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n 센터 (로스앤젤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on 센터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고층 건물이다. 1973년 완공 당시에는 유나이티드 캘리포니아 은행 빌딩으로 불렸고, 이후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타워로 변경되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당시에는 올림픽 로고가 건물에 표시되었으며, 미시시피 강 서쪽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나 이후 순위가 바뀌었다. 1988년 화재로 인해 로스앤젤레스의 건축 법규가 개정되어 모든 고층 건물에 소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스앤젤레스의 마천루 - U.S. 뱅크 타워
미국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에 위치한 72층 마천루 U.S. 뱅크 타워는 로스앤젤레스 중앙도서관 재건축 자금 마련을 위해 건설되어 '도서관 타워'라는 별칭을 가지며, 한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옥상 헬리패드를 보유했고, 현재는 다양한 기업들이 입주해 있는 로스앤젤레스의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 로스앤젤레스의 마천루 - 윌셔 그랜드 센터
윌셔 그랜드 센터는 1952년 호텔 스태틀러로 개장하여 로스앤젤레스의 랜드마크였던 호텔을 재건축한 복합단지로, 한진그룹 주도하에 335m 높이의 73층 타워로 2017년 완공되어 인터컨티넨탈 호텔, 사무 공간, 상점, 전망대 등을 포함하며 돛 모양 첨탑의 LED 조명이 특징이다. - 1973년 완공된 건축물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위치한 종합 공연장으로, 조개껍데기 모양의 독특한 지붕 디자인과 콘서트홀, 오페라 극장 등을 갖춘 20세기 건축의 대표작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1973년 완공된 건축물 - NHK 방송 센터
NHK 방송 센터는 일본 방송협회의 본사이자 최대 규모의 방송 시설로, 대규모 재건축 사업을 통해 일부 시설 이전과 함께 노후 시설 개선 및 다양한 방송 제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Aon 센터 (로스앤젤레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유나이티드 캘리포니아 은행 빌딩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타워 |
위치 | 707 윌셔 대로,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착공 | 1970년 |
완공 | 1973년 |
상태 | 완공됨 |
건물 유형 | 상업 사무실 |
지붕 높이 | 261.52 m |
층수 | 67층 |
엘리베이터 수 | 30대 |
바닥 면적 | 116,128 m² |
주차 공간 | 822대 |
건축가 | 찰스 러크먼 |
구조 엔지니어 | Erkel Greenfield Associates |
주요 계약자 | CL Peck Contractor |
소유주 | 707 Wilshire Fee LLC |
높이 | |
높이 | 261.52 m |
기록 | |
최고 높이 지역 | 캘리포니아 |
이전 최고 높이 건물 | 트랜스아메리카 피라미드 |
다음 최고 높이 건물 | U.S. 뱅크 타워 (로스앤젤레스) (3위) |
최고 높이 시작 | 1973년 |
최고 높이 종료 | 1986년 |
2. 역사
1973년 완공된 이 건물은 당시 미시시피 강 서쪽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뉴욕과 시카고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기도 했다. 이 기록은 1982년 휴스턴의 JPMorgan Chase Tower가 완공되면서 깨졌다. 로스앤젤레스 내에서는 1973년 완공 이후 1989년 U.S. Bank Tower가 지어지기 전까지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건물은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고 소유주도 변경되었다.[7]
2. 1. 건물명 변천
Aon 센터는 1973년 완공 후 1981년까지 원래 유나이티드 캘리포니아 은행 빌딩으로 불리다가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타워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에는 당시 주요 후원사였던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은행의 로고가 건물 상단부 북쪽과 남쪽에 표시되기도 했다. 이 건물은 건설 당시 미시시피 강 서쪽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나, 1982년 휴스턴의 JPMorgan Chase Tower가 완공되면서 그 기록을 넘겨주었다. 로스앤젤레스 내에서는 1989년 U.S. Bank Tower가 완공될 때까지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1998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건물에 특정 기업의 로고가 부착되지 않았다.2. 2.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Aon 센터는 1981년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타워'''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당시 소유주였던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은행이 올림픽의 주요 후원사였기 때문에 건물 상단부 북쪽과 남쪽에 1984년 올림픽 로고가 표시되었다.2. 3. 소유권 변동
Aon 센터는 1973년 완공 후 원래 '''유나이티드 캘리포니아 은행 빌딩'''으로 불렸으나, 1981년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타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에는 당시 소유주였던 퍼스트 인터스테이트 은행이 올림픽의 주요 후원사였기 때문에 건물 상단부 북쪽과 남쪽에 1984년 올림픽 로고가 표시되기도 했다.2014년 Aon 센터를 인수한 쇼렌스타인 프로퍼티스는 2023년 12월에 캐롤우드를 포함한 투자 컨소시엄에 건물을 매각했다.[7]
3. 1988년 화재 사건
1988년 5월 4일, 건물 12층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8] 이 화재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남겼으며, 당시 건물에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피해가 확대되었다.[8] 이 사건은 로스앤젤레스의 고층 건물 안전 규정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3. 1. 발생 및 피해
1988년 5월 4일 오후 10시 직후, 건물 12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약 4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이 화재로 5개 층이 파괴되었고 40명이 부상을 입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문이 불이 난 12층에서 열리는 바람에 엘리베이터 조작 기술자 1명이 사망했다.[8]화재가 크게 번진 주요 원인은 당시 건물에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건축법상 사무실 타워에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가 아니었다. 화재 발생 시점에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설치가 90% 완료된 상태였지만, 수류 경보 장치 설치를 기다리고 있어 작동하지 않았다.[8]
화재는 다음 날 오전 2시 19분에 진압되었으며, 총 피해액은 4억달러에 달했다. 건물 수리에는 4개월이 걸렸다. 이 화재를 계기로 로스앤젤레스의 건축 법규가 개정되어 모든 고층 건물에 소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이는 1974년에 제정된 신축 건물에만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했던 조례를 확대한 것이다.
3. 2. 영향 및 교훈
1988년 5월 4일 오후 10시경 12층에서 발생한 화재는 약 4시간 동안 지속되며 건물과 로스앤젤레스 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화재로 5개 층이 파괴되었고, 4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화재 중 12층에 멈춘 엘리베이터 때문에 조작 기술자 1명이 사망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8]화재 피해가 컸던 주된 이유는 당시 건축법상 사무실 타워에 스프링클러 시스템 설치가 의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화재 발생 시점에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설치가 90% 완료된 상태였으나, 수류 경보 장치 설치를 기다리며 작동하지 않고 있었다.[8]
결국 화재는 다음 날 오전 2시 19분에 진압되었지만, 피해액은 4억달러에 달했다. 건물 수리에는 4개월이 소요되었다. 이 사건은 중요한 교훈을 남겼는데, 화재 이후 로스앤젤레스의 건축 법규가 개정되어 모든 고층 건물에 소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이는 1974년 제정된, 신축 건물에만 스프링클러 설치를 요구했던 기존 조례를 수정한 것이다.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Aon Center | Buildings | EMPORIS
http://www.emporis.c[...]
[2]
간행물
[3]
웹사이트
Emporis building ID 116483
https://www.emporis.[...]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뉴스
LA’s Third-Tallest Tower Sells for 45% Below 2014 Price
https://www.bloomber[...]
2023-12-23
[8]
웹사이트
Technical Report, Interstate Bank Building Fire
http://www.lafire.co[...]
United States Fire Administration
2015-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