅 등 다양한 역할로 혁명 기간 동안 7·26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2] 1958년 9월에는 마리아나 그라할레스가 7·26 운동의 여성 군사 조직으로 창설되기도 했다.[33] 혁명 이후, 7·26 운동이 주도한 혁명 정부는 여성들을 쿠바의 정치, 사회, 경제 생활에 통합시키고 매춘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쿠바 여성 연맹 (FMC)을 설립했다.[33]

카스트로와 7·26 운동은 인종 통합 역시 운동의 핵심 목표로 내세웠다. 바티스타 정권 붕괴 후, 7·26 운동은 공공장소의 인종 차별을 빠르게 철폐하고, 토지 재분배 및 정부 주도의 교육과 의료 서비스 개선 등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개혁을 시행했다.[34] 하지만 이러한 7·26 운동의 인종 정책은 한계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흑인 정치 조직을 억압하고, 인종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으며, 쿠바 내 인종 차별이 혁명으로 완전히 종식되었다고 주장하는 등 혁명 이전의 수사 방식을 답습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쿠바 사회에 여전히 편견과 차별적인 태도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평가였다.[34]

6. 주요 인물

구분인물
첫 번째 전국 지도부[37]페드로 셀레스티노 아귈레라
루이스 바레토 밀리안
피델 카스트로
아르만도 하트
멜바 에르난데스
안토니오 니코 로페스
후안 마누엘 마르케스
페드로 미레트 프리토
헤수스 몬타네
파우스티노 페레즈
아이데 산타마리아
호세 A. "페페" 수아레스
기타 정치 지도자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에피제니오 아메이에이라스
마누엘 아르티메
페드로 루이스 보이텔 아브라함
라울 카스트로
라울 치바스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오스마니 시엔푸에고스
카를로스 프랑키
체 게바라
레나토 기타르트
라울 마르티네스 아라라스
후베르 마토스
테오둘리오 미첼
아구스틴 나바레테 사르바보스
호수에 파이스
프랭크 파이스
호세 파르도 랴다
셀리아 산체스
아벨 산타마리아
라미로 발데스


참조

[1] 웹사이트 Trucks carry crowds celebrating the removal of dictator Fulgencio Batista and the arrival of Fidel Castro's 'July 26th Movement,' Havana, Cuba. https://www.gettyima[...] 2024-07-22
[2] 웹사이트 Κούβα, 1 Γενάρη 1959: Θριαμβικό Εμβατήριο του Αντάρτικου Στρατού https://www.katiousa[...] 2024-07-22
[3] 웹사이트 Cuban revolutionary leader Fidel Castro with soldiers of the Rebel Army en route for Havana. https://www.gettyima[...] 2024-07-22
[4] 웹사이트 Victory of the revolution on the 1st of January. Family members of the persecuted of the Batista Regime who took refuge are waiting for their return at Havana Airport. They're holding a flag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26.07' https://www.gettyima[...] 2024-07-22
[5] 웹사이트 26th of July Movement {{!}} Cuban history https://www.britanni[...] 2019-12-01
[6] 웹사이트 26th of July Movement {{!}} Cuban history https://www.britanni[...] 2021-09-20
[7] 뉴스 Cuba – The Republic of Cuba {{!}} history – geography https://www.britanni[...] 2016-11-22
[8] 서적 The Low-Carbon Contradiction: Energy Transition, Geopolitics, and the Infrastructural State in Cub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
[9] 서적 Che Guevara: A Revolutionary Life Grove Press
[10] 뉴스 26th of July Movement {{!}} Cuban history https://www.britanni[...] 2016-11-22
[11] 서적 Political Terrorism: A new guide to actors, authors, concepts, data bases, theories and literature Transaction Books
[12] 웹사이트 La Fuerza Aérea de Cuba contra la guerrilla de Fidel Castro • Rubén Urribarres http://www.urrib2000[...] 2019-11-21
[13] 문서 Sweig 2002, p. 120
[14] 문서 Sweig 2002, p. 100; Cushion 2016, p. 106
[15] 문서 Sweig 2002, p. 104
[16] 간행물 Searching for the Messiah: Staging Revolution in the Sierra Maestra, 1956–1959 2019
[17] 간행물 Searching for the Messiah: Staging Revolution in the Sierra Maestra, 1956–1959 2019
[18] 서적 Inside the Cuban Revolution: Fidel Castro and the urban underground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19] 간행물 Guerrillas, Peasants, and Communists: Agrarian Reform in Cuba's 1958 Liberated Territories https://muse.jhu.edu[...] 2019-10
[20] 간행물 Searching for the Messiah: Staging Revolution in the Sierra Maestra, 1956–1959 2019
[21] 서적 A Hidden History of the Cuban Revolution: How the Working Class Shaped the Guerillas' Victory New York University Press
[22] 문서 Sweig 2002, p. 15; Cushion 2016, p. 154
[23] 문서 Sweig 2002, p. 14; Cushion 2016, p. 125
[24] 문서 Sweig 2002, p. 17, 60
[25] 문서 Sweig 2002, p. 20
[26] 문서 Cushion 2016, p. 152-160
[27] 문서 Sweig 2002, p. 136; Cushion 2016, p. 161-172
[28] 문서 DeFronzo, James. ''Revolutions and Revolutionary Movements''. (University of Connecticut. 2007) pp. 207–08
[29] 뉴스 U.S.-Cuba Relations http://content.time.[...] 2009-04-15
[30] 간행물 The Catholic Church in Cuba:, 1959–1962: The Clash of Ideologies https://www.jstor.or[...] 2010
[31] 문서 Cushion 2016, p. 111
[32] 문서 Cushion 2016, p. 60-69
[33] 간행물 Women in Cuba: The Emancipatory Revolution http://www.jstor.org[...] 2016
[34] 간행물 Cuba Calls!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6-04-25
[35] 간행물 Representing the Revolution: Public History and the Moncada Barracks in Santiago de Cuba https://www.jstor.or[...] 2012
[36] 학술지 Representing the Revolution: Public History and the Moncada Barracks in Santiago de Cuba https://www.jstor.or[...] 2012
[37] 웹사이트 Librínsula: La Isla de los libros http://www.bnjm.cu/l[...] 2007-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