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W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HWR(Advanced Heavy Water Reactor)은 1980년대 초부터 인도가 자체 개발을 추진해 온 토륨을 연료로 사용하는 진보된 중수로형 원자로이다. 토륨 연료 주기의 장점을 활용하고 인도의 풍부한 토륨 매장량을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피동 안전 계통, 다중 차단 시스템, 페일세이프 설계를 통해 안전성을 극대화했다. 300 MWth의 열출력을 가지며, 핵분열 생성물의 독성을 감소시키고 핵연료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특징을 갖는다. 인도 정부는 AHWR 건설을 통해 원자력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안전성, 경제성, 핵확산 위험, 환경 영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란과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바바 원자력 연구소(BARC)는 첨단 중수로 설계 및 개발을 위해 재료 기술, 주요 부품, 원자로 물리학, 안전 분석 등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원자로 실험 시설들을 설치했다.[4] AHWR은 압력관형 중수로이다. 인도 정부 원자력부(DAE)는 첨단 중수형 원자로의 미래 개발, 현재 개발 및 설계를 전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새로운 버전은 보다 일반적인 안전 요구 사항을 갖출 것이다. 인도는 대규모 토륨 매장량을 보유하여 AHWR의 지속적인 사용 및 운영에 적합하다.[5]
인도는 대규모 토륨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는 첨단 중수형 원자로(AHWR) 개발에 유리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5] 토륨은 지구 지각에 우라늄보다 3배 더 풍부하며, 특히 인도는 세계 최대의 토륨 매장량을 자랑한다.[6]
AHWR은 인도 바바 원자력 연구소(BARC)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중수로이다. 상업 발전을 위해 토륨 연료 주기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연 순환 하에서 비등 경수로 냉각 방식을 채택한 수직 압력관형 원자로이다.
AHWR은 핵연료 주기를 닫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방사능 독성을 줄인다. 다양한 핵연료 주기가 가능하여 대체 핵연료 옵션을 갖추고 있으며, 닫힌 방식과 1회 통과 방식(핵연료 직접 처분)의 핵연료 주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AHWR의 전반적인 특징은 토륨 기반 핵연료를 사용하여 높은 연소율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BARC, 2013). 원자로에서 회수된 재활용 토륨은 다시 투입되고, 플루토늄은 고속 증식로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된다.[4]
AHWR의 제안된 설계는 차세대 PHWR 유형의 중수 감속 원자력 발전소이다. 이 원자로는 인도 뭄바이에 있는 바바 원자력 연구 센터(BARC)에서 개발 중이며 상업 발전을 위해 토륨 연료 주기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HWR은 자연 순환 하에서 비등 경수로 냉각 방식의 수직 압력관형 원자로이다.[7]
2013년 인도 정부는 300 MWe 규모의 AHWR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9] 2017년 현재 설계는 검증의 마지막 단계에 있었다.[10] 인도 정부는 2013년 8월 29일, 건설 장소는 미정이나 출력 300MW의 개량형 중수로를 건설할 방침을 발표했으나,[22] 2015년 말 시점에서는 건설 장소가 발표되지 않았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같은 과거의 핵연료 용융 사고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유지 관리 개선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사고들은 원자로 구조의 취약성과 관련이 있었으며, 그 이후 국제 원자력 기구는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원자력 시설의 안전 프로토콜을 강화했다. 핵연료 용융에 대한 주요 안전 조치 중 하나는 방사능의 원자로 누출을 차단하는 것이다. 심층 방어는 방사성 물질의 효과적인 격리를 위해 핵 시설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AHWR은 방사능을 핵연료 내부에 유지하기 위한 규정과 장비를 갖춘 원자로에 적용되는 심층 방어 프로세스를 확립했다.[4]
토륨은 지구 지각에 우라늄보다 3배 더 풍부하지만, 경제적으로 채산성이 있는 매장량은 상대적으로 적다. 인도가 세계 최대 토륨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6] 희토류 원소를 추출하는 광산의 광미에도 많은 양의 토륨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모나자이트가 일반적으로 희토류 원소와 토륨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토륨 수요가 낮아 광미는 화학적(토륨은 독성 중금속) 및 방사성 문제를 야기하는데, 핵발전소에서 토륨을 사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천연 우라늄은 0.72%의 핵분열성 를 포함하지만, 토륨은 거의 전적으로 열중성자를 사용하여 핵분열성 으로 핵 변환될 수 있는 비옥한 로 구성된다. 이는 고속 증식로 없이 원래 물질의 더 많은 부분을 사용하고, 마이너 악티나이드 생성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토륨 자체는 핵분열성이 없으므로, 먼저 핵분열성 물질을 "생성"해야 하며, 을 "생성"한 원자로에서 사용하거나 별도의 "연소기" 원자로에서 사용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분리해야 한다.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dae.nic.in/wr[...]
2014-03-31
2. 역사적 배경
3. 개발 동기
토륨은 모나자이트에서 희토류 원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미(광산 찌꺼기)에도 다량 포함되어 있다.[6] 이 광미는 화학적 독성(토륨은 독성 중금속)과 방사성 문제를 야기하는데, 핵발전소에서 토륨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6]
천연 우라늄은 0.72%의 핵분열성 우라늄-235(uranium-235|우라늄-이삼오영어)를 포함하는 반면, 토륨은 거의 전적으로 비옥한 thorium-232|토륨-이삼이영어로 구성되어 있다. thorium-232|토륨-이삼이영어는 열중성자를 흡수하여 핵분열성 우라늄-233(uranium-233|우라늄-이삼삼영어)으로 핵 변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속 증식로 없이도 원래 물질의 더 많은 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너 악티나이드 생성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6]
토륨은 지각에서의 존재도가 우라늄보다 높아 자원 고갈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19] 현재 토륨의 산지나 확인 매장량은 제한적이지만, 이는 토륨 수요가 적어 자원 탐사가 활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도는 국내에 대규모 모나즈석 광상이 존재하여 토륨 자원이 풍부하며, 이는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도는 개량형 중수형 원자로 개발과 토륨 연료 주기 실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천연 토륨은 거의 100% 토륨 232이므로, 우라늄과 달리 동위원소 분리 농축이 불필요하다는 장점도 있다.
4. 설계 특징
AHWR 설계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1차 격납 용기 상단에 위치한 대형 물 탱크인 중력 구동 수조(GDWP)이다. 이 저장조는 여러 가지 피동 안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AHWR은 가압 중수로(PHWR)와 유사하게 압력관과 칼란드리아 튜브를 사용하지만, AHWR의 튜브는 PHWR과 달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원자로 설계는 인도의 PHWR의 여러 입증된 긍정적인 특징과 함께 첨단 기술을 통합한다. 이러한 특징에는 압력관형 설계, 저압 감속재, 운전 중 연료 재장전, 다양한 고속 작동 차단 시스템, 원자로 노심 주변에 대형 저온 열 싱크의 가용성이 포함된다.
AHWR은 자연 순환을 통한 노심 열 제거, 연료에 비상 노심 냉각 시스템(ECCS) 물 직접 주입, 노심 잔열 제거를 위한 오버헤드 중력 구동 수조(GDWP)에 있는 대량의 붕산수 가용성과 같은 여러 피동 안전 기능을 통합한다. 비상 노심 냉각 시스템(ECCS) 주입 및 격납 냉각은 능동 시스템이나 작업자의 조작 없이 작동할 수 있다(SCRAM).[7]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4. 1. 노심 설계
AHWR의 노심은 전장 3.5m이며, 각 변 225mm의 정사각형 격자가 513개 설치되어 있다. 노심의 연소 영역은 방사상으로 3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노심 외주로 갈수록 연소 영역은 작아진다. 연료는 513개의 격자 중 452개에 장전되어 있으며, 나머지 37개의 격자에는 정지용 제어봉으로 구성된 셧다운 시스템 1이 수납되어 있다.[7] 반응도 제어를 위해 37개의 정지용 제어봉 중 24개가 할당되어 있으며, 8개는 흡수용 제어봉(absorber rod, AR), 8개는 조절용 제어봉(shim rod, SR), 8개는 미세 조정용 제어봉(regulating rod, RR)이다. 노심에서 발생한 열은 7MPa로 가압된 경수가 비등하여 제거된다.
원자로 물리는 토륨 연료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음의 보이드 계수를 가진다. 이는 PuO2-ThO2계와 ThO2-233UO2계의 서로 다른 MOX 연료봉을 같은 연료 집합체에 수납하고, 감속재로서 연료 집합체에 내장된 비정질 탄소와 중수를 80:20의 용적비로 사용하여 실현되었다. 이 노심 구성은 비정질 탄소계 중성자 반사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원자로 구조 자체를 변경하지 않고 매우 유연하게 구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실현 가능성이 높다.
4. 2. 안전 장치
AHWR은 심층 방어 개념을 채택하여 방사성 물질을 핵연료 내에 효과적으로 가두기 위한 여러 조치와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심층 방어 방식은 인적 오류 및 기계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4]레벨 목적 수단 레벨 1 비정상적인 작동 및 고장 방지 보수적인 설계 및 높은 품질의 건설 및 운전 레벨 2 비정상적인 작동 제어 및 고장 감지 제어, 제한 및 방호 계통, 기타 감시 기능 레벨 3 설계 기준 내 사고 제어 공학적 안전 시설 및 사고 시 절차 레벨 4 심각한 사고 진행 방지 및 결과 완화 보완적 수단 및 격납 용기 방호를 포함한 사고 관리 레벨 5 방사성 물질의 대량 방출로 인한 방사선학적 결과 완화 부지 외부 비상 대응
AHWR은 기존 경수로 원자로와 구별되는 안전 기능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강력한 안전 시스템, 내장된 냉각 시스템을 통한 핵연료의 열 감소, 다중 차단 시스템, 기술적 고장 시 시스템을 차단하는 독소를 포함하는 페일세이프 절차(FBR)가 포함된다.[4]
AHWR은 음의 반응도 계수, 낮은 출력 밀도, 핵연료 내 낮은 잉여 반응도, 내장된 재료 속성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열 축적 가능성을 줄인다.[11]
또한, AHWR은 자연 순환을 통한 노심 열 제거, 비상 노심 냉각 시스템(ECCS) 물을 연료에 직접 주입, 노심 잔열 제거를 위한 오버헤드 중력 구동 수조(GDWP)에 있는 대량의 붕산수 가용성 등 여러 피동 안전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비상 노심 냉각 시스템(ECCS) 주입 및 격납 냉각은 능동 시스템이나 작업자의 조작 없이 작동할 수 있다(SCRAM).
5. 핵연료 주기
AHWR은 원리상 핵 독을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 구성에서도 닫힌 핵연료 주기가 가능하다.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하여 회수한 토륨은 다시 AHWR에 투입되고, 플루토늄은 고속증식로에서 이용하기 위해 저장된다.[17]
인도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3단계 핵연료 주기는 다음과 같다.[21]단계 내용 제1단계 우라늄 연료를 국내에서 생산하고, 이를 사용하는 중수로를 건설하여 발전 및 플루토늄 생산. 캐나다로부터 CANDU 원자로 기술을 도입하여 달성되었으며, 발전용 원자로 기술과 플루토늄 재처리 기술 확립. 제2단계 얻어진 플루토늄을 사용하는 고속증식로를 건설하여 발전 및 플루토늄 증식을 수행함과 동시에, 고속증식로에 국산 토륨을 사용한 연료 블랑켓을 설치하여 중성자 조사를 통해 새로운 연료 물질인 우라늄-233을 생산. (현재 이 단계의 중간) 제3단계 우라늄-233을 사용하는 증식로(개량형 중수로(AHWR) 또는 가속기 구동 아임계로(ADS))를 건설하여 발전과 우라늄233의 생산을 진행하고, 토륨 연료 주기를 확립.
6. 기술 사양
원자로 설계는 인도의 가압 중수로 (PHWR)의 여러 입증된 긍정적인 특징과 함께 첨단 기술을 통합한다. AHWR은 여러 피동 안전 기능을 통합한다.[7]
원자로 물리학 설계는 약간의 음의 보이드 계수를 달성하여 토륨 기반 연료의 사용을 극대화하도록 조정되었다. PuO2-ThO2 MOX 및 ThO2-233UO2 MOX를 동일한 연료 집합체의 서로 다른 핀에 사용하고, 비정질 탄소 (연료 번들 내)와 중수를 80–20% 부피 비율로 구성된 이종 감속재를 사용함으로서 가능하게 되었다.[7]사양 AHWR-300[12][13][14] 열 출력 (MWth) 920 유효 전력 (MWe) 304 효율 (순 %) 33.1 냉각수 온도 (°C) 노심 냉각수 입구 259.5 노심 냉각수 출구 285 1차 냉각재 재료 비등 경수 2차 냉각재 재료 경수 감속재 재료 중수 원자로 작동 압력 (MPa(a)) 7 유효 노심 높이 (m) 3.5 평균 노심 출력 밀도 (MW/m3) 10.1 연료 (Th, 233U)MOX 및 (Th, 239Pu)MOX 피복관 재료 지르칼로이-4 연료 집합체 452 집합체 내 핀 수 54 재장전 연료의 농축도 (wt %) 링 1: (Th, 233U)MOX/3.0 연료 주기 길이 (유효 최대 출력 일수(EFPD)) 250 평균 방출 연료 연소도 (MW · day / kg) 38 작동 범위에서의 노심 평균 반응도 계수 연료 온도 (Δk/k/°C) -2.1 x 10−5 채널 온도 (Δk/k/°C) +2.5x 10−5 공극 계수 (Δk/k / % 공극) -5.0 x 10−5 냉각수 온도 (Δk/k/°C) +4.9 x 10−5 제어봉 SS 내 붕소 카바이드 중성자 흡수재 질산 가돌리늄 용액 잔열 제거 시스템 능동: 응축기 안전 주입 시스템 수동: 비상 노심 냉각 시스템
7. 미래 계획
8. 안전 혁신
심층 방어 방식은 인적 오류 및 기계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설정한다.[17][23]방어 레벨 목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수단 관련 플랜트 상태 레벨 1 이상 운전 및 고장 방지 보수적 설계 및 건설·운전에서의 높은 품질 통상 운전 레벨 2 이상 운전 제어 및 고장 감지 제어, 제한 및 방호계, 그리고 기타 감시 특성 통상시의 이상 과도 변화 (AOO) 레벨 3 설계 기준 내 사고 제어 공학적 안전 시설 및 사고시 절차 설계 기준 사고 (상정 단일 기인사상) 레벨 4 사고의 진전 방지 및 심각한 사고의 영향 완화를 포함한 가혹한 플랜트 상태 제어 보완적 수단 및 격납 용기 방호를 포함한 사고 관리 다중 고장
심각한 사고 (과혹 사고)
[설계 확장 상태]레벨 5 방사성 물질의 대규모 방출에 의한 방사선 영향 완화 사이트 외부의 긴급시 대응
AHWR은 가연성 우라늄-235 대신 토륨-232에서 생성되는 우라늄-233을 사용함으로써 재생 에너지 안전 분야의 혁신을 이루었다. 토륨에서 원자력을 추출하는 것은 세계의 석유, 석탄, 우라늄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AHWR은 기존 경수로와 차별화되는 안전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능에는 강력한 안전 시스템, 내장 냉각 시스템을 통한 핵연료 열 감소, 다중 차단 시스템, 기술적 고장 시 시스템을 차단하는 독소를 포함하는 fail-safe 절차(FBR) 등이 있다.[4] 과학자들이 원자로에서 피하고자 하는 잠재적 위협은 핵 에너지가 고온, 고압 및 화학 반응과 반응할 때 열 축적이 증가하는 것이다. AHWR은 음의 반응도 계수, 낮은 출력 밀도, 핵연료 내 낮은 잉여 반응도 및 적절한 재료 선택과 같은 기능을 통해 이러한 발생 가능성을 줄인다.[11][24]
9. 논란 및 비판
참조
[2]
웹사이트
India all set to tap thorium resources.
http://www.deccanher[...]
2012-12
[3]
웹사이트
REPROCESSING GROUP
http://www.igcar.ern[...]
2014-07-18
[4]
간행물
Advanced Heavy Water Reactor (AHWR) BARC (Bhabha Atomic Research Centre) (India)
http://www.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5]
뉴스
India designs new atomic reactor for thorium utilisation
http://archive.india[...]
2009-09-16
[6]
웹사이트
Thorium
http://www.world-nuc[...]
[7]
논문
Spatial stabilization of Advanced Heavy Water Reactor
2011-07
[8]
웹사이트
DAE AHWR Report
http://dae.nic.in/wr[...]
2023-05-14
[9]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Atomic Power Stations in the Country. Aug 2013
http://pib.nic.in/ne[...]
2013-08-29
[10]
뉴스
Fuel for India's nuclear ambitions
http://www.neimagazi[...]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7-04-07
[11]
논문
Safety features in nuclear power plants to eliminate the need of emergency planning in public domain
2013-10
[12]
뉴스
2013 AHWR Design Description (India) ARIS
https://aris.iaea.or[...]
2021-03-21
[13]
뉴스
On the Physics Design of Advanced Heavy Water Reactor (AHWR)
https://www-pub.iaea[...]
2021-03-21
[14]
논문
Advanced Heavy Water Reactor for Thorium Utilisation and Enhanced Safety
http://www.barc.gov.[...]
2021-02
[15]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dae.nic.in/wr[...]
2014-03-31
[16]
웹사이트
India all set to tap thorium resources.
http://www.deccanher[...]
2012-05-11
[17]
문서
Advanced Heavy Water Reactor (AHWR)
http://www.iaea.org/[...]
Bhabha Atomic Research Centre
2013
[18]
뉴스
India designs advanced atomic reactor for thorium utilization - agency
http://search.proque[...]
BBC Monitoring South Asia
2009-09-17
[19]
웹사이트
Thorium
http://www.world-nuc[...]
2011-02-02
[20]
논문
Spatial stabilization of advanced heavy water reactor
http://www.sciencedi[...]
[21]
웹사이트
インドの原子力開発と原子力施設 (14-02-11-02)
https://atomica.jaea[...]
2016-01-07
[22]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Atomic Power Stations in the Country
http://pib.nic.in/ne[...]
2013-08-29
[23]
웹사이트
原子力発電所が二度と過酷事故を起こさないために
http://www.jates.or.[...]
2016-01-07
[24]
문서
Safety features in nuclear power plants to eliminate the need of emergency planning in public domain
http://download.spri[...]
2013
[25]
웹사이트
http://www.energytim[...]
[26]
웹인용
Untitled Document
http://www.kaif.or.k[...]
2011-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