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 U-17 여자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다. 2005년 대한민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07년부터 2019년까지는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으로 진행되었다가, 202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6년부터는 FIFA U-17 여자 월드컵의 개최 주기 변경에 맞춰 매년 개최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 남해군에서 개최되어 일본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 U-17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7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2007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어 대한민국, 북한,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6개국이 참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으며 상위 3개 팀은 2008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 FIFA U-17 여자 월드컵 -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아제르바이잔에서 개최되어 프랑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16개국이 참가하여 바쿠와 렌케란에서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 경기를 치렀다. - FIFA U-17 여자 월드컵 - 2008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2008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뉴질랜드에서 처음 개최된 대회로, 16개국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다. - 200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SUPER GT
SUPER GT는 전일본 그룹 C 스포츠 자동차 챔피언십의 후속으로 시작된 일본의 스포츠카 레이스 시리즈로, 운영 비용 문제 해결을 위해 엔진 출력 제한과 중량 페널티를 도입, GT500과 GT300 두 클래스로 운영되며, FIA 규정으로 명칭 변경 후 국제적인 협력과 독자적인 기술 규정을 유지하며 드라이버 및 팀 챔피언십을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 200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GP2 시리즈
GP2 시리즈는 2005년에 시작되어 F1 등용문 역할을 했으며, 루이스 해밀턴과 같은 챔피언을 배출했으나, 문제점으로 인해 2017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AFC U-17 여자 아시안컵 | |
---|---|
기본 정보 | |
주최 | AFC |
지역 | 아시아 |
참가 팀 수 | 12 |
현재 챔피언 | (4번째 우승) |
최다 우승 팀 | (각 4회 우승) |
현재 시즌 | 2024 AFC U-17 여자 아시안컵 |
![]() |
2. 역대 대회
wikitext
회차 | 년도 | 개최국 | 결승전 | 3·4위전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1 | 2005년 | 대한민국 | 일본 | 1–1 (승부차기 3–1) | 중국 | 태국 | 2–1 | 대한민국 |
2 | 2007년 | 말레이시아 | 북한 | 3–0 | 일본 | 대한민국 | 1–1 (승부차기 4–2) | 중국 |
3 | 2009년 | 태국 | 대한민국 | 4–0 | 북한 | 일본 | 6–2 | 오스트레일리아 |
4 | 2011년 | 중국 | 일본 | 리그전 | 북한 | 중국 | 리그전 | 대한민국 |
5 | 2013년 | 중국 | 일본 | 1–1 (승부차기 6–5) | 북한 | 중국 | 2–2 (승부차기 4–2) | 태국 |
6 | 2015년 | 중국 | 북한 | 1–0 | 일본 | 중국 | 8–0 | 태국 |
7 | 2017년 | 태국 | 북한 | 2–0 | 대한민국 | 일본 | 1–0 | 중국 |
8 | 2019년 | 태국 | 일본 | 2–1 | 북한 | 중국 | 2–1 | 오스트레일리아 |
— | 2022년 | 인도네시아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하여 취소 | |||||
9 | 2024년 | 인도네시아 | 북한 | 1–0 | 일본 | 대한민국 | 2–1 | 중국 |
2. 1. 대회 결과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이 대한민국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여자 축구의 중요한 대회로 자리매김했다. 2007년부터 2019년까지는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진행되었으며, 2022년부터 다시 AFC U-17 여자 아시안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회차 | 년도 | 개최국 | 결승전 | 3·4위전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1 | 2005년 | 대한민국 | 일본 | 1–1 (승부차기 3–1) | 중국 | 태국 | 2–1 | 대한민국 |
2 | 2007년 | 말레이시아 | 북한 | 3–0 | 일본 | 대한민국 | 1–1 (승부차기 4–2) | 중국 |
3 | 2009년 | 태국 | 대한민국 | 4–0 | 북한 | 일본 | 6–2 | 오스트레일리아 |
4 | 2011년 | 중국 | 일본 | 리그전 | 북한 | 중국 | 리그전 | 대한민국 |
5 | 2013년 | 중국 | 일본 | 1–1 (승부차기 6–5) | 북한 | 중국 | 2–2 (승부차기 4–2) | 태국 |
6 | 2015년 | 중국 | 북한 | 1–0 | 일본 | 중국 | 8–0 | 태국 |
7 | 2017년 | 태국 | 북한 | 2–0 | 대한민국 | 일본 | 1–0 | 중국 |
8 | 2019년 | 태국 | 일본 | 2–1 | 북한 | 중국 | 2–1 | 오스트레일리아 |
— | 2022년 | 인도네시아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하여 취소[8] | |||||
9 | 2024년 | 인도네시아 | 북한 | 1–0 | 일본 | 대한민국 | 2–1 | 중국 |
대회 결과,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0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2. 2. 국가별 성적
2024년 대회까지 총 9번의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이 개최되었으며, 총 6개국이 4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북한과 일본이 각각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이 1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회수 | 국가 | 연도 |
---|---|---|
4회 | 일본 | 2005, 2011, 2013, 2019 |
북한 | 2007, 2015, 2017, 2024 | |
1회 | 대한민국 | 2009 |
;범례
- – 우승
- – 준우승
- – 3위
- – 4위
대회 참가 횟수, 경기 수, 승무패, 득실점, 승점 등 상세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참가 횟수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일본(일본) | 9 | 43 | 32 | 5 | 6 | 220 | 22 | +198 | 101 |
2 |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8 | 38 | 31 | 3 | 4 | 145 | 20 | +120 | 96 |
3 | 중국(중화인민공화국) | 9 | 40 | 19 | 7 | 14 | 135 | 46 | +89 | 64 |
4 | 대한민국(한국) | 9 | 37 | 16 | 9 | 12 | 103 | 54 | +49 | 57 |
5 | 태국(태국) | 9 | 33 | 10 | 2 | 21 | 48 | 133 | −85 | 32 |
6 |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 6 | 25 | 7 | 3 | 15 | 46 | 57 | −11 | 24 |
7 | 중화 타이베이(타이완) | 4 | 10 | 2 | 0 | 8 | 9 | 62 | −53 | 6 |
8 | 필리핀(필리핀) | 1 | 3 | 1 | 1 | 1 | 7 | 8 | -1 | 4 |
9 |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 | 2 | 5 | 1 | 1 | 3 | 3 | 11 | −8 | 4 |
10 | 홍콩(홍콩) | 1 | 3 | 1 | 1 | 1 | 3 | 24 | −21 | 4 |
11 | 괌(괌) | 2 | 5 | 1 | 1 | 3 | 1 | 39 | −38 | 4 |
12 | 인도(인도) | 1 | 3 | 1 | 0 | 2 | 10 | 13 | −3 | 3 |
13 | 이란(이란 이슬람 공화국) | 2 | 5 | 1 | 0 | 4 | 2 | 22 | −20 | 3 |
14 | 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 3 | 9 | 0 | 1 | 8 | 6 | 55 | −49 | 1 |
15 | 요르단(요르단) | 1 | 2 | 0 | 0 | 2 | 1 | 8 | −7 | 0 |
16 | 베트남(베트남) | 1 | 3 | 0 | 0 | 3 | 0 | 14 | −14 | 0 |
17 | 미얀마(미얀마) | 1 | 3 | 0 | 0 | 3 | 2 | 19 | −17 | 0 |
18 | 라오스(라오스 인민민주주의공화국) | 1 | 3 | 0 | 0 | 3 | 0 | 17 | −17 | 0 |
19 | 바레인(바레인) | 1 | 2 | 0 | 0 | 2 | 0 | 25 | −25 | 0 |
20 | 싱가포르(싱가포르) | 1 | 3 | 0 | 0 | 3 | 0 | 34 | −34 | 0 |
21 |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 2 | 6 | 0 | 0 | 6 | 1 | 59 | −58 | 0 |
2. 3. 수상
wikitable대회 | 최우수 선수 | 득점왕 | 득점 수 | 페어플레이상 |
---|---|---|---|---|
2005 | 하라 나츠코/하라 나츠코일본어 | 하라 나츠코/하라 나츠코일본어 | 12 | 수상 없음 |
2007 | 윤현희/윤현희한국어 | 윤현희/윤현희한국어 | 7 | |
2009 | 김다혜/김다혜한국어 | 여민지/여민지한국어 | 10 | |
2011 | 나루미야 유이/나루미야 유이일본어 | 리은심/리은심한국어 | 9 | |
2013 | 스기타 히나/스기타 히나일본어 | 고바야시 리카코/고바야시 리카코일본어 | 7 | |
2015 | 리혜연/리혜연한국어 | 왕옌원/왕옌원중국어 | 6 | |
2017 | 김경롱/김경롱한국어 | 김경롱/김경롱한국어 | 9 | |
2019 | 니시오 하논/니시오 하논일본어 | 하마노 마이카/하마노 마이카일본어 | 5 | |
2024 | 신조 미하루/신조 미하루일본어 | 전일총/전일총한국어 | 6 |
3. 참가국 기록
4. FIFA U-17 여자 월드컵 기록
팀 2008
(16)2010
(16)2012
(16)2014
(16)2016
(16)2018
(16)2022
(16)2024
(16)2025
(24)총계 중국 GS GS GS q 4 인도 GS 1 일본 QF 2nd QF 1st 2nd QF QF QF q 9 요르단 GS 1 북한 1st 4th 2nd GS 1st QF 1st q 8 대한민국 QF 1st GS GS q 5
각 대회의 개최국 국기와 결승전 진출 팀 수(괄호 안)가 표시되어 있다.
5. 대회 형식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2005년에 17세 이하 대회로 처음 개최되었다. 초대 대회에는 11개 팀만 참가하여 예선은 없었다.[4] 2007년에는 16세 이하 대회로 변경되었고, 8개 팀이 참가했다.[5] 2009년에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처음으로 예선 라운드가 열렸다.[6] 2011년 대회는 두 번의 예선 라운드가 있었다. 여기서 결승전에 진출할 5개의 시드 팀과 최종 6번째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13개 팀이 추가로 참가했다.
2026년부터는 FIFA U-17 여자 월드컵이 매년 개최되는 것과 같이 이 대회도 매년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참가 팀 수가 8개 팀에서 12개 팀으로 확대된다.[7] AFC는 국제축구연맹(FIFA)이 FIFA U-17 여자 월드컵을 격년 개최에서 매년 개최로 이행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예선인 본 대회도 2026년부터 매년 개최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11] 단, 2025년은 준비 기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난 3개 대회의 U-17 아시아컵 성적을 참고하여 선발한다.[12]
참조
[1]
웹사이트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approves AFC Women's Club Championship
https://www.the-afc.[...]
AFC
2019-09-27
[2]
웹사이트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approves AFC Women's Club Championship
https://www.the-afc.[...]
AFC
2019-09-27
[3]
웹사이트
AFC rebrands age group championships to AFC Asian Cups
https://www.the-afc.[...]
AFC
2020-10-02
[4]
웹사이트
Asian Women U-17 Championship 2005
https://www.rsssf.or[...]
RSSSF
2005-00-00
[5]
웹사이트
Asian Women U-16 Championship 2007
https://www.rsssf.or[...]
RSSSF
2007-00-00
[6]
웹사이트
Asian Women U-16 Championship 2009
https://www.rsssf.or[...]
RSSSF
2009-00-00
[7]
웹사이트
AFC unveils breakthrough reforms to strengthen Women’s National Team Competitions
https://www.the-afc.[...]
2024-09-13
[8]
웹사이트
Latest update on the AFC National Team Competitions in 2021 and 2022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1-07-05
[9]
웹사이트
AFC rebrands age group championships to AFC Asian Cups
https://www.the-afc.[...]
AFC
[10]
웹사이트
AFC Women’s Football Committee approves AFC Women’s Club Championship
https://www.the-afc.[...]
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19-09-27
[11]
웹사이트
Pivotal reforms approved by AFC Competitions Committee
https://www.the-afc.[...]
AFC
[12]
웹사이트
AFC unveils breakthrough reforms to strengthen Women’s National Team Competitions
https://www.the-afc.[...]
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24-09-13
[13]
웹사이트
Women's U-16, U-19 finals, Olym qual. R2 details out
http://www.the-afc.c[...]
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11-04-11
[14]
웹사이트
Nanjing to host AFC U-16 Women’s Championship
http://www.the-afc.c[...]
AFC.com
2012-11-26
[15]
웹사이트
Latest update on the AFC National Team Competitions in 2021 and 2022
https://www.the-afc.[...]
the-AFC.com
2021-07-05
[16]
뉴스
AFC rebrands age group championships to AFC Asian Cups
https://www.the-afc.[...]
2020-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