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TS-31 통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TS-31 통영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3,500톤급 구조함으로,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부족한 구조 전력을 보완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2012년 진수되었으나, 방위사업 비리 및 성능 미달 논란에 휩싸였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투입이 검토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2015년 실전 배치되었으며, 주요 작전으로는 북한 로켓 잔해 인양, 링스헬기 추락 사고 시 인양 등이 있다. 2020년 탈레스 UK제 소너 2193을 장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선박 - 딥씨 챌린저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와 롤렉스의 지원으로 제작된 심해 잠수정 딥씨 챌린저는 론 앨럼이 개발하고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마리아나 해구 탐사에 사용했으며, 우즈 홀 해양 연구소에 기증되어 심해 연구에 활용되다 화재로 손상되었다.
  • 2012년 선박 - USS 아메리카 (LHA-6)
    USS 아메리카 (LHA-6)는 미국 해군의 강습상륙함으로, 해병 헬기, MV-22 오스프리, F-35B 수직이착륙기 등을 이용한 해병 원정단 수송 및 소형 항공모함 임무를 수행하며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구난함 - ATS-28 광양
    광양함(ATS-28)은 대한민국 해군이 미국에서 중고로 구매한 이든턴급 구난함 USS 브런스윅을 개명하여 1997년 취역 후 천안함 사건 구조 지원 임무를 수행하고 함상 감압실을 갖추었다가 2015년 퇴역한 함정이다.
  • 대한민국의 구난함 - ATS-32 광양
    ATS-32 광양은 대한민국 해군의 해난구조함으로 해난 구조, 탐색 및 구조, 인도적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76mm 주포, 해성 대함 미사일, 어뢰, 헬기 운용 능력 등을 갖추고 대형 함정 인양 및 예인이 가능하지만, 방위사업 비리로 소나 장착에 문제가 있어 해군의 구조 및 탐색 능력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있다.
ATS-31 통영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2년 9월 통영함 진수식
통영함 진수식
함명통영
함번ATS-31
함종구난함
함급통영급 구난함
제작자대우조선해양
건조 정보
발주2010년 10월
기공알 수 없음
진수2012년 9월 4일
취역2014년 12월 30일
배치2015년 4월
퇴역알 수 없음
가격알 수 없음
제원
배수량3,500톤
만재 배수량4,700톤
전장107.54미터
전폭16.8미터
흘수4.8미터
성능
속력최대 21노트, 순항 15노트
항속 거리알 수 없음
승조원
정원알 수 없음
무장
무장M61 벌컨 기관포 1문
탐지 장비
레이더대수상 수색용
소나측면 주사 방식
탑재 장비
탑재정무인 잠수 장치 (ROV)
기타알 수 없음

2. 역사

한국 해군은 미국 해군이 사용하던 배수량 2400톤급 구난함인 평택함과 광양함을 1996년 중고로 수입해 사용했다.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국산 구난함을 건조하기로 하였다. 2010년 10월 방위사업청과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계약을 체결했고, 2012년 9월 4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통영함이 진수되었다. 통영함은 배수량 3500톤, 가격은 1199.5억이다.

2. 1. 개발 배경

한국 해군은 미국 해군이 사용하던 배수량 2400톤급 구난함인 평택함과 광양함을 1996년 중고로 수입해 사용했다.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국산 구난함을 건조하기로 하였다.

2010년 10월 방위사업청과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계약을 체결 후 1년 11개월만인 2012년 9월 4일 오전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통영함이 진수되었다. 배수량은 3500톤이며, 가격은 1199.5억이다.[5][3]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출동한 구조함은 1996년에 배치된 중고함인 평택급 (1972년 취역, 원래 미국 해군의 이데턴급 구조함) 2척 뿐이어서, 수색 작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구조 전력 부족이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 신형 구조함 ATS-II 계획이며, 2010년 10월부터 1590억을 투입하여 본 함이 건조되었다.[3]

건조는 대우조선해양이 거제시 옥포조선소에서 진행했으며, 2012년 9월 4일 진수되었다. 함명과 함번 31이 부여되었으며, 2013년 후반에 전력화될 예정이었다.[6]

2. 2. 건조 및 진수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출동한 구조함은 1996년에 배치된 중고함인 평택함(1972년 취역, 원래 미국 해군의 이데턴급 구조함) 2척 뿐이어서, 수색 작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구조 전력 부족이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 신형 구조함 ATS-II 계획이며, 2010년 10월부터 15.9억을 투입하여 건조가 진행되었다.[5][3]

대우조선해양이 거제시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를 진행했으며, 2012년 9월 4일 진수되었다. 함명과 함번 31이 부여되었으며, 2013년 후반에 전력화될 예정이었다.[3][6]

2. 3. 세월호 침몰 사고와 투입 논의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통영함의 투입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통영함은 아직 대우조선해양에서 성능 시험 중이었고 해군에 인도되지 않은 미취역 상태였기 때문에 해군은 투입에 부정적이었다.[7] 진수 후 성능 부족으로 작전요구능력(ROC)을 충족하지 못해 인도가 지연되고 있었다.[7][8][9]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두 번이나 투입을 검토했지만 결국 투입되지 못했고[10], 평택함 등이 투입되었다.

2014년 5월 12일, 대우조선해양은 통영함의 성능 부족이 방위사업청의 관급품 문제이며 자체 대응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인도를 요구했지만, 해군은 이를 거부했다.[9] 5월 14일에는 감사원 감사가 예정되었다.[11][12]

같은 해 9월 19일, 사이드 스캔 소너가 멀티 빔 방식이 아닌 싱글 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방위사업청이 성능을 임의로 낮춰 2억 원짜리 소너에 41억 원을 지출한 비리가 보도되었다.[13] 노컷뉴스는 당시 방위사업청에 재직하며 장비 선정 책임을 맡았던 황기철에게까지 조사가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14]

조선일보는 이 사건을 "방위산업 기업과 관련된 부정의 상징"이라고 비판했다.[19]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비판을 받아 참모총장직을 사임하고 2015년 2월 군을 퇴역했다. 황기철은 통영함 납품 비리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었으나, 1심, 2심, 대법원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한국 여론은 처음에는 황기철을 비난했지만, 이후 "세월호 사건 당시 '통영' 출동을 반복적으로 지시한 의인"으로 평가를 바꿨다. 황기철은 구치소에서 나온 후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건너갔다.[20][21]

2. 4. 방위사업 비리 및 논란

선체고정음파탐지기(소나)와 수중무인탐사기의 초음파카메라가 성능 미달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방위산업비리합동수사단은 해당 사업을 맡은 회사가 허위로 서류를 변조하여 방위사업청 소속의 현역 장교에게 제출하면서 뇌물을 준 사실이 밝혀져 구속되었다.[32] 그러나 해군은 통영함을 해당 장비를 제외한 상태로 2015년 4월에 실전배치하기로 하고[33] 2014년 12월 30일에 해군에 인도되었다.[34] 그러나 이후 대법원의 최종판결은 통영함 비리에 연루된 주요 해군 출신 인사들에 대해 모두 무죄를 선고했으며, 결국 검찰이 방산비리와 관련해 무리한 수사를 벌인 결과가 아니냐는 여론도 있다.

조선일보는 이 소동을 "방위산업 기업과 관련된 부정의 상징"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9]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비판에 시달려, 통상 2년마다 교체되는 참모총장직을 도중에 사임하고, 2015년 2월에 군을 퇴역했다. 황기철은 퇴역 후, 성능이 저하되는 선체 고정 음파탐지기 "통영"을 납품하도록 지시한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어 구치소에 수감되었다. 그러나 1심, 2심, 그리고 대법원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한국 여론은 황기철을 "해적", "매국노"라고 손가락질했지만, 어느새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통영' 출동을 반복적으로 지시한 의인"으로 평가했다. 구치소에서 나온 후, 황기철은 "더 이상 한국 사회에서는 사람을 만나기 어렵다. 해외에서 공부하며 학생들을 가르치며 살고 싶다"며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건너갔다. 황기철은 "세월호 참사 이후, 누군가에게 책임을 묻는 퍼포먼스가 필요했다", "충분하지 않다는 여론이 있었기에, 결국 화살이 해군으로 향했다. 무조건 현직 총장을 넣어야 한다는 강한 필요성이 있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20][21]

2. 5. 해군 인도 및 실전 배치

방위사업청에 제출된 선체고정음파탐지기(소나)와 수중무인탐사기의 초음파카메라가 성능 미달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업체가 허위 서류를 제출하고 뇌물을 제공한 사실이 방위산업비리합동수사단에 의해 밝혀져 구속되었다.[32] 해군은 해당 장비를 제외한 채 2015년 4월에 통영함을 실전배치하기로 결정하고,[33] 2014년 12월 30일에 해군에 인도하였다.[34] 그러나 이후 대법원의 최종 판결에서 통영함 비리에 연루된 주요 해군 출신 인사들은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으며, 이에 검찰의 무리한 수사였다는 비판 여론도 제기되었다.

3. 특징

ATS-31 통영함은 배수량 3,500톤급의 구조함으로, 다양한 첨단 장비를 갖추고 해난 구조 및 탐색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크기 및 속도: 전장 107.5m, 전폭 16.8m이며, 최대 속력은 21노트(시속 약 39km)로, 광양함보다 빠른 속도로 구조 현장에 도착할 수 있다.
  • 자동함위 유지장치: 함수와 함미에 설치된 자동함위 유지장치(트러스트, 프로펠러)를 통해 360도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여, 해상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5]
  • 감압 챔버: 잠수요원(SSU)이 수심 90m에서 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최대 8명(군의관 포함)까지 수용 가능한 감압 챔버 2개를 갖추고 있다.[3][8]
  • ROV (원격 조작 무인 탐사기): 실링 로보틱스 HD ROV를 탑재하여 해저 3km까지 탐색 및 구조 작업이 가능하다. 로봇팔, 카메라, 절단기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무게 3.5톤, 최대 속도 3노트, 인양력 250kg의 성능을 갖추고 있다.
  • 잠수부 지원 장비: 90m 수심에서 잠수부가 장시간 구난 작전을 할 수 있도록 공기 호스를 통한 지원 장비를 갖추고 있다.
  • 크레인 및 예인 능력: 배수량 570톤 윤영하급 고속함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크레인과 독도함을 예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4][24][3][25]
  • 헬기 갑판: 중형 헬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비행 갑판을 갖추고 있다.
  • 기타 장비: 함교 전방에 시 발칸 20mm 기관포 1문, 함교 상부에 소화용 방수총, 마스트에 대수상 레이더를 갖추고 있다.[24]
  • 소나(음파탐지기): 어군탐지기가 장착되었다는 논란이 있다.[30]


진수 당시 '국내 기술'로 건조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일부 장비는 수입품이 사용되었다.[5]

4. 주요 작전 성과

날짜사건내용
2016년 2월 7일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제주 서남방 90마일 해상에서 페어링 추정 물체를 발견, 수거함.
2016년 2월 8일북한 장거리 로켓 잔해물 수거전북 군산 어청도 서남방 75마일 지점, 수심 약 80m 해저에서 북한 장거리 로켓 1, 2단 추진체 연결부 추정 잔해물을 수거함. 통영함의 소나로 잔해물 위치를 식별하고, 최초로 ROV를 투입해 인양함.[31]
2016년 2월 9일북한 장거리 로켓 잔해물 추가 수거김포함이 소나를 활용해 전북 군산 어청도 서남방 65마일 지점, 수심 약 80m 해저에서 잔해물을 식별. 기상 악화 예보로 10~11일 해군 심해 잠수사와 ROV를 투입하여 로켓 추진체 연소가스 분사구 추정 잔해물 3개 추가 인양. 이지스함 레이다로 로켓 궤적과 낙하 위치 파악 후 구조함 투입, 소나 탐색 및 ROV 수거 방식으로 진행됨.
2016년 9월 26일링스 헬기 추락 사고동해상에서 첫 한미 연합 해군 훈련 중 추락한 해군 링스 헬기 동체와 탑승자 3명의 시신을 통영함이 탐색 작전 시작 이틀 만에 해저 1030m 지점에서 발견하여 인양. 통영함의 소나와 수중무인탐사기(ROV)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31]


5. 논란 및 문제점

ATS-31 통영은 진수 후, 작전요구능력(ROC)을 충족하지 못해 인도가 지연되었고, 통영급으로 정비하려는 구상도 실현되지 못했다.[7]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통영함 투입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의 투입 검토에도 불구하고 실제 투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7][8][9][10]

2014년 5월 12일, 대우조선해양은 능력 부족이 방위사업청의 관급품 문제이므로 자체 대응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인도를 요구했지만, 해군은 이를 거부했다.[9] 같은 달 14일에는 감사원의 감사가 예정되었다.[11][12]

5. 1. 방위사업 비리 의혹

선체고정음파탐지기(소나)와 수중무인탐사기의 초음파카메라가 성능 미달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방위산업비리합동수사단은 해당 사업을 맡은 회사가 허위로 서류를 변조하여 방위사업청 소속의 현역 장교에게 제출하면서 뇌물을 주었던 사실을 밝혀내 구속했다.[32] 그러나 해군은 통영함을 해당 장비를 제외한 상태로 2015년 4월에 실전배치하기로 하고[33] 2014년 12월 30일에 해군에 인도했다.[34] 이후 대법원의 최종판결은 통영함 비리에 연루된 주요 해군 출신 인사들에 대해 모두 무죄를 선고했으며, 결국 검찰이 방산비리와 관련해 무리한 수사를 벌인 결과가 아니냐는 여론도 있다.

2014년 9월 19일, 사이드 스캔 소너는 멀티 빔 방식이어야 했지만 싱글 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방위사업청이 성능을 평택급과 동등한 수준으로 임의로 낮추면서 2억 원의 소너에 41억을 지출한 부정행위가 보도되었다.[13] 노컷뉴스는 당시 방위사업청에 재직하며 장비 선정의 책임을 지고 있던 황기철에게까지 조사가 확대될 수 있다고 보도했으며, 미국의 소너 제조 업체가 업그레이드형을 납품하지 않은 책임이라는 방위사업청 관계자의 발언을 제시했다.[14]

조선일보는 이 사건을 "방위산업 기업과 관련된 부정의 상징"이라고 지적했다.[19]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비판을 받아 통상 2년마다 교체되는 참모총장직을 도중에 사임하고 2015년 2월에 군에서 퇴역했다. 퇴역 후 황기철은 성능이 저하되는 선체 고정 음파탐지기 "통영"을 납품하도록 지시한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어 구치소에 수감되었다. 그러나 1심, 2심, 그리고 대법원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한국 여론은 황기철을 "해적", "매국노"라고 비난했지만, 이후 "세월호 사건 당시 '통영' 출동을 반복적으로 지시한 의인"으로 평가했다. 구치소에서 나온 후, 황기철은 "더 이상 한국 사회에서는 사람을 만나기 어렵다. 해외에서 공부하며 학생들을 가르치며 살고 싶다"며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갔다. 그는 "세월호 참사 이후, 누군가에게 책임을 묻는 퍼포먼스가 필요했다", "충분하지 않다는 여론이 있었기에, 결국, 화살이 해군으로 향했다. 무조건 현직 총장을 넣어야 한다는 강한 필요성이 있었다"라고 주장했다.[20][21]

5. 2. 성능 미달 및 장비 문제

선체고정음파탐지기(소나)와 수중무인탐사기의 초음파카메라가 성능 미달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방위산업비리합동수사단은 해당 사업을 맡은 회사가 허위로 서류를 변조하여 방위사업청 소속의 현역 장교에게 제출하면서 뇌물을 주었던 사실이 밝혀져 구속되었다.[32] 그러나 해군은 통영함을 해당 장비를 제외한 상태로 2015년 4월에 실전배치하기로 하고[33] 2014년 12월 30일에 해군에 인도되었다.[34] 그러나 이후 대법원의 최종판결은 통영함 비리에 연루된 주요 해군 출신 인사들에 대해 모두 무죄를 선고했으며, 결국 검찰이 방산비리와 관련해 무리한 수사를 벌인 결과가 아니냐는 여론도 있다.

2014년 9월 19일에는 사이드 스캔 소너가 멀티 빔 방식이어야 했지만 싱글 빔 방식으로 변경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납품에 있어서 방위사업청이 성능을 평택급과 동등한 수준으로 임의로 낮추고, 2억 원의 소너에 41억을 지출한 부정행위가 보도되었다.[13] 같은 해 11월 19일에는 문제가 된 웨스턴 마린 일렉트로닉스(WESMAR)의 소너 MS3850[16] 대신, Kongsberg Maritime영어의 자회사 심라드(Simrad)의 어군탐지기 SH90[17]을 "개량 장비"로 설치했다고 보도되었다.[18]

조선일보는 이 소동을 "방위산업 기업과 관련된 부정의 상징"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9]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비판에 시달려 통상 2년마다 교체되는 참모총장직을 도중에 사임하고 2015년 2월에 군을 퇴역했다. 황기철은 퇴역 후, 성능이 저하되는 선체 고정 음파탐지기 "통영"을 납품하도록 지시한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어 구치소에 수감되었다. 그러나 1심, 2심, 그리고 대법원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20][21]

2019년 현재도 소너를 장비하지 못하고 있으며, 동반하는 소해정 등의 소너를 이용하는 실태에 있다. 단독 활동은 할 수 없으므로, 국외의 해난 구조 지원 활동의 실적은 없다.[22] 2020년 2월 초에는 탈레스 UK제 소너 2193을 장착했다고 보도되었다.[23]

원격 조작 무인 탐사기 (ROV)를 조합하여 기뢰 제거 작업 등 해중 탐사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조달한 GMB USA사製 HD ROV에 대해서도 물체의 형상을 파악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아 성능 부족이라는 판단이 내려졌다.[26][27][7]

5. 3. 군기 문란

2016년 4월, 당직 근무 중이던 미혼 남녀 부사관이 함내 후미진 격실에서 부적절한 행위를 하여 품위유지 위반으로 감봉 처분을 받았다.[7]

참조

[1] 서적 写真特集 今日の韓国軍艦 海人社
[2]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Combat Fleets of the World, 16th Edition Naval Institute Press
[3] 웹사이트 한국해군 최초 국산 수상함 구조함(ATS-II), 통영함 진수 http://www.dsme.co.k[...] 大宇造船海洋 2012-09-04
[4] 웹사이트 한국해군 최초 국산 수상함 구조함(ATS-II), 통영함 진수 http://korea.kr/comm[...] 文化体育観光部 2012-09-04
[5] 웹사이트 最先端海難救助船「統営」 韓国国内技術で製作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2-09-05
[6] 웹사이트 최첨단 수상함구조함 ‘통영함’ 첫 기적 http://kookbang.dema[...] 国防日報 2012-09-05
[7] 웹사이트 "[ニュース分析なぜ?] 最新式救助艦 投入できない理由は結局‘納品不正’?"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4-05-11
[8] 웹사이트 1600億ウォンつぎ込んだ統営艦、19ヵ月間「無用の長物」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4-04-21
[9] 뉴스 "[단독] 첨단 구조함, ‘관급’ 핵심 장비 부실" http://news.kbs.co.k[...] 韓国放送公社 2014-05-12
[10] 웹사이트 Tongyeong kept from Sewol scene http://koreajoongang[...] 中央日報英字版 2014-05-15
[11] 웹사이트 감사원, 세월호 참사관련 '통영함 사업' 특감 착수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4-05-14
[12] 웹사이트 監査院、セウォル号救助に投入できなかった統営艦を監査 http://contents.inno[...] YTN|デジタルYTN 2014-05-15
[13] 웹사이트 最新鋭の水上救助艦に40年前のソナー搭載!?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4-09-19
[14] 웹사이트 통영함 음파탐지기 "70년대 성능 수준" http://www.nocutnews[...] ノーカットニュース 2014-09-19
[15] 웹사이트 "통영함, 내년에도 정상 작전투입 불가능할듯"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4-09-16
[16] 웹사이트 WESMAR MS3850 Series Sonar http://www.wesmar.co[...]
[17] 웹사이트 Simrad SH90 Fish finding sonar http://www.simrad.co[...]
[18] 웹사이트 韓国海軍最新鋭救助艦に魚群探知機が装着されていた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4-11-19
[19] 뉴스 韓国軍:実戦配備もままならない最新救難艦「統営」 http://www.chosunonl[...] 2014-11-20
[20] 뉴스 【現場から】「4つ星」将軍の名誉を失墜させて勲章一つでなだめようとする韓国 https://japanese.joi[...] 2017-01-18
[21] 뉴스 元海軍参謀総長「私は国に捨てられた将帥…狭い監獄で狂いそうだった」=韓国 https://japanese.joi[...] 2017-04-08
[22] 웹사이트 ソナーなし、エンジン不調…問題山積の韓国製兵器システム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5-06
[23] 웹사이트 問題発覚から6年、韓国海軍救難艦「統営」が新型ソナー搭載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02-13
[24] 웹사이트 해군 최초 국산 수상함 구조함(ATS-II), 통영함 진 http://bemil.chosun.[...] 2012-09-04
[25] 웹사이트 DSME launches first Korea-built salvage/rescue ship “Tongyeong” http://eng.maritimep[...] Maritimepress 2012-09-05
[26] 웹사이트 Schilling Robotics Receives New Order From Republic of Korea Navy for the HD ROV http://www.marketwir[...] Schilling Robotics 2011-10-12
[27] 웹사이트 HD ROV http://www.fmctechno[...] Schilling Robotics
[28] 웹인용 한국해군 최초 국산 수상함 구조함(ATS-II), 통영함 진수 http://www.dsme.co.k[...] 2014-12-31
[29] 뉴스 최초 국내 기술 수상함 구조함 '통영함' 진수 http://news.kbs.co.k[...] KBS 2014-12-31
[30] 뉴스 방사청, '납품비리' 논란 통영함 오늘 해군 인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2-31
[31] 뉴스 해저 1030m서 헬기 희생자 어떻게 찾았나…ROV가 주효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6-09-28
[32] 뉴스 방산비리 합수단, '통영함 납품 비리' 현역 장교들 구속기소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4-12-31
[33] 뉴스 통영함, 소나 없이 내년 4월 실전 배치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4-12-31
[34] 뉴스 "'눈·귀' 없는 통영함 해군 인도됐다"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4-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