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나자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나자이트는 M(III)PO4 형태의 구조를 갖는 광물로, 란타넘족 원소의 중요한 원천이다. 1880년대에 토륨을 찾기 위해 발견되었으며, 채굴 역사를 거쳐 현재는 란타넘족 원소 추출 및 핵폐기물 처리에 활용된다. 모나자이트는 산 분해 및 알칼리 분해 공정을 통해 희토류 금속을 추출하며, 핵폐기물 저장 능력이 뛰어나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도 사용된다. 모나자이트 슈퍼그룹과 모나자이트 그룹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희토류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륨 광물 - 육세나이트
    육세나이트는 칼슘, 니오븀, 탄탈럼 등 다양한 금속 원소를 함유한 복잡한 산화물 광물로, 화강암 페그마타이트와 흑사에서 주로 발견되며 희토류 원소 광석이나 보석류로 활용된다.
  • 방사성 광물 - 우라니나이트
    우라니나이트는 우라늄의 주요 광석으로, 라듐, 납 동위 원소 등을 포함하며 우라늄의 원료로 사용된다.
모나자이트
기본 정보
모나자이트-(Ce)
모나자이트-(Ce)
분류인산염 광물
화학식(Ce,La,Th)PO4
결정계단사정계
결정 구조각주상 (2/m)
공간군P21/n
색상주황색, 보라색, 적갈색, 갈색, 옅은 노란색, 분홍색, 파란색, 녹색, 회색
결정형일반적으로 각주형 또는 쐐기 모양 결정
쌍정흔한 접촉 쌍정
쪼개짐[100]에서 뚜렷하고 [010]에서 불량함
깨짐패각상에서 불균일함
자성상자성, 중간 정도의 강도
모스 굳기계5.0–5.5
광택수지 광택, 유리 광택에서 금강 광택까지
굴절률nα = 1.770–1.793, nβ = 1.778–1.800, nγ = 1.823–1.860
광학 특성양축성 (+)
2V10–26°
다색성약함
조흔색흰색
비중4.6–5.7 (모나자이트-Ce는 4.98–5.43)
용융점1900–2100℃
투명도반투명에서 불투명
기타우라늄 및/또는 토륨이 풍부할 경우 방사성, 칙칙한 갈색 음극선 발광, 상자성
화학 조성
화학식(Ce,La,Nd,Th)PO4 또는 (La,Ce,Nd)PO4 또는 (Nd,La,Ce)PO4 또는 (Sm,Gd,Ce,Th)PO4 또는 (Pr,Ce,Nd,Th)PO4
주요 성분CePO4
그 외 성분P2O5, Ce2O3, La2O3, Di2O3, Y2O3, ThO2, SiO2, Al2O3, Fe2O3, H2O
어원
어원그리스어 'μονάζειν(monázein)'에서 유래
참고 문헌
참고 자료Mineralienatlas
추가 자료Handbook of Mineralogy
관련 정보
관련 광물제노타임
참고 자료doi:10.1002/14356007.a27_001
doi:10.1002/14356007.a22_607
doi:10.1146/annurev.earth.35.031306.140228

2. 구조

모든 모나자이트는 동일한 구조를 채택하며, 이는 원자의 연결성이 형태의 다른 화합물과 매우 유사함을 의미한다. M(III) 중심은 약 2.6Å 길이의 8개의 산화물로 둘러싸여 왜곡된 배위 구를 가지고 있다. 인산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사면체이다. 크롬산납()에서도 동일한 구조 모티프가 관찰된다.[12] 모나자이트는 또한 지르콘, 제노타임, 휘석, 경석고, 중정석, 그리고 라브도판과 많은 구조적 유사성을 공유한다.[13]


3. 채굴 역사

1880년대 칼 아우어 폰 벨스바흐는 배의 바닥재로 사용된 모래에서 브라질산 모나자이트 모래를 처음 발견했다. 폰 벨스바흐는 자신이 새로 발명한 백열등 맨틀에 사용할 토륨을 찾고 있었으며, 모나자이트 모래는 토륨의 원천으로 곧 채택되어 희토류 산업의 기반이 되었다.

모나자이트 모래는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도 잠시 채굴되었지만, 그 직후 인도 남부에서 대규모 매장량이 발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브라질과 인도산 모나자이트가 산업을 지배했지만, 그 이후 주요 채굴 활동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옮겨졌다.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대규모 모나자이트 매장량이 있다.

모나자이트는 상업용 란타넘족 원소의 유일한 중요한 원천이었지만, 토륨의 방사성 붕괴 생성물 처리에 대한 우려 때문에, 토륨 함량이 훨씬 낮은 바스트네사이트가 1960년대에 란타넘족 원소 생산에서 모나자이트를 대체하게 되었다. 원자력용 토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모나자이트가 상업적으로 다시 사용될 수도 있다.

4. 광물 생성 및 추출

모나자이트 광물은 높은 밀도 때문에 페그마타이트의 풍화 작용으로 방출될 때 사광상에 집중된다. 이러한 사광상은 종종 해변이나 화석 해변 모래이며 지르콘과 일메나이트와 같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다른 중광물을 포함한다. 모나자이트는 중력, 자력 및 정전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거의 순수한 농축물로 분리할 수 있다.

모나자이트 분말


모나자이트 모래 매장지는 주로 모나자이트-(Ce) 조성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나자이트의 란타넘족 원소는 약 45~48%의 세륨, 약 24%의 란타넘, 약 17%의 네오디뮴, 약 5%의 프라세오디뮴 및 미량의 사마륨, 가돌리늄, 이트륨을 포함한다. 유로피움 농도는 약 0.05%로 낮은 경향이 있다. 남아프리카의 "암석" 모나자이트는 스테엔캄프스크랄에서 채굴되었으며, 당시 세계 최대 란타넘족 원소 생산 업체였던 아메리칸 포타시 앤드 케미컬 코퍼레이션의 린지 케미컬 부서에서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가공되었다. 스테엔캄프스크랄 모나자이트는 모든 란타넘족 원소를 공급했다. 모나자이트에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가장 무거운 란타넘족 원소는 이 원소들을 "희토류"라고 부르게 했고, 가격 또한 그에 맞게 책정되었다. 모나자이트의 토륨 함량은 다양하며 때로는 최대 20~30%에 달할 수 있다. 특정 탄산염암 또는 볼리비아 주석 광맥에서 산출되는 모나자이트는 본질적으로 토륨이 없다. 그러나 상업용 모나자이트 모래는 일반적으로 6~12%의 산화토륨을 포함한다.

=== 산 분해 ===

모나자이트에서 토륨과 란타넘족 원소를 추출하기 위한 기존 공정은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120°C에서 150°C 사이의 온도에서 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었다. 산과 광석의 비율, 가열 정도, 그리고 나중에 첨가되는 물의 양에 따라 토륨과 란타넘족 원소를 분리하는 여러 가지 공정이 개발되었다. 그 중 한 공정에서는 토륨이 조잡한 형태의 인산염 또는 피로인산염으로 침전되어 란타넘족 황산염 용액이 남게 되는데, 이 용액에서 란타넘족 원소는 이중 황산나트륨으로 쉽게 침전될 수 있다. 산 분해 방법은 상당한 산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광석의 인산염 함량을 손실시키는 단점이 있다.

모나자이트 산 분해 공정


=== 알칼리 분해 ===

최근에는 약 140°C의 고온 수산화 나트륨 용액(73%)을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을 통해 광석의 귀중한 인산염 성분을 결정질 인산삼나트륨으로 회수할 수 있다. 란타넘족 원소/토륨 수산화물 혼합물은 염산으로 처리하여 란타넘족 염화물 용액과 덜 염기성인 토륨 수산화물의 불용성 슬러지를 얻을 수 있다.

4. 1. 산 분해

모나자이트에서 토륨과 란타넘족 원소를 추출하기 위한 기존 공정은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120°C에서 150°C 사이의 온도에서 수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었다. 산과 광석의 비율, 가열 정도, 그리고 나중에 첨가되는 물의 양에 따라 토륨과 란타넘족 원소를 분리하는 여러 가지 공정이 개발되었다. 그 중 한 공정에서는 토륨이 조잡한 형태의 인산염 또는 피로인산염으로 침전되어 란타넘족 황산염 용액이 남게 되는데, 이 용액에서 란타넘족 원소는 이중 황산나트륨으로 쉽게 침전될 수 있다. 산 분해 방법은 상당한 산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광석의 인산염 함량을 손실시키는 단점이 있다.

4. 2. 알칼리 분해

최근에는 약 140°C의 고온 수산화 나트륨 용액(73%)을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을 통해 광석의 귀중한 인산염 성분을 결정질 인산삼나트륨으로 회수할 수 있다. 란타넘족 원소/토륨 수산화물 혼합물은 염산으로 처리하여 란타넘족 염화물 용액과 덜 염기성인 토륨 수산화물의 불용성 슬러지를 얻을 수 있다.

5. 희토류 금속 추출

수산화야금을 이용한 모나자이트 광석에서 희토류 금속 추출 공정 흐름도


모나자이트 광석에서 희토류 금속을 추출하는 과정은 황산으로 분해한 후 수용액 추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 과정에는 여러 번의 중화 및 여과가 필요하다.[14][15]

이 과정의 최종 생성물은 토륨 인산염 농축물, 희토류 수산화물 및 우라늄 농축물이다. 우라늄, 토륨 및 희토류 원소의 상대적인 시장 가격과 고객 확보 가능성, 고객에게 배송하는 물류 상황에 따라 이러한 제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하거나 상품화할 수 있는 형태로 추가 가공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타당할 수도 있고, 폐기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우라늄과 토륨 붕괴 계열의 생성물, 특히 라듐은 미량 존재하며 방사성 독성 위험을 초래한다. 라듐-228 (토륨 붕괴 생성물)은 극미량(토륨 1톤당 1밀리그램 미만)만 존재하며, 약 5.75년의 반감기를 가지고 붕괴되지만, 라듐-226은 우라늄 1톤당 300밀리그램 이상의 비율로 존재하며, 긴 반감기(~1600년) 때문에 잔류물에 남아있게 된다. 라듐은 알려진 알칼리 토금속 황산염 중 용해도가 가장 낮으므로, 황산라듐은 황산을 첨가한 후 고체 여과 생성물에 존재하게 된다.

6. 핵폐기물 처리

두 가지 연구에서 모나자이트의 핵폐기물 저장 능력을 조사했다. 테네시주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의 연구[16]에서는 합성 모나자이트와 붕규산 유리를 오염된 사바나 강 방위 폐기물 시뮬레이션 용액에 28일 동안 담가 용출률을 측정했다. 그 결과, 합성 모나자이트가 낮은 용출률과 느린 부식 속도로 인해 방사성 폐기물 포함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다른 연구[17]에서는 천연 모나자이트가 알파 붕괴 방사선에 노출되어도 결정질 상태를 유지하는 방사선 저항성 덕분에 방사성 부산물 처리에 더 뛰어난 능력을 가짐을 발견했다. 이러한 내구성으로 인해 방사성 스트론튬 등을 수용하는 데 다른 광물보다 더 나은 대안으로 여겨진다. 합성 모나자이트 또한 비정질화 후에도 천연 결정질 샘플과 유사한 내구성을 보였다.

7. 모나자이트 슈퍼그룹 및 그룹

케랄라이트(Cheralite, 구칭: 브란타이트)는 2007년 재정의 및 개칭된 광물로, 화학식은 CaTh(PO4)2이다. 세륨 케랄라이트(Cheralite-(Ce))는 (Ce,Ca,Th)(P,Si)O4의 화학식을 가지며, 현재는 칼슘이 풍부한 세륨 모나자이트로 여겨진다. 휴토나이트(Huttonite)는 ThSiO4의 화학식을 갖는다. 루스벨타이트(Rooseveltite)는 BiAsO4의 화학식을 갖는 광물이다. 세륨 가스파라이트(Gasparite-(Ce))는 (Ce,La,Nd)AsO4, 란탄 가스파라이트(Gasparite-(La))는 LaAsO4의 화학식을 갖는다.

모나자이트 그룹은 인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은 모나자이트 그룹에 속하는 광물들이다.


  • 모나자이트(-(Ce)) (CePO4): 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모나자이트(-(Gd)) (GdPO4): 가돌리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모나자이트(-(Nd)) (Nd,La,Ce)PO4): 네오디뮴, 란타넘, 세륨을 포함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모나자이트(-(La)) (La,Ce,NdPO4):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을 포함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모나자이트(-(Sm)) (SmPO4): 사마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나자이트이다.

7. 1. 모나자이트 슈퍼그룹

케랄라이트(Cheralite, 구칭: 브란타이트)는 2007년 재정의 및 개칭된 광물로, 화학식은 CaTh(PO4)2이다. 세륨 케랄라이트(Cheralite-(Ce))는 (Ce,Ca,Th)(P,Si)O4의 화학식을 가지며, 현재는 칼슘이 풍부한 세륨 모나자이트로 여겨진다. 휴토나이트(Huttonite)는 ThSiO4의 화학식을 갖는다. 루스벨타이트(Rooseveltite)는 BiAsO4의 화학식을 갖는 광물이다. 세륨 가스파라이트(Gasparite-(Ce))는 (Ce,La,Nd)AsO4, 란탄 가스파라이트(Gasparite-(La))는 LaAsO4의 화학식을 갖는다.

7. 2. 모나자이트 그룹

모나자이트 그룹은 인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은 모나자이트 그룹에 속하는 광물들이다.

  • 모나자이트-(Ce) (CePO4): 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가돌리늄 모나자이트 (GdPO4): 가돌리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네오디뮴 모나자이트 (Nd,La,Ce)PO4): 네오디뮴, 란타넘, 세륨을 포함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란탄 모나자이트 (La,Ce,NdPO4):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을 포함하는 모나자이트이다.
  • 사마륨 모나자이트 (SmPO4): 사마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나자이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ineralienatlas https://www.minerali[...]
[2] 웹사이트 Monazite http://www.handbooko[...] Mineral Data Publishing 2005
[3] 웹사이트 Monazite group on Mindat.org http://www.mindat.or[...]
[4] 웹사이트 Monazite-(Ce) on Mindat.org https://www.mindat.o[...]
[5] 웹사이트 Monazite group on Mindat.org http://www.mindat.or[...]
[6] 잡지 Helium From Sand https://books.google[...] 1931-03-01
[7] 백과사전 Monazite
[8] 서적 Thorium and Thorium Compounds Wiley-VCH 2012
[9] 서적 Rare Earth Elements Wiley-VCH 2005
[10] 논문 Microprobe Monazite Geochronology: Understanding Geologic Processes by Integrating Composition and Chronology
[11]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2
[12] 논문 A three-dimensional refinement of the structure of crocoite, PbCrO4
[13] 논문 Crystal chemistry of the monazite structure 2011-06-01
[14] 서적 Hydrometallurgy in Extraction Processes CRC 1990
[15] 서적 Extraction Metallurgy of Rare Earths CRC 2005
[16] 논문 A comparison of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monazite and borosilicate glass containing simulated nuclear defense waste 1983-01-01
[17] 논문 Ceramic Waste Forms for Actinides 2006-12-01
[18] 웹사이트 Monazite-(Gd) https://www.mindat.o[...]
[19] 웹사이트 Monazite-(Sm) https://www.mindat.o[...]
[20] 웹사이트 Monazite Supergroup https://www.minda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