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C 코드 C0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TC 코드 C08은 칼슘 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s)를 분류하는 해부 치료 화학적 분류 시스템(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System, ATC) 코드이다. 이 약물들은 주로 혈관에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비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로 나뉜다. 디히드로피리딘 계열, 페닐알킬아민 계열, 벤조티아제핀 계열 등이 있으며, 이뇨제와 함께 사용되어 혈압 강하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C 코드 - ATC 코드 D
ATC 코드 D는 피부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분류하는 해부 치료 화학 분류 시스템의 한 그룹이다. - ATC 코드 - ATC 코드 S01
ATC 코드 S01은 안과용 의약품을 분류하며, 항감염제, 항염증제, 녹내장 치료제 등 다양한 약물로 세분화된다.
ATC 코드 C08 | |
---|---|
칼슘 채널 차단제 | |
ATC 코드 | C08 칼슘 채널 차단제 |
하위 그룹 | |
C08CA | 선택적 혈관 칼슘 채널 차단제와 주로 혈관 효과가 있는 디하이드로피리딘 유도체 |
C08CA01 | 암로디핀 |
C08CA02 | 펠로디핀 |
C08CA03 | 니페디핀 |
C08CA04 | 이소라디핀 |
C08CA05 | 니모디핀 |
C08CA06 | 니카르디핀 |
C08CA07 | 니발디핀 |
C08CA08 | 라시디핀 |
C08CA09 | 실니디핀 |
C08CA10 | 루르시디핀 |
C08CA11 | 베나디핀 |
C08CA12 | 레르카니디핀 |
C08CA13 | 클레비디핀 |
C08CA14 | 바르니디핀 |
C08CA15 | 마니디핀 |
C08CA16 | 에포니디핀 |
C08CA17 | 프라니디핀 |
C08CA53 | 니페디핀, 조합 |
C08CA58 | 라시디핀, 조합 |
C08CB | 선택적 심장 칼슘 채널 차단제 |
C08CB01 | 베라파밀 |
C08CB02 | 갈로파밀 |
C08CC | 비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
C08CC01 | 딜티아젬 |
C08CD | 칼슘 채널 차단제, 주로 혈관 효과가 있는 디하이드로피리딘 유도체와 병용 |
C08CD02 | 니카르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07 | 암로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08 | 펠로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09 | 이스라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10 | 라시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11 | 레르카니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12 | 마니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13 | 실니디핀 및 ACE 억제제 |
C08CD15 | 암로디핀 및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
C08CD16 | 레르카니디핀 및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
C08CD17 | 암로디핀, 베나제프릴, 및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
C08CD18 | 암로디핀, 올메사르탄, 및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
C08CD19 | 암로디핀, 발사르탄, 및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
C08CD20 | 암로디핀, 로사르탄, 및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
C08CD21 | 레르카니디핀 및 베나제프릴 |
C08CD22 | 레르카니디핀 및 에날라프릴 |
C08CD23 | 실니디핀 및 클로르탈리돈 |
C08CD24 | 암로디핀 및 아토르바스타틴 |
C08CD25 | 암로디핀 및 로수바스타틴 |
C08CD26 | 암로디핀 및 페린도프릴 |
C08CD27 | 암로디핀 및 인데파미드 |
C08CD28 | 펠로디핀 및 메토프로롤 |
C08CD29 | 암로디핀 및 비소프롤롤 |
C08CD30 | 니페디핀 및 메토프로롤 |
C08CD31 | 암로디핀 및 테넬리글립틴 |
C08CD32 | 암로디핀 및 람프릴 |
C08CD33 | 암로디핀 및 다파글리플로진 |
C08CD34 | 암로디핀 및 이르베사르탄 |
C08CD35 | 암로디핀 및 칸데사르탄 |
C08CD36 | 암로디핀 및 트릴라프릴 |
C08CD37 | 암로디핀 및 페록사민 |
C08CD38 | 암로디핀 및 에제티미브 |
C08CE | 칼슘 채널 차단제, 기타 조합 |
C08CE01 | 딜티아젬 및 트란돌라프릴 |
2. 칼슘 채널 차단제의 분류
칼슘 채널 차단제는 작용 기전 및 화학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주로 혈관에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에는 디히드로피리딘 계열과 미베프라딜 등이 있으며,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에는 페닐알킬아민 계열 (베라파밀 등)과 벤조티아제핀 계열(딜티아젬)이 있다.
2. 1. 주로 혈관에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이 약물들은 주로 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 분류에는 디히드로피리딘 계열과 미베프라딜 등의 기타 약물이 포함된다. 디히드로피리딘 계열 약물은 고혈압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2. 1. 1. 디히드로피리딘(Dihydropyridine) 계열
이 계열의 약물은 혈관 확장 효과가 뛰어나 고혈압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1] 암로디핀, 펠로디핀, 이스라디핀, 니카르디핀, 니페디핀, 니모디핀, 니솔디핀, 니트렌디핀, 라시디핀, 닐바디핀, 마니디핀, 바니디핀, 레르카니디핀, 실니디핀, 베니디핀, 클레비디핀, 레밤로디핀 등이 여기에 속한다. 암로디핀/세레콕시브 복합제, 니페디핀 복합제도 사용된다.[1]코드 | 이름 | 비고 |
---|---|---|
C08CA01 | 암로디핀 | |
C08CA02 | 펠로디핀 | |
C08CA03 | 이스라디핀 | |
C08CA04 | 니카르디핀 | |
C08CA05 | 니페디핀 | |
C08CA06 | 니모디핀 | |
C08CA07 | 니솔디핀 | |
C08CA08 | 니트렌디핀 | |
C08CA09 | 라시디핀 | |
C08CA10 | 닐바디핀 | |
C08CA11 | 마니디핀 | |
C08CA12 | 바니디핀 | |
C08CA13 | 레르카니디핀 | |
C08CA14 | 실니디핀 | |
C08CA15 | 베니디핀 | |
C08CA16 | 클레비디핀 | |
C08CA17 | 레밤로디핀 | |
C08CA51 | 암로디핀 및 세레콕시브 | 복합제 |
C08CA55 | 니페디핀 | 복합제 |
2. 1. 2. 기타 혈관 작용 칼슘 채널 차단제
미베프라딜[1]2. 2.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는 심장 근육에 직접 작용하여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베라파밀 등의 페닐알킬아민 계열과 딜티아젬 등의 벤조티아제핀 계열이 있다.2. 2. 1. 페닐알킬아민(Phenylalkylamine) 계열
2. 2. 2. 벤조티아제핀(Benzothiazepine) 계열
딜티아젬3. 비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비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는 혈관 및 심장 모두에 작용한다.
이 그룹에는 페닐알킬아민 계열과 리도플라진, 페르헥실린 등의 기타 비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가 있다.
3. 1. 페닐알킬아민 계열
코드 | 코드명 | 한글 코드명 |
---|---|---|
C08EA01 | 펜딜린 | 펜딜린 |
C08EA02 | 베프리딜 | 베프리딜 |
3. 2. 기타 비선택적 칼슘 채널 차단제
리도플라진(Lidoflazine), 페르헥실린(Perhexiline) 등이 있다.코드 | ATC 코드 |
---|---|
C08EX01 | 리도플라진 |
C08EX02 | 페르헥실린 |
4. 칼슘 채널 차단제와 이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and diuretics영어는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조합이다.
코드 | 약물 |
---|---|
C08GA01 | 니페디핀 및 이뇨제 |
C08GA02 | 암로디핀 및 이뇨제 |
참조
[1]
웹인용
ATC Index
http://www.whocc.no/[...]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2]
웹인용
ATCvet Index
http://www.whocc.no/[...]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