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V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VE는 스페인의 고속철도 시스템으로, 스페인 국영 철도 회사인 렌페에서 운영한다. 1992년 마드리드-세비야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노선을 확장하여 스페인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일부 노선은 프랑스까지 운행한다. AVE는 마드리드를 중심으로 노선망을 갖추고 있으며, 렌페에서 다양한 AVE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3년에는 3240만 명의 이용객을 기록했으나, 지질학적 문제, 휠체어 이용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2013년에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VE - 렌페 130급
    렌페 130급은 스페인 렌페에서 운용하는 고속열차로, 가변 궤간 시스템과 탈고 펜듈라 틸팅 시스템을 갖추어 이베리아 궤간과 표준궤를 모두 주행하며 곡선 구간을 고속으로 통과할 수 있고, 렌페 730급 개발의 기반이 되었으며 우즈베키스탄 철도에도 수출되었다.
  • AVE - 렌페 100급
    렌페 100급은 TGV 아틀란티크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마드리드-세비야 고속철도 노선을 중심으로 운행된 스페인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표준궤로 변경, 프랑스 직결 운행 개조, 시험 운행 중 스페인 속도 기록 수립, 사고 차량의 TGV-Duplex 디자인 재건 등의 변화를 겪었다.
  • 스페인 -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은 1931년 개항한 스페인 마드리드의 국제공항으로, 확장과 현대화를 거쳐 현재는 5개의 여객터미널과 4개의 활주로를 갖춘 유럽의 주요 허브 공항이며, 2014년 아돌포 수아레스의 이름을 따 명칭이 변경되었다.
  • 스페인 - 스페인 제2공화국
    스페인 제2공화국은 1931년부터 1939년까지 스페인에 존재했던 공화국으로, 진보적인 개혁 추진과 좌우파 대립, 스페인 내전 발발 후 프랑코의 승리로 멸망하고 공화파는 망명 정부를 수립했으나 해산되었다.
AVE
지도
기본 정보
명칭AVE
로마자 표기ABE
종류고속철도
운영 회사렌페
웹사이트렌페 웹사이트
서비스 지역
주요 역마드리드 아토차역
바르셀로나 산츠역
세비야 산타 후스타역
사라고사 델리시아스역
기타 역마드리드 차마르틴역
발렌시아 호아킨 소로야역
말라가 마리아 삼브라노역
그라나다역
알리칸테역
바야돌리드 캄포 그란데역
라코루냐 산 크리스토발역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역
오렌세역
코르도바역
노선 정보
총 길이3,966 km
역 수52
궤간표준궤 (1435 mm)
전철화 방식교류 25kV (일부 구간 직류 3kV)
열차 정보
차량 종류AVE 100급 (22대)
AVE 102급 (16대)
AVE 103급 (26대)
탈고 아브릴 (20대)
AVE 112급 (25대)
최고 속도300km/h
역사
개업일1992년 4월 21일
기타
공식 명칭알타 벨로시닷 에스파뇰라 (Alta Velocidad Española)

2. 역사

2. 1. 초기 개발

2. 2. 노선 확장

2. 3. 연표


  • 1992년 4월 21일: 마드리드~세비야 구간 개통
  • 1993년 1월: 마드리드~말라가 구간에서 탈고 200 운행 개시
  • 2003년 10월 11일: 마드리드~레이다 구간 개통
  • 2005년 11월 15일: 마드리드~톨레도 구간 개통
  • 2005년 12월 26일: 신형 차량 S-102 도입
  • 2006년 12월 18일: 레이다~타라고나 구간 개통
  • 2007년 6월 22일: S-103 운행 개시.[41]
  • 2008년 2월 20일: 바르셀로나까지 개통[42]
  • 2013년 7월 24일: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근교에서 탈선 사고 발생
  • 2013년 12월 15일: TGV바르셀로나까지 직통 운행 개시, AVE가 리옹, 마르세유, 툴루즈까지 직통 운행 개시[26][43]

3. 노선

wikitext

AVE는 현재 마드리드를 중심으로 스페인 전역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망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 노선은 프랑스까지 연결된다. 중심 허브는 마드리드의 아토차역이며,[12][13] 대부분의 노선이 이곳을 기점으로 한다. 단, 마드리드-아스투리아스, 마드리드-부르고스, 마드리드-갈리시아, 마드리드-알리칸테, 마드리드-무르시아 노선은 차마르틴역에서 종착한다.[12][13]


  • 마드리드-세비야 고속선: 1992년 개통된 스페인 최초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마드리드에서 코르도바를 거쳐 세비야까지 연결된다.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등을 경유한다.
  •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레이다, 타라고나를 거쳐 바르셀로나까지 연결된다.
  • 마드리드-발렌시아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쿠엥카를 거쳐 발렌시아까지 연결되며, 레케나-우티엘 등을 경유한다.
  • 마드리드-레반테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쿠엥카를 거쳐 지중해 방면으로 이어지는 노선이다. 알바세테를 경유하여 알리칸테와 무르시아 방면으로 분기한다.
  • 마드리드-바야돌리드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세고비아를 거쳐 발라돌리드까지 연결된다.
  • 코르도바-말라가 고속선: 코르도바에서 말라가까지 연결된다.
  • 마드리드-레온 고속선: 발라돌리드, 팔렌시아를 경유하여 레온까지 연결된다.


이 외에도 마드리드를 기점으로 그라나다, 우에스카, 오리우엘라, 사모라, 카스테욘 등 스페인 주요 도시로 연결되는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10] 또한, 바르셀로나에서 프랑스 리옹을 연결하는 국제 노선과, 마드리드에서 프랑스 마르세유를 연결하는 국제노선도 운행한다.[11]

렌페(Renfe)는 다음과 같은 AVE 서비스를 제공한다.[10]

  • 알리칸테–레온 (알바세테,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경유)
  • 알리칸테–오우렌세 (알바세테,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사모라 경유)
  • 바르셀로나–그라나다 (타라고나, 례이다, 사라고사,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안테케라 경유)
  • 바르셀로나–말라가 (타라고나, 례이다, 사라고사, 시우다드 레알, 코르도바, 푸엔테 헤닐-에레라, 안테케라 경유)
  • 바르셀로나–세비야 (타라고나, 례이다, 사라고사,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경유, 일부 열차는 정차역이 제한됨)
  • 부르고스–무르시아 (발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차마르틴, 엘체, 오리우엘라 경유)
  • 히혼–카스테욘 (오비에도, 미에레스 델 카민, 라 폴라, 레온, 팔렌시아, 발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차마르틴, 쿠엥카, 발렌시아, 사군토 경유)
  • 히혼–비나로스 (오비에도, 미에레스 델 카민, 라 폴라, 레온, 팔렌시아, 발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차마르틴, 쿠엥카, 발렌시아, 사군토, 카스테욘, 베니카심, 오로페사 델 마르, 베니칼로 경유, 하계 운행)
  • 우에스카–세비야 (타르디엔타, 사라고사, 칼라타유드, 과달라하라, 마드리드 아토차역, 코르도바 경유)
  • 마드리드–아 코루냐 (사모라, 오우렌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경유)
  • 마드리드–알리칸테 (쿠엥카, 알바세테, 비예나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례이다, 타라고나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카스테욘 (쿠엥카, 레케나-우티엘, 발렌시아 경유)
  • 마드리드–피게레스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례이다, 타라고나, 바르셀로나, 히로나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히혼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레온, 오비에도 경유)
  • 마드리드–그라나다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푸엔테 헤닐-에레라, 안테케라, 로하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우에스카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타르디엔타 경유)
  • 마드리드–레온 (세고비아,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경유)
  • 마드리드–말라가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푸엔테 헤닐-에레라, 안테케라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무르시아 (엘체, 오리우엘라 경유, 일부 열차는 알리칸테에 도착 후 무르시아 방향으로 회차)
  • 마드리드–오우렌세 (사모라 경유)
  • 마드리드–세비야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발렌시아 (쿠엥카, 레케나-우티엘 경유, 무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비고 (사모라, 산나브리아, 아 구디냐, 오우렌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빌라가르시아 데 아루사, 폰테베드라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발렌시아–부르고스 (레케나-우티엘,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발라돌리드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발렌시아–레온 (레케나-우티엘,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세고비아,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발렌시아–세비야 (쿠엥카,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경유)

3. 1. 주요 노선



AVE는 현재 스페인 전역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중심 허브는 마드리드의 아토차역이며,[12][13] 대부분의 노선이 이곳을 기점으로 한다. 단, 마드리드-아스투리아스, 마드리드-부르고스, 마드리드-갈리시아, 마드리드-알리칸테, 마드리드-무르시아 노선은 차마르틴역에서 종착한다.[12][13]

  • 마드리드-세비야 고속선: 1992년 개통된 스페인 최초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마드리드에서 코르도바를 거쳐 세비야까지 연결된다.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등을 경유한다.[27]
  •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레이다, 타라고나를 거쳐 바르셀로나까지 연결된다. 2008년 2월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6]
  • 마드리드-발렌시아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쿠엥카를 거쳐 발렌시아까지 연결되며, 레케나-우티엘 등을 경유한다. 2010년 12월 18일에 개통되었다.[27]
  • 마드리드-레반테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쿠엥카를 거쳐 지중해 방면으로 이어지는 노선이다. 알바세테를 경유하여 알리칸테와 무르시아 방면으로 분기한다. 2022년 12월 19일 무르시아까지 연장되었다.[27]
  • 마드리드-바야돌리드 고속선: 마드리드에서 세고비아를 거쳐 발라돌리드까지 연결되며, 2007년 12월에 개통되었다. 이 노선에는 유럽에서 4번째로 긴 터널(28km)이 포함되어 있다.[28]
  • 코르도바-말라가 고속선: 코르도바에서 말라가까지 연결된다.
  • 마드리드-레온 고속선: 발라돌리드, 팔렌시아를 경유하여 레온까지 연결된다. 2015년에 개통되었다.[28]


이 외에도 마드리드를 기점으로 그라나다, 우에스카, 오리우엘라, 사모라, 카스테욘 등 스페인 주요 도시로 연결되는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10] 또한, 바르셀로나에서 프랑스 리옹을 연결하는 국제 노선과, 마드리드에서 프랑스 마르세유를 연결하는 국제노선도 운행한다.[11]

렌페(Renfe)는 다음과 같은 AVE 서비스를 제공한다.[10]

  • 알리칸테–레온 (알바세테,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경유)
  • 알리칸테–오우렌세 (알바세테,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사모라 경유)
  • 바르셀로나–그라나다 (타라고나, 례이다, 사라고사,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안테케라 경유)
  • 바르셀로나–말라가 (타라고나, 례이다, 사라고사, 시우다드 레알, 코르도바, 푸엔테 헤닐-에레라, 안테케라 경유)
  • 바르셀로나–세비야 (타라고나, 례이다, 사라고사,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경유, 일부 열차는 정차역이 제한됨)
  • 부르고스–무르시아 (발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차마르틴, 엘체, 오리우엘라 경유)
  • 히혼–카스테욘 (오비에도, 미에레스 델 카민, 라 폴라, 레온, 팔렌시아, 발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차마르틴, 쿠엥카, 발렌시아, 사군토 경유)
  • 히혼–비나로스 (오비에도, 미에레스 델 카민, 라 폴라, 레온, 팔렌시아, 발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차마르틴, 쿠엥카, 발렌시아, 사군토, 카스테욘, 베니카심, 오로페사 델 마르, 베니칼로 경유, 하계 운행)
  • 우에스카–세비야 (타르디엔타, 사라고사, 칼라타유드, 과달라하라, 마드리드 아토차역, 코르도바 경유)
  • 마드리드–아 코루냐 (사모라, 오우렌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경유)
  • 마드리드–알리칸테 (쿠엥카, 알바세테, 비예나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례이다, 타라고나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카스테욘 (쿠엥카, 레케나-우티엘, 발렌시아 경유)
  • 마드리드–피게레스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례이다, 타라고나, 바르셀로나, 히로나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히혼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레온, 오비에도 경유)
  • 마드리드–그라나다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푸엔테 헤닐-에레라, 안테케라, 로하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우에스카 (과달라하라, 칼라타유드, 사라고사, 타르디엔타 경유)
  • 마드리드–레온 (세고비아,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경유)
  • 마드리드–말라가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푸엔테 헤닐-에레라, 안테케라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무르시아 (엘체, 오리우엘라 경유, 일부 열차는 알리칸테에 도착 후 무르시아 방향으로 회차)
  • 마드리드–오우렌세 (사모라 경유)
  • 마드리드–세비야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경유, 무정차 열차 및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발렌시아 (쿠엥카, 레케나-우티엘 경유, 무정차 열차 운행)
  • 마드리드–비고 (사모라, 산나브리아, 아 구디냐, 오우렌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빌라가르시아 데 아루사, 폰테베드라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발렌시아–부르고스 (레케나-우티엘,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발라돌리드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발렌시아–레온 (레케나-우티엘, 쿠엥카, 마드리드 차마르틴, 세고비아, 발라돌리드, 팔렌시아 경유, 일부 정차 열차 운행)
  • 발렌시아–세비야 (쿠엥카,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코르도바 경유)

3. 2. 국제 노선

AVE는 다음과 같은 국제 노선을 운행한다.[11]

3. 3. 건설 계획

스페인 정부는 2010년까지 모든 주도와 수도 마드리드를 4시간 이내, 바르셀로나와는 6시간 30분 이내에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고속철도망을 확충하는 계획을 추진했다. 이 계획은 스페인 내 열차 속도를 크게 향상시켜 적은 비용으로 세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받았다. 계획이 완전히 실행되면 다른 선진국에는 없는 고속철도망이 완성될 것이었다.

고속철도 노선 정비 현황


현재 건설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북부 회랑
  • 벤타 데 바뇨스 - 부르고스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2022년 7월 21일 벤타 데 바뇨스에서 부르고스까지 개통.[35]
  • 빌바오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 산세바스티안 (바스크주): 2024년 바스크 주의 세 개 주요 도시를 연결하여 개통 예정. 마드리드에서 바야돌리드를 거쳐 국경을 넘어 이룬과 바욘에서 TGV와 연결될 예정이다.
  • 파하레스 변칙선: 레온주와 아스투리아스주 사이의 산악 지대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레온까지는 2015년에 개통되었다. 오비에도와 히혼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남서부 회랑(포르투갈 방면)
  • 카세레스 - 메리다 - 바다호스: 이 노선은 이베리아 반도의 세 개 주요 도시를 잇는 에스트레마두라주의 고속철도망이다.[36] 2022년 7월 18일 플라센시아 - 카세레스 - 메리다 - 바다호스 구간이 향후 표준궤로 변경 가능한 침목을 사용하여 이베리아궤간(1,668mm)으로 개통되었다.[36] 현재 타라유엘라 - 플라센시아 구간 건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36] 초기에는 포르투갈 리스본까지 연결하는 것이 계획되었으나, 2011년부터 포르투갈 측에서 동결되었다.[37][38] 2024년 현재, 포르투갈 방면 고속 신선 건설은 재개되어 바다호스 - 엘바스 및 에보라 - 리스본은 기존 노선 개량, 엘바스 - 에보라 구간은 2024년 이후 개통 예정인 고속 신선 건설을 통해 마드리드 - 리스본 간 직통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다.[39]


초기 목표였던 TGV와 LGV 페르피냥-피게라스선과의 연결은 2013년 12월부터 영업을 개시했다. 이에 따라 스페인과 프랑스 간 환승 없이 직통 운행이 가능해졌다. 초기에는 하루 5편 운행을 예정했으며, 바르셀로나-파리 구간 2편(소요 시간 약 6시간 20분), 마드리드-마르세이유 구간(소요 시간 약 7시간), 바르셀로나-리옹 구간(소요 시간 약 5시간), 바르셀로나-툴루즈 구간(소요 시간 약 3시간)이 각 1편 운행된다.

AVE가 정비된 도시 간과 그렇지 않은 도시 간에는 소요 시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한 예로, 레온-바르셀로나 구간은 784km를 9시간 30분 소요했지만, 2015년 9월 마드리드-레온 구간이 AVE로 연결된 이후로는 마드리드 환승으로 5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드리드와 AVE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고속 신선 정비에 따라 신선을 경유함으로써 소요 시간이 크게 개선된 지역도 많다.

4. 차량

AVE는 다양한 종류의 고속열차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열차는 제조사, 최고 속도, 좌석 등급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21][22][23][24]


  • S-102: 탈고와 봄바디어가 제작하였다.[23][24]

  • S-103: 지멘스가 제작하였으며, 시멘스 벨라로(Siemens Velaro) 브랜드로 세계적으로 판매된다.[23][24]

  • S-106: 탈고가 제작하였으며, 탈고 아브릴(Talgo AVRIL)로 세계적으로 판매된다.

  • S-112: 탈고와 봄바디어가 제작하였다.
  • 렌페 101급, 렌페 104급, , 렌페 120·121급, 렌페 130급, 렌페 490급, 렌페 730급 열차도 AVE 서비스를 위해 운행된다.

4. 1. 주요 차량

현재 AVE 서비스를 운행하는 여러 종류의 고속열차가 있다.[21][22][23][24]

  • S-100: 알스톰이 제작한 초기 AVE 모델이다.[23][24] 1992년부터 1994년까지 18편성이 제작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300km/h, 출력은 8,800kW(5,400)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 / 3kV (DC)이며, 궤간은 1,435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329명이다.

  • S-101 (유로메드): 알스톰이 제작하였으며, 기존 광궤 노선(바르셀로나-알리칸테)에서 운행한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6편성이 제작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200km/h(최대 220km/h)이다. 출력은 5,400kW, 전압은 3kV(DC), 궤간은 1,668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325명이다.
  • S-102 (탈고 350): 탈고와 봄바디어가 제작하였다.[23][24] 2005년부터 제작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300km/h(최대 350km/h), 출력은 8,000kW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이며, 궤간은 1,435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314명이다.[24]

  • S-103 (벨라로): 지멘스가 제작하였으며, ICE 타입으로 시멘스 벨라로(Siemens Velaro) 브랜드로 세계적으로 판매된다.[23][24] 2005년부터 제작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300km/h(최대 350km/h), 출력은 8,800kW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이며, 궤간은 1,435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404명이다.[24]

  • S-106: 탈고가 제작하였으며, 탈고 아브릴(Talgo AVRIL)로 세계적으로 판매된다.

  • S-112: 탈고와 봄바디어가 제작하였다.
  • S-104 (아반트): 알스톰과 CAF가 제작하였으며, 펜돌리노 480 기반이다. 2004년부터 제작되었으며, 최고속도는 250km/h, 출력은 4,400kW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이며, 궤간은 1,435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236명이다.
  • (아반트): 알스톰과 CAF가 제작하였으며, 펜돌리노 600 기반이다. 2011년부터 제작되었으며, 최고속도는 250km/h, 출력은 4,000kW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이며, 궤간은 1,435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236명이다.[22]
  • S-120 (알비아): 알스톰과 CAF가 제작한 궤간 가변 열차이다. 2005년부터 제작되었으며,최고속도는 250km/h(최대 220km/h), 출력은 4,000kW(2,700)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 / 3kV (DC)이며, 궤간은 1,435mm / 1,668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237명이다.
  • S-130 (파티토): 탈고와 봄바디어가 제작한 궤간 가변 열차이다. 2006년부터 제작되었으며,최고속도는 250km/h(최대 220km/h), 출력은 4,800kW(4,000)이다. 전압 및 주파수는 25kV·50Hz AC / 3kV (DC)이며, 궤간은 1,435mm / 1,668mm이다. 편성 탑승 정원은 299명이다.

4. 2. 특징

5. 운영 및 서비스

코르도바 센트랄 역에 정차한 렌페 100급 열차


AVE는 스페인 국영 철도 회사인 렌페(Renfe)에서 운영한다. 2023년 AVE 이용객은 3240만 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14] 철도망의 길이는 광범위하지만, 일본, 프랑스, 독일, 중국, 대만, 한국과 같은 유사한 고속철도 시스템에 비해 승객 수는 뒤처진다.

AVE 승객 수 (백만 명) 2006년 ~ 2023년[15][16]
rowspan="2" 2000년대2006200720082009
|4.8785.55911.46111.250
rowspan="2" 2010년대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
10.85112.56312.10114.69717.96719.42820.35221.10821.33222.370
rowspan="2" 2020년대2020202120222023202420252026202720282029
7.60312,28223,56231,784


5. 1. 문제점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고속선은 지질학적 문제로 인해 당초 계획했던 최고 속도로 열차를 운행할 수 없다.[34] 지질학자들은 아라곤 주의 약한 점토 지반에 건설된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노반 근처에서는 구멍도 발견되었다.[34] 이 AVE 신노선은 터널 설계, 신호 시스템, 열차 최고 속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34]

바르셀로나 구간 터널 공사는 사그라다 파밀리아를 비롯한 19세기 건축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많은 주민들의 반발을 샀으며, 이는 바르셀로나 전 시장 후안 클로스 이 마테우의 정치적 입지를 위협했다.[34]

AVE 열차는 승강장에 계단이 있어 휠체어 이용자가 혼자 탑승하기 어렵다.[34] 이는 한국의 KTX도 마찬가지로 겪는 문제점이다.

6. 사고

2013년 7월 24일, 마드리드에서 페롤로 향하던 열차가 갈리시아 지방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외곽에서 탈선·전복되었다. 이 사고로 승객 218명과 승무원 4명이 탑승 중이었으며, 80명이 사망하고 139명이 부상당하는 큰 참사가 발생했다.[40] 사고 열차는 해당 구간 제한 속도인 시속 80km의 약 2배 속도로 운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40]

이 사고는 1972년 7월 21일 세비야 주 엘 쿠에르보 데 세비야/El Cuervo de Sevilla영어에서 발생한 정면 충돌 사고(사망자 79명)를 넘어 스페인 철도 사고 역사상 최악의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 1944년 1월 3일 레온 주 토레 델 비엘소에서 발생한 토레 델 비엘소 철도 사고의 공식 사망자 수는 78명이지만, 프랑코 독재 시대였기 때문에 사고는 거의 보도되지 않았으며, 실제로는 200~800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100 https://www.renfe.co[...] Renfe 2024-06-18
[2] 웹사이트 S-102/112 https://www.renfe.co[...] Renfe 2024-06-18
[3] 웹사이트 S-103 https://www.renfe.co[...] Renfe 2024-06-18
[4] 웹사이트 Renfe pone en circulación los S-106 con un incremento de 14.400 plazas para los servicios Avlo que circulan entre Madrid, Aragón, Cataluña, Comunitat Valenciana y Murcia https://www.renfe.co[...] Renfe 2024-04-26
[5] 웹사이트 Flota de trenes https://www.renfe.co[...] Renfe 2024-06-18
[6] 웹사이트 Red de Alta Velocidad https://www.adifalta[...] ADIF 2023-05-07
[7] 웹사이트 Renfe empieza a operar en Francia con un AVE entre Barcelona y Lyon https://www.rtve.es/[...] 2023-07-13
[8] 뉴스 Madrid — Barcelona at 310 km/h with ETCS Level 2 http://www.railwayga[...] 2011-11-09
[9] 웹사이트 Velocidades máximas de los trenes y de las líneas https://www.geotren.[...] 2023-05-07
[10] 웹사이트 Renfe http://www.renfe.com Renfe 2023-05-07
[11] 웹사이트 Renfe places AVE (high-speed) tickets on sale in France https://www.renfe.co[...] Renfe 2023-06-21
[12] 웹사이트 Renfe reorganiza la oferta de los servicios AVE Madrid-Alicante tras el traslado de la cabecera de Puerta de Atocha a Chamartín Clara Campoamor https://www.renfe.co[...] Renfe 2022-08-19
[13] 웹사이트 El AVE Madrid-Murcia comenzará el servicio comercial el próximo 20 de diciembre https://www.renfe.co[...] Renfe 2022-12-12
[14] 웹사이트 High-Speed Rail in Spain Sees Record Usage in 2023 https://ftnnews.com/[...] 2024-07-26
[15] 웹사이트 High Speed: Open access comes to Spain https://www.railwayg[...] 2024-10-24
[16] 웹사이트 Spain: high-speed rail passenger traffic 2022 https://www.statista[...] 2023-12-24
[17] 서적 最新 世界の鉄道 海外鉄道技術協力協会
[18] 서적 トーマスクック ヨーロッパ鉄道時刻表 07夏号 ダイヤモンド社
[19] 서적 スペイン&ポルトガル鉄道の旅 ダイヤモンド社
[20] 뉴스 https://www.railwayg[...]
[21] 문서 좌석 정보
[22] 문서 좌석 정보
[23] 문서 전압 정보
[24] 문서 전압 정보
[25] 문서 속도 제한 정보
[26] 웹사이트 パリ~バルセロナ間の直通TGV、15日から運行開始 http://response.jp/a[...] 2014-01-02
[27] 웹사이트 Adif AV conecta Murcia a la alta velocidad y la posiciona como principal puerta sur del Corredor Mediterráneo - Adif - AV - Adif https://www.adifalta[...] 2022-12-24
[28] 웹사이트 Línea Valladolid - León - Adif - AV - Adif https://www.adifalta[...] 2022-12-24
[29] 웹사이트 Línea Madrid - Galicia Eje Ourense - Santiago https://www.adifalta[...] 2022-12-25
[30] 웹사이트 Línea Madrid - Galicia https://www.adifalta[...] 2022-12-25
[31] 웹사이트 Adif pone en tensión tramo de alta velocidad Olmedo-Pedralba de la Pradería http://agencias.abc.[...] ABC.es 2015-07-22
[32] 웹사이트 Línea Madrid - Galicia https://www.adifalta[...] 2022-12-25
[33] 뉴스 AVE links Madrid with Galicia after 20 years https://www.euroweek[...] 2021-12-20
[34] 웹사이트 http://woman.nikkei.[...]
[35] 웹사이트 Línea Venta de Baños - Burgos - Vitoria - Adif - AV - Adif https://www.adifalta[...] 2022-12-24
[36] 웹사이트 Línea Madrid - Extremadura - Frontera Portuguesa - Adif - AV - Adif https://www.adifalta[...] 2022-12-24
[37] 뉴스 Pointers December 2009 http://www.railwayga[...] 2010-09-24
[38] 뉴스 Portugal's cutbacks halt high-speed train to Spain http://www.guardian.[...] 2011-10-27
[39] 뉴스 Portugal confirma alta velocidade entre Badajoz e Lisboa em 2024 https://radioelvas.c[...] 2024-07-29
[40] 웹사이트 Accidente en Santiago: Un novo falecemento eleva o número de vítimas mortais a 79 http://www.lavozdega[...] 라・ボス・デ・ガリシア 2013-07-29
[41] 웹사이트 Comienza a circular en la linea Madrid-Tarragona eltren más rápido de Renfe http://www.transpire[...] 2018-12-15
[42] 뉴스 Spanish high speed train http://www.typically[...] 2018-12-15
[43] 뉴스 Parte el primer AVE directo de Barcelona a París - RTVE.es http://www.rtve.es/n[...] 2018-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