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91년은 당나라, 일본, 발해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궁예가 처음으로 일어나 도적에 투신한 사건, 아프리카 이슬람교 이드리시 왕조의 멸망, 잉글랜드 알프레드 대왕의 옥스퍼드 점령 등이 있다. 유럽에서는 스폴레토의 가이 3세가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하고 뢰벤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슬람 세계에서는 우마이야 코르도바 토후국이 반군을 격파하고 알무와파크가 사망했다. 또한 후지와라노 모토츠네, 교황 스테파노 5세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사건
3. 1. 지역별
891년에는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났다. 주요 사건들을 지역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1. 1. 아시아
- 2월 25일 - 일본의 정치가 후지와라노 모토쓰네가 사망했다. 그는 생전에 요제이 천황을 퇴위시키고 후지와라 씨의 수장이 되었다.[1]
- 간지: 신해
- 일본
- 간표 3년
- 황기 1551년
- 중국
- 당: 대순 2년
- 중국 주변
- 발해: 대현석 21년
- 남조: 사야 3년
- 조선
- 신라: 진성여왕 5년
- 단기 3224년
- 5월 - 여러 관청의 왕신가(王臣家)의 사자가 공조(貢調) 군수로부터 관사물을 징수하는 것을 금지한다.
- 8월 - 부동산 곡물 지출의 사용 유물을 반납하게 한다.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구로도노토로 임명한다.
3. 1. 2. 유럽
- 2월 21일 - 스폴레토 공작 가이 3세가 교황 스테파노 5세에 의해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의 아들 람베르트는 롬바르디아의 수도 파비아에서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포되었다.[1]
- 여름 - 베네벤토의 롬바르드 공작 우르소는 비잔틴 제국이 베네벤토를 점령한 후 폐위되었다. 베네벤토는 롱고바르디아의 ''테마''의 수도가 되었다.
- 뢰벤 전투 - 오늘날 벨기에의 딜레 강 근처 뢰벤에서 바이킹 약탈자들이 프랑크 왕이 이끄는 프랑크 군대에 의해 참패를 겪었다.
3. 1. 3. 이슬람 세계
-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 알우마위가 이끄는 우마이야 코르도바 토후국의 무슬림 군대는 알 안달루스(오늘날의 스페인) 폴레이에서 반군 지도자 우마르 이븐 하프순을 격파했다.[1]
- 6월 2일 – 알무와파크 아바스 왕자이자 총사령관이 바그다드 수도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 알무타디드가 섭정으로 인정받고, 아바스 칼리파조의 두 번째 상속자가 되었다.
3. 2. 주제별
(내용 없음)3. 2. 1. 종교
9월 14일 – 교황 스테파노 5세가 6년의 재위 기간을 마치고 사망했다. 전 추기경 주교였던 포르투스의 포르모소가 제111대 교황으로 즉위하며 그의 뒤를 이었다.[1]4. 탄생
5. 사망
- 2월 25일 – 후지와라노 모토츠네, 일본의 섭정 (836년 출생)[1]
- 6월 2일 – 알무와파크, 아바스 왕자이자 섭정 (842년 출생)
- 6월 25일 – 젠더올트, 마인츠 대주교
- 9월 14일 – 스테파노 5세, 가톨릭 교회의 교황
- 10월 21일 - 신젠, 헤이안 시대의 진언종 승려 (804년 출생)
- 10월 23일 – 야자만 알카딤, 아바스 에미르
- 베르나르, 뚱보 샤를의 서자 (또는 892년)
- 천연, 중국의 군벌이자 지사
- 엔친, 일본의 승려 (814년 출생)[1]
- 구옌랑, 중국의 군벌이자 지사
- 이스마일 이븐 불불, 아바스 관료이자 재상
- 무티미르, 세르비아 공국의 통치자
- 왕휘, 당나라의 재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