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K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MD K6는 넥스젠의 Nx6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AMD가 개발한 x86 호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1997년 출시되었으며, 소켓 7을 지원하여 인텔 펜티엄 프로세서와 호환되었다. K6는 MMX 명령어 집합을 지원하고, 6세대 수퍼스칼라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여러 개의 병렬 실행 유닛을 갖추고 있다. K6는 35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K6-2를 통해 3DNow! 기술을 지원하는 등 후속 모델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도입 - 자살 봉지
자살 봉지는 질식사를 위해 밀폐된 비닐 봉투에 불활성 기체를 채워 넣는 자살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해 사용법이 확산되면서 윤리적 논쟁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 1997년 도입 - MMX (명령어 집합)
MMX는 인텔이 개발한 명령어 집합으로, 64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작은 정수를 동시에 처리하며, x87 부동 소수점 레지스터를 사용해 정수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 슈퍼스칼라 마이크로프로세서 - 펜티엄 II
펜티엄 II는 인텔이 펜티엄 프로의 P6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하여 일반 소비자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CPU 코어와 캐시 메모리를 분리하고 슬롯 1 인터페이스를 도입, MMX 명령어 세트 추가, 16비트 코드 성능 개선 등을 특징으로 하는 x86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 슈퍼스칼라 마이크로프로세서 - 애슬론
AMD가 1999년부터 출시한 애슬론은 x86 아키텍처 기반의 데스크톱, 모바일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제품군으로, 인텔 펜티엄 III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되어 K7, K8 등 다양한 아키텍처를 거치며 성능이 향상되었고 슬롯 A에서 소켓 A, 소켓 AM4 등으로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었다. - AMD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밥캣 (마이크로아키텍처)
밥캣은 AMD가 개발한 저전력 x86-64 마이크로아키텍처로, 퓨전 APU 제품군의 CPU 코어이며 넷북, 초소형 노트북, 가전 제품, 임베디드 시장을 목표로 작은 회로 규모와 낮은 전력 소비를 우선으로 설계되었다. - AMD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AMD K5
AMD K5는 인텔 펜티엄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된 x86 호환 CPU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추측 실행, 레지스터 재명명 등의 고급 기능을 갖춘 RISC 코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소켓 5/7 메인보드와 호환되도록 출시되었으나, 시장 경쟁 심화와 제조 문제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AMD K6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K6 소개 | |
![]() | |
기본 정보 | |
생산 시작 | 1997년 4월 2일 |
생산 종료 | 1998년 5월 28일 |
최저 속도 | 166 MHz |
최고 속도 | 300 MHz |
FSB 최저 속도 | 66 MHz |
제조사 | AMD |
코어 | 모델 6 |
코어 (다른 이름) | 리틀 풋 (Little Foot) |
아키텍처 크기 (최소) | 0.25 μm |
아키텍처 크기 (최대) | 0.35 μm |
아키텍처 | MMX (명령어 집합) |
마이크로아키텍처 | x86 |
이전 프로세서 | K5 |
다음 프로세서 | K6-2 |
소켓 | 소켓 7 |
코어 수 | 1 |
세부 정보 | |
L1 캐시 | 64KB |
트랜지스터 수 | 880만개 |
확장 기능 | MMX |
L2 캐시 | 없음 |
2. 배경
AMD K6는 AMD가 넥스젠을 인수하면서 얻게 된 Nx6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다. K6는 넥스젠 팀이 개발하고 AMD 인수를 거쳐 적용한 설계로, 수석 프로세서 설계자는 그렉 페이버였다.[1][2] K6는 x86 명령어를 동적 버퍼링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시퀀스로 변환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또한, MMX 명령어와 부동 소수점 장치(FPU)를 포함했다.
AMD는 넥스젠(NexGen)사를 인수하여 당시 개발 중이던 Nx686이라는 x86 호환 CPU를 손에 넣었다. AMD가 원래 개발하고 있던 K6는 성능이 Nx686보다 떨어졌기 때문에, Nx686을 기반으로 개발한 신형 프로세서를 K6로 1997년에 시장에 투입했다.[1][2]
K6는 소켓 7 호환 CPU로, 인텔 CPU와 동일한 소켓에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하여 저가형 PC 및 업그레이드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제조 공정에 따라 166MHz~233MHz 모델과 200~300MHz 모델로 나뉜다.
K6는 인텔의 펜티엄과 핀 호환성을 갖는 "소켓 7" 기반 마더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이는 K5, Nx586, 그리고 그 이전의 Nx686과 마찬가지로, K6가 x86 명령어를 실시간으로 동적 버퍼링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시퀀스로 변환했기 때문이다. K6 CPU의 후기 변종인 K6-2는 부동 소수점 기반의 SIMD 명령어인 3DNow!를 추가했다.
K6는 인텔 CPU와의 소켓 호환 CPU로서, 동일 소켓에서 동일 클럭 동작의 인텔 정품 CPU를 능가하는 고성능을 발휘하여 저가형 개인용 컴퓨터(PC)를 중심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PC의 업그레이드용으로도 시장에서 받아들여졌다.
AMD는 x86 호환 프로세서 제조업체인 넥스젠사를 인수하여 당시 넥스젠이 개발 중이던 Nx686이라는 x86 호환 CPU를 손에 넣었다. 원래 Nx686은 2차 캐시 버스가 프론트 사이드 버스에서 독립된 구성의 전용 버스, 전용 소켓을 지원하는 CPU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AMD는 이를 소켓 7 대응으로 변경하고 2차 캐시 버스 폐지에 따른 페널티를 경감할 목적으로 1차 캐시를 증량(32+32=64KB)한 후, Nx686 고유의 멀티미디어 명령을 인텔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MMX 명령 세트로 변경하여 완성했다.
K6는 인텔의 펜티엄 (소켓 7)과 소켓 호환이며, 출하 시작 단계에서 인텔의 MMX 펜티엄 시리즈보다 고클럭(233MHz) 동작 모델이 제공되어, 출시 초기에 x86 계열에서 최고 속도로 동작하는 CPU가 되었다. K6는 소켓 7을 채택했기 때문에 로우 엔드 PC용 CPU로 채택되거나, 소켓 7 사용자의 업그레이드용 CPU로도 사용되었다.
3. 개발 경위
원래 Nx686은 2차 캐시 버스가 프론트 사이드 버스에서 독립된 구성의 전용 버스, 전용 소켓을 지원하는 CPU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AMD는 이를 소켓 7 대응으로 변경하고 2차 캐시 버스 폐지에 따른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 1차 캐시를 32+32=64KB로 늘렸다. 또한, Nx686 고유의 멀티미디어 명령을 인텔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MMX 명령 세트로 변경하여 완성했다.
이 CPU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개발 코드네임이 사용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Catapult"였다. 이는 이 신형 CPU를 강대한 골리앗(=인텔)을 쓰러뜨린 다윗(=AMD)의 무기(투석기)에 비유하여 명명한 것으로, AMD가 상당한 자신감과 의지를 가지고 이 CPU의 개발에 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K6는 펜티엄 (소켓 7)과 소켓 호환이며, 출하 시작 단계에서 인텔의 MMX 펜티엄 시리즈보다 높은 클럭(233MHz)으로 동작하는 모델이 제공되어, 출시 초기에 x86 계열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동작하는 CPU가 되었다. 이 때문에 AMD는 K6를 "인텔 제품보다 빠른 최초의 호환 프로세서"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K6는 그 출시 한 달 뒤에 인텔이 판매를 시작한 당시 최고 속도의 인텔 프로세서인 펜티엄 II와 경쟁하는 제품이었다고 AMD는 선전했지만, 클럭당 명령 실행 효율에서는 펜티엄 II에 약간 못 미쳤다.
4. 특징
K6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고 있다.
K6는 K5에 비해 정수 곱셈 성능이 저하되었지만, 분기 예측, 추측 실행, 레지스터 리네이밍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x86 프로세서의 약점을 보완하여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켰다.
4. 1. 아키텍처
K6는 6세대 RISC86 수퍼스칼라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8192 엔트리의 2레벨 분기 예측과 16 엔트리 BTB(Branch Target Buffer)를 갖추고 있다.[4] 디코딩 가능한 명령어는 최대 2개이며, 추측 실행, 레지스터 재명명, 24 엔트리 예약 스테이션, 비순차적 실행 기능을 지원한다. 클럭당 최대 6개(5개+분기 1개)의 RISC86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5]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명령어는 페치 유닛이 16바이트 블록 단위로 1차 캐시에서 가져온다. 명령어 버퍼에서 명령어가 잘려 디코더로 전달되면, x86 디코더는 x86 어셈블리 명령어를 RISC86 명령어로 변환한다.[5] 2개의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쇼트 디코더, 롱 디코더, 벡터 디코더가 있지만, 이들은 동시에 작동할 수 없다. 따라서 최대 x86 명령어 디코딩 처리량은 2개이다. MMX 명령어는 첫 번째 쇼트 디코더에서만 디코딩 가능하다.
디코더는 RISC86OP라는 내부 명령어로 변환하여 사이클당 최대 4개의 RISC86OP를 출력한다. 이들은 그룹화되어(4개 미만일 경우 NOP 명령으로 채워짐) 24 엔트리의 예약 스테이션으로 전달된다.
예약 스테이션에서는 5개의 명령어와 분기 예측 유닛에서 분기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K6는 정수 2개, MMX 1개, FPU 1개, 로드 1개, 스토어 1개, 분기 1개로, 총 7개의 병렬 실행 유닛을 갖추고 있다.[4] MMX 실행 유닛은 레지스터 X 파이프라인에만 연결되어 있어, MMX 실행 유닛이 2개인 MMX 펜티엄이나 펜티엄 II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이 문제는 K6-2에서 개선되었다.
K6는 정수 곱셈을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없어, K5에 비해 정수 곱셈 처리량이 저하되었다.
하지만 K6는 분기 예측 및 추측 실행 구현으로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K5와 달리 16 엔트리의 분기 대상 예측 버퍼를 유지하며, 레지스터 재명명 기능으로 범용 레지스터 개수가 적은 x86 프로세서의 약점을 보완한다. IEEE 1149.1 경계 스캔을 지원한다.
4. 2. 명령어 처리
K6는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명령어를 1차 캐시에서 16바이트 단위로 가져온다. 명령어는 명령 버퍼를 거쳐 디코더로 전달된다. 디코더는 단순 명령어를 처리하는 쇼트 디코더 2개와 롱 디코더, 벡터 디코더로 구성된다. 쇼트 디코더는 동시에 2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지만, 롱 디코더와 벡터 디코더는 동시에 작동할 수 없다. 따라서 최대 초당 2개의 X86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MMX 명령어는 두 개의 쇼트 디코더 중 첫 번째 쇼트 디코더에서만 처리할 수 있다.[5]
디코더는 RISC86OP라는 내부 명령어로 변환되며, 초당 최대 4개의 RISC86OP를 출력할 수 있다. 이 RISC86OP들은 그룹화되어 (4개 미만일 경우 NOP 명령어로 채워짐) 24 엔트리의 예약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예약 스테이션에서는 5개의 명령어와 분기 예측 유닛에서 1개의 분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K6는 정수 연산 유닛 2개, MMX 연산 유닛 1개, FPU 연산 유닛 1개, 로드 유닛 1개, 스토어 유닛 1개, 분기 유닛 1개로 총 7개의 병렬 실행 유닛을 갖추고 있다. MMX 실행 유닛은 레지스터 X 파이프라인에만 연결되어 있어, MMX 실행 유닛 2개를 가진 MMX 펜티엄 및 펜티엄 II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이 문제는 이후 K6-2에서 개선되었다.[4]
K6는 정수 곱셈을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없어, K5에 비해 정수 곱셈 명령어 처리량이 저하되었다.
하지만, K6는 분기 예측 및 추측 실행 기능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K5는 분기 대상 예측 버퍼가 없었지만, K6는 16 엔트리의 분기 대상 예측 버퍼를 갖추고 있다.
또한, 레지스터 리네이밍 기능을 통해 범용 레지스터 개수가 적은 x86 계열 프로세서의 약점을 보완하고 있다.
5. 모델
K6는 제조 시기에 따라 사용 반도체 제조 공정이 다르며, 이에 따라 모델 6과 모델 7("Little Foot")의 두 가지 모델로 분류된다. K6는 인텔의 펜티엄 (소켓 7)과 소켓 호환이며, 출하 시작 단계에서 인텔의 MMX 펜티엄 시리즈보다 고클럭(233MHz) 동작 모델이 제공되어, 출시 초기에 x86 계열에서 최고 속도로 동작하는 CPU가 되었다. 이 때문에 AMD는 K6를 "인텔 제품보다 빠른 최초의 호환 프로세서"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AMD는 x86 호환 프로세서 제조업체인 넥스젠사를 인수하여 당시 넥스젠이 개발 중이던 Nx686이라는 x86 호환 CPU를 손에 넣었다. AMD가 원래 개발하고 있던 K6는 성능이 이 Nx686보다 떨어졌기 때문에, Nx686을 기반으로 개발한 신형 프로세서를 K6로 1997년에 시장에 투입했다.
원래 Nx686은 2차 캐시 버스가 프론트 사이드 버스에서 독립된 구성의 전용 버스, 전용 소켓을 지원하는 CPU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AMD는 이를 소켓 7 대응으로 변경하고 2차 캐시 버스 폐지에 따른 페널티를 경감할 목적으로 1차 캐시를 증량(32+32=64KB)한 후, Nx686 고유의 멀티미디어 명령을 인텔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MMX 명령 세트로 변경하여 완성했다. K6는 출시 한 달 뒤에 인텔이 판매를 시작한 당시 최고 속도의 인텔 프로세서인 펜티엄 II와 경쟁하는 제품이었다고 AMD는 선전했지만, 클럭당 명령 실행 효율에서는 펜티엄 II에 약간 못 미쳤다. 1998년 5월에는 SIMD 확장 명령 세트인 3DNow!를 추가한 K6-2라는 후속 프로세서가 등장했다.
5. 1. K6 (모델 6)
K6는 x86 명령을 내부적으로 RISC86OP로 변환하고, 내부 RISC86 파이프라인에서 명령을 고속 실행하는 소켓 7 호환 CPU이다.인텔 CPU와의 소켓 호환 CPU로서, 동일 소켓에서 동일 클럭 동작의 인텔 정품 CPU를 능가하는 고성능을 발휘하여 저가형 개인용 컴퓨터(PC)를 중심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PC의 업그레이드용으로도 시장에서 받아들여졌다.
35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166MHz, 200MHz, 233MHz 클럭 속도를 지원한다.
제조 공정(µm) | 0.35 |
---|---|
트랜지스터 수(개) | 880만 |
L1 캐시(KB) | 32+32(명령어+데이터)=64 |
확장 명령어 | MMX |
버스 | 소켓 7 |
FSB(MHz) | 66 |
클럭(MHz) | 166 / 200 / 233 |
전압(V) | 2.9 (200MHz 이하) 3.2 / 3.3 (233MHz) |
판매 시작일 | 1997년 4월 2일 |
5. 2. K6 "Little Foot" (모델 7)
K6 "Little Foot"(모델 7)은 1998년 1월 6일에 출시되었으며, CPUID는 패밀리 5, 모델 7, 스테핑 0이다. 88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250nm 공정으로 제조되었다. L1 캐시는 32 + 32 KB (데이터 + 명령어)로 구성되어 있다. MMX를 지원하며, 소켓 7 및 66MHz 프론트 사이드 버스를 사용한다. VCore는 2.2V이며, 클럭 속도는 200, 233, 266, 300MHz이다.K6는 x86 명령을 내부적으로 RISC86OP로 변환하고, 내부 RISC86 파이프라인에서 명령을 고속 실행하는 소켓 7 호환 CPU이다. 인텔 CPU와의 소켓 호환 CPU로서, 동일 소켓에서 동일 클럭 동작의 인텔 정품 CPU를 능가하는 고성능을 발휘하여 저가형 개인용 컴퓨터(PC)를 중심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PC의 업그레이드용으로도 시장에서 받아들여졌다.
K6 (모델 6) | K6 "Little Foot" (모델 7) | |
---|---|---|
제조 공정(µm) | 0.35 | 0.25 |
트랜지스터 수(개) | 880만 | |
L1 캐시(KB) | 32+32(명령어+데이터)=64 | |
확장 명령어 | MMX | |
버스 | 소켓 7 | |
FSB(MHz) | 66 | |
클럭(MHz) | 166 / 200 / 233 | 200 / 233 / 266 / 300 |
전압(V) | 2.9 (200MHz 이하) 3.2 / 3.3 (233MHz) | 2.2 |
판매 시작일 | 1997년 4월 2일 | 1998년 1월 6일 |
6. 후속 모델
K6-2는 K6 아키텍처에 3DNow! SIMD 명령어 집합을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성능을 향상시켰다.[1]
참조
[1]
논문
AMD 3DNow! technology: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s
https://ieeexplore.i[...]
1999-03-01
[2]
웹사이트
Who are the Computer Architects?
http://www.cs.clemso[...]
2010-06-09
[3]
웹사이트
AMD K6 Review
https://www.anandtec[...]
1997-04-03
[4]
웹사이트
AMD-K6 Processor Data Sheet
https://www.ardent-t[...]
AMD
1998-03-01
[5]
웹사이트
The legend of "x86 CPUs decode instructions into RISC form internally" - Fanael's random ruminations
https://fanael.githu[...]
2023-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