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85식 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5식 전차는 중화인민공화국과 파키스탄이 공동 개발한 주력 전차이다. 1980년대 파키스탄군이 보유한 전차의 성능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90년 양국 간의 기술 이전 및 공동 출자 계획에 따라 개발이 시작되었다. 85식 전차는 초기 80식 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85-I, 85-II, 85-IIA, 85-IIM, 85-IIAP, 85-III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85식 전차는 복합 장갑을 사용하고, 105mm 또는 125mm 활강포를 탑재하는 등, 당시 중국의 전차 기술력을 보여주는 모델로 평가받는다. 파키스탄에 300대 이상이 면허 생산되었으며, 파키스탄 육군에 배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의 군사 - 파키스탄군
    파키스탄군은 1947년 영국 인도군 무슬림 병력을 기반으로 창설되어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된 국가 군대이며, 인도와의 전쟁 및 여러 분쟁에 참여했고, 국내 군사 쿠데타, 미국, 중국과의 군사 협력, 핵무기 보유, 재난 구호 및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지역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59식 전차
    59식 전차는 1950년대 후반 소련의 T-54A 전차를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 및 생산되었으며, 100mm 강선포를 주포로 사용하고, 야간 투시 시스템과 수직 안정화 장치가 추가된 개량형도 존재하며, 69식, 79식, 80식 전차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62식 경전차
    62식 경전차는 중국이 59식 전차를 경량화하여 남중국 지역의 지형 조건에 맞춰 개발, 생산, 배치한 경전차로, 중월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개량형과 신형 포탑 탑재형이 개발되었고 2013년 초에 퇴역하여 15식 경전차로 대체되었다.
  • 주력전차 - M48 패튼
    M48 패튼은 M46 패튼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미국의 주력 전차로, 90mm 주포에서 105mm 주포로 개량되었고,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항속거리와 연비 효율성을 높였으며, 여러 파생형과 다양한 국가에서 운용 및 개량되어 여러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전차이다.
  • 주력전차 -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1은 서독에서 개발되어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105mm 주포를 장착한 주력전차로, NATO 회원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현재는 일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었다.
85식 전차
기본 정보
폭발 반응 장갑을 장착한 상태의 85-III식 전차
폭발 반응 장갑 (ERA)을 장착한 상태의 85-III식 전차
제원
명칭85식 전차
종류주력 전차
생산 기간1989년
생산량400+
승무원4명 (85-IIA식 전차 이후는 3명)
전체 길이10.28 m
차체 길이6.46 m
전폭3.45 m
전체 높이2.23 m
중량39.5 t
기동
현가 방식토션바 방식
속도57 km/h
행동 거리430 km
엔진 이름12150ZLBW
엔진 종류4스트로크 V형 12기통 수랭 디젤
출력730 hp
무장
주무장83식 51구경 105 mm 라이플포 또는 2A46 125mm 활강포 (85-IIA식 전차 이후)
부무장54식 12.7 mm 기관총 및 59식 7.62 mm 기관총
탑재량47 발
장전 방식수동 장전
방호
장갑주조 포탑 및 용접 강판 (일부 복합 장갑)
기타

2. 파키스탄과 공동 개발

1980년대 파키스탄은 인도소련의 위협에 직면하여 전차 전력 강화가 시급했다. 이에 미국에 M1 에이브람스 전차의 공급 및 라이선스 생산을 요청했으나, 기술 이전, 예산, 기반 시설 문제 등으로 무산되었다. 한편, 중국은 소련과의 갈등, 인도와의 국경 분쟁을 겪고 있었고, 파키스탄 역시 인도와 카슈미르 분쟁, 소련의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국과 파키스탄은 1986년부터 전차 공동 개발 협상을 시작, 1990년 5월에 전차 전력 현대화 및 자급 체제 구축을 위한 기술 이전, 공동 출자 등에 관한 종합 계획에 서명하여 85식 전차 개발이 시작되었다.

2. 1. 개발 과정

인도와 소비에트 연방이라는 공통의 적을 두고 있었던 중화인민공화국파키스탄의 군사 협력을 통하여 85식 전차의 공동 개발이 시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소련과 1960년대부터, 인도와는 국경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었다. 파키스탄 역시 인도와 카슈미르 지방을 두고 전쟁을 치렀으며, 당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던 상황이었다.

제3세대 전차가 50~60t급이 주류였던 반면, 공동 개발되는 신형 전차는 42t을 상한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는 중국 국내의 기반 시설 뿐만 아니라, 주요 수출 대상국이었던 제3세계 국가들의 기반 시설 여건을 고려하여 운용 가능한 한계 중량으로 산출된 결과였다.

최초의 시제 차량은 80-II식 전차의 차체에 신형 용접 포탑을 탑재하여 제작되었으며, 주포, 사격 통제 장치, 엔진 등은 80식 전차 및 88식 전차의 부품을 활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포탑을 개량한 제2차 시제 차량이 개발되었고, '''폭풍 I형(Storm-I)'''으로 명명되었다. 폭풍 I형은 후에 '''85식 I형 전차(85-I식 전차)'''로 다시 명명되었으며, 이후 이 형식이 "85식 전차"로 통칭된다.

3. 주요 특징

85식 전차는 중국제 전차 최초로 동구권 전차의 특징이었던 밥그릇형 주조 포탑 대신 복합 장갑을 조합한 용접 포탑을 채택했다.

포탑과 차체 전면에는 복합 장갑이 장착되어 있으며, 모듈식 장갑 방식을 채용하여 피탄 시 장갑 교체 및 신형 복합 장갑 개발 시 개량이 용이하다. 85-III식 전차부터는 차체 전면에 ERA(폭발반응장갑)을 장착했다.

3. 1. 무장

프로토타입에서는 80식 전차와 동일한 NATO 표준 규격인 L7계 105mm 강선포에 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서멀 슬리브를 장착한 것을 탑재했으나, 인도군에 배치된 T-72 전차에 대항할 수 있도록 파키스탄으로부터 125mm 활강포 탑재 요청을 받아 85-IIA식 전차에 2A46 125mm 활강포와 카세토카 자동 장전 장치를 채용하여 '''85-IIAP식 전차'''로 수출되었다.

주포인 2A46 125mm 활강포는 APFSDS탄, HEAT탄, HE탄 등 각종 포탄을 발사할 수 있으며, 포구 초속 1,730m/sec, 유효 사거리는 약 2,000m이다. 사격 통제 시스템은 ISFCS-212 사격 통제 시스템을 채용하여, 행진 간 사격이 가능하다. 1,600m 거리의 고정 목표에 6초 이내에 사격이 가능하고 명중률은 90% 이상이며, 1,200m 거리의 이동 목표에 대해서는 12초 이내에 사격이 가능하고 명중률 90%를 실증했다. 하지만 포신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기능이 낮은 것으로 보여, 행진 간 사격 능력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4. 85식 전차 계열

85식 전차는 초기 생산형과 6개의 주요 개량형이 있다.


  • 85식 전차 (프로토타입)
  • 85-I식 (폭풍 I형/Storm-I)
  • 85-II식 (폭풍 II형/Storm-II/WZ-1227F2)
  • 85-IIA식 (WZ-1228)
  • 85-IIM식
  • 85-IIAP식
  • 85-III식

4. 1. 85식 전차 (프로토타입)

박물관에 보관되었던 80-II식 전차 차체에 105mm 라이플포와 신형 포탑을 장착하여 제작된 프로토타입이다. 각종 시험 운용 후 주포는 제거되었고 다시 박물관에 보관되었다.

4. 2. 85-I식 (폭풍 I형/Storm-I)

85-I식 전차(풍폭 I형/Storm-I)는 포탑 높이를 낮춘 8각형 용접 포탑을 탑재한 형식이다. 주포에는 열에 의한 휨을 방지하는 서멀 슬리브가 장착되었다. 포탑 전면에는 복합 장갑이 장착되었으며, 800마력 VR-36 수냉 디젤 엔진을 채택하여 연비 효율을 높이고 항속 거리를 600km까지 늘렸다.

4. 3. 85-II식 (폭풍 II형/Storm-II/WZ-1227F2)

1989년 두바이 국제무기 견본시장에서 공개된 85-I식 전차의 개량형이다. 사격 통제 시스템(FCS)이 개선되어 레이저 거리 측정기, 온보드 컴퓨터, 풍속 측정 센서 등이 추가 탑재되었다. T-72를 바탕으로 개발한 자동 장전 장치를 시험 도입했으며, 엔진 출력도 720마력에서 800마력으로 강화되었다.

4. 4. 85-IIA식 (WZ-1228)

파키스탄의 요청을 바탕으로 구 소련제 2A46|2A46ru 125mm 활강포와 카세토카 자동 장전 장치를 탑재한 형식이다. 장전수가 없어지고 승무원은 4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Type 85-IIM 125mm 활강포

4. 5. 85-IIM식

FCS (사격 통제 시스템)을 강화하고 야간 투시 장치를 탑재한 형식이다. 파키스탄 수출용으로 개발되었다.

4. 6. 85-IIAP식

85-IIA식 전차의 간이형으로, 파키스탄에서 300대 이상 면허 생산되었다. 이후 85-III식 전차 수준으로 개량되었다. 125mm 포용 자동장전장치는 구 소련제 2A46 라피라 125mm 전차포에 기초했다.

4. 7. 85-III식

85-II식 전차의 개량형으로, 시제 차량만 존재한다. 소련T-72의 영향을 받아 차체 등을 소형화하여 장갑 방어력을 향상시켰다.85-III式坦克|85-III식 전차중국어

엔진은 중국에서 자체 개발한 165형 V형 8기통 수냉 디젤 엔진 또는 150형 V형 12기통 수냉 디젤 엔진(1,000마력)을 탑재하여 최고 속도가 65km/h로 향상되었다. 파워팩 방식을 채택하여 80식 전차에서 약 8시간이 소요되었던 엔진 교환을 40분 정도로 단축했다.

파키스탄 수출을 시도했으나, 사막 및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잦은 고장을 일으켜 시험 운용에 실패했다. 결국 우크라이나T-80 발전형인 T-84 전차가 채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